KR20140046750A - 이엠피 방호 캐비닛 - Google Patents

이엠피 방호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750A
KR20140046750A KR1020120112787A KR20120112787A KR20140046750A KR 20140046750 A KR20140046750 A KR 20140046750A KR 1020120112787 A KR1020120112787 A KR 1020120112787A KR 20120112787 A KR20120112787 A KR 20120112787A KR 20140046750 A KR20140046750 A KR 2014004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emp
cabinet
shielding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진
Original Assignee
정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진 filed Critical 정창진
Priority to KR102012011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750A/ko
Publication of KR2014004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1Ventilation panels having provisions for scre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엠피(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차폐와 유지 보수 기능이 향상된 이엠피(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는 다수 개의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벽면(12a, 12b, 13, 14, 15); 후면(14)의 위쪽 및 천정 면(15)에 각각 형성된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 도어(131) 및 후면 도어(141); 전면 도어(131)에 설치되는 작동 표시 등(132); 및 벽면(12a, 12b, 13, 14, 15)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접지 수단(17)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는 그물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엠피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Shielding Structure of Protecting Cabinet From EMP}
본 발명은 이엠피(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차폐와 유지 보수 기능이 향상된 이엠피(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폭탄(Electronic Bomb)은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발생시켜 전자기기와 관련된 기기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EMP(Electro-magetic pulse) 무기를 말한다. EMP는 예를 들어 원자폭탄 또는 수소폭탄의 폭발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EMP 무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컴퓨터 장비, 데이터베이스 장비, 각종 시설의 통제를 위한 중앙 통제 장비 또는 군의 지휘와 주요 문서가 보관된 지휘 통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EMP 방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990828호 ‘EMP 방호 캐비닛’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도성 있는 아연 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진 육면의 철판을 연결 조립하여 일체로 형성된 함체; 상기 전도성 아연 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함체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도어; 상기 함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공기는 통과시키고 전자기 펄스는 차단하는 환기구, 상기 함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전원 장치의 전원선 인입구에 구비되어 전원선을 통해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기 펄스를 필터링하는 여파기;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피보호 전자 장비에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영상 신호를 접속시키며 펄스를 차단하는 EMP 리미터가 부착된 커넥터; 및 상기 함체에 관통되게 부착하여 펄스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광케이블의 EMP를 방호하고 그 길이가 지름의 5배 이상이 되는 광케이블 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 전도성 향상을 위한 가스켓이 면 접합되고 상기 함체를 관통하는 광케이블 유도관의 외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양측에서 나사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 유도관이 함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하는 EMP 방호 캐비닛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EMP 방호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158861호 'EMP 방호시설의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방습지; 상기 방습지 위에 배치된 전기 절연재; 상기 전기 절연재 위에 배치되는 강판의 이음새에 해당되는 부위를 따라 부착된 내화 테이프; 및 상기 내화 테이프가 부착된 전기 절연재 위에 배치되어 상호 용접되는 다수의 강판을 포함하는 EMP 방호시설의 바닥판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EMP 방호 설비는 EMP 방호 설비의 내부에 보관되는 장비의 유지 또는 보수가 곤란하거나 EMP 차폐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EMP 차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방호 설비 내부의 장비의 유지 또는 보수가 간단한 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폐 구조는 다수 개의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벽면; 후면(14)의 위쪽 및 천정 면에 각각 형성된 전자파 차폐 환기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 도어 및 후면 도어; 전면 도어에 설치되는 작동 표시 등; 및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접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환기구는 그물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면 도어 또는 후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시 홀이 형성된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파 차폐 환기구는 열 확산 스트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는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EMP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 이와 동시에 내부 시설물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는 내부 시설의 점검 또는 보수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 및 결합도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캐비닛의 차페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차단 스크린 및 차폐 환기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EMP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 및 결합도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벽면(12a, 12b, 13, 14, 15); 후면(14)의 위쪽 및 천정 면(15)에 각각 형성된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 도어(131) 및 후면 도어(141); 전면 도어(131)에 설치되는 작동 표시 등(132); 및 벽면(12a, 12b, 13, 14, 15)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접지 수단(17)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는 그물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구조는 내부에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전자기기 장비가 수용될 수 있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벽면(12a, 12b, 13, 14, 15)예를 들어 아연 도금 강판과 같이 EMP 차폐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 전자 장치의 고정을 위한 다수 개의 랙이 설치될 수 있고 캐비닛의 앞쪽 및 뒤쪽에 개폐 가능한 도어(131, 141)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비닛의 안쪽에 설치되는 장비는 분배함 또는 배선이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비닛 내부의 장비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후면 도어(141)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전면 도어(131)는 예를 들어 힌지(133)의 방식으로 개폐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개폐가 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벽면(12a, 12b, 13, 14, 15)의 위쪽 부분에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가 설치될 수 있다. 차폐 환기구(145, 155)는 캐비닛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면서 전자파가 차단이 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랙에 설치된 장비로부터 발생되고 후면 도어(141)에 가까운 쪽에서 발생하게 되고 위쪽으로 더운 공기가 상승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에 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되기 쉽다. 그러므로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는 후면 도어(141) 및 천정 벽면(155)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의 앞쪽 또는 뒤쪽에 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측면(12a, 12b) 또는 전면(13)에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가 설치될 수 있다.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철과 같은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차폐 환기구(125, 135, 145, 155)는 그물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적절한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차폐 환기구(145, 155)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전면 도어(131)에 작동 표시등(132)이 설치될 수 있다. 