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030B1 -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030B1
KR101418030B1 KR1020120133264A KR20120133264A KR101418030B1 KR 101418030 B1 KR101418030 B1 KR 101418030B1 KR 1020120133264 A KR1020120133264 A KR 1020120133264A KR 20120133264 A KR20120133264 A KR 20120133264A KR 101418030 B1 KR101418030 B1 KR 10141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eel
hook
hook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460A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US13/705,605 priority Critical patent/US9137979B2/en
Priority to CN201210520990.2A priority patent/CN103141455B/zh
Priority to JP2012266954A priority patent/JP5695019B2/ja
Publication of KR2013006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릴본체(R)와, 릴본체(R)에 형성된 결합부(110)와,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121)와, 결합부(110)에 연결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걸이수단(120)이 도입됨으로써,
특히 릴본체(R)의 결합부(110)와 걸이수단(120)의 대응결합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낚싯바늘이 걸이수단(120)의 걸이부(121)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낚싯바늘에 의한 릴의 손상방지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또한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등과 같은 낚싯대의 취급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릴본체(R)의 결합부(110)와 걸이수단(120)의 대응결합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낚싯대의 사용 중 필요에 따라 릴본체(R)로부터 걸이수단(120)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보장되고, 또한 탈부착 동작이 쉽고 단순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FISHING REEL EQUIPPED WITH HANGER FOR FISHHOOK AND FISHING R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릴본체와, 릴본체에 형성된 결합부와,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결합부에 연결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걸이수단이 도입됨으로써, 낚싯바늘이 걸이수단의 걸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낚싯바늘에 의한 낚시릴의 손상방지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또한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등과 같은 낚싯대의 취급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릴본체의 결합부와 걸이수단의 대응결합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낚싯대의 사용 중 필요에 따라 릴본체로부터 걸이수단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보장되고, 또한 탈부착 동작이 쉽고 단순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낚싯바늘 걸이가 구비된 릴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1571호(2005.05.0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양베어링릴의본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하는 스풀에 낚싯줄이 감기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로서, 프레임과, 제1 및 제2 커버와, 전면 커버와, 낚싯바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스풀의 좌우에 배치된 1쌍의 측판과 양측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갖고,
제1 및 제2커버는 각 측판의 측판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 커버는 프레임의 전방을 덮도록 장착되고, 거기에는 레벨 와인드 기구의 낚싯줄 가이드를 맞는 좌우로 긴 개구가 형성되며,
낚싯바늘 결합부는 전면 커버로부터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를 따라 배치된 막대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낚싯바늘 결합부에 낚싯바늘을 걸어 릴 본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창출된 것이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낚싯바늘 결합부가 항시 릴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다양한 형태로 릴을 파지하는 경우 낚싯바늘 결합부에 의하여 파지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경우 낚싯바늘 결합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릴본체와, 릴본체에 형성된 결합부와,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결합부에 연결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걸이수단이 도입됨으로써, 낚싯바늘이 걸이수단의 걸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낚싯바늘에 의한 낚시릴의 손상방지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또한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등과 같은 낚싯대의 취급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릴본체의 결합부와 걸이수단의 대응결합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낚싯대의 사용 중 필요에 따라 낚시릴로부터 걸이수단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보장되고, 또한 탈부착 동작이 쉽고 단순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릴본체의 수 결합부는 프레임과 내측 커버를 고정하는 볼트이고, 암 대응 결합부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후크 또는 링으로써, 상기 걸이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걸이수단의 걸이부에는 걸이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프레임의 외각을 따라 휘어지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어를 함에 있어 방해하지 않아, 제품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은 암결합부를 갖고, 걸이수단은 수 대응결합부를 가지며, 양 수 대응결합부는 상호 반대편 방향으로 절곡된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걸이수단이 릴본체에 장착된 후, 연결부에 의하여 암결합부와 수 대응결합부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걸이수단이 릴본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은 암 또는 수 결합부가 구비된 릴본체; 및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이어진 연결부, 이 연결부와 이어져 있고 릴본체의 결합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 또는 암결합부를 포함하는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 또는 수 결합부와 상기 수 또는 암결합부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에서 릴본체의 수 결합부는 프레임과 내측 커버를 고정하는 볼트이고,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의 암결합부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후크 또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에서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의 연결부는 걸이부가 조어를 방해하지 않게 걸이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프레임의 외곽을 따라 휘어진 만곡 연결부인 것을 특징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릴본체는 암결합부를 갖고,
