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504B1 -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504B1
KR101417504B1 KR1020120151695A KR20120151695A KR101417504B1 KR 101417504 B1 KR101417504 B1 KR 101417504B1 KR 1020120151695 A KR1020120151695 A KR 1020120151695A KR 20120151695 A KR20120151695 A KR 20120151695A KR 101417504 B1 KR101417504 B1 KR 10141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decor
decorative
pvc edge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158A (ko
Inventor
박용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2015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5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미장면에 펼침 시공된 PE폼의 상단에 시공되는 데코타일; 및 상기 데코타일의 일측 가장자리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폭의 일부가 돌출 된 날개형태로 접착되는 PVC엣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타일은 데코타일간 저면에 부착된 상기 PVC엣지의 돌출 부분의 상단에 서로 접착 연결되어 현가식으로 시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1mm 이상의 쿠션감이 있어 보행감이 우수하고, 일반 데코타일에서 요구하는 3.3 제곱미터당 1Kg의 다량의 데코타일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철거가 용이하여 별도의 철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코타일 이음매 부위의 틈 벌어짐 현상이 없으며, 시멘트 바닥의 요철에 의한 상기 데코타일의 튀어 올라옴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Improved decotile for bottom layer and construc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온도에 따른 틈 벌어짐 현상을 줄이고 제조단가의 절감을 실현하도록 저면에 PVC엣지가 접착된 데코타일을 적용한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벽면, 천장 또는 바닥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해서 타일이나 패널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남과 다르게 건축물의 거실이나 침실 등과 같은 주거 공간 및 욕실의 바닥면 또는 음식점, 학원 등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 등을 색다른 형태로 꾸며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어 상기와 같이 타일이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실내 공간을 꾸미는 경우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일은 열과 습기에 강한 고유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부엌에서도 주로 시공되고 있다.
현대 사회는 건축 문화가 발달하면서 우수한 물성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의 보다 자연 친화적이고, 시공이 간편한 건자재를 제조하는 것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타일은 건물의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마감재로서 일반적으로는 점토나 자기(瓷器), 나무 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되어 건축물의 미적 효과를 높이는 내,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재의 타일은 한 번 설치하면 바닥이나 벽체와 일체로 고정되므로, 기 설치된 타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타일의 훼손은 물론이고 바닥면이나 벽체도 깨끗한 상태로 원상회복 되지 못한다.
이런 점 때문에 원할 때 벽면이나 바닥면의 타일을 쉽게 교체해야 되는 환경에도 자기 타일은 적합하지 않다. 기존의 자기 타일은 시공비도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대안으로서, PVC 데코타일 또는 플라스틱 타일(plastic tile)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PVC 데코타일은 바닥면에 다량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데코타일을 붙여서 시공한다. 그러나 PVC 타일의 고유 특성상 수축/팽창의 성질이 있어 거의 대부분 여름/겨울철 난방, 온도, 습도의 변화에 의해 데코타일끼리의 이음매부분에 틈 벌어짐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한 고급형 데코타일은 재질내부에 수축팽창을 제어하는 유리 섬유층을 넣어 생산하여 수축팽창을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유리섬유층을 넣은 개량형 제품도 완벽하게 이음매 틈 벌어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제조단가가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공당시 사용하는 데코타일 전용 접착제는 그 성분이 석유화학물질로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대한 고객거부감이 있다. 또한 데코타일 자체가 매우 딱딱한 소재이므로 사용하는 고객들이 너무 딱딱하다는 불만이 있고, 바닥접착형 데코타일은 바닥 시멘트 미장면의 굴곡이 그대로 타일에 반영되어 시공 후 바닥 평활도가 떨어지고, 향후 철거할 때 고가의 철거비용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접착제 바닥 부착형 PVC 데코타일의 보완을 위해 타일이 서로 맞물리도록 강화마루 기술의 혀홈 결합형 클릭타입이 적용된 클릭형 데코타일이 있다.
