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195B1 -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195B1
KR101418195B1 KR1020127021195A KR20127021195A KR101418195B1 KR 101418195 B1 KR101418195 B1 KR 101418195B1 KR 1020127021195 A KR1020127021195 A KR 1020127021195A KR 20127021195 A KR20127021195 A KR 20127021195A KR 101418195 B1 KR101418195 B1 KR 10141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xtraction cord
extraction
ear plug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434A (ko
Inventor
클라우스 헨릭 보르브로이
페테르 노르들란 옌센
Original Assignee
비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비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10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Sound device making
    • Y10T29/49572Hearing aid component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용 이어 플러그(1)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 플러그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사용자가 이어 플러그(1)를 귀 도관에서 인출할 수 있는 파지부를 제공하는 추출 코드(4)를 갖는다. 추출 코드(4)는 탄성 재료 내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어 플러그 외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고정 볼록부(6)가 탄성 재료 내의 추출 코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볼록부가 탄성 재료 내에 배치된 추출 코드의 일부분에 배치된다. 추출 코드는 탄성 재료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AN EAR PLU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LIENT EAR PLUG}
본 발명은 보청기 및 보청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이어 플러그를 귀 도관(ear canal)에서 인출하기 위한 추출 코드를 갖는, 보청기용 이어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류의 보청기는, 귀 후방에 위치된 하우징과, 보청기 사용자의 귀 도관 내에 배치된 이어 몰드 또는 이어 플러그를 갖는, 귀걸이형(behind-the-ear) 형태를 포함한다. 음향 신호는 사용자의 청각 결함을 보상하는데 적절한 귀걸이형 유닛에서 픽업되어 증폭되고 처리되어, 음향관을 통해 청각 신호로서 이어 플러그에 전달되거나, 와이어를 통해 전기 신호로서 이어 몰드 내에 배치된 수신기 또는 확성기로 전달된다.
수많은 보청기 사용자를 위해선, 연성의 가요성 탄성 이어 몰드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연성의 가요성 탄성 이어 몰드는 외이도(auditory canal) 벽의 형상에 용이하게 맞춰져 보청기 사용자에게 더 편안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연성의 탄성 외부면은 귀 도관의 기하학적 구조의 변화에 계속해서 맞춰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기하학적 구조의 변화는, 예컨대 보청기 사용자가 음식을 씹거나 하품을 하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다.
탄성 이어 플러그가 또한 외이도의 각각의 형상에 맞춤 끼움되는 경우, 이는 외이도 내의 임의의 국부적인 기계적 압력을 최소화할 것이기 때문에 최적의 해결책일 것이다. 맞춤 끼움식 탄성 이어 플러그는 국제특허출원 제PCT/EP2008/063663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런 이어 플러그를 귀 도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추출 코드가 통상 제공된다. 추출 코드는 이어 플러그 외부로, 귀 도관의 바로 외부로 또는 귀 도관의 외부에 근접하게 도출되기 때문에, 보청기 착용자는 두 손가락 사이에 추출 코드를 파지하여 이어 플러그를 귀 도관에서 인출할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WO 1998/051125 A1호에는 보청기용 이어 몰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어 몰드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어 몰드는, 마찰과 기계적 로킹을 이용하여 이어 몰드를 귀 내부에 보유시키고 그리고 귀 도관에 편안하게 끼워지게 하는, 핀을 갖는다. 또한, 이어 몰드는 이어 몰드를 인출하기 위한 추출 코드를 갖는다.
추출 코드를 갖는 연성의 가요성 이어 플러그 또는 이어 몰드의 공지된 해결책과 관련된 문제점은, 추출 코드가 파단되지 않을 만큼 그리고 연성의 가요성 재료에서 뽑히지 않을 만큼 충분히 강한 구조를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은, 추출 코드가 탄성 재료 내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어 플러그 외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고정 볼록부가 탄성 재료 내의 추출 코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탄성 재료 내에 배치된 추출 코드의 일부분에 배치되며, 추출 코드는 탄성 재료에 결합되는, 보청기용 이어 플러그를 개시하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발명에 의해 해결되었다.