상기 걸이수단은 연결부 양측에 수 대응결합부를 가지며,
양 수 대응결합부는 상호 반대편 방향으로 절곡된 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는 릴본체과, 릴본체에 형성된 결합부와,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결합부에 연결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걸이수단이 도입됨으로써, 낚싯바늘이 걸이수단의 걸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낚싯바늘에 의한 낚시릴의 손상방지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또한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등과 같은 낚싯대의 취급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릴본체의 결합부와 걸이수단의 대응결합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낚싯대의 사용 중 필요에 따라 릴본체로부터 걸이수단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보장되고, 또한 탈부착 동작이 쉽고 단순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릴본체의 수 결합부는 프레임과 내측 커버를 고정하는 볼트이고, 상기 낚시바늘 걸이수단의 암 대응 결합부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후크 또는 링으로써, 상기 걸이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걸이수단의 걸이부에는 걸이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프레임의 외각을 따라 휘어지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어를 함에 있어 방해하지 않아, 제품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릴본체는 암결합부를 갖고, 걸이수단은 수 대응결합부를 가지며, 양 수 대응결합부는 상호 반대편 방향으로 절곡된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걸이수단이 릴본체에 장착된 후, 연결부에 의하여 암결합부와 수 대응결합부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걸이수단이 릴본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의 릴본체와 걸이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릴본체의 걸이수단의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의 릴본체과 걸이수단 및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 내지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의 걸이수단의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진출입수단과, 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4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릴의 장착대가 구비된 쪽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하고, 상기 장착대의 반대쪽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하며,
아울러 낚싯줄의 가이드구가 구비된 쪽을 '전방'이라 하고, 스풀이 구비된 쪽을 '후방'이라 특정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된 '걸이 동작'은 걸이수단에 낚싯바늘 단순히 거는 동작은 물론이고, 스풀로 낚싯줄을 감아 낚싯바늘이 걸이수단에 걸려 당겨지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9과, 도 9 내지 도 17은 명명 및 도면부호가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는
암 또는 수결합부(111)(110)가 구비된 릴본체(R); 및 낚싯바늘이 거치되는 걸이부(121)와, 상기 걸이부(121)에 이어진 연결부(123), 이 연결부(123)와 이어져 있고 릴본체(R)의 결합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 또는 암결합부(111)를 포함하는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 또는 수 결합부(111)(110)와 상기 수 또는 대응암결합부(123a)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서, 상기 낚싯대본체는
그립부(30)와, 상기 그립부(30)에서 연장된 탄성부(10)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우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10)는 낚싯대의 골격을 구성하고, 다단의 접힘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드방식으로 상호간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10)는 카본 그라파이트, 글라스 파이버, 하이브리드, 대나무 등과 같이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들은 그 특장단점을 갖기 때문에 낚시의 종류나 용도, 사이즈 등에 따라 가장 최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10)는 1피스, 또는 여러 피스로 이루어지고, 여러 피스의 경우, 각 피스는 다단의 접이식 구조로 슬라이드방식으로 각 피스 상호간에 인출입되면서 펴지고 접히게 되며,
상기 탄성부(10)에는 가이드(11)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11)에 낚싯줄(L)이 삽입되고 안내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시트(20)는 낚싯줄(L)이 감긴 릴본체(R)(reel)를 장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탄성부(10) 또는 그립부(30)에 구비된다.
상기 릴시트(20)는 릴을 원터치, 또는 스냅타입 등의 방식으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릴시트(20)는 릴의 종류나 사이즈에 따라,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탄성부(10)의 원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탄성부(10)의 원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릴시트(20) 전방 또는 상기 릴시트(20) 후방, 또는 이들 모든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그립부(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편안함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을 갖고, 마찰계수가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30)는 미끄럼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엠보싱, 요철 등과 같이 미끄럼방지부(33)를 형성하여 보다 미끄럼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그립부(30)에서 상기 릴시트(20)의 후방에 배열된 그립부(30)는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10)의 전단부의 외측면에 나선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상기 나선부(13)에 상응하는 대응나선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나선부(13)와 대응나선부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1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립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 따라 가장 편리한 그립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서, 상기 릴본체(R)는
상기 릴시트(20)에 장착되어 감겨진 낚싯줄을 풀거나, 풀린 낚싯줄을 감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릴본체(R)는 양측으로 커버부재(10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101) 사이에는 낚싯줄이 감긴 스풀(102)(spool)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10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풀(102)의 전방에 배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낚싯줄이 엉기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구(103)가 구비된다.
