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689B1 -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 - Google Patents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689B1
KR101416689B1 KR1020097003621A KR20097003621A KR101416689B1 KR 101416689 B1 KR101416689 B1 KR 101416689B1 KR 1020097003621 A KR1020097003621 A KR 1020097003621A KR 20097003621 A KR20097003621 A KR 20097003621A KR 101416689 B1 KR101416689 B1 KR 10141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sket
drum
filter basket
pip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223A (ko
Inventor
귀도 켈러
디르크 트로스트만
Original Assignee
타프로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프로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프로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1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33/50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the backwash arms, shoes acting on the cak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필터는, 관형 필터 하우징(1)과, 필터 하우징(1)과 동축을 가지며 회전하도록 배치된 필터 바스켓(9)과, 필터 바스켓(9)에 남아 있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형 플러싱 연결부(16)로 이루어지며, 이 연결부는 필터 바스켓(9)의 연속되는 부분들을 커버하고 그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다. 감소된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과 더불어, 필터를 위한 간단한 구성, 구동 컴포넌트에 대한 향상된 동작 안정성, 필터 바스켓(9)의 회전가능 장착을 얻기 위해, 방수 드럼 모터(3)는 필터 하우징(1)과 동축을 갖고 필터 하우징(9)은 이 모터의 드럼(4)에 고정된다.
필터 , 관형 필터 하우징, 필터 바스켓, 고정형 플러싱 연결부

Description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FILTER FOR FLUIDS IN CONDUITS}
본 발명은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필터는, 관형 필터 하우징과, 필터 하우징과 동축을 가지며 회전하도록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필터 바스켓과, 필터 바스켓에 남아 있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형 플러싱 파이프 단편으로 이루어지며, 이 단편은 필터 바스켓의 부분들을 연속적으로 커버하고 그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형의 필터들은 FR 2,609,644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주로 발전소에서와 같이 열 교환기용 냉각수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며, 냉각수 공급원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잘 알려져 있는 필터는, 소위 백플러싱(backflushing) 원리에 따른 기능과 필터 하우징의 자유 단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스크린 표면을 갖는 필터 바스켓을 구비한다. 스크린 표면 상의 방사형(radial) 분리 웹들은 필터 챔버들을 필터 바스켓의 부분들로서 형성한다. 필터 바스켓은 방사형 스포크(spoke)에 의해 유지된 허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동심 샤프트에 부착된다. 필터 바스켓은 필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모터 구동형 회전 드라이브(motorized rotary drive)에 의해 구동되고, 이 드라이브의 구동 피니언(pinion)은 필터 바스켓의 외측 톱니 와 맞물려 동작한다. 플러싱 파이프 단편은 필터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흡입관에 연결되며 필터 챔버의 개방측에서 바로 상향측 상의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 흡입관을 통해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서 흡입이 생성되어 이 흡입관으로부터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 의해 현재 커버되어 있는 필터 챔버로 흡입이 가해지면, 이러한 필터 챔버의 필터 바스켓에 남아 있는 먼지 등과 같은 물질이 흡입관을 통해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 의해 필터 챔버로부터 외부로 방출되어 제거된다. 흡입관은 주기적으로 또는 필터 챔버 내의 먼지 양에 따라 동작한다. 필터 바스켓은 회전 드라이브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필터 챔버가 플러싱 파이프 단편의 흡입 효과에 차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세척된다.
