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642B1 - 이엠피 방호시설 - Google Patents

이엠피 방호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642B1
KR101107642B1 KR1020110077884A KR20110077884A KR101107642B1 KR 101107642 B1 KR101107642 B1 KR 101107642B1 KR 1020110077884 A KR1020110077884 A KR 1020110077884A KR 20110077884 A KR20110077884 A KR 20110077884A KR 101107642 B1 KR101107642 B1 KR 10110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tection
opening
planar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1007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05K9/0003Shielded walls, floors, ceilings, e.g. wallpaper, wall panel, electro-conductive plaster, concrete, cemen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방호패널들을 규격화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고, 각각의 방호패널의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방호패널간의 틈새를 통한 EMP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이엠피 방호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은, 본체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의 각각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고정공(122)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는 지지부(1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12)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1)에 대해 상호 대향하며 복수의 관통공(132)이 선택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13)와, 상기 평면부(1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부재(14)와, 상기 평면부(11), 상기 지지부(12), 상기 마감부(13) 및 각각의 보강부재(1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15)와, 상기 평면부(11)에 대향하며 상기 마감부(13)에 일체로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진 평면형 방호패널(10);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과 결합하여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코너를 형성하는 곡면부(21)와, 상기 곡면부(21)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의 각각의 고정공(122) 및 관통공(132)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2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곡면부(2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23)와, 자체의 강성을 유지 및 보강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재(24)와, 상기 곡면부(21), 상기 지지부(22), 상기 마감부(23) 및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2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25)와, 방호시설의 전방, 후방 및 각각의 측방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26)로 이루어진 코너형 방호패널(20);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며 출입을 위한 개구부(312)가 형성된 평면부(31)와, 각각의 상기 평면부(31)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각각의 고정공(122) 및 관통공(132)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322)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3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32)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에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33)와, 내면을 마감하기 위해 주변이 상기 마감부(33)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36)와, 상기 평면부(31)의 일측에 상, 하로 설치되는 복수의 경첩(37)과, 상기 평면부(31)의 개구부(312) 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38)으로 이루어진 개구형 방호패널(30);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상호 간의 결합시 각각의 방호패널들간의 틈새를 차폐하여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간의 내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차폐부(41)와, 외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차폐부(42)와, 상기 제1차폐부(41) 와 제2차폐부(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로 이루어진 시일부재(40);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각각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고정공(122;222;322) 및 관통공(132)에 삽입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어 헤드부에 접하는 와셔(52)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와셔(52)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접하도록 형성된 탄성편(53)과, 상기 볼트(51)를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완전 체결하기 위한 너트(54)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0);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상기 결합홈(38)을 통해 유입되는 EMP 또는 HEMP를 차단하도록 상기 결합홈(38)에 설치되는 실드(60);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평면부(31) 및 결합홈(38)에 해제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된 도어(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엠피 방호시설{EMP PROTEC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 EMP) 또는 고 전자기 펄스(High Electromagnetic Pulse : HEMP)로부터 전자 장비, 통신 장비, 전산 시스템을 방호하기 위한 이엠피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방호패널들을 규격화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고, 각각의 방호패널의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방호패널간의 틈새를 통한 EMP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이엠피 방호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기업 및 가정에서는 다양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대부분의 업무를 기업용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국가, 군대, 금융가 등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비, 통신장비, 금융시스템 등을 이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업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전자장비, 통신장비, 금융시스템 등은 EMP 또는 HEMP라 칭하는 전자기 펄스 또는 고 전자기 펄스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취약한 바, 이 같은 EMP 또는 HEMP는 낙뢰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핵폭탄이나 전자 폭탄의 폭발시 발생되고 있다.
