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51B1 -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51B1
KR101417951B1 KR1020130053100A KR20130053100A KR101417951B1 KR 101417951 B1 KR101417951 B1 KR 101417951B1 KR 1020130053100 A KR1020130053100 A KR 1020130053100A KR 20130053100 A KR20130053100 A KR 20130053100A KR 101417951 B1 KR101417951 B1 KR 10141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engine
unit
carbon dioxid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훈
이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7/00Plants for converting heat or flui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전지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과 가스엔진을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전하는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가 저장 장치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부로 바로 공급하도록 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산소를 저장 및 활용하기 위한 산소 저장 탱크(210)와; 가스엔진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구동 시 발생하는 연소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처리기를 통해 정제, 회수, 가압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와; 가스엔진부와 연료전지부의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 시스템 운전 시 발생하는 잉여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압축기(20)를 포함하여 압축기 구동을 통해 기 생성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고밀도로 저장,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Fuel cell and gas engine hybrid poly-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연료와 화석연료를 공급하여 열과 전력뿐만 아니라 순수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생산 시스템(Poly-generation)이란 단일 혹은 복수의 1차 에너지원을 투입하여 복수 혹은 그 이상의 생산물은 얻어내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일 예로 연료를 투입하여 열과 전기의 에너지 생산물을 얻는 열병합발전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병합발전시스템, 즉 연료를 투입하여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시스템은 에너지 가격의 인위적인 제약 및 시장 변동성이 크므로 경제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고, 전기와 열에너지 이외에 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생산품 혹은 에너지 추출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동절기와 하절기 열부하 차이가 심한 경우 열병합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하절기 잉여 폐열을 부득이하게 방열해야 하므로 에너지이용 효율 측면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가스엔진의 경우 열전비가 크고 부분 부하 운전 특성이 좋으나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한 단점이 있고,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이 많아 환경적 측면에서 불리하고, 연료전지의 경우 발전 효율이 상당히 높고(45% 이상), 소음이 매우 낮으며, 청정한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운전비용이 높고 기기의 on-off 운전에 따른 내구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연료와 화석연료를 공급하여 열과 전력뿐만 아니라 순수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를 비용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과 가스엔진을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전하는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가 저장 장치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부로 바로 공급하도록 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산소를 저장 및 활용하기 위한 산소 저장 탱크와; 가스엔진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구동 시 발생하는 연소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처리기를 통해 정제, 회수, 가압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와; 가스엔진부와 연료전지부의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 시스템 운전 시 발생하는 잉여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압축기 구동을 통해 기 생성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고밀도로 저장, 활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연료와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가스엔진부와; 가스엔진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개질을 위한 스팀을 생산 공급하는 제1열교환기와;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폐열량이 불충분한 경우 개질을 위한 스팀 생산을 위해 보조적으로 가동하는 보일러와;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생성하는 전해부와; 전해부와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는 연료를 공급받아 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부와; 연료전지부에 구비되어 연료전지 반응열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거나 연료의 개질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2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연료전지부에 공급되는 연료를 개질시키는 개질기와;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 저장 탱크는 전해부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압축 및 저장하며,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압축 및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전지 구동에 필요한 연료 공급시 일측으로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를 직접 공급하고, 타측으로 메탄, 에탄올 등의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접 전기분해를 통해 유입되는 수소량을 계측할 수 있는 수소 유량계와; 개질기로 유입되는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와 혼합기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수소 유량계 계측 값을 기반으로 연료전지부의 일정 부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질기 연료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열교환기와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 사이에는 배기가스처리부가 구비되어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에 순수한 이산화탄소만 저장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 저장 탱크는 가스엔진부와 연결되어 가스엔진부에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여 순산소연소가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와 이산화탄소 압축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축열조에 저장,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조건 유지를 통해 액체 상태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펌프로 수요처까지 액체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이송에 소요되는 펌핑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청정 발전 수단인 연료전지의 운영 효율을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를 저감시키고, 가스엔진부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제거와 이산화탄소 회수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켜 친환경을 이용한 온실가스 대응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열 수요가 없는 경우 가스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상당량의 폐열을 회수하고, 청정 발전 방식인 연료전지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고,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산소, 발전시스템 가동을 통해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압축 시 발생하는 열 또한 회수하여 활용함으로 인해 이용 효율 개선에 기여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신재생 에너지원을 적용하여 활용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부와 가스엔진부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부와 가스엔진부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부의 일정부하 운전을 위한 듀얼 연료공급장치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과 가스엔진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전하는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시스템에서 복수의 수소연료 공급 수단을 갖는 연료전지부(300)와,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 저장 탱크(210)와, 연소 배기 가스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와, 잉여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는 압축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먼저, 연료전지부는 일측으로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를 직접 공급받고, 타측으로 메탄, 에탄올 등의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산소 저장 탱크(210)는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산소를 저장 및 활용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는 후술하게 될 가스엔진부(100)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구동 시 발생하는 연소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처리부(111)를 통해 정제, 회수 및 가압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압축기(20)는 가스엔진부(100)와 후술하게 될 연료전지부(300)의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 시스템 운전 시 발생하는 잉여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을 발전시키는 가스엔진부(100)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제1열교환기(110)와,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해부(200)와, 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부(300)와, 물의 가열, 혹은 개질기 반응열을 공급하는 제2열교환기(310)와, 연료를 개질시키는 개질기(320)와,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33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엔진부(100)는 열병합 발전기로 연료와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킨다.