유사한 필터가 FR 2,716,530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필터 챔버들의 구획부(subdivision)와 스크린 표면을 갖는 필터 바스켓은 필터 하우징과 동축을 갖고 또한 필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필터는 열 교환기의 냉각수 배출구에 배치된다. 이것은, 필터 챔버들 내에서 열 교환기의 도관을 통해 순환되는 세척 대상(cleaning bodies)을 포착하고 백플러싱 원리를 적용하여 그러한 세척 대상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는 외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박스의 피니언과 맞물려 동작하는 필터 바스켓 상의 외측 톱니에 의한 것이다. 파이프 단편은, 이러한 필터 바스켓 상의, 상향측(upstream)과, 하향측(downstream) 각각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파이프 단편 두 개가 협동한다. 냉각수는 압력을 받아 하향측 파이프 단편 내로 유입되고, 스크린 표면에 남아 있는 세척 대상을 제거하도록 파이프 단편에 의해 커버된 각 필터 챔버의 스크 린 표면을 관통하며 상향측 파이프 단편과 이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백플러싱 시스템을 갖는 이러한 유형의 필터는 추가로 EP 0,897,096 Bl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냉각수를 세정하고 냉각수 흐름으로부터 세척 대상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시, 스크린 표면을 갖는 필터 바스켓은 관형(tubular) 필터 하우징 내에 동축 지지되며, 이 관형 필터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라이브는, 필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필터 하우징의 보스(boss)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피니언과 맞물려 동작하는 필터 바스켓 상의 외측 톱니로 이루어진다. 이 인용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의 냉각수 배출구 상에 배치된 이러한 필터의 하우징은, 필터 바스켓 위의 상향측 상에 플러시-아웃 도관(flush-out conduit)과 필터 바스켓의 하향측 상에 가압 급수 라인(Pressurized-water supply line)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필터 챔버들은 필터 바스켓의 스크린 표면 상의 상향측 상의 방사형 분리 웹들에 의해 형성된다. 가압 급수관에 연결된 필터 바스켓의 파이프 단편이 존재한다. 가압 급수관에 연결된 필터 바스켓의 하향측 상에는, 현재 가압 파이프 단편과 세그먼트 형상 판 사이에 있는 그 필터 챔버 내에 흐름이 자유로운 공간을 형성하도록, 필터 챔버들 위의 상향측 상의 세그먼트 형상 판을 대면하는 가압 파이프 단편이 존재한다. 가압 급수관을 개방함으로써, 가압수는, 가압 파이프 단편 위에 있는 스크린 표면의 섹션을 통해 흐르고 그리고 이러한 단편에 배치된 필터 챔버를 통해 흐르며, 필터 챔버에 남아 있는 세척 대상을 이동시켜 플러시-아웃 도관을 통해 그 세척 대상과 함께 배출된다.
열 교환기의 냉각수 배출구에서 세척 대상을 포착하여 제거하도록 또는 먼지 등의 냉각수를 세정하도록 열 교환기의 냉각수 유입구의 필터 상향측에 전술한 백플러싱 원리가 이용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를 위한 힘 전달(force transmission)은 필터 하우징 내의 필터 바스켓의 외주 상의 톱니형 테두리(rim)에 의해 항상 실행된다. 외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은 톱니형 테두리와 맞물린다. 구조에 따라,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기어박스 또는 필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모터의 구동 샤프트는 방수형(fluid-proof)이어야 한다. 필터 바스켓을 위한 이러한 구동 시스템의 제조 및 유지보수는 매우 번거롭다.
이러한 구동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동작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회전 운동과 관련된 냉각수 흐름으로 인해 필터 바스켓과 스크린 표면에 작용하는 축 응력 및 방사상 응력으로 인해,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와 회전자 베어링의 허용 오차를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와 회전자 베어링은 쉽게 고장날 수 있다. 게다가, 잘 알려져 있는 필터의 모터는 필터 하우징 외부로부터의 보호 및 구조적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수리 및 동작가능 체크를 위한 경비는 매우 크다.