이런 해결책은, 매우 강하고 탄성 재료에서 쉽게 뽑히지 않는, 추출 코드를 갖는 이어 플러그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추출 코드를 정위치에 위치시켜 보유한 후에, 탄성 재료를 경화시키거나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탄성 재료와 추출 코드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출 코드는 추출 코드를 잡아당길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유 수단을 갖는다. 이로 인해, 추출 코드를 손가락으로 양호하게 파지하는 것이 쉬워지는 동시에, 추출 코드의 길이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액적 형상이거나 대체로 액적 형상이며, 추출 코드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런 형상은 제조가 용이하며, 피부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어떤 모서리도 제거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볼록부는 원추 형상부이거나 대체로 원추 형상부이고, 원추 형상부의 축은 추출 코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평행하며, 최대 단면적을 갖는 원추 형상부의 부분은 탄성 재료 외부로 연장되는 추출 코드의 단부를 향한다. 또한, 탄성 재료 외부로 연장되는 추출 코드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은 잡아당기는 방향이거나 귀 외부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런 형상은 협소한 구멍을 통해 추출 코드를 삽입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추출 코드가 탄성 이어 플러그 재료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형상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볼록부는 이어 플러그가 우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1 컬러 표시와, 이어 몰드가 좌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2 컬러 표시를 갖는다. 이는 단순하고 지속성 있는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이며, 보청기 사용자가 이어 플러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단순하고 지속성 있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는 이어 플러그가 귀 도관 내부에 존재하지 않을 때 보이게 될 컬러를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추출 코드는 15 ㎜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18 ㎜ 내지 22 ㎜의 총 길이를 갖는다. 이런 범위는 추출 코드를 필요 이상으로 가시적이게 할 필요 없이 추출 코드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것임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추출 코드를 갖는 탄성 이어 플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탄성 이어 몰드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이런 재료로 탄성 이어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 임의의 길이 방향 및 단면적을 갖는 추출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코드는 추출 코드의 나머지 부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볼록부를 추출 코드의 길이부의 일부분에 갖는, 추출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추출 코드의 일부분에 있는 볼록부가 탄성 재료에 삽입되고 그리고 추출 코드의 단부가 이어 플러그 재료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 추출 코드를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추출 코드를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런 방법에 의해, 기계적으로 강한 추출 코드를 갖는 이어 플러그가 제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추출 코드를 탄성 재료에 삽입하기 전에, 추출 코드를 위한 탄성 재료 내의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코드는 적절한 접착제를 추가함으로써 후속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접착제는 추출 코드 삽입 이전에 구멍에 주입되거나, 추출 코드에 직접 도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출 코드는 탄성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코드는 이어 몰드 재료의 경화에 의해 후속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볼록부를 포함하는 추출 코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로 인해, 신속하고 정확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추출 코드를 갖는 이어 플러그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이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추출 코드(4)를 갖는 이어 플러그(1)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어 플러그부(2)는 특정한 귀 도관에 맞춤 끼움되어져 있다. 이어 플러그(2)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가요성 탄성 재료로 제조되었다. 이어 플러그(2)는, 수신기 배치용 또는 음향관용 개방 공간(3) 또는 구멍을 갖는다. 이어 플러그가 귀 도관 내에 배치될 때 귀 도관의 개방 단부를 향하는 외부면(8)과 고막을 향하는 내부면(9)을 연결시키는 이런 공간은 이어 플러그를 통과한다. (도시 안 된)수신기가 이런 공간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수신기는 전기 와이어에 의해 보청기의 귀걸이형 하우징부에 연결된다. 보청기가 귀걸이형 부분에 수신기를 갖는 형태인 경우, 음향은, 공간(3)에서 종결되고 그리고 이어 플러그(1)에 고정되는, 음향관을 통해 이어 플러그로 안내된다.
추출 코드(4)는 보청기 사용자가 전기 와이어 또는 음향관을 잡아당겨 이어 플러그를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전기 와이어 또는 음향관을 잡아당겨 이어 플러그를 인출하는 것이 반복되는 경우, 구성요소들이 파손될 수도 있다.