제1열교환기(110)는 가스엔진부(1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온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1열교환기(110)는 별도의 물공급탱크(13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제1열교환기(110)에 물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부(200)는 가스엔진부(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생성되는 전기를 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이때, 태양광 또는 풍력을 통해 전기를 생성시키기 위해 전해부(200)가 태양발전장치 및 풍력발전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연료전지부(300)는 전해부(200)와 연결되어 전해부(200)로부터 분해된 산소와 수소 중 수소를 공급받는다. 또한 연료전지부(300)는 열병합 발전기로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 발전전력 전기분해 수소와는 별도로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개질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개질하여 공급되어야 하는 수소 연료의 양은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신재생발전 전기분해 수소의 생산량에 따라 제어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일정부하로 운전 시 운전효율이 극대화되는 연료전지의 특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직접 전기분해를 통해 유입되는 수소량을 계측할 수 있는 수소 유량계(220)와; 개질기(320)로 유입되는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11)와 혼합기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여 수소 유량계 계측 값을 기반으로 연료전지부의 일정 부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질기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열교환기(310)는 연료전지부(300)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축열조에 저장하도록 한다.
개질기(320)는 제2열교환기(310) 내부에 구비되어 연료전지부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열을 이용하여 연료를 개질시킨다.
한편, 일단은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개질을 위한 혼합기와 연결되는 보일러(340)가 구비되도록 하여 개질을 위한 스팀생산에 필요한 보조 열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조(330)는 제2열교환기(3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한다.
이때, 산소 저장 탱크(210)는 전해부(200)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압축 및 저장하며,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는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압축 및 저장한다.
한편, 산소 저장 탱크(210)와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가압과 저장을 위해 전력으로 구동되는 압축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경우 이산화탄소 시비 목적을 감안하여 저장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액체 상태로 저장하여 펌프로 이송함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즉, 산소 저장 탱크(210)에서는 전해부(200)에서 생성된 산소를 압축하여 저장 및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에서는 가스엔진부(100)의 배기가스를 처리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생산한 후 압축하여 이산화탄소 시비(Fertilization)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열교환기(110)와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 사이에는 배기가스처리부(111)가 구비되어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에 순수한 이산화탄소만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저장 탱크(210)는 가스엔진부(100)와 연결되어 가스엔진부(100)에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산소 저장 탱크(210)와 가스엔진부(100)를 연결함으로써 산소 저장 탱크(210)에 저장된 산소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가스엔진부(100)에 제공되는 공기 대신 산소 저장 탱크(210)의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 없이 이산화탄소를 저장, 이송 및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산소 저장 탱크(210)와 가스엔진부(100)를 연결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된 배기가스처리부(111)는 불필요하므로 공정 과정에서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연료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기(32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부 열병합 발전시스템과,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고 이로 인해 생산된 수소는 저장 없이 바로 연료전지부로 투입하고 산소는 압축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화석연료와 신재생 에너지를 융합하여 전력, 열, 산소 및 이산화탄소를 출력하는 다중생산시스템이다.