이러한 필터 구조의 대안이 EP 0,268,752 Bl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플러싱 파이프 단편인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흡입 슈(suction shoe)는 고정된 필터 바스켓 아래에서 회전하며 이 바스켓의 필터 챔버들은 상향측 상에 있다. 흡입 슈의 회전 드라이브를 위한 모터는 선택 사항으로 필터 하우징 내에 또는 필터 하우징 밖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구조를 간략화하고, 필터 바스켓의 회전 지지와 구동 컴포넌트의 동작가능 안정성을 제어하며, 필터의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 목적은, 필터 하우징 내에 필터 하우징과 동축을 갖는 방수 드럼 모터를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하고 필터 바스켓을 자신의 드럼에 고정시킴으로써 처음에 언급한 유형의 필터에 기초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가 쉽게 고장나지 않고 종래 기술의 필터 시스템에서의 회전 지지가 불안전하지 않고서 동작할 수 있다. 대신에, 중심에 배치된 새로운 컴포넌트가, 두 가지 기능, 즉,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와 회전 지지를 담당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인 방수 드럼 모터가, 필터 하우징 내에 동축 배치되어 드럼 모터의 드럼의 외부에 있는 필터 바스켓을 캐리(carry)하기 때문이다.
필터 바스켓을 위한 회전 드라이브 시스템을 간략화함으로써, 필터의 동작가능 안정성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고, 또한, 후속 이점으로 유지보수 경비가 상당히 줄어든다.
필터 바스켓 상에 남아 있는 물질을 필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백플러싱 원리는,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 플러싱 파이프 단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간략화된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정형 플러싱 파이프 단편은,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 연결되어 있으며 필터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플러시-아웃 도관의 간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 의해 연속적으로 커버된 필터 바스켓의 부분들은, 필터 표면, 적절하게는 스크린 표면, 또는 필터 챔버들의 스크린 세그먼트들 상의 웹들에 의해 형성된 필터 챔버들로 이루어진다. 플러싱 파이프 단편은 바람직하게 플러싱 압력이 각 필터 챔버에 대하여 가능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필터 챔버를 커버해야 한다.
백플러싱 동안, 필터 바스켓은, 필터 챔버들 내에 남아 있는 물질을 플러싱하거나 흡입 제거하도록,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주기적으로 회전하며, 또는 필터 챔버들 내의 먼지 양에 따라 회전하는 한편, 플러싱 파이프 단편은 필터 챔버들로부터 그러한 물질의 흡입이나 플러시-아웃을 담당한다.
드럼 모터에 의해 캐리되는 필터 바스켓은, 드럼 모터의 드럼 상에 부착된 복수의 필터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누적된 물질들을 제거하도록 적절하게 연속적으로 플러싱되는 필터 캔들(filter candles)과 같은 다수의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드럼 모터의 단부들의 각각은 필터 바스켓으로부터 상향측과 하향측으로 떨어져 방사형 지주들을 갖는 허브에 의해 필터 하우징의 내벽 상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드럼 모터는 필터를 통한 물의 흐름에 대하여 장해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것은, 드럼의 작은 직경으로 인해 드럼 모터의 흐름 저항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필터 바스켓은, 예를 들어 드럼 상에 용접되어 있거나 축방향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드럼 위에 끼워진 파이프 단편에 의해, 드럼 모터의 드럼 상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고, 이로부터 지주들이 필터 바스켓의 환상 측벽으로 연장된다. 지주들은 필터 챔버들을 형성하도록 분리 웹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가지 기능을 달성한다.
플러싱 파이프 단편을 고정 설치하는 경우, 필터에 남아 있는 먼지 입자와 같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서 필터 하우징 밖의 흡입 밸브까지의 거리를 커버하도록 짧은 파이프 단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가 관련되어 있는 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위한 롤러들의 구동을 위해 종래에서 행한 바와 같이, 필터용으로 사용되는 드럼 모터가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사용된다.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의 요구 사항에 적응하는 데 적절한 드럼 모터는, 예를 들어, "A Motorized Drum Roller with Fixed Ends"라는 명칭의 WO 2005/051809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발명은 완전히 새로운 모터 구조의 개발을 요구하지 않으며, 종래 기술의 드럼 모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드럼 모터는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의 필터 바스켓의 회전 드라이브 및 캐리어(carrier)로서 기능하는 상당히 다른 목적에 적응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드럼 모터의 단부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형 지주들에 의해 필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물들에 고정된다. 드럼 모터의 단부 둘 다를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간단한 허브 지지부들 또는 단편들이 적절하다. 방사형 지주들 중 하나는 드럼 모터용 케이블관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모터는 방수형이며 바람직하게 매질 저항성(media-resistant)을 갖는다. 방수 개스킷들은 드럼 모터의 단부 섹션들 상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게다가, 드럼 모터의 회전 방향은, 어느 때라도, 특히 장해물이 필터 바스켓의 완전 회전(full rotation)을 방해하는 경우, 역으로 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변형은, 드럼 모터가 회전자 베어링에 인접하는 고정된 단부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와 드럼 사이에 축방량 베어링을 갖는다는 것이다.