추출 코드(4)는 코드부 또는 샤프트부(7)와, 노브(5) 형태의 보유 수단과, 바브(barb) 형태의 볼록부(bulge part) 또는 원추형 볼록부(6)를 포함한다. 볼록부(6)는 추출 코드가 이어 플러그 재료의 포인트(10)에 위치될 때 이어 플러그 재료 내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볼록부는 원추형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추출 코드가 이어 플러그 재료의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된다는 점과, 볼록부는 볼록부의 형상 및 결합이나 접착에 의해 이어 플러그 재료에서 뽑히는 것에 저항한다는 점이다. 코드부(7)는 2개 이상의 볼록부, 예컨대 하나가 아닌 2개의 원추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어 플러그 재료의 공간은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추출 코드의 체적은 또한 이어 플러그 재료의 안정성 또는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추출 코드의 일례에서, 추출 코드는 폴라아미드 또는 나일론으로 제조되며, 샤프트부 또는 코드부(7)는 약 0.5 ㎜의 직경 및 약 16 ㎜의 길이를 갖는다. 추출 코드의 총 길이는 약 20 ㎜이며, 노브(5)는 약 2 ㎜의 직경을 갖고, 원추형 볼록부(6)는 추출 코드의 종축을 따라 약 2 ㎜의 길이를 갖는다. 원추형 볼록부의 최대 직경은 약 2 ㎜이다. 실제로, 추출 코드는 다양한 크기의 이어 플러그에 끼워지도록 다양한 길이로 제조될 것이다.
상술된 3개의 부품을 포함하는 추출 코드는 단일 단계에서 몰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코드부(7) 및 노브(5)는 제1 단계에서 제조되고, 원추형 볼록부(6)는 제2 단계에서 제조된 후에 예컨대 접착에 의해 코드부(7)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원추형 볼록부를 다양한 컬러로 그리고 심지어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더 단순해진다. 원추형 볼록부(6)의 컬러는 거의 투명한 재료의 이어 플러그부(2)를 통해 일반적으로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추출 코드(4)의 코드부(7) 및 노브(5)도 또한 이어 플러그가 대체로 덜 가시적이도록 투명하게 제조될 것이다. 동일인용인 2개의 이어 플러그 각각의 원추형 볼록부(6)가 상이한 컬러로, 예컨대 우측 이어 플러그의 원추형 볼록부는 레드로 그리고 좌측 이어 플러그의 원추형 볼록부는 블루로 제조되는 경우, 개인은 어느 이어 플러그를 어느 쪽 귀에 껴야 하는지를 더 용이하게 기억할 것이다.
원추형 볼록부를 착색하는 것의 이점은, 원추형 볼록부를 착색하는 경우가 실리콘 표면을 착색하는 경우보다 더 내구적이고, 원추형 볼록부의 착색제는 마모되지 않으며, 컬러 지시부를 위한 표준 비맞춤형(non-customized) 구성요소에 따라 로지스틱스가 더 단순해진다는 것이다.
이어 플러그의 탄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다. 바람직한 실리콘은 생체적합성인 Biopor이다. 그러나, 연성 아크릴과 같은 다른 탄성 재료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어 플러그는 통상 보청기를 사용할 사람의 귀 도관의 형상 및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성된 몰드에서 주조된다. 적용된 실리콘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실리콘을 경화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경화 방법의 예는, 열, 자외선 방사, 및 2성분 실리콘의 혼합이다. 탄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이어야 한다. 탄성 재료는 압축 후에 원래의 형상을 회복하는 재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추출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지만,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조 방법도 또한 적용될 수도 있다.