또한 일측에 구비된 커버부재(101)에는 상기 스풀(102)과 연결된 핸들(104)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104)에는 복수의 손잡이(104a)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04a)를 파지하여 핸들(104)을 조작하여 상기 스풀(102)의 낚싯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커버부재(10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릴시트(20)에 결합되는 장착대(105)가 구비되어 낚싯대에 릴본체(R)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서, 상기 결합부(111)(110)는
상기 릴본체(R)에 형성되어 걸이수단(120)을 릴본체(R)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릴본체(R)의 수 결합부(110)는 프레임(101a)과 내측 커버(101b)를 고정하는 볼트이고,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의 암결합부(111)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후크 또는 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1a)과 내측 커버(101b)의 고정시 볼트 사이에 암결합부(111)를 결속하여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120)의 걸이부(121)가 하단볼트위치에 있을 경우, 사용자의 조어시 방해를 받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의 연결부(123)는 걸이부(12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걸이부(121)의 위치는 연결부(12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합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3)는 프레임(101a)의 외곽을 따라 휘어진 만곡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스풀(102)이 회전시 걸이수단에 의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릴본체(R)의 프레임(101a)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어를 하거나 이동시에 걸리적거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릴본체(R)은 암결합부(111)를 갖고,
상기 걸이수단(120)은 연결부 양측에 수 대응결합부(123a)를 가지며, 양 수 대응결합부(123a)는 상호 반대편 방향으로 절곡된 돌기 형태로 되어 있다.
다만 첨부된 도 1A에의 상기 결합부(110)는 링 형태인 암결합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결합부(110) 형태의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링 형태나, 이외에 다른 형태의 암결합부(111) 또는 수 대응결합부(123a)가 도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B 와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가 수 대응결합부(123a)로 구성될 경우,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는 내측커버의 하단 볼트 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의 볼트에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23)의 길이도 조어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되고, 암결합부(111)의 모양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암결합부(111)의 걸이부(121)의 형태도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느데, 상기 폐쇄형의 사용시 개방형보다 낚싯바늘이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는 반면, 개방형의 형태는 개방부를 이용하여 낚싯바늘의 착탈을 좀더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는 볼트 뿐만아니라 내측커버(101b)와 프레임(101a) 사이에 끼움홈(101c)을 구성하여, 상기 암 결합부가 끼움홈(101c)에 결합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끼움홈(101c)의 대향하게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의 연결부(123)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3)는 끼움홈(101c)내부에 고정하는 암결합부(111)를 갖는 경우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부(123)의 탄성을 이용하는 형상이거나, 탄성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에 고정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도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을 갖는 경우 상기 걸이수단(120)의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고정식으로 결합하는 형상인 경우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121)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걸이부(121)와 연결부(123)는 수개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호 조합하여 다른 변형례의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는 커버부재(101)에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10)는 암 또는 수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10)가 암결합부(111)인 경우에는 상기 각 커버부재(101)의 내측벽면에 결합홈인 형태로 형성되고,
반면에 상기 결합부(110)가 수 대응결합부(123a)인 경우에는 상기 각 거버부재(101)의 내측벽면에 결합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의 크기는 상기 각 커버부재(101)의 내측벽면의 크기와 동일하여 내측벽면 전체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조어시 불편함을 감소하기 위해서 내측벽면의 크기보다 작게 상기 커버부재(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는 결합홈 형태인 암결합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결합부(110) 형태의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돌기 형태나, 이외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110)가 도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120)은
더 나아가 상기 결합부(110)에는 상기 각 커버부재(101) 전방에 연결되는 받침부(113)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부(113)는 상기 결합부(110)에 걸이수단(120)의 연결부(123)가 결합된 후, 걸이수단(120)의 걸이부(121) 또는 연결부(123)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13)에는 횡방향으로 수용공(113a)이 형성되어 걸이수단(120)의 대응결합부(123a)가 수용공(113a)을 통하여 결합부(110)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상기 수용공(113a)은 장방형 형태로 제작되고, 단수로 구비되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2개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13)의 수용공(113a)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수용공(113a)의 하부와 상부가 트여진 연결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각 수용공(113a)의 양측부 경계에는 지지돌기(113b)가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공(113a)에 수 대응결합부(123a)가 삽입된 후, 상기 지지돌기(113b)가 연결부(123)를 지지하여 받쳐주게 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공(113a)은 상부 수용공(113a)에 수 대응결합부(123a)를 삽입한 후, 상기 결합부(110)에서 상기 연결부(123)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유격공간을 형성하여 걸이부(121)가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걸이부(121)에 거치되는 낚싯바늘이 자중에 의하여 경사면을 타고 절곡점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릴본체(R)의 전방, 즉 상기 가이드구(103) 전방에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릴본체(R)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릴본체(R)의 다른 장소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는 릴본체(R)의 전방에 배열되도록 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110), 특히 받침부(113)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릴의 파지동작이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에서, 상기 걸이수단(120)은
상기 릴본체(R)의 결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낚싯줄에 연결된 낚싯바늘이 거치된다.