나뭇가지 등의 일부와 같이 큰 잔해물이 필터의 동작시 냉각수 흐름으로부터 필터 바스켓에 의해 남게 되어, 필터 바스켓과 플러싱 파이프 단편 사이에 걸려 있다면 필터 바스켓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추가 개발에 의하면, 필터 바스켓의 회전이 장해물에 의해 한 회전 방향으로 방해받으면 필터 바스켓과 드럼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으로 하도록 드럼 모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필터 바스켓의 회전 운동을 역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필터 바스켓은 자신의 회전 운동을 역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며, 이에 따라 장해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터 챔버로부터의 흡입 제거가 플러싱 파이프 단편을 통해 계속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잔해물을 제거하기 위한 백플러싱 원리가 적용될 수 없다면, 바람직하게 다른 유형의 고정형 세척 요소를 이용하여, 필터 바스켓의 스크린 표면으로부터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걸려 있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백플러싱 원리의 적용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방수 드럼 모터를 관형 필터 하우징 내에 동축으로 배치하고 모터의 드럼 상에 필터 하우징의 자유로운 단면을 커버하는 스크린 표면과 같은 필터 표면을 고정하는 새로운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주로, 먼지 입자와 같은 물질의 냉각수와 같은 유체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터는 예를 들어 열 교환기의 냉각수 공급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응하는 구조적 적응을 이용함으로써, 필터는, 세척 대상을 포착하여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이러한 필터를 이용하여 열 교환기의 관이 세척되고, 이를 위해 열 교환기의 냉각수 흐름의 배출구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필터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가압 급수관에 연결된 파이프 단편은 필터 바스켓 상의 하향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것은 필터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구에 연결된, 필터 바스켓 상의 상향측에 있는 제2 파이프 단편을 대면한다. 그러나, 제2 파이프 단편 대신에, 필터 챔버들은, 만약 존재한다면, 연속적으로 배출구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다음에 따르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필터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필터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은 명백한 도시를 위해 절단되어 있다.
도 2는 필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의 필터의 드럼 모터의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필터는, 열 교환기용 냉각수 공급관과 같은 도관 내에 필터를 설치하도록 양 단부 상에 플랜지(2a, 2b)를 갖는 필터 하우징(1)을 구비한다. 필터를 통해 흐르는 유체, 특히 냉각수의 흐름 방향은 화살표 A로 표시되어 있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필터의 컴포넌트들의 물질은, 유체 또는 전기 모터(특히, 드럼 모터)용 필터를 개발하고 설계하는 당업자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물질에 대응한다.
회전 드럼(4)을 갖는 드럼 모터(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브랫킷(5a, 5b)에 의해 필터 하우징(1) 내에서 동축 위치에 배치된다. 브랫킷(5a,5b)은 반 트위스트(anti-twist) 방식으로 드럼 모터(3; 도 3 참조)의 단부(7a, 7b)를 수용하도록 관 단편(tube piece; 6a, 6b)형으로 각각 되어 있다. 방사형 지주(8)들은 필터 하우징(1)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각 관 단편(6a, 6b)으로부터 연장된다.
필터 바스켓(9)은 반 트위스트 방식으로 관 단편(10)에 의해 드럼 모터(3)의 드럼(4)의 측벽 상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 축 변위에 대하여 고착되며,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고착된다.