한편, 일부의 국가에서는 핵폭탄 또는 전자 폭탄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래전 또는 유사시에는 핵폭탄 또는 전자폭탄의 사용이 염려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 같은 EMP 또는 HEMP 발생무기는 폭발시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켜 전기장비, 전자장비, 통신장비, 컴퓨터, 작전통제시스템, 금융시스템 등 기본적이며 중요한 국가시설, 국방시설, 산업시설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고 전체적인 운영체계를 마비시켜 대혼란을 초래하거나 국가기능, 산업기능 등을 마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사시 또는 미래전에서 발생될 수 있는 EMP 또는 HEMP로부터 개인은 물론 국가 또는 자치단체의 중요 시설 또는 보안시설을 보호 및 방호하고, 금융기관의 전산망 또는 중요 기기를 보호 및 방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이 같은 다양한 장비의 방호 개념의 하나의 실시예가 특허 제10-0990828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0-0990828호의 EMP 방호 캐비닛은, 전도성 있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진 육면의 철판을 연결 조립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전도성 있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함체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도어와, 상기 함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공기는 통과시키고 전자기 펄스는 차단하는 환기구와, 상기 함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전원장치의 전원선 인입구에 구비되어 전원선을 통해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기 펄스를 필터링하는 여파기와,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피보호 전자장비에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영상신호를 접속시키며 펄스를 차단하는 EMP 리미터가 부착된 커넥터와, 상기 함체에 관통되게 부착되어 펄스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광케이블의 EMP를 방호하고 그 길이가 지름의 5배 이상이 되는 광케이블 유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 전도성 향상을 위한 가스켓이 면 접합되고 상기 함체를 관통하는 광케이블 유도관의 외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양측에서 나사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 유도관이 함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EMP 방호 캐비닛은 예상치 못한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사전에 차단시켜 필요한 주요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동시에 중요 전자정보가 전자파 방출로 도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EMP 방호 캐비닛은 함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육면의 보호판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용접을 하는 경우 용접 불량으로 인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어 EMP가 유입되어 완벽한 방호 및 차폐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호판들의 상호간의 연결 또는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방호패널들의 대량의 제조 및 생산이 용이하며, 숙련공의 필요 없이 각각의 방호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룰 수 있으며, 각각의 이엠피 방호성능이 향상된 이엠피 방호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 EMP) 또는 고 전자기 펄스(High Electromagnetic Pulse : HEMP)로부터 전자 장비, 통신 장비, 전산 시스템을 방호하기 위한 이엠피 방호시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각각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는 지지부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에 대해 상호 대향하며 복수의 관통공이 선택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와, 상기 평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평면부, 상기 지지부, 상기 마감부 및 각각의 보강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평면부에 대향하며 상기 마감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평면형 방호패널;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코너를 형성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의 각각의 고정공 및 관통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곡면부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와, 자체의 강성을 유지 및 보강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곡면부, 상기 지지부, 상기 마감부 및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와, 방호시설의 전방, 후방 및 각각의 측방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코너형 방호패널;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며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평면부와, 각각의 상기 평면부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의 각각의 고정공 및 관통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와, 내면을 마감하기 위해 주변이 상기 마감부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와, 상기 평면부의 일측에 상, 하로 설치되는 복수의 경첩과, 상기 평면부의 개구부 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개구형 방호패널;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의 상호 간의 결합시 각각의 방호패널들간의 틈새를 차폐하여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의 지지부 또는 마감부간의 내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차폐부와, 외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부 와 제2차폐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시일부재;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의 각각의 지지부 또는 마감부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고정공 및 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볼트부에 삽입되어 헤드부에 접하는 와셔와, 상기 볼트의 볼트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와셔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 또는 마감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탄성편과, 상기 볼트를 상기 지지부 또는 마감부에 완전 체결하기 위한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의 상기 결합홈을 통해 유입되는 EMP 또는 HEMP를 차단하도록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는 실드;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의 평면부 및 결합홈에 해제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에 의하면, 각각의 방호패널들을 규격화하여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 없이도 각각의 방호패널의 결합작업이 용이하며, 각각의 방호패널들간의 틈새를 완전 차단할 수 있어 경제성, 작업성 및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엠피 방호시설의 평면형 방호패널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코너형 방호패널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개구형 방호패널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시일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결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도어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
도 8은 도 7의 도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엠피 방호시설의 평면형 방호패널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코너형 방호패널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개구형 방호패널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시일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결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도어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은 다양하게 설계되어 건축되거나 시공되는 지하벙커, 건축물, 지하실 등과 같은 방호섹터(PROTECTION SECTOR)의 형상 또는 설치영역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의 용이성 및 명확성을 위해 장방형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형상의 차이 또는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에 의하면, 부호 10은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바닥 및 천정 전체와, 전방, 배면 및 측면의 평탄부 및 천정의 평탄부를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이다.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은 EMP 또는 HEMP에 대한 방호성 및 저항성이 있는 아연도금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은 기본적으로 이엠피 방호시설을 형성하는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부(11)를 구비한다. 