우선 상기 걸이수단(120)은 금속재질이나, 또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막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121)는 중심 부분을 절곡하여 'V'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라운진 형태나, 또는 직선형태 등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걸이부(121)가 탄성을 발휘하기 위한 형태로는 'V' 형태로 절곡되거나, 또는 라운드진 형태와 같이 비직선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는 상기 암결합부(111)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암결합부(111)가 커버부재의 내측 벽면이거나, 끼움홈(101c)의 형태인 경우,
상기 걸이부(121)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연결부(123)의 각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돌기 형태로 제작되며,
이 경우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부(110)의 암결합부에 대응하는 수 대응결합부(123a)가 되어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가 상기 결합부(110)의 암결합부(11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형태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양 수 대응결합부(123a)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는 외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릴본체(R)의 암결합부(111)에 수 대응결합부(123a)가 장착된 후에는, 상기 연결부(123)에 의하여 수 대응결합부(123a)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하여 상기 암 대응결합부(111)와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상기 걸이수단(120)이 릴본체(R)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부가 돌기 형태의 수결합부인 경우에는 상기 대응결합부는 암결합부(111)가 되고,
이때 상기 암결합부(111)는 상기 돌기의 단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수 대응결합부(123a)가 삽입 장착되고,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123)에 의하여 걸이수단(120)이 릴본체(R)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걸이수단(120)은 상기 대응결합부가 상기 결합부(1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데,
이때 상기 걸이부(121) 또는 상기 연결부(123), 또는 이들 모두에 탄성이 부여되어 상기 결합부(110)에서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를 장착 또는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이부(121)가 직선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121)는 탄성을 갖기 어렵고,
따라서 상기 연결부(123)가 상기 걸이부(121)의 양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어 탄성을 갖게 되며,
상기 걸이부(121)가 비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와 연결부(123) 모두에 탄성이 부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이수단(120)의 탈부착은 상기 걸이부(121) 또는 연결부(123)를 파지하여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123)는 내측방향으로 오므려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113)의 수용공(113a)에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를 삽입하여 상기 결합부(110)와의 결합위치에서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걸이부(121) 또는 연결부(123)가 펴지면서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가 상기 결합부(111)에 삽입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부(110)에서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121) 또는 연결부(123)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110)에서 수 대응결합부(123a)가 분리되고,
이때 상기 받침부(113)의 수용공(113a)을 통하여 연결부(123)와 수 대응결합부(123a)를 배출하여 걸이수단(120)을 결합부(1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120)에서 상기 걸이부(121)는 경사부(121a)와, 이 경사부(121a)와 연결되고 각진 수용부(125)를 갖고, 걸이 동작에 의하여 낚싯바늘은 경사부(121a)를 타고 미끄러져 수용부(125)에 수용된다.
즉 상기 수용부(125)는 상기 각 경사부(121a)의 단부가 연결되어 예각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어, 낚싯바늘을 걸이부(121)에 거치한 후, 걸이 동작, 즉 상기 스풀을 이용하여 낚싯줄을 감게 되면 낚싯바늘이 당겨지면서 상기 경사부(121a)를 타고 미끄러져 수용부(125)에 수용된다.
따라서 걸이 동작에 의하여 낚싯바늘이 자연스럽게 수용부(125)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낚싯바늘이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낚싯바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B)는 상기 걸이부(121)가 연결부(123)와의 연결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에 낚싯바늘을 걸게 되면 낚싯바늘이 자중에 의하여 걸이부의 경사면을 타고 수용부(125)에 자연스럽게 수용된다.
아울러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120)에서 상기 걸이부(121)는 수용부(125)에서 연장 형성된 협폭부(127)를 갖고,
걸이 동작에 의하여 낚싯바늘은 경사부(121a)를 타고 미끄러져 수용부(125)에 수용된 후, 다시 상기 협폭부(127)에 수용된다.