추출 코드(4)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 플러그 재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방식에선, 탄성 이어 플러그 재료가 맨 처음 경화되고, 추출 코드용 구멍이, 예컨대 드릴링에 의해 제조된다. 추출 코드용 구멍의 직경은 샤프트부 또는 코드부(7)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지만, 원추형 볼록부(6)의 최대 직경보다 작을 것이다. 이로 인해, 접착제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상태에서, 추출 코드를 이어 플러그 재료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그리고 추출 코드를 뽑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추출 코드를 이어 플러그 재료 내에 배치하는 다른 방식은 이어 플러그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 추출 코드를 이어 플러그 재료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어 플러그 재료는 경화되는 동안 추출 코드에 결합되기 때문에, 접착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1 : 이어 플러그 2 : 이어 플러그부
3 : 개방 공간 4 : 추출 코드
5 : 노브 6 : 볼록부 또는 원추형 볼록부
7 : 코드부 또는 샤프트부 8 : 외부면
9 : 내부면 10 : 포인트

Claims (12)

  1. 보청기용 이어 플러그이며,
    상기 이어 플러그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사용자가 이어 플러그를 귀 도관에서 인출할 수 있는 파지부를 제공하는 추출 코드를 가지며,
    상기 추출 코드는 탄성 재료 내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어 플러그 외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고정 볼록부가 상기 탄성 재료 내의 추출 코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탄성 재료 내에 배치된 추출 코드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추출 코드는 탄성 재료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볼록부는 이어 플러그가 우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1 컬러 표시, 또는 이어 플러그가 좌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2 컬러 표시를 갖고, 상기 고정 볼록부는 제1 컬러 표시 또는 제2 컬러 표시가 마모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 재료 내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재료는 상기 컬러가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이어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코드는 추출 코드를 잡아당겨 이어 플러그를 인출하기 위한 손가락용 파지부를 제공하는 보유 수단을 갖는, 이어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액적 형상이며, 상기 추출 코드의 단부에 배치되는, 이어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록부는 원추 형상부이고, 상기 원추 형상부의 축은 추출 코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며, 최대 단면적을 갖는 원추 형상부의 부분은 탄성 재료 외부로 연장되는 추출 코드의 단부를 향하는, 이어 플러그.
  5. 삭제
  6. 추출 코드를 갖는 탄성 이어 플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 탄성 이어 몰드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재료로 탄성 이어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
    - 임의의 길이 방향 및 단면적을 갖는 추출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출 코드는 추출 코드의 나머지 부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볼록부를 추출 코드의 길이부의 일부분에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이어 플러그가 우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1 컬러 표시, 또는 이어 플러그가 좌측 귀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제2 컬러 표시를 갖는, 추출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추출 코드의 일부분에 있는 볼록부가 탄성 재료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추출 코드의 단부가 이어 플러그 재료 외부로 연장되게, 상기 추출 코드를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 제1 컬러 표시 또는 제2 컬러 표시가 마모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 재료 내에 상기 볼록부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탄성 재료는 상기 컬러가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인 볼록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추출 코드를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코드를 상기 탄성 재료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추출 코드를 위한 상기 탄성 재료 내의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코드는 접착제를 추가함으로써 결합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코드는 상기 탄성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 탄성 이어 몰드 재료에 삽입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코드는 이어 몰드 재료의 경화에 의해 결합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11. 제6항, 제7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추출 코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127021195A 2010-01-19 2010-01-19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KR101418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50570 WO2011088887A1 (en) 2010-01-19 2010-01-19 Hearing aid ear plug with an extraction co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34A KR20120104434A (ko) 2012-09-20
KR101418195B1 true KR101418195B1 (ko) 2014-07-09

Family

ID=4169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195A KR101418195B1 (ko) 2010-01-19 2010-01-19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65664B2 (ko)
EP (1) EP2525751B1 (ko)
JP (1) JP5443621B2 (ko)
KR (1) KR101418195B1 (ko)
CN (1) CN102711685B (ko)
AU (1) AU2010342855B2 (ko)
CA (1) CA2787475A1 (ko)
DK (1) DK2525751T3 (ko)
SG (1) SG182596A1 (ko)
WO (1) WO20110888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49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지아이엘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20210106250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지아이엘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322B1 (ja) * 2015-09-08 2016-03-30 盛崇 小倉 簡易型補聴器具