상기 평면부(11)는 설치되는 방호시설의 크기 또는 사이즈에 따라 적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부(11)의 각각의 측변에는 상기 평면부(11)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4개의 지지부(12)가 상기 평면부(1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지지부(12)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 내지 4개의 지지부(12)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평면형 방호패널, 후술되는 코너형 방호패널 또는 개구형 방호패널에 후술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공(122)이 정해진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12)에는 그 각각의 지지부(12)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자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1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들 중 이엠피 방호패널의 바닥면 및 천정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들의 상기 마감부(13)들 중 1개 또는 2개 내지 3개의 마감부(13)에는 다른 하나의 평면형 방호패널(10) 또는 후술되는 코너형 방호패널 또는 개구형 방호패널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상기 고정공(122)과 연통하는 관통공(132)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평면부(11)에는, 그 평면부(11)는 물론 평면형 방호패널(10) 자체의 강성을 유지 및 보강하도록 복수의 보강부재(14)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내부, 즉 상기 평면부(11), 상기 지지부(12), 상기 마감부(13) 및 각각의 보강부재(1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보강 및 이엠피 방호는 물론 방음, 차음 또는 흡음 기능을 구비한 보조 플레이트(15)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15)는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에는 바닥의 내부, 천정의 외부 및 측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16)가 구비된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16)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평면부(11)의 형상 및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16)의 주변이 상기 마감부(13)에 용접 또는 볼트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부호 20은 각각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과 결합되어 방호시설의 코너부분을 형성하는 코너형 방호패널이다.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은, 방호시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20)과 상기 방호시설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코너를 형성하는 곡면부(21)를 구비한다. 상기 곡면부(21)는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평면부(11)와 수평을 유지하고, 설치되는 방호시설의 크기 또는 사이즈에 따라 적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설정된다.
상기 곡면부(21)의 각각의 측변에는 상기 곡면부(21)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지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4개의 지지부(22)가 상기 곡면부(2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는 이웃하는 상기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에 상응함은 물론 상호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곡면부(21)에 연속되는 각각의 지지부(22)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 내지 4개의 지지부(22)에는 이웃하는 상기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에 형성된 고정공 또는 마감부(13)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32)에 대응하는 고정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각각의 지지부(22)는 후술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해당 지지부(12) 및 마감부(13)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22)에는 그 각각의 지지부(22)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 자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2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곡면부(21)에는 그 곡면부(21)는 물론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 자체의 강성을 유지 및 보강하도록 복수의 보강부재(24)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내부, 즉 상기 곡면부(21), 상기 지지부(22), 상기 마감부(23) 및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2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보강은 물론 방음, 차음 또는 흡음 기능을 구비한 보조 플레이트(25)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25)는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에는, 방호시설의 전방, 후방 및 각각의 측방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26)가 구비된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26)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곡면부(21)의 형상 및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26)의 주변이 상기 마감부(23)에 용접 또는 볼트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부호 3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엠피 방호시설의 전방 또는 측방에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및/또는 코너형 방호패널(20)에 일체로 설치되는 개구형 방호패널이다.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은, 예컨대 상기 방호시설의 전방 또는 측방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들 사이 또는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과 코너형 방호패널(20)사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은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은 EMP 또는 HEMP에 대한 방호성 및 저항성이 있는 아연도금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엠피 방호시설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부(31)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부(31)에는 후술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312)가 적정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31)의 각각의 측변에는 상기 평면부(31)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지지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의 각각의 지지부(32)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 내지 4개의 지지부(32)에는 이웃하는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또는 코너형 방호패널(20)에 후술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공(322)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공(322)은 각각의 방호패널(10;20)의 지지부(12;22)에 형성된 고정공(122;222) 및/또는 마감부(13)에 형성된 관통공(132)에 상응하게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지지부(32)에는 그 각각의 지지부(32)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3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내측에는 이엠피 방호는 물론 방음, 차음 또는 흡음 기능을 구비한 보조 플레이트(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플레이트(35)는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에는 그 내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 플레이트(36)가 구비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36)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평면부(31)의 형상 및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36)의 주변이 상기 마감부(33)에 용접 또는 볼트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평면부(31)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경첩(3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첩(37)은 상기 평면부(31)에 고정되는 고정부(372)와, 상기 고정부(372)에 힌지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되는 도어에 고정되는 힌지부(37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평면부(31)의 개구부(312) 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후술되는 도어가 틈새 없이 폐쇄가능하도록 결합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8)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면하는 베이스면(382)과, 상기 베이스면(382)의 양측변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384)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 40은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상호간의 연결 또는 결합과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코너형 방호패널(20) 및 개구형 방호패널(30) 상호 간의 결합시 각각의 방호패널들간의 틈새를 차폐하여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시일부재이다.