이때, 신재생 에너지인 전해부(200)로부터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수소는 별도 저장 없이 연료전지부(300)로 투입시켜 발전 및 열에너지를 얻고, 이를 통해 생산된 전력으로 압축기를 가동시켜 순수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활용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하절기에 열 수요가 감소하게 되면 잉여폐열을 이용한 연료개질을 통해 연료전지를 추가 가동하여 전력부하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존 열병합발전 방식의 생산품인 전력과 열 에너지 이외의 부가적인 생산품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 저장을 통해 부가적인 서비스 창출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연료전지부의 연료인 수소공급에 있어 신재생발전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되는 수소의 공급과 메탄, 에탄올 등 화석연료의 개질을 통한 수소 공급의 복수 연료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연료전지부와, 가스엔진부(100) 가동 시 발생하는 배열을 이용하여 화석연료 개질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며, 개질에 충분한 열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보일러(340)를 이용하여 개질하도록 하는 가스엔진부(100)를 이용한 시스템과, 수소 공급을 통해 발전하는 연료전지부(300)의 발생 폐열 또한 개질에 이용하거나, 혹은 난방 및 급탕을 위한 온수 생성하거나, 잉여의 배열은 축열조(330)로 저장하여 활용하는 연료전지부(300)를 이용한 시스템과,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해부(200)를 이용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연료전지부(300)를 기저발전원으로 하고, 가스엔진부(100)를 보조발전원으로 하며, 운전 시 발생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연계, 저장 및 이용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생성된 산소를 압축하여 저장 및 활용하는 산소 저장 탱크(210)와, 가스엔진부(100)의 배기가스를 처리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생산한 후 압축하여 이산화탄소 시비(Fertilization)로 활용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120)를 포함하도록 하여 이용 효율 개선에 기여하며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신재생 에너지원을 적용하여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연료 공급 장치 11 : 제어밸브
12 : 혼합기 20 : 압축기
100 : 가스엔진부 110 : 제1열교환기
111 : 배기가스처리부 120 :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
130 : 물공급탱크 200 : 전해부
210 : 산소 저장 탱크 300 : 연료전지부
310 : 제2열교환기 320 : 개질기
330 : 축열조 340 : 보일러

Claims (9)

  1.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해부에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가 저장 장치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부로 바로 공급하도록 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상기 전해부에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산소를 저장 및 활용하기 위한 산소 저장 탱크와;
    가스엔진부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구동 시 발생하는 연소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처리부를 통해 정제, 회수, 가압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와;
    가스엔진부와 연료전지부의 복합 하이브리드 열병합발전 시스템 운전 시 발생하는 잉여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압축기 구동을 통해 기 생성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고밀도로 저장, 활용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와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가스엔진부와;
    가스엔진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개질을 위한 스팀을 생산 공급하는 제1열교환기와;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폐열량이 불충분한 경우 개질을 위한 스팀 생산을 위해 보조적으로 가동하는 보일러와;
    태양광 또는 풍력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생성하는 전해부와;
    전해부와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는 연료를 공급받아 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부와;
    연료전지부에 구비되어 연료전지 반응열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거나 연료의 개질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2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연료전지부에 공급되는 연료를 개질시키는 개질기와;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소 저장 탱크는 전해부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압축 및 저장하며,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압축 및 저장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연료전지 구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일측으로 태양광 또는 풍력과 같은 신재생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수소를 직접 공급하고, 타측으로 메탄, 에탄올 등의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직접 전기분해를 통해 유입되는 수소량을 계측할 수 있는 수소 유량계와;
    개질기로 유입되는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와 혼합기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수소 유량계 계측 값을 기반으로 연료전지부의 일정 부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질기 연료량을 제어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와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 사이에는 배기가스처리부가 구비되어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에 순수한 이산화탄소만 저장되게 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산소 저장 탱크는 가스엔진부와 연결되어 가스엔진부에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여 순산소연소가 가능하게 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압축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축열조에 저장, 활용하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압조건 유지를 통해 액체 상태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펌프로 수요처까지 액체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이송에 소요되는 펌핑 손실을 저감시키는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KR1020130053100A 2013-05-10 2013-05-10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KR10141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00A KR101417951B1 (ko) 2013-05-10 2013-05-10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00A KR101417951B1 (ko) 2013-05-10 2013-05-10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951B1 true KR101417951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00A KR101417951B1 (ko) 2013-05-10 2013-05-10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95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7129A (zh) * 2018-06-19 2018-11-06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sofc燃料电池与内燃机燃气分布式耦合系统及其运行方法