즉 상기 협폭부(127)는 홈 형태이 구성되고, 낚싯바늘을 가압할 수 있도록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걸이 동작에 의하여 수용된 낚싯바늘을 고정시켜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중에 낚싯바늘이 요동하는 것은 물론이고, 낚싯바늘이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B)는 도 7의 (B)와 같이 걸이부(121)가 연결부(123)와의 연결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걸이부(121)에 낚싯바늘을 걸게 되면 낚싯바늘이 자중에 의하여 걸이부(121)의 경사면을 타고 수용부(125)에 수용된 후, 협폭부(127)에 자연스럽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121)를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낚싯바늘을 단순히 거치하는 것만으로 낚싯바늘이 자중에 의하여 경사부(121a)의 경사면을 타고 수용부(125)나, 또는 협폭부(127)에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13)에서 상하로 수용공(113a)이 형성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유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공(113a)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123)를 결합부(110)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이부(121)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121)에 거치된 낚싯바늘은 자중에 의하여 걸이부(121)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수용부(125)나 협폭부(127)에 자연스럽게 안착될 수 있어 낚싯바늘의 고정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120)의 위치를 변경한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걸이수단(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걸이수단보다 상부 쪽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구(103) 전방에 배열되며,
이 경우 상기 결합부(미도시) 역시 상기 커버부재(101)의 상부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 대응결합부(123a)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120)은 릴본체(R)의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낚싯대의 사용 방법이나, 릴의 크기나, 릴의 파지 방법 등에 따라 가장 최적의 위치에 걸이수단(120)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은 걸이수단(120)의 배열위치는 다양한 변형례들 중에서 일례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에는
상기 릴본체(R)와 연결된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에 연결된 낚싯바늘(1), 또는 상기 낚싯바늘(1)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 또는 상기 봉돌(3)과 상기 낚싯줄(L)을 연결하는 봉돌걸이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이들 모두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우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그립부(30)에 형성된 결합부(31)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와, 상기 대응결합부(41)와 연결된 지지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42)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바늘(1)이 삽입 고정되는 걸이공(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릴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제1 그립(30A)과 제2 그립(30B)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1 및 제2 그립(30A)(30B)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각 그립부(30A)(30B)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부 부분에 상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40)의 대응결합부(41)가 억지 끼워지거나, 또는 볼트 형태로 체결되어 고정수단이(40) 각 그립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공(43)에 낚싯바늘(1)을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낚싯대를 이동시키거나, 운반하는 경우 낚싯바늘(1)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나, 운반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40)의 제1 변형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분지된 형태의 몸체(44)와, 상기 몸체(44)의 전방에 형성된 제1 장착부(47)와, 상기 제1 장착부(47)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맞닿는 가압부(45)와, 상기 가압부(45)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이격된 지지부(46)와, 상기 지지부(46)와 이어져 절곡 형성된 제2 장착부(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부(45)에는 낚싯바늘(1)과 봉돌(3)의 인접한 낚싯줄(L)이 끼워지고, 이때 상기 가압부(45)는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47)는 상기 그립부(30)나 또는 탄성부(10)에 연결되는데,
이때 각 장착부(47)는 와이어(미도시)나 또는 클램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그립부나 또는 탄성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 지지부(46) 사이에는 공간부(46a)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가압부(45)에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공간부(46a)를 통하여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가압부(45)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40)의 제2 변형례는
상기 봉돌(3)이 수용되는 수납부(48)와, 상기 봉돌(3)의 양측부를 감싸는 측면지지부재(48a)와, 상기 봉돌(3)의 전방부를 감싸는 전면지지부재(48b)와, 상기 측면지지부재(48a)와 연결되고, 상호 맞닿는 접촉부(48c)와, 상기 전면지지부재(48b)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30) 또는 탄성부(10)에 연결되는 이음부(48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48)에 봉돌(3)이 위치하고, 상기 봉돌(3)의 양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재(48a)는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봉돌(3)의 지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며,
상기 전면지지부재(48b)는 상기 봉돌(3)이 전방으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봉돌(3)의 전면부 하부 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48c)는 낚싯바늘(1)이나, 낚싯바늘 또는 봉돌(3)에 인접한 낚싯줄(L)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접촉부(48c) 또한 탄성을 발휘하여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45)와 접촉부(48c)에는 낚싯바늘(1)과 낚싯줄(L)의 손상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과,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 손상보호부재(49)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봉돌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재(48a)나 전면지지부재(48b)를 감싸도록 마찰부재를 도입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봉돌이 상기 각 지지부재를 감싸는 마찰부재와 접촉되어 미끄러져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본체(R)에는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납 및/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진출입수단(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진출입수단(70)은 상기 걸이수단(120)의 사용 여부에 따라 걸이수단(120)을 릴본체(R)에 직접 수납하거나, 또는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걸이수단(120)의 탈부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고, 또한 낚싯대의 사용 시, 걸이수단(120)에 의한 불편함을 제거하여 낚싯대의 사용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진출입수단(70)은 기본적으로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납 또는 인출을 가능하도록 상기 릴본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70A)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70A)는 단순히 릴본체의 결합부(110)에 구비된 레일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또 이러한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재(70A)에는 걸이수단(120)의 임의 출몰을 방지하는 저항부재일 수 있다(예: 레일에 구비되고 마찰이 큰 고무 소재 등의 패드).