상기 클릭형 데코타일은 데코타일을 5밀리정도로 두껍게 만들고 타일의 4측면에 데코타일끼리 혀와 홈이 맞물릴수 있도록 혀와 홈을 미리 가공하여 현장 시공 시에 혀와 홈을 결합하는 형태로 시공하며(기존 강화마루와 동일한 시공방식) 바닥에 접착제를 바르지 않고 제품 그대로를 바닥에 올려놓는 타입이다.
그러나 클릭결합형 데코타일은 먼저 클릭결합용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 데코타일의 두께를 5mm 이상으로 두껍게 만들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2배 이상으로 오르고, 클릭형 혀홈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바닥 난방등에 의해 제품의 수축이 발생하면 혀홈이 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가격자체가 일반 데코타일보다 2배이상이여서 국내에서는 거의 판매가 되지 않고 해외시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은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에 다수의 부원료 및 안료를 섞어 금형에 부어 일정한 형태와 색상을 갖는 타일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한편, 합성수지 기재에 경계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타일형상부를 마련한 플라스틱 타일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은 다수의 타일 형상부 간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절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경계부 전체를 절단해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일 세트의 색상이 단조롭게 마련되며 표면이 평탄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벽이나 바닥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장식성과 기능성을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측에 PVC엣지가 접착된 데코타일의 현가식 시공으로 이음매 틈 벌어짐 현상, 다량의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시공 후 불쾌한 석유 냄새, 딱딱한 표면감촉, 클릭타입 데코타일의 고가 가격대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저렴한 가격대의 실용성이 있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은 바닥 미장면에 펼침 시공된 PE폼의 상단에 시공되는 데코타일; 및 상기 데코타일의 일측 가장자리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폭의 일부가 돌출 된 날개형태로 접착되는 PVC엣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타일은 데코타일간 저면에 부착된 상기 PVC엣지의 돌출 부분의 상단에 서로 접착 연결되어 현가식으로 시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E폼은 보행 시 쿠션감을 갖도록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코타일은 제조 단가의 절감을 위해 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VC엣지는 상기 데코타일의 시공 완성 후 상기 PE폼으로 파고들어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내구성을 높이도록 0.6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C엣지는, 상기 데코타일의 모서리를 포함한 2변의 길이에 대응하여 "ㄱ"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C엣지는 상기 데코타일간 고른 면적의 접착이 되도록 상기 데코타일의 저면에서 상기 PVC엣지의 폭의 절반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의 시공 방법은 데코타일의 저면에 PVC엣지를 부착하는 단계; 바닥 미장면에 PE폼의 펼침 시공하는 단계; PVC엣지가 부착된 데코타일을 상기 PE폼의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데코타일의 PVC엣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른 데코타일과 접착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1mm 이상의 쿠션감이 있어 보행감이 우수하고, 일반 데코타일에서 요구하는 3.3 제곱미터당 1Kg의 다량의 데코타일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철거가 용이하여 별도의 철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코타일 이음매 부위의 틈 벌어짐 현상이 없으며, 시멘트 바닥의 요철에 의한 상기 데코타일의 튀어 올라옴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코타일과 PVC엣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코타일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된 데코타일의 A-A'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코타일이 PE폼에 안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우선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은 바닥 미장면에 펼침 시공되고 보행 시 쿠션감을 갖도록 말랑말랑한 소재의 PE폼(130)의 상단에 현가식으로 시공되고, 3mm 의 얇은 두께를 갖는 데코타일(110); 및 상기 데코타일(110)의 일측 면에 대응한 길이로 데코타일(110)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폭의 절반이 돌출 된 날개형태로 접착되어 구성되는 PVC엣지(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코타일(110)은 접착시공으로 공정 시 하자가 금방 나타나지 않아 인테리어 업체나 디자이너들에게 선호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접착제의 화학성분으로 인한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시공 후 표면의 단단함으로 인한 보행성 저하 및 철거 비용의 상승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데코타일(110)의 주 재료가 나무로 구성되어 있다면 습도 및 온도에 따른 부피량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아 그 자연적인 성질을 살릴 수 없다.