작동 표시등(132)은 내부의 설치된 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한편 비상 표시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온도 또는 습도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동 표시등(132)은 다른 색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작동 표시등(132)은 예를 들어 엘이디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캐비닛 구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에 접지 단자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랙에 설치된 내부 장치가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캐비닛 구조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정전하가 발생될 수 있고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누설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비닛 구조 자체에 접지 수단(17)이 설치될 수 있다. 접지 수단(17)은 예를 들어 건물 접지 또는 프레임 접지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지 수단(17)은 전도성 소재로 벽면을 건물의 다른 부분 또는 다른 접지 도선이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다양한 구조의 접지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캐비닛 구조에 전원 분배 장치(142)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 분배 장치(142)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전원 분배 장치(142)는 바닥 면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원 분배 장치(142)는 자체적으로 전자 차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구조에 필요에 따라 일정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여파기(146) 또는 커넥터(143)가 설치될 수 있다. 여파기(146)는 전원 분배 장치(142)로부터 유입되는 EMP를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넥터(143)에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신호를 유입시키기 위한 안테나와 같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분배 장치(142)로부터 케이블이 내부 공간(11)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전원 분배 장치(142)로부터 내부 공간(11)으로 케이블 유도관(144a, 144b)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유도관(144a, 144b)은 예를 들어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아연도금 강판과 같이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케이블 유도관(144a, 144b)은 전원 분배 장치(142)로부터 내부 공간(11)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내부에 절연 소재의 보호 도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도관의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분배 장치(142)는 자체적으로 전자 차폐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전원 분배 장치(142)는 방호 캐비닛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분배 장치(142)는 아연 도금 벽면 및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설치된 차폐 환기구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따른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차폐 구조는 차폐 환기구(125, 15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열 확산 스트립(21) 및 다수 개의 감시 홀(221)이 형성된 차단 스크린(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폐 구조는 밀폐된 조건을 가지고 내부의 설치된 장비 또는 장치는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아울러 장비 또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항상 작동되어야 하고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충분히 발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전면 도어(131)가 개방되는 경우 직접 내부 장비 또는 장치에 접근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 구조의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차폐 환기구(125, 155)의 둘레 면을 따라 열 확산 스트립(21)이 설치될 수 있고 내부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 스크린(22)이 설치될 수 있다.
열 확산 스트립(21)이 차폐 환기구(125, 155)의 둘레 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차폐 환기구(125, 155)가 밀폐가 되는 것을 보조하면서 이와 동시에 열이 주로 차폐 환기구(125, 155)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에 기인한다.
다른 한편으로 차단 스크린(22)에 다수 개의 감시 홀(221)이 형성되면 차단 스크린(22)을 개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의 관찰은 예를 들어 열 감시 장치 또는 적외선 장치와 같은 것을 위하여 내부 장비 또는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말한다.
차단 스크린(22)은 전면 도어(131)와 별도로 개폐가 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차폐 구조에 힌지 결합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단 스크린(22)은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구조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에서 후면 벽면 또는 후면 도어는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차단 스크린(22)은 후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차단 스크린 및 차폐 환기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의 (가)를 참조하면, 차단 스크린(22)은 사각 판형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금속 소재의 도체 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스크린(22)은 알루미늄 소재의 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차단 스크린(22)이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지면 방열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자기장 차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 스크린(22)의 한쪽 끝 부분은 열 확산 스트립과 연결될 수 있다.
차단 스크린(2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시 홀(221)은 내부가 관찰될 수 있는 적절한 크기 및 분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감시 홀(221)의 크기 또는 분포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차단 스크린(22)에 아래쪽에 외부 연결 접지 수단(17a)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연결 접지 수단(17a)은 차단 스크린(22)의 정전하를 방지하면서 접촉에 따른 위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b의 (나)를 참조하면, 차폐 환기구(25)의 둘레 면을 따라 밀봉 수단(23)이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밀봉 수단(23)의 둘레 면을 따라 열 확산 스트립(21)이 형성될 수 있다. 열 확산 스트립(21)에 내부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방열 파이프(211)가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차폐 환기구(25)는 금속 소재의 그물 망 구조 또는 금속 소재의 허니 컴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물 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만들어지는 경우 둘레 면을 따라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자파 차폐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전도성 섬유 또는 섬유 개스킷과 같은 신축성을 가진 밀봉 수단(23)에 의하여 그물 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의 둘레 면이 감싸질 수 있다. 전도성 섬유가 사용되는 것은 전자파의 차폐를 위한 것이다.
도 2b의 (나)의 확대된 부분(A)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 파이프(211)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속이 빈 구조가 되거나 또는 내부가 채워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211)는 바람직하게 열 확산 스트립(21)의 표면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열 파이프(211)는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방열 파이프(211)가 열 확산 스트립(21)의 외부로 돌출되면 방열 효과가 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차폐 구조 내부의 열 발생 정도에 따라 돌출 정도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211)는 예를 들어 열 확산 스트림(21)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열 확산 스트립(21)의 위쪽 부분에 배치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열 확산 스트립(21) 또는 방열 파이프(211)는 모두 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차단 스크린(22) 또는 열 확산 스트립(21)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는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EMP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 이와 동시에 내부 시설물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구조는 내부 시설의 점검 또는 보수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내부 공간 12a, 12b: 벽면
13: 전면 14: 후면
15: 천정 면 17: 접지 수단
17a: 외부 연결 접지 수단 21: 열 확산 스트립
22:차단 스크린 23: 밀봉 수단
125, 135, 145, 155: 차폐 환기구
131: 저면 도어 141: 후면 도어
211: 방열 파이프

