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26B1 -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26B1
KR101417926B1 KR1020130040389A KR20130040389A KR101417926B1 KR 101417926 B1 KR101417926 B1 KR 101417926B1 KR 1020130040389 A KR1020130040389 A KR 1020130040389A KR 20130040389 A KR20130040389 A KR 20130040389A KR 101417926 B1 KR101417926 B1 KR 10141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lutch
plates
plate
clutch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811A (ko
Inventor
로버트 앨런 지유어다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11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48Clutch-plates; Clutch-lamellae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9Arrangements for spreading lamellae in the release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자동차 파워트레인에 사용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는, 제1 부재;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2개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그 사이에 분리력(separation force)를 제공하는 세퍼레이터부들을 갖는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는, 이를 통해 개구를 형성하며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를 형성하는 환형 본체부를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치형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치형부 에지는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 에지들 중 하나이다.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본체부에 대해 예각으로 절곡된다.

Description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TABBED SEPARATION CLUTCH PLATE}
본 출원은 2012년 4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624,752호를 우선권으로 한다. 상기 출원의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트랜스미션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트랜스미션을 위한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 조립체의 클러치 플레이트들에 관한 것이다.
본란에서의 기재내용은 본 개시내용에 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며, 종래기술을 구성할 수 있거나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 사이의 몇 가지의 전진 속도비 중 하나를 확립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기어 요소들 및 멀티플레이트 클러치들을 구비한다. 입력 샤프트는 토크 컨버터와 같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차량 엔진에 결합될 수 있고, 출력 샤프트는 차동 기어 세트를 통해 차량 구동 휠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는, 통상적으로 마찰 재료를 지탱하는 코어 플레이트 세트, 세퍼레이터(또는 반동) 플레이트 세트 및 허브를 구비하며, 이 모두는 클러치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클러치 케이스 내의 스플라인 그루브들(spline grooves)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또는 코어 플레이트들의 외주부를 따라 스플라인들과 결합한다. 허브 내의 스플라인 그루브들의 다른 세트는 코어 플레이트들 또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의 내부면들 둘레에서 스플라인들과 결합하는데, 즉 상기 플레이트들 중 어느 것도 케이스에 스플라인되지 않고 허브에 스플라인된다.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및 코어 플레이트들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멀티플레이트 클러치가 결합되고,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및 코어 플레이트들이 함께 푸시되면, 이들은 서로 접촉하여 함께 회전(또는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들을 부착하는 클러치 케이스 및 허브와 결합한다. 멀티플레이트 클러치가 분리되고,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및 코어 플레이트들이 더 이상 함께 푸시되지 않으면, 이론적으로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및 코어 플레이트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때때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코어 플레이트들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에 고착되거나 또는 그와는 달리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 유지한다. 이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내의 드래그(drag) 및 스핀(spin)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가 분리된 경우에, 코어 플레이트들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내용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클러치 플레이트들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하는 단부 또는 부분을 갖는 클러치 플레이트 세트를 구비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일 형태에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는 인터리브형 클러치 플레이트(interleaved clutch plates) 세트를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인터리브형 클러치 플레이트 세트는 복수의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과 인터리브되거나 또는 그와 교호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들을 구비한다. 코어 플레이트들 또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양자는 서로 접촉하는 단부들을 가져서, 단부들 사이에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는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일단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코어 플레이트는 제2 코어 플레이트의 제2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갖는다. 제1 및 제2 단부들은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한다.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고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다른 형태와 조합되거나 또는 그와 별개일 수 있는 일 형태에서, 자동차 파워트레인에 사용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클러치 조립체는 제1 부재(이하, "허브(36)"로 부름); 제2 부재(이하, "외측 요소(28)"로 부름); 상기 제1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2개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그 사이에 분리력(separation force)을 제공하는 세퍼레이터부들(separator portions)을 갖는다.