따라서 나무 소재의 데코타일(110)을 습도 및 온도에 자연스럽게 반응하도록 하고, 접착제 사용이 많지 않은 현가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데코타일(110)간 측면 접착 결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소정 두께를 가져야 한다.
종래의 데코타일은 두께가 3mm로 데코타일간 서로 접착한다면 그 두께가 너무 얇아 접착이 불가능하게 되고, 접착된다고 하여도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코타일(110)간 결합을 위해 그 두께가 두꺼워지면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데코타일(110)은 3mm의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데코타일(110)의 저면에 0.6mm 두께의 PVC엣지(120)를 상기 데코타일(11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 된 날개형태로 미리 접착되어 현장 시공자에게 인계된다.
그 후 현장 시공자는 상기 데코타일(110)의 저면에 노출된 PVC엣지(120)부분에 순간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데코타일(110)끼리 연결시키면서 시공한다.
이 때 상기 PVC엣지(120)는 상기 데코타일(110)의 저면에서 상기 PVC엣지(120)의 폭의 절반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코타일(110)간 고른 면적의 접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PVC엣지(120)의 상단에 상기 데코타일(110)의 접착을 실시하여, 그 접착면이 넓어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고, 또한 화학성분이 함유된 데코타일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아울러 상기 데코타일(110)의 두께를 3mm 이하로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PVC엣지(120)를 매개체로 상호 접착 연결된 데코타일(110)들은 PVC엣지(120) 전체가 찢어지는 강도이상의 인장력을 주지 않는 한 상기 데코타일(110)간의 틈 벌어짐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데코타일(110)을 현장 바닥에 시공하기 전 2mm 두께의 PE폼(130)을 바닥 미장면에 펼침 시공 후 상기 데코타일(110)의 현가식 시공을 진행한다.
이는 말랑말랑한 연질형태의 PE폼(130)위에 상기 데코타일(110)의 현가식 시공을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보행 시 약 1mm 내외의 쿠션감을 얻을 수 있어 보행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E폼(130)의 내눌림성, 눌림에 의한 형태 변형성에 의해 시공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0.6mm 두께의 PVC엣지(120)가 상기 PE폼(130)에 파고들어 상기 데코타일(110) 위에서는 하부에 PVC엣지(120)의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고, 또한 데코타일(110) 이음매 부위의 틈 벌어짐 현상이 없으며, 시멘트 바닥의 요철에 의한 상기 데코타일(110)의 튀어 올라옴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면에 설치되는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데코타일(110)의 저면에 PVC엣지(120)를 부착한다.
그 후 바닥 미장면에 PE폼(130)의 펼침 시공을 한다.