상기 시일부재(40)는, 이웃하는 각각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간의 결합시 지지부(12)사이 또는 그 지지부(12)와 마감부(13)에 개재되어 그 사이를 통한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하며, 또한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코너형 방호패널(20) 및 개구형 방호패널(30) 각각의 결합시, 각각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지지부(32)사이에 개재되어 그 사이를 통한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시일부재(40)는, 각각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 또는 마감부(13),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지지부(32) 사이의 내측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는 제1차폐부(41)와, 각각의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 또는 마감부(13),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지지부(32) 사이의 외측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차폐부(42)와, 상기 제1차폐부(41) 와 제2차폐부(4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의 중앙부를 차폐하는 연결부(43)을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시일부재(40)는 EMP 또는 HEMP의 방호성능 및 강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재(40)의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41;42)는 단면이 원형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43)는 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41;42) 및 연결부(43)는 탄성을 지님으로써,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결합시 후술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각각의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가 접할 때 압착되면서 각각의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EMP 및 HEMP 방호효과 및 견고한 방호패널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부호 50은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들의 결합시 이용되는 결합부재이다. 상기 결합부재(50)는 통상적으로 볼트 및 너트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50)는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각각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고정공(122;222;322) 및 관통공(132;232;332)에 삽입되며 상기 시일부재(40)의 연결부(43)를 관통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어 헤드부에 접하는 와셔(52)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와셔(52)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접하도록 다소의 탄성을 지니는 탄성편(53)과, 상기 볼트(51)를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에 완전 체결하기 위한 너트(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53)가 탄성을 지님으로써,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간의 결합시 압착력이 발휘되어 볼트(51)와 너트(54) 상호간의 풀림이 방지됨으로써, 결국 방호패널(10;20;30)들 간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부호 60은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의 각각의 면(382;384)과, 결합홈(38)의 주변에 후술되는 도어의 결합부와의 이엠피 방호 접촉을 위한 실드이다. 상기 실드(60)는 이엠피 방호성능이 우수한 황동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드(60)는 상기 결합홈(38)의 베이스면(382)에 접합되거나 부착되는 제1실드(61)와 상기 결합홈(38)의 각각의 측면(384)에서부터 결합홈(38)의 측부에 부착되는 제2실드(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드(61)는 상기 결합홈(38)의 베이스면(382)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평탄형 접착면(612)과, 상기 접착면(612)에 일체로 구비되고 각각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의 만곡형 접촉체(614)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접촉체(614)는 일단이 상기 접착면(612)의 일측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타단은 상기 접착면(612)에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실드(61)의 구조에 의해, 후술되는 도어의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38)에 삽입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접촉체(614)는 도어의 결합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압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이엠피 방호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실드(62)는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의 각각의 측면(384)과 그 측면(384)에 연접하는 상기 평면부(31)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형 지지부(622)와, 상기 지지부(6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384)에 배치되어 후술되는 도어의 결합부에 접촉되어 압착되는 복수의 만곡형 접촉체(624)와, 상기 지지부(622)를 상기 결합홈(38) 주변의 평면부(31)에 볼트(628)로 고정시키기 위해 황동 또는 동으로 형성된 금속밴드(626)로 이루어진다.