KR20190051178A (ko) 2017-11-06 2019-05-1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9882737A (zh) * 2019-04-09 2019-06-14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电氢综合能源供应系统及方法
KR102226251B1 (ko) * 2020-02-26 2021-03-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친환경 화석연료 개질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추진 방법
CN112952872A (zh) * 2021-04-16 2021-06-11 山东大学 一种风-氢氨-热电蓄能调峰联合发电系统和方法
CN113756953A (zh) * 2021-08-24 2021-12-07 中国联合重型燃气轮机技术有限公司 燃气轮机发电系统和发电方法
CN114024326A (zh) * 2021-11-08 2022-02-0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用于调峰的风光制氢耦合发电和储能系统及方法
CN114149043A (zh) * 2021-11-02 2022-03-08 东北电力大学 一种太阳能分束热电转化制取碳酸氢铵的方法及其装置
CN115352609A (zh) * 2022-05-19 2022-11-18 哈尔滨工程大学 基于冗余式固态储氢法的多源能量协同式氨氢复合动力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02A (ja) * 1997-04-22 1998-11-13 Tomoyasu Ito 燃料自給式発電動力装置
JP2002303454A (ja) 2001-03-30 200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水素酸素製造システム
WO2006064719A1 (ja) 2004-12-13 2006-06-22 Satoru Aritaka 電気エネルギー発生システム
KR101358095B1 (ko) 2011-09-28 2014-02-05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02A (ja) * 1997-04-22 1998-11-13 Tomoyasu Ito 燃料自給式発電動力装置
JP2002303454A (ja) 2001-03-30 200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水素酸素製造システム
WO2006064719A1 (ja) 2004-12-13 2006-06-22 Satoru Aritaka 電気エネルギー発生システム
KR101358095B1 (ko) 2011-09-28 2014-02-05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78A (ko) 2017-11-06 2019-05-1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8757129A (zh) * 2018-06-19 2018-11-06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sofc燃料电池与内燃机燃气分布式耦合系统及其运行方法
CN109882737A (zh) * 2019-04-09 2019-06-14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电氢综合能源供应系统及方法
CN109882737B (zh) * 2019-04-09 2024-01-26 中国石油集团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气电氢综合能源供应系统及方法
KR102226251B1 (ko) * 2020-02-26 2021-03-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친환경 화석연료 개질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추진 방법
CN112952872A (zh) * 2021-04-16 2021-06-11 山东大学 一种风-氢氨-热电蓄能调峰联合发电系统和方法
CN113756953A (zh) * 2021-08-24 2021-12-07 中国联合重型燃气轮机技术有限公司 燃气轮机发电系统和发电方法
CN114149043A (zh) * 2021-11-02 2022-03-08 东北电力大学 一种太阳能分束热电转化制取碳酸氢铵的方法及其装置
CN114024326A (zh) * 2021-11-08 2022-02-0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用于调峰的风光制氢耦合发电和储能系统及方法
CN114024326B (zh) * 2021-11-08 2024-01-2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用于调峰的风光制氢耦合发电和储能系统及方法
CN115352609A (zh) * 2022-05-19 2022-11-18 哈尔滨工程大学 基于冗余式固态储氢法的多源能量协同式氨氢复合动力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951B1 (ko) 연료전지와 가스엔진의 복합 하이브리드 다중 생산 시스템
CA2669630C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supplying energy
AU2012350362B2 (en) A renewal energy power generation system
US10830107B2 (en) Natural gas combined power generation process with zero carbon emission
CN103206307B (zh) 用常压mcfc回收燃气轮机排气中co2的复合动力系统
CN103298976A (zh) 用于在生成电能时在电网中对由于发电波峰和发电波谷而导致的电流量波动进行二氧化碳中性平衡的方法和能量载体生成设备
JP6622696B2 (ja) 減圧システム
US11913434B2 (en) Energy storage with hydrogen
JP2020121944A (ja) 炭化水素合成システム
KR20070088992A (ko) 연료전지 복합발전시스템
CN113889648A (zh) 一种mw级热电联供燃料电池电站
CN112003309B (zh) 一种电力调峰系统
Karaca et al. An integrated renewable energy based plant with energy storage for a sustainable community
Al-Hallaj et al. Conceptual design of a novel hybrid fuel cell/desalination system
RU2529615C1 (ru) Способ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CN214196426U (zh) 火电厂空分储能耦合富氧燃烧碳捕集一体化集成系统
JP2004224661A (ja) 発電・水素生成組合せプラント
JP4745479B2 (ja) 複合発電プラント
JP2003328172A (ja) 水素利用システム
CN113394431B (zh) 一种提高绿氢能源系统利用效率的热管理系统及方法
JP2002056879A (ja) 水電解装置−リン酸形燃料電池系発電システム
Wei et al. SOFC-VPSA System for Power Generation with CO2 Separation
JP2002171697A (ja) 圧縮酸素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Kim et al. Optimization of biogas autothermal reforming integrated with PEM based on renewable energy
DK2528192T3 (en) Energy storage device, network system of energy storage devices and the method of operation of an energy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