그 후 현장시공자는 PVC엣지(120)가 부착된 데코타일(110) 한 장을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데코타일(110)의 PVC엣지(120)에 순간접착제를 도포하여 다른 데코타일(110)과 접착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은 1mm 이상의 쿠션감이 있어 보행감이 우수하고, 일반 데코타일에서 요구하는 3.3제곱미터당 1Kg의 다량의 데코타일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철거가 용이하여 별도의 철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데코타일 120 : PVC엣지
130 : PE폼

Claims (5)

  1. 바닥 미장면에 펼침 시공된 PE폼(130)의 상단에 시공되는 데코타일(110); 및
    상기 데코타일(110)의 일측 가장자리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폭의 일부가 돌출 된 날개형태로 접착되는 PVC엣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타일(110)은,
    데코타일(110)간 저면에 부착된 상기 PVC엣지(120)의 돌출 부분의 상단에 서로 접착 연결되어 현가식으로 시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PVC엣지(120)는,
    상기 데코타일(110)의 모서리를 포함한 2변의 길이에 대응하여 "ㄱ"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E폼(130)은 보행 시 쿠션감을 갖도록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코타일(110)은 제조 단가의 절감을 위해 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VC엣지(120)는 상기 데코타일(110)의 시공 완성 후 상기 PE폼(130)으로 파고들어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내구성을 높이도록 0.6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C엣지(120)는,
    상기 데코타일(110)간 고른 면적의 접착이 되도록 상기 데코타일(110)의 저면에서 상기 PVC엣지(120)의 폭의 절반이 돌출된 날개형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5. 데코타일(110)의 저면에 상기 데코타일(110)의 모서리를 포함한 2변의 길이에 대응하여 "ㄱ"형상인 PVC엣지(120)를 부착하되, 상기 PVC엣지(120)의 폭의 절반이 돌출된 날개형태로 부착하는 단계;
    바닥 미장면에 PE폼(130)의 펼침 시공하는 단계;
    PVC엣지(120)가 부착된 데코타일(110)을 상기 PE폼(130)의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데코타일(110)의 PVC엣지(12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른 데코타일(110)과 접착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의 시공 방법.
KR1020120151695A 2012-12-24 2012-12-24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141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5A KR101417504B1 (ko) 2012-12-24 2012-12-24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5A KR101417504B1 (ko) 2012-12-24 2012-12-24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58A KR20140082158A (ko) 2014-07-02
KR101417504B1 true KR101417504B1 (ko) 2014-07-08

Family

ID=5173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95A KR101417504B1 (ko) 2012-12-24 2012-12-24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5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309B2 (ja) 1998-08-11 2003-10-06 俊男 渡辺 設置・撤去が容易な床面構造
KR20070072381A (ko) * 2005-12-29 2007-07-04 노먼 스톤 마루 타일
KR20100048238A (ko) * 2008-10-30 2010-05-11 박종진 천연석 마루
KR20130051108A (ko) * 2011-11-09 2013-05-20 (주)엘지하우시스 비접착 시공형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309B2 (ja) 1998-08-11 2003-10-06 俊男 渡辺 設置・撤去が容易な床面構造
KR20070072381A (ko) * 2005-12-29 2007-07-04 노먼 스톤 마루 타일
KR20100048238A (ko) * 2008-10-30 2010-05-11 박종진 천연석 마루
KR20130051108A (ko) * 2011-11-09 2013-05-20 (주)엘지하우시스 비접착 시공형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58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93508C (en) Densified foam core (dfc)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and lower density core layer
US10233656B2 (en) Densified foam core (DFC)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US20120005967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US10132088B2 (en) Stone plastic composite (SPC)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US8096093B1 (en) Groutless wall tile systems
US20190169858A1 (en) Tile with protected imitation grout line
KR101417504B1 (ko)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량된 현가식 시공용 데코타일 및 그 시공 방법
CN201620581U (zh) 自行定制图案的塑胶复合地板
CN2930514Y (zh) 地垫
CN207714677U (zh) 一种纤维地板
KR20090010130A (ko) 실내 장식용 조립식 타일
CN208763358U (zh) 一种石材马赛克拼花地坪结构
CN201016211Y (zh) 复合仿玉石扣地板
CN210828165U (zh) 一种多层复合地板
KR200373360Y1 (ko) 장식용 타일
JP2015059322A (ja) タイル貼着シート
JP2015059322A5 (ko)
KR102573166B1 (ko)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CN206016132U (zh) 3d集成装饰板
US20230366212A1 (en)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US20220325530A1 (en) Shower tray and wall panels
KR20200013736A (ko)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0262033Y1 (ko) 자수정이 함입된 장식재
KR20090069351A (ko) 조립식 나무 타일
TR2023003928U5 (tr) Örme ve döşeme görünümüne sahi̇p yüzey kaplama malzeme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