부호 70은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이다. 상기 도어(70)는 EMP 방호용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12)의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70)는 EMP 또는 HEMP 방호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70)는 그 도어(70)의 전체적인 사이즈에 해당하는 외측패널(71)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패널(71)은 내측에 일정 높이의 제1수직부(711)와, 상기 제1수직부(711)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712)와, 상기 연결부(712)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부(711)에 대향하며 상기 도어(7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부(713)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70)는 상기 외측패널(7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패널(72)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패널(72)은 외측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패널(71)의 제1수직부(711)에 대응하는 수직부(721)와, 상기 수직부(721)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도어(70)의 내측면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평탄부(722)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70)는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에 해제가능하게 밀착 수용되는 결합부(73)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73)는 실제적으로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38)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1실드(61) 및 제2실드(62)의 접촉체(614;624)가 상기 결합부(73)에 탄성적으로 압착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통한 EMP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외측패널(71)의 제1수직부(711)와 상기 내측패널(72)의 수직부(721)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접합되는 접합부(731)와, 상기 접합부(7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상기 결합홈(38)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홈(38)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몸체부(732)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73)는 단일의 플레이트를 절곡 및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어(70)는 그 도어(73)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패널(74)을 구비하며, 그 외부패널(74)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손잡이(7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70)의 구성에 따라, 상기 결합부(73)는 실제적으로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38)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1실드(61) 및 제2실드(62)의 접촉체(614;624)가 상기 결합부(73)에 탄성적으로 압착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통한 EMP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엠피 방호시설의 제조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전체적인 방호시설의 사이즈 또는 규모를 설정하고 방호패널의 개수를 설정한 후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 코너형 방호패널(20), 개구형 방호패널(30), 시일부재(40), 결합부재(50), 실드(60), 도어(70) 등을 준비한다.
그리고, 이엠피 방호시설이 설치될 위치 또는 구역에 평면형 방호패널(10)의 평면부(11)를 지면 또는 바닥에 접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 사이에 시일부재(40)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호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지지부(12)에 형성된 고정공(122)은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결합부재(50)의 볼트(51)를 상호 연통하는 상기 고정공(122)의 일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타측에서 너트(54)를 고정시켜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을 결합하여 방호시설의 바닥면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51)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와셔(52) 및 탄성편(53)을 함께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바닥면을 완성한 후 바닥면의 외측을 형성하는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에 상기 시일부재(40)를 배치한 상태에서 코너부분에는 코너형 방호패널(20)을 배치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복수의 다른 평면형 방호패널(10)을 배치하며, 출입을 위한 부분에는 개구형 방호패널(30)을 배치하고, 각각의 방호패널(10;20;30)들 간의 접촉부, 즉 바닥면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와 각각의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 사이, 측면, 배면 및 전방을 형성하는 각각의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와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22) 사이, 각각의 코너형 방호패널(20)의 지지부(12)와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지지부(32) 사이에 시일부재(40)를 개재한다. 여기서 상호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지지부(12;22;32)에 형성된 고정공(122;222;322)들은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의 관통공과 상기 지지부(12;22;32)에 형성된 고정공(122;222;322)들은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결합부재(50)의 볼트(51)를 상호 연통하는 상기 각각의 고정공(122;222;322)의 일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타측에서 너트(54)를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의 관통공과 상기 지지부(12;22;32)에 형성된 고정공(122;222;322)들간의 연통공에 결합부재(50)의 볼트(51)와 너트(54)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이엠피 방호시설의 전방, 측방 및 후방을 완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볼트(51)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와셔(52) 및 탄성편(53)을 함께 결합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전방면, 각각의 측면, 후방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상부를 향하는 각각의 지지부(12;22;32)에 시일부재(40)를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다른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를 대향하게 하고 각각의 상기 다른 평면형 방호패널(10)의 지지부(12)사이에 시일부재(40)를 개재하여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상부를 향하는 각각의 지지부(12;22;32)의 각각의 고정공(122;222;322)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마감부(13)의 각각의 관통공(132)간의 연통공에 결합부재(50)의 볼트(51), 와셔(52), 탄성편(53) 및 너트(54)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이웃하는 평면형 방호패널(10)의 각각의 연통하는 고정공(122)에 결합부재(50)의 볼트(51), 와셔(52), 탄성편(53) 및 너트(54)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상부면(천정)을 형성한다.
이후, 각각의 방호패널(10;20;30)에 보조플레이트(15;25;35)를 삽입하고 각각의 마감플레이트(16;26;36)를 배치하여 바닥면 및 외관을 마무리하여 이엠피 방호시설의 기본적인 이엠피 방호시설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플레이트(16;26;36)의 결합에는 볼팅, 용접 또는 다른 결합 또는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에 실드(6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38)의 베이스면(382)에는 제1실드(61)가 접합되며, 상기 결합홈(38)의 각각의 측면(384)에서부터 결합홈(38)의 측부에는 제2실드(62)가 접합된다.
최종적으로, 도어(70)의 일측의 상하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편(71)을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에 고정된 복수의 경첩(37)의 힌지부(37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도어(70)를 설치하여 이엠피 방호시설을 완성한다.