CN109069298B (zh) 2016-04-01 2021-08-10 3M创新有限公司 听力保护装置及形成其的方法
WO2019043627A2 (en)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USH-FITTING EAR PLUG WITH HIGH POINT CAVITY
US20200390608A1 (en) * 2017-09-01 2020-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arplus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D895901S1 (en) 2017-09-01 2020-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ring protector
CN111033643B (zh) 2017-09-01 2022-04-29 3M创新有限公司 用于耳塞的冷拔聚烯烃共聚物绳
BE1030022B1 (nl) * 2021-12-14 2023-07-10 Loop Methode voor het vervaardigen van polymere produc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1125A1 (en) 1997-05-02 1998-11-12 Sarnoff Corporation Earmold and casing for a flexible hearing aid
US20050229938A1 (en) 2004-04-15 2005-10-20 Jenkins John A Jr Detectable earplug and cord
US20080279405A1 (en) 2005-12-28 2008-11-13 Rion Co., Ltd. In-The-Ear Hear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5600A (ja) * 1986-05-16 1987-12-11 シ−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挿耳型補聴器
US4716985A (en) 1986-05-16 1988-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the-ear hearing aid
JPH0670398A (ja) * 1992-08-20 1994-03-11 Sony Corp 補聴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1719U (ja) * 1992-11-19 1994-06-03 大東ポリマー工業株式会社 耳 栓
US5606621A (en) 1995-06-14 1997-02-25 Siemens Hearing Instruments, Inc. Hybrid behind-the-ear and completely-in-canal hearing aid
US5799658A (en) * 1996-08-15 1998-09-01 Cabot Safety Intermediate Corporation Hearing protective device comprising a foam and a porous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1999007302A1 (en) * 1997-08-07 1999-02-18 Natan Baum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ditory stimulator
US5881729A (en) * 1997-10-24 1999-03-16 Castillo; Michael S. Water sports ear plug
US6148821A (en) * 1998-04-29 2000-11-21 Cabot Safety Intermediate Corporation Selective nonlinear attenuating earplug
JP2003505996A (ja) * 1999-07-23 2003-02-12 サーノフ コーポレイション 補聴器
TW592672B (en) * 2003-10-24 2004-06-21 Liou Yue Ming Earplug and device using the earplug
EP1629808A1 (en) * 2004-08-25 2006-03-01 Phonak Ag Earplu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06344906B2 (en) * 2006-06-20 2010-02-25 Widex A/S Housing for a hearing aid, hearing aid, and a method of preparing a hearing aid
CA2740212A1 (en) 2008-10-10 2010-04-15 Widex A/S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ring aid having a custom fitted resilient compon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1125A1 (en) 1997-05-02 1998-11-12 Sarnoff Corporation Earmold and casing for a flexible hearing aid
US20050229938A1 (en) 2004-04-15 2005-10-20 Jenkins John A Jr Detectable earplug and cord
US20080279405A1 (en) 2005-12-28 2008-11-13 Rion Co., Ltd. In-The-Ear Hearing A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49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지아이엘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20210106250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지아이엘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42855B2 (en) 2014-01-23
CA2787475A1 (en) 2011-07-28
WO2011088887A1 (en) 2011-07-28
KR20120104434A (ko) 2012-09-20
US20130014768A1 (en) 2013-01-17
US9265664B2 (en) 2016-02-23
CN102711685B (zh) 2015-02-11
JP2013517653A (ja) 2013-05-16
AU2010342855A1 (en) 2012-08-23
EP2525751B1 (en) 2013-12-11
JP5443621B2 (ja) 2014-03-19
CN102711685A (zh) 2012-10-03
DK2525751T3 (da) 2014-01-20
SG182596A1 (en) 2012-08-30
EP2525751A1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195B1 (ko) 이어 플러그 및 탄성 이어 플러그 제조 방법
US10034105B2 (en) Article with internal light source for fitting in-situ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EP1378146B1 (en) Expandable in-ear device
EP3041259B1 (en) In-ear headphones having a flexible nozzle and related methods
US5979589A (en) Flexible hearing aid
US8348010B2 (en) Invertible ear tips for an ear piece
CA2598819C (en) An earplug for a hearing aid
EP2107829B1 (en) Reinforced earbud device, system and method
AU2009357228B2 (en) An ear plug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AU2002234463A1 (en) Expandable in-ear device
KR20200116969A (ko) 보청기 및 이어폰용 범용 어댑터
KR101515337B1 (ko) 소프트 커스텀 이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US8498440B2 (en) Eartip with tether
US8355519B2 (en) Tool for fitting and removing a receiver of a hearing aid
WO2008070986A1 (en) Method for customizing an in-ear device
US20130010993A1 (en) Molding structure for a hearing apparatus, hear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molding apparatus
US9392383B2 (en) Coupling member and hearing system using it
JP6184295B2 (ja) 耳穴型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