본원에 기술된 다른 형태와 조합되거나 또는 그와 별개일 수 있는 다른 형태에서, 자동차 파워트레인에 사용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를 구비한다. 복수의 환형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상기 내측 부재에 부착된다.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내측 에지와 제1 플레이트 외측 에지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본체부를 갖는다. 복수의 환형의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상기 외측 부재에 부착된다. 각각의 제2 클러치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 내측 에지와 제2 플레이트 외측 에지를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 본체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세퍼레이터부들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측 에지들, 상기 제1 플레이트 외측 에지들, 상기 제2 플레이트 내측 에지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외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또 다른 세퍼레이터부와 접촉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와 또 다른 세퍼레이터부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다른 형태와 조합되거나 또는 그와 별개일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에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에 사용되는 클러치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는, 그를 통해 개구를 형성하는 환형의 본체부를 구비한다. 환형의 본체부는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를 형성한다.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치형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치형부 에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 중 하나이다.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예각으로 절곡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구비할 수 있는바, 각각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는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를 갖는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세퍼레이터부 각각은 제1 또는 제2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기 본체부들의 상기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기 본체부는 하나의 평면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평면을 벗어나 연장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상기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상기 본체부와 단일 형성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을 벗어나 절곡되며,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평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 중 하나에 스플라인(spline)되는 세퍼레이터 치형부들(separator teeth)이고;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에지와 상기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가지고;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또 다른 세퍼레이터 치형부와 접촉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와 또 다른 세퍼레이터 치형부 사이의 분리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상기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연장시키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절곡된 제1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연장시키는 상기 제1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클러치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에지와 상기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형 스플라인 치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스플라인 치형부는 그 내에 절곡이 없고; 상기 복수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코어 플레이트들이고, 상기 복수의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이고;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된 마찰 재료를 가지고;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극을 통해 연장되는 클러치 허브이고; 그리고 상기 외측 부재는 상기 내측 부재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관점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설명 및 특정 예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의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2의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3의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4의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적용되지 않은 구성에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5a의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적용된 구성에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내용,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한 의도의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은 코어 플레이트들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함으로써 플레이트 클러치들 내의 스핀 손실 및 드레그를 감소시키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분리력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력은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s)과 같은 스프링을 코어 플레이트들(및/또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에 부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코어 플레이트들(및/또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과 일체 및 단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형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들의 스플라인 치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절곡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 치형부는, 설치 시에, 인접한 제2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 치형부와 접촉하므로,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들(및/또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유사 참조부호가 유사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는 클러치 조립체(10)를 도시한다. 그 주요 구성요소로서, 클러치 조립체(10)는 환형의 코어 플레이트(12) 세트(환형의 코어 플레이트(12) 각각은 제1 외부면(14)과 제2 외부면(16)을 가짐)와, 상기 코어 플레이트(12) 세트와 교호적으로 배치된 환형의 세퍼레이터 또는 반동 플레이트(18) 세트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12)들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과 인터리브되고, 그와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코어 플레이트(12)들과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 각각은 평탄형 또는 웨이브형일 수 있다. 