물론, 이후에는 이엠피 방호시설에 필요한 전원, 공기관, 여파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엠피 방호시설이 구성되면, 각각의 방호패널 사이에 실드가 구비되어 있고, 도어가 실드에 완전 밀착되어 있어 핵폭탄 또는 전자폭탄에 의한 EMP 또는 HEMP가 방호시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호패널을 규격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각각의 방호패널을 별도의 숙련이 필요없이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10: 평면형 방호패널 20: 코너형 방호패널
30: 개구형 방호패널 40: 시일부재
50: 결합부재 60: 실드
70: 도어

Claims (5)

  1.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 EMP) 또는 고 전자기 펄스(High Electromagnetic Pulse : HEMP)로부터 전자 장비, 통신 장비, 전산 시스템을 방호하기 위한 이엠피 방호시설에 있어서,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의 각각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고정공(122)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는 지지부(1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12)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1)에 대해 상호 대향하며 복수의 관통공(132)이 선택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13)와, 상기 평면부(1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강부재(14)와, 상기 평면부(11), 상기 지지부(12), 상기 마감부(13) 및 각각의 보강부재(1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15)와, 상기 평면부(11)에 대향하며 상기 마감부(13)에 일체로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진 평면형 방호패널(10);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과 결합하여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코너를 형성하는 곡면부(21)와, 상기 곡면부(21)의 각각의 측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의 각각의 고정공(122) 및 관통공(132)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2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곡면부(2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23)와, 자체의 강성을 유지 및 보강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재(24)와, 상기 곡면부(21), 상기 지지부(22), 상기 마감부(23) 및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2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25)와, 방호시설의 전방, 후방 및 각각의 측방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26)로 이루어진 코너형 방호패널(20);
    상기 이엠피 방호시설의 각각의 면들 중 하나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며 출입을 위한 개구부(312)가 형성된 평면부(31)와, 각각의 상기 평면부(31)의 측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의 각각의 고정공(122) 및 관통공(132)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공(322)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지지부(32)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32)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에 상호 대향하는 마감부(33)와, 내면을 마감하기 위해 주변이 상기 마감부(33)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36)와, 상기 평면부(31)의 일측에 상, 하로 설치되는 복수의 경첩(37)과, 상기 평면부(31)의 개구부(312) 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38)으로 이루어진 개구형 방호패널(30);
    상기 평면형 방호패널(10), 상기 코너형 방호패널(20)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상호 간의 결합시 각각의 방호패널들간의 틈새를 차폐하여 EMP 또는 HEMP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간의 내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차폐부(41)와, 외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차폐부(42)와, 상기 제1차폐부(41) 와 제2차폐부(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로 이루어진 시일부재(40);
    각각의 상기 방호패널(10;20;30)의 각각의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고정공(122;222;322) 및 관통공(132)에 삽입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어 헤드부에 접하는 와셔(52)와, 상기 볼트(51)의 볼트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와셔(52)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접하도록 형성된 탄성편(53)과, 상기 볼트(51)를 상기 지지부(12;22;32) 또는 마감부(13;23;33)에 완전 체결하기 위한 너트(54)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0);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상기 결합홈(38)을 통해 유입되는 EMP 또는 HEMP를 차단하도록 상기 결합홈(38)에 설치되는 실드(60); 및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평면부(31) 및 결합홈(38)에 해제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된 도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평면부(31)에 형성된 결합홈(38)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면하는 베이스면(382)과, 상기 베이스면(382)의 양측변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38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드(60)는 상기 결합홈(38)의 베이스면(382)에 접합되거나 부착되는 제1실드(61)와 상기 결합홈(38)의 각각의 측면(384)에서부터 결합홈(38)의 측부에 부착되는 제2실드(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드(61)는 상기 결합홈(38)의 베이스면(382)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평탄형 접착면(612)과, 상기 접착면(612)에 일체로 구비되고 각각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의 만곡형 접촉체(6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실드(62)는 상기 결합홈(38)의 각각의 측면(384)과 그 측면(384)에 연접하는 상기 평면부(31)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형 지지부(622)와, 상기 지지부(6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384)에 배치되어 후술되는 도어의 결합부에 접촉되어 압착되는 복수의 만곡형 접촉체(624)와, 상기 지지부(622)를 상기 결합홈(38) 주변의 평면부(31)에 볼트(628)로 고정시키기 위해 황동 또는 동으로 형성된 금속밴드(626)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접촉체(614)는 일단이 상기 접착면(612)의 일측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접착면(612)에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70)는,
    내측에 위치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제1수직부(711)와, 상기 제1수직부(711)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712)와, 상기 연결부(712)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부(711)에 대향하며 상기 도어(7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부(713)를 일체로 구비하는 외측패널(71);
    상기 외측패널(71)의 제1수직부(711)에 대응하는 수직부(721)와, 상기 수직부(721)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도어(70)의 내측면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평탄부(722)를 일체로 구비하는 내측패널(72);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결합홈(38)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38)에 구비된 상기 실드(60)가 탄성적으로 압착 접촉되어 상기 개구형 방호패널(30)의 개구부(312)를 통한 EMP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결합부(73); 및
    상기 도어(70)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손잡이(75)가 구비된 외부패널(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외측패널(71)의 제1수직부(711)와 상기 내측패널(72)의 수직부(721)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접합되는 접합부(731)와, 상기 접합부(7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상기 결합홈(38)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홈(38)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몸체부(7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피 방호시설.