특히 걸이수단(120)의 대응결합부가 돌기 형태의 양 수 대응결합부(123a)를 갖는 경우, 이 수 대응결합부(123a)를 위한 레일과 저항 부재를 도입할 수 있고, 이는 일례로 후술하는 도 17에 도시된 구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출입수단(70)은 상기 릴본체의 각 커버부재(101) 내측벽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된 가이드부재(70A)(케이스(74)의 일측 외측면이 상기 각 커버부재(101)의 내측벽면에 연결됨.)와, 상기 걸이수단(120)의 연결부(123)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7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70B)와 상기 가이드부재(70A)의 후크부재(71)는 두 번째 상기 걸이수단(120)을 상기 가이드부재(70A) 쪽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b)에 물려 있는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부재(71)의 삽입공(71B)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축된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던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케이스(74)의 스토핑홀(74C)에서 벗어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해제되는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형성 위치와 간격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70A)의 케이스(74) 양측에는 스토퍼(74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커버부재에 형성된 걸림편(미도시 됨)과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70A)의 고정 배열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 상기 케이스(74) 내에 상기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후크부재(71)는 탄성걸이부(71)가 상기 걸림돌기(70B)를 물고 풀게 된다.
상기 탄성걸이부의 삽입공(71b)에는 삽입돌기(72b)를 통하여 가이드레버(7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73)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돌기(72b)가 가압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72b)와 상기 후크부재 삽입공(71b)의 특유한 형태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도 3에서 케이스(74)에 대하여 정중앙에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이러한 걸림돌기(72a)의 위치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73)이 팽창되어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케이스(74)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돌기(70B)를 물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이수단(120)을 상기 가이드부재 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와 접촉하여 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 내면에 사선형태로 배열된 록킹가이드레일(74a)을 타고 내려가다가 상기 케이스(74)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스토핑홀(74c)에 위치하면 제한상태에서 벗어나 돌출되어 걸리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걸리게 되어 상기 걸이수단(120)이 상기 가이드부재(70A)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걸이수단(120)을 가압하면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고, 상기 가이드레버(72)는 상기 스토핑홀(74c) 상면에 의하여 제한되었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다시 스프링(73)에 의한 가압과 상기 후크부재(71) 삽입공(71b)과 상기 가이드레버(72) 삽입돌기(72b)의 구조에 의하여 우측으로 쏠리게 되고,
상기 걸이수단(120)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는 상기 걸림돌기(70B)를 풀게 된다.
또 도 15에서 상기 진출입수단(70)은 상기 가이드부재(70A)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외피부재(75)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도면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덮는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가 삽입될 수 있는 아령형태의 삽입장공(75a)이 형성된다.
상기 외피부재(75)의 상면은 박부(75b)와 후부(75c)가 반복되어 적절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면적을 가능한 작게 하여 이물질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상기 걸림돌기(70B) 외면과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주변 부분이 가능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돌기(70B)에 의하여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 부분이 상기 후크부재(71)에 끼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진출입수단(7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16에는 도 15의 가이드부재(70A)에서 가이드레버(72), 특히 걸림돌기(72a)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70A)가 제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170A)는 역시 후크부재(171), 가이드레버(172), 스프링(173), 그리고 케이스(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탄성을 갖는 선형 부재를 절곡한 형태로 걸쇠(172a)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회동축부(172b)가 상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부재(171)에서 탄성걸이부(171a)는 도 12의 것과 동일하나, 가이드레버가 변형된 만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회동축부(172b)가 배열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걸침부, 특히 걸침홈(171b)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73)은 상기 후크부재(171) 하부 몸체의 좌측에 치우친 삽입홈(171c)에 배열되며,
절개 도시한 상기 케이스(174)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173)을 위한 지지돌기(173a)가 상응한 위치에 돌설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버(172)를 위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은 상기 케이스(174)의 내벽 우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미지칭 됨)의 하부면에 해당하며,
상기 레일(174a)의 우측에는 다시 스토핑홈(17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74)의 양측에는 역시 가이드부재(170A)를 결합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7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걸림돌기와 결합되지 않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스프링(173)을 수축시키며 하강하면 상기 탄성걸이부(171a)는 상기 케이스에 의하여 구속되어 오므라들고,
상기 후크부재(171)의 걸침부(171b)에서 상기 회동축부(172b)를 통하여 선회 가능한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상기 케이스 내벽의 쐐기형 돌기를 타고 하강하면서 직립한 상태에서 차츰 좌측으로 빗겨나가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되는데,
상기 돌기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 시작 부분에 오면 기울기가 최대를 이루게 된다.