예컨대, 웨이브형이면, 코어 플레이트(12)들은 웨이브형 단면을 갖도록 스탬핑될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외부면(14, 16)들 중 하나 또는 그 양자는 외부면(14, 16)들에 접착 또는 부착된 마찰 페이퍼와 같은 마찰 재료(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한 구성에서, 마찰 재료(20)는 제1 외부면(14)과 제2 외부면(16) 양자에 접착된다. 일부 변형례에서,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의 면들에 부착된 마찰 재료를 가질 수도 있다.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 각각은, 각각의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의 외측 에지(24)로부터 연장되는 치형부(22) 세트를 갖는다.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의 치형부(22)는 외측 요소(28)("제2 부재"에 해당함) 내에 형성된 종방향으로 배치된 스플라인(26)과 결합한다. 외측 요소(28)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또는 다른 고정 요소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외측 요소(28)는 트랜스미션 내의 회전 요소일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12)들 각각은,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12)의 본체부(33)의 내측 에지(32)로부터 연장되는 치형부(30) 세트를 갖는다. 치형부(30)는 허브(36)("제1 부재"에 해당함)(도 1에 도시함)와 같은 내측 부재 내에 형성된 종방향으로 배치된 스플라인(34)과 결합한다. 허브(36)는 회전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요소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 플레이트(12)들은 내측 에지(32)들보다는 외측 에지들로부터 연장되는 치형부를 가질 수 있고,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은 외측 에지(24)들보다는 내측 에지들로부터 연장되는 치형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코어 플레이트(12)들은 외측 부재(28)에 부착될 수 있고,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은 내측 허브(36)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리브형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은 백킹 플레이트(3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백킹 플레이트(38)는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을 적용할 수 있는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인터리브형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은 외측 부재(28)를 내측 허브(36)와 상호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이에 따라, 클러치 조립체(10)가 결합되면, 백킹 플레이트(38)에 대해 복수의 인터리브형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을 압축하도록 피스톤(40)이 작동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클러치 조립체(10)를 결합하기 위해, 피스톤(40)은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백킹 플레이트(38)에 대해 압착하여,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 중 하나(본 도시에서, 코어 플레이트(12)들 중 하나)가 백킹 플레이트(38)와 인접 및 접촉한다. 피스톤(40)과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 세트 사이에는 웨이브 플레이트(4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 웨이브 플레이트(42)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클러치(10)가 결합되면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와 접촉한다.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12)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30)는 스프링형 구성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12)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30)는 코어 플레이트(12)의 본체부(33)의 평면(x)으로부터 예각(α)으로 연장되는 단부(44)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12)는 치형부(30) 중 하나 이상 내에 절곡부(46)를 가지므로, 단부(44)가 본체부(33)의 평면(x)에 대해 각을 이룬다. 그러나, 각을 이룬 단부(44)는 소망하는 바와 같이 절곡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의 평면(x)들에 대해 예각(α)으로 단부(44)들이 형성 또는 절곡되기 때문에,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인접한 단부(44)들은 클러치 조립체(1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다시 말하면 피스톤(40)이 웨이브 플레이트(42)와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피스톤(40)이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을 압축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서로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형부(30)의 단부(44)들은 클러치 조립체(1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접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코어 플레이트(12)들이 피스톤(40)에 의해 부분적으로 압축되면 단부(44)들이 접촉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치형부(30)의 단부(44)들 중 일부는 서로 접촉하고, 이는 코어 플레이트(12)들 사이에 분리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치형부(30)의 단부(44)들은 코어 플레이트(12)들의 본체부(33)들을 떠미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코어 플레이트(12)들은 클러치 조립체(1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치형부(30)의 단부(44)들에 의해 형성된 분리력은 코어 플레이트(12)들과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클러치 조립체(10)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단부(44)들이 서로 접촉하고 코어 플레이트(12)들을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로부터 이격되게 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코어 플레이트(12)들에 대한 세퍼레이터 플레에트(18)들의 드레그가 감소 또는 제거된다.
따라서,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스플라인 치형부(30)는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로부터 코어 플레이트(12)들을 분리하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분리력은 보다 많이 접촉하는 단부(44)들을 실시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단부(44)들이 각을 이루어 코어 플레이트(12)들의 내주 둘레를 접촉하고 있다면, 코어 플레이트(12)로부터의 몇 개 또는 하나의 치형 단부(44)가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12)의 또 다른 치형 단부(44)를 접촉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12)들 사이의 스프링력이 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접촉하는 단부(44)들의 패턴을 도시한다. 각각의 코어 플레이트(12)는, 코어 플레이트(12)의 평면(x)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치형부(30A)와, 코어 플레이트(12)의 본체부(33)의 평면(x)과 평탄하게 직선인 제2 치형부(30B)와, 코어 플레이트(12)의 평면(x)에 대해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제3 치형부(30C)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의 패턴은 직선형 치형부(30B)에 의해 분리된 교호하는 제1 및 제3 절곡 치형부(30A, 30C)를 구비하고, 상기 패턴은 코어 플레이트(12)의 내주 둘레에서 반복된다. 