KR1020110077884A 2011-08-04 2011-08-04 이엠피 방호시설 KR10110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4A KR101107642B1 (ko) 2011-08-04 2011-08-04 이엠피 방호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4A KR101107642B1 (ko) 2011-08-04 2011-08-04 이엠피 방호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642B1 true KR101107642B1 (ko) 2012-01-20

Family

ID=4561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84A KR101107642B1 (ko) 2011-08-04 2011-08-04 이엠피 방호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6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74B1 (ko) 2012-01-20 2012-07-26 김창일 컷오프?순차적 감쇄형 고고도 전자기파 펄스 필터
KR101196339B1 (ko) 2012-01-25 2012-11-01 김창일 고고도 전자기파 필터(hemp)용 센싱회로모듈
KR101237555B1 (ko) 2012-09-07 2013-02-26 한신공영 주식회사 내장형 감시 체계를 가진 소용량 병렬 운전 hemp 방어용 파워 라인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16B1 (ko) 2010-12-20 2011-05-25 주식회사 누리플랜 이엠피 방호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16B1 (ko) 2010-12-20 2011-05-25 주식회사 누리플랜 이엠피 방호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74B1 (ko) 2012-01-20 2012-07-26 김창일 컷오프?순차적 감쇄형 고고도 전자기파 펄스 필터
KR101196339B1 (ko) 2012-01-25 2012-11-01 김창일 고고도 전자기파 필터(hemp)용 센싱회로모듈
KR101237555B1 (ko) 2012-09-07 2013-02-26 한신공영 주식회사 내장형 감시 체계를 가진 소용량 병렬 운전 hemp 방어용 파워 라인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16B1 (ko) 이엠피 방호실
CA2772276C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KR100990828B1 (ko) Emp 방호 캐비닛
KR101107642B1 (ko) 이엠피 방호시설
KR101140256B1 (ko) 이엠피 방호시설용 본체
US20060005984A1 (en) Extension cabinet for electrical systems and method
US11665870B2 (en) Modular shielded enclosures with multi-layer panels and related methods
US20050247471A1 (en) Electromagnetic shield using meta-material
KR101506081B1 (ko) 전자기 펄스 방호용 캐비닛
US20190124800A1 (en) Conductive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of Use
KR101107643B1 (ko) 이엠피 방호시설 시공방법
US20220078953A1 (en) Interconnectable data center equipment rack
US20100019635A1 (en) Introduced in Cabinet to Hous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KR20160014085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101033864B1 (ko) 이엠피 방호실 시공방법
JP3995642B2 (ja) セキュリティルーム
KR101046167B1 (ko) 이엠피 방호실용 본체
KR20150037799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101417472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전자기펄스 방호용 랙
KR101748281B1 (ko) 시공의 편의성이 강화된 분전반
CN220961878U (zh) 三轴加速度传感器的安装固定装置
WO2012086886A1 (ko) 이엠피 방호실, 이엠피 방호실용 본체 및 그 이엠피 방호실 시공방법
CN214674131U (zh) 一种调度系统信息分线装置
KR101418219B1 (ko)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CN212896578U (zh) 管路防护装置及行走装置和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