상기 레일(174a)이 경사진 형태이므로 상기 레일 시작점 하부로 상기 가이드레버의 걸쇠(172a)가 더 내려오면,
상기 쐐기형 돌기로 인한 구속에서 벗어나면서 중력에 의하여 선회하여 다시 직립하려 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상기 회동축부(172b)를 축으로 하여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관성에 의하여 직립을 벗어나 우측으로 더 움직여 상기 스토핑홈(174c)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173)이 팽창되면서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상기 스토핑홈(74c)에 걸리게 되며,
상기 케이스(174)에 의하여 구속된 상기 후크부재의 탄성걸이부(171a)는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물어 고정한 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걸이수단(120), 즉 상기 후크부재(17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가 상기 스토핑홈(74c)을 벗어나게 되고 다시 중력에 의하여 직립하여 상기 록킹-언록킹 레일(174a)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재(171)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1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는 상기 레일(174a)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쐐기형 돌기에서 벗어나게 되고 상기 후크부재(171)는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승하여 상기 탄성걸이부(171a)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풀게 된다.
물론, 도 15에 도시된 외피부재는 역시 도 18의 가이드부재를 위해서도 도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출입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걸이수단을 수납 및 배출시키는 것 외에 수동으로 걸이수단을 수납 및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출입수단(70)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각 커버부재(101) 내측벽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76)과, 상기 가이드홈(76)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각 커버부재 내측벽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체(78)가 연결되고, 상기 각 가이드블록체(78) 사이에는 가이드홈(76)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체(78)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홈(7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블록체(78)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홈(77)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 대응결합부(123a)가 억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삽입홈(77)에 수 대응결합부(123a)가 삽입된 후, 수 대응결합부(123a)가 삽입홈(77)에서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돌기(79)가 구비되어 있어 결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 대응결합부(123a)가 상기 가이드홈(76)을 타고 이동하고,
전방에 위치하는 삽입홈(77)은 상기 걸이수단(120)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수 대응결합부(123a)가 억지 끼워져 걸이수단(120)이 인출된 상태에서 걸이수단(120)을 고정시키며,
후방에 위치하는 삽입홈(77)은 상기 걸이수단(120)이 수납되는 경우 상기 대응결합부(123a)가 억지 끼워져 걸이수단이 수납된 상태에서 걸이수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걸이수단(120)의 인출과 수납 동작은 사용자가 걸이수단(120)을 잡아당겨 인출시키거나, 또는 걸이수단(120)을 밀어 넣어 수납하는 수동방식으로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113)의 수용공(113a)은 중간 부분에 벽체(113c)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진출입수단(70)에 의하여 걸이수단(120)이 수납되는 경우 상기 걸이수단이 수용공(11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걸이수단(120)의 인출 시, 사용자가 걸이수단(120)을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탈부착이 가능한 낚싯바늘 걸이수단이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 낚싯줄 R : 릴본체
1 : 낚싯바늘 3 : 봉돌
3a : 봉돌고리
10 : 탄성부 11 : 가이드
13 : 나선부 20 : 릴시트
30 : 그립부 31 : 결합부
33 : 대응나선부 35 : 미끄럼방지부
40 : 고정수단 41 : 대응결합부
42 : 지지부재 43 : 걸이공
44 : 몸체 45 : 가압부
46 : 지지부 46a : 공간부
47 : 장착부 48 : 수납부
48a : 측면지지부재 48b : 전면지지부재
48c : 접촉부 48d : 이음부
49 : 보호부재 70 : 진출입수단
70A : 가이드부재
70B : 걸림돌기 71 : 후크부재
72 : 가이드레버 73 : 스프링
74 : 케이스 74a : 록킹가이드레일
74b : 언록킹가이드슬릿 74c : 스토핑홀
75 : 외피부재 75a : 삽입장공
76 : 가이드홈 77 : 삽입홈
78 : 가이드블록체 79 : 스톱돌기
101 : 커버부재 101a : 프레임
101b : 내측커버 101c : 끼움홈
102 : 스풀 103 : 가이드구
104 : 핸들 104a : 손잡이
105 : 장착대 110 : 결합부
111 : 암결합부 113 : 받침부
113a : 수용공 113b : 지지돌기
120 : 걸이수단 121 : 걸이부
121a : 경사부 123 : 연결부
123a : 수 대응결합부 125 : 수용부
127 : 협폭부

Claims (4)

  1. 암 또는 수 결합부(110)(111)가 구비된 릴본체(R); 및
    낚싯바늘(1)이 거치되는 걸이부(121)와, 상기 걸이부(121)와 이어진 연결부(123), 이 연결부(123)와 이어져 있고 릴본체(R)의 결합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 또는 암 대응결합부(123a)를 포함하는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 또는 수 결합부(110)(111)와 상기 수 또는 암결합부(123a)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릴본체(R)
    상기 걸이수단(120)의 수납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진출입수단(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진출입수단(70)은