보다 큰 스프링력이 요망되면, 직선형 치형부(30B)의 개수가 감소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보다 적은 스프링력이 요망되면, 절곡 치형부(30A, 30C) 중 일부는 직선형 치형부(30B)로서 교호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부들 상에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12)들을 갖는 코어 플레이트(12)들에 대해, 치형부(30) 중 일부는 제1 측부(14)에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12)와 접촉하고, 치형부(30) 중 일부는 제2 측부(16)에 인접한 코어 플레이트(12)와 접촉한다.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은 강(steel)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 및 코어 플레이트(18, 12)들의 치형부(30, 20)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플레이트(12, 18)는 우선 스탬핑(stamped)되거나 또는 파인 블랭킹(fine blanked)된다. 이에 따라, 치형부(30) 중 일부는 치형부(30A, 30C)를 제1 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스탬핑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절곡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치형부(30A, 30C)의 절곡은 단일 다이/파인 블랭크 공정(single die/fine blank process) 또는 점진 이송 다이 공정(progressive die process)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클러치 조립체(10)가 적용된 위치 그리고 적용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웨이브 플레이트(42)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러치 조립체(10)를 도시한다. 도 5a에서는, 클러치 조립체(10)가 적용되지 않는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의 특정 치형부(30A, 30C)의 단부(44)들은 서로 접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 플레이트(12)들을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로부터 이격되게 미는 절곡 치형부(30A, 30C)들 사이에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도 5b에서는, 클러치 조립체(10)가 결합되고, 피스톤(40)이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을 함께 압착한다. 따라서, 코어 및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2, 18)들은 서로 접촉하고, 외측 부재(26)와 허브(36)를 함께 고정한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절곡 치형부(30A, 30C)는 인접한 절곡 치형부(30C, 30A)와 접촉 유지하고, 각각의 절곡 치형부(30C, 30A)는 접촉하는 절곡 치형부(30C, 30A)에 의해 편향된다. 그러나, 피스톤(40)이 클러치 플레이트(12, 18)들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면, 절곡 치형부(30A, 30C)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플레이트(12)들을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도록 인접하게 접촉하는 절곡 치형부(30C, 30A) 상에 충분한 스프링력을 발휘할 것이다.
코어 플레이트(12)들 사이에 분리력을 형성하도록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치형부(30)를 절곡하는 변형례로서, 코어 플레이트(12)들을 떠밀도록 코어 플레이트(12)들의 본체부(33)의 내부 또는 치형부(30)에는, 코일 스프링 또는 접시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이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스프링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을 떠밀도록 세퍼레이터 플레이트(18)들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절곡된 것으로 기술된 치형부(30)는 코어 플레이트(12)들의 세퍼레이터부들이다. 치형부(30)는 코어 플레이트(12)들과 단일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아닐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12)들은 평면 내에 대체로 배치된 본체부를 갖고, 절곡 치형부(30)는 본체부의 평면을 벗어나 연장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자동차 파워트레인에 사용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multiplate clutch assembly)에 있어서,
    제1 부재;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부착된 제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된 제2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 중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 중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와 인터리브되고,
    적어도 2개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그 사이에 분리력(separation force)를 제공하는 세퍼레이터부들(separators)을 갖고,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 각각은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를 갖는 본체부를 갖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을 벗어나 절곡되며,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평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 각각은 환형 형상을 갖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부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의 상기 본체부의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기 본체부는 하나의 평면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각각의 세퍼레이터부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평면을 벗어나 연장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퍼레이터부는 상기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상기 본체부와 단일 형성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부들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하나에 스플라인(spline)되는 세퍼레이터 치형부들(separator teeth)인,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에지와 상기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가지고,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또 다른 세퍼레이터 치형부와 접촉하고,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와 또 다른 세퍼레이터 치형부 사이의 분리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는 제1 및 제2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상기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복수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상기 제1 클러치 플레이트들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에지와 상기 외측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형 스플라인 치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스플라인 치형부는 그 내에 절곡이 없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코어 플레이트들이고, 상기 제2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세퍼레이터 플레이트들이며,
    상기 제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된 마찰 재료를 갖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퍼레이터 치형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들의 제1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플레이트들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극을 통해 연장되는 클러치 허브이고,