Claims (3)

  1. 다수 개의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벽면(12a, 12b, 13, 14, 15);
    후면(14)의 위쪽 및 천정 면(15)에 각각 형성된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 도어(131) 및 후면 도어(141);
    전면 도어(131)에 설치되는 작동 표시 등(132); 및
    벽면(12a, 12b, 13, 14, 15)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접지 수단(17)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는 그물망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 도어(131) 또는 후면 도어(14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시 홀이 형성된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이엠피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 환기구(145, 155)는 열 확산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이엠피 방호 캐비닛의 차폐 구조.
KR1020120112787A 2012-10-11 2012-10-11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40046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87A KR20140046750A (ko) 2012-10-11 2012-10-11 이엠피 방호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87A KR20140046750A (ko) 2012-10-11 2012-10-11 이엠피 방호 캐비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39939A Division KR20150037799A (ko) 2015-03-23 2015-03-23 이엠피 방호 캐비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50A true KR20140046750A (ko) 2014-04-21

Family

ID=5065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87A KR20140046750A (ko) 2012-10-11 2012-10-11 이엠피 방호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7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02B1 (ko) * 2018-04-02 2018-07-10 정기범 차량용 이엠피 차폐 장치
CN114286562A (zh) * 2021-12-23 2022-04-05 苏州飞航防务装备有限公司 一种智能电磁屏蔽控制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02B1 (ko) * 2018-04-02 2018-07-10 정기범 차량용 이엠피 차폐 장치
CN114286562A (zh) * 2021-12-23 2022-04-05 苏州飞航防务装备有限公司 一种智能电磁屏蔽控制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025B1 (ko) 서버랙
KR100990828B1 (ko) Emp 방호 캐비닛
US20110088940A1 (en) Modular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Enclosure
US8547710B2 (en)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power module
EP1886390B1 (en) Shielded frame
US20140008119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magnetic protection
KR101036816B1 (ko) 이엠피 방호실
RU172428U1 (ru) Извещатель охранный магнитоконтактный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US20050247471A1 (en) Electromagnetic shield using meta-material
JPH04506283A (ja) シールドされ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01506081B1 (ko) 전자기 펄스 방호용 캐비닛
KR20160014085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40046750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50037799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101841638B1 (ko) 전자기펄스 방호랙
RU161763U1 (ru) Оповещатель пожарный светозвуковой
KR101140256B1 (ko) 이엠피 방호시설용 본체
JP2007088332A (ja) Emcシールドケース
CN103683015A (zh) 一种电气控制柜
KR20170113779A (ko) 이엠피 방호실
KR20180020346A (ko) 방호룸에 전자기펄스 차폐시설이 시공되는 방법 및 전자기펄스 차폐시설
KR20150006204A (ko) 수배전반
JP2005076328A (ja) セキュリティルーム
KR101033864B1 (ko) 이엠피 방호실 시공방법
RU192224U1 (ru) Извещатель кабельный охранный магнитоконтактный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