    가이드부재(70A)와, 상기 걸이수단(120)의 연결부(123)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7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70A)의 양측에는 스토퍼(74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본체(R)의 수 결합부(110)는 프레임(101a)과 내측 커버(101b)를 고정하는 볼트이고,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의 암결합부(111)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후크 또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 걸이수단(120)의 연결부(123)는 걸이부(121)가 조어를 방해하지 않게 걸이부(12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프레임(101a)의 외곽을 따라 휘어진 만곡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본체(R)는 암결합부(111)를 갖고,
    상기 걸이수단(120)은 연결부 양측에 수 대응결합부(123a)를 가지며,

    양 수 대응결합부(123a)는 상호 반대편 방향으로 절곡된 돌기 형태이고,
    상기 걸이부(121)는
    경사부(121a)와, 상기 경사부(121a)와 연결되고, 각진 수용부(125) 및 상기 수용부(125)에서 연장 형성된 협폭부(1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KR1020120133264A 2011-12-06 2012-11-22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KR10141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05,605 US9137979B2 (en) 2011-12-06 2012-12-05 Fishing reel equipped with hanger for fishhook and fishing rod using the same
CN201210520990.2A CN103141455B (zh) 2011-12-06 2012-12-06 具有渔线轮的钓鱼竿
JP2012266954A JP5695019B2 (ja) 2011-12-06 2012-12-06 釣り針保持手段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及びこれを持つ釣り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17 2011-12-06
KR20110129517 2011-12-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43A Division KR20140066128A (ko) 2014-02-03 2014-02-03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460A KR20130063460A (ko) 2013-06-14
KR101418030B1 true KR101418030B1 (ko) 2014-07-09

Family

ID=4886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264A KR101418030B1 (ko) 2011-12-06 2012-11-22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334B2 (en) 2015-03-16 2017-02-2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hidden line stopper
KR20180040375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04Y1 (ko) * 2019-02-11 2021-03-09 심은기 낚시 바늘 걸이부를 구비한 낚시 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668U (ja) * 1993-12-07 1995-06-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片軸受型リ−ル
JPH10155401A (ja) * 1996-10-01 1998-06-1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7006710A (ja) * 2005-06-28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10172298A (ja) * 2009-01-30 2010-08-12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668U (ja) * 1993-12-07 1995-06-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片軸受型リ−ル
JPH10155401A (ja) * 1996-10-01 1998-06-1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7006710A (ja) * 2005-06-28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10172298A (ja) * 2009-01-30 2010-08-12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334B2 (en) 2015-03-16 2017-02-2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hidden line stopper
KR20180040375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KR101887511B1 (ko) * 2016-10-12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460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019B2 (ja) 釣り針保持手段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及びこれを持つ釣り竿
KR101418030B1 (ko)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US7752799B2 (en) Arm support for use with an elongated item such as a fishing rod
US20130031732A1 (en) Cleaning appliance
US9902589B2 (en) Cord winder and rail storage system
US8528796B1 (en) Sock donning appliance
US5411237A (en) Golf cart umbrella holder
EP3339150A1 (en) Magnetic coupling device
SE534538C2 (sv) Staplingsbar varukorg med draghandtag
US20030083553A1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KR20140066128A (ko)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및 이를 갖는 낚싯대
NO177213B (no) Håndbetjent innretning for fylling av sigaretthylser, særlig sigaretthylser med filter
CA2608131A1 (en) Gripping device for use on a paint receptacle, in particular a tin of paint
KR101273653B1 (ko)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US20170096319A1 (en) Lifting and removal device
US9228679B2 (en) Holding a flexible elongate object
KR101578852B1 (ko) 어깨 거치식 링거대
EP2802391B1 (en) A hand strap for a skiing pole or similar
KR20200142061A (ko) 조리기구용 제거 가능 손잡이
CN217705926U (zh) 包架组件和具有包架组件的儿童推车
JP3228703U (ja) 足場板固定装置のベルト締結ユニット
CN220471485U (zh) 一种夹持机构及电子设备
CN215205314U (zh) 一种应用于潜水作业的应急安全装置
CN212333183U (zh) 托盘穿绳装置
CN215383244U (zh) 一种水桶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