    상기 외측 부재는 상기 내측 부재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KR1020130040389A 2012-04-16 2013-04-12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KR101417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24752P 2012-04-16 2012-04-16
US61/624,752 2012-04-16
US13/846,075 US8939270B2 (en) 2012-04-16 2013-03-18 Tabbed separation clutch plate
US13/846,075 2013-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811A KR20130116811A (ko) 2013-10-24
KR101417926B1 true KR101417926B1 (ko) 2014-07-10

Family

ID=4932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389A KR101417926B1 (ko) 2012-04-16 2013-04-12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39270B2 (ko)
KR (1) KR101417926B1 (ko)
CN (1) CN1033755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518B2 (en) * 2012-08-27 2014-12-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abbed clutch plates
WO2015149784A1 (de) * 2014-04-01 2015-10-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DE102015215829A1 (de) * 2015-08-19 2017-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element und Kupplungseinrichtung
WO2017142944A1 (en) * 2016-02-16 2017-08-24 Eaton Corporation Tabbed friction plate clutch
JP6731265B2 (ja) * 2016-03-18 2020-07-29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US10337562B2 (en) 2016-06-17 2019-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lutch for a transmission
US10024369B2 (en) * 2016-09-12 2018-07-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lutch disc with axially expanded spline teeth
US10203005B2 (en) * 2016-11-01 2019-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ssive opening low loss clutch pack
DE102018103981A1 (de) * 2018-02-22 2019-08-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kupplung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mit zumindest einer Blattfeder zur Verstärkung einer Anpresskraft einer Federeinrichtung
US11092200B2 (en) 2018-10-12 2021-08-17 Borgwarner Inc. Friction plate and clutch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E102019114045A1 (de) * 2019-05-27 2020-1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Verwendung einer solchen Kopplungseinrichtung sowie Kraftfahrzeug
US11560941B1 (en) * 2022-01-11 2023-01-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action plate with an uneven number of tabs in drive and coa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721A (ja) * 1996-12-10 1998-07-14 Borg Warner Automot Inc ディスク組立体
KR0124021Y1 (ko) * 1993-10-05 1998-09-15 전성원 다판 클러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240A (en) * 1937-11-10 1939-09-26 Carlyle Johnson Machine Co Clutch
US2738864A (en) * 1951-08-18 1956-03-20 Borg Warner Clutch belleville spring type
US4058027A (en) * 1976-07-09 1977-11-15 Gkn Transmissions Limited Control couplings
AU531208B2 (en) * 1979-05-10 1983-08-11 Automotive Products Ltd. Friction clutch driven plate
US4548306A (en) * 1984-04-30 1985-10-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te separator
JP3378100B2 (ja) * 1994-10-28 2003-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構造
US6443286B1 (en) * 2001-01-18 2002-09-03 Twin Disc, Incorporated Modulatable power transmission clutch and a marine transmission
CN2546684Y (zh) * 2002-05-14 2003-04-23 刘新华 一种摩擦片式离合器片总成
US8047337B2 (en) * 2006-04-28 2011-11-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Wheel brak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wheel brak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021Y1 (ko) * 1993-10-05 1998-09-15 전성원 다판 클러치
JPH10184721A (ja) * 1996-12-10 1998-07-14 Borg Warner Automot Inc ディスク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5501B (zh) 2017-03-01
CN103375501A (zh) 2013-10-30
US8939270B2 (en) 2015-01-27
KR20130116811A (ko) 2013-10-24
US20130270054A1 (en)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926B1 (ko)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조립체
US9109639B2 (en) Clutch device
US8640842B2 (en) Clutch plate having integrated separating feature
US9856922B2 (en) Frictional shifting element for a vehicle transmission
US201802383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utch and brake drag reduction using springs
JP7003162B2 (ja) パワートレーン用のトルクリミッタ
DE102012209952A1 (de) Doppelkupplung
US10495157B2 (en) Frictional shifting element for a vehicle transmission
CN107524727B (zh) 用于传动装置的离合器
KR100942539B1 (ko) 웨이브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클러치 및 자동변속기
US9664279B2 (en) Friction element assembly for a transmission and method of assembly
JP2022000594A (ja) 車両の変速機用摩擦型シフト要素のための摩擦要素
US20140326573A1 (en) Friction plate including connected core plates
US10132364B2 (en) Backing plate providing axial stiffness
DE102013206217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scheibenkupplungsanordnung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antriebsstrang
DE102017125456B4 (de) Drehmomentübertragendes Getriebeantriebssystem
KR100956682B1 (ko) 클러치 피스톤, 이를 구비한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EP4310351A1 (en) Clutch device
US11841054B1 (en) Clutch device
KR101912503B1 (ko) 클러치 조립체
CN113348312B (zh) 摩擦式离合器
DE102019134850B3 (de) Reibscheibe mit einer Rotationsachse für ein Reibpaket einer Reibkupplung
WO2020192628A1 (en) Torque transmission arrangement
JP6613710B2 (ja) クラッチ装置
DE102014218604A1 (de) Lamellenkorb für eine Mehrfachkupplung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mellenkor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