방사형 분리 웹(12)들은, 필터 바스켓(9)의 멀티 파트(multi-part) 스크린 표면(11)과 같은 필터 표면 상에서, 필터 바스켓(9)의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필터 바스켓(9)의 환상 외벽(13)으로부터 관 단편(10)으로 연장된다. 분리 웹(12)들 사이에는 유체 흐름으로부터 물질을 포착하기 위한 세그먼트 형상 필터 챔 버(14)들이 존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 챔버(14)의 필터 표면은,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분리 웹(12)들 사이의 스크린 표면(11)과 같이 곡선 스크린 시트로 되어 있다.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은, 필터 챔버(14)의 개구측에 바로 인접하는 필터 바스켓(9)의 상향측 상에 고정 방식(stationary)으로 배치되며, 플러시-아웃 도관을 형성하도록, 필터 하우징(1)을 관통하는 각형(angled) 파이프 단편(17)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플러싱 파이프 단편(16), 또는 이 단편의 개구부는, 필터 챔버(14)의 개구측을 커버하고, 이러한 원리는 백플러싱 원리를 이용하는 필터 시스템에 잘 알려져 있다. 필터 하우징(1)의 내측 상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물질로 된 환상 전도 본체(annular conducting body; 18)가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환상 측벽(13)의 상측 모서리를 걸쳐 연장되어 어떠한 먼지 입자도 필터 하우징(1)의 내측벽과 측벽(13) 사이의 갭을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유체 흐름이 필터 바스켓(9)을 통해 전도되게 한다. 다른 유형의 시일(seal)도 가능하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의 드럼 모터(30)의 기본 구조는, 예를 들어, "Motorized Drum Roller with Fixed Ends"라는 명칭의 WO 2005/051809 A1에서와 같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전기 모터(21)의 피니언(20)과 드럼(4)의 내부 톱니(22) 사이의 감속 기어박스(19), 드럼 모터(3)의 단부(7a, 7b)와 같은 드럼 모터(3)의 컴포넌트들은, 드럼 모터(3)를 필터 바스켓(9)의 회전 드라이브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자(23)의 권선들은 케이블관(26)에 연결된다. 회전자(24)는 피니언(20)을 갖는 회전자(rotor) 샤프트(25)를 구비한다. 피니언(20)은 내부 톱 니(22)를 통해 드럼(4)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감속 기어박스(19)와 맞물린다. 드럼(4)의 단부(7a, 7b)들은 회전자 베어링(27a, 27b)과 방수 개스킷(28a, 28b)을 갖는다. 하향측(7b) 상에는, 흐름 압력을 수용하기 위한 축 베어링(29)이 제공된다. 유체와 접하게 되는 드럼 모터(3)의 모든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1.4462 또는 1.4439와 같은 방수 스테인레스 스틸로 되어 있다.
필터 챔버(14) 내에서 먼지 입자와 같은 물질의 피착에 의해 먼지 양이 소정의 한계값에 도달하였다면, 백플러싱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 단편(17)이 개방되어,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을 통해, 그 필터 챔버(14)에 흡입이 가해지고, 이 챔버는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을 대면하며 압력에 상관없이 플러싱 파이프 단편에 의해 폐쇄된다. 동시에, 드럼 모터(3)는 필터 챔버(14)로부터 잔해물을 제거하도록 활성화되어,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이 다음 필터 챔버(14)를 커버할 정도로 필터 바스켓(9)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잔해물이 백플러싱에 의해 그 필터 챔버(14)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챔버(14)들이 순차적으로 세척된다. 드럼 모터(3)를 필터 바스켓(9)의 회전 드라이브로서 제어하는 것은 각각의 원하는 동작 모드에 의존하며, 이러한 동작 모드는 알려져 있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Claims (11)

  1.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로서,
    관형(tubular) 필터 하우징(1)과,
    상기 필터 하우징(1)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동축 배치된 필터 바스켓(9)과,
    상기 필터 바스켓(9) 상에 남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형 플러싱 파이프 단편(stationary flushing pipe piece: 1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플러싱 파이프 단편은 상기 필터 바스켓(9)의 부분들을 순차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되며,
    방수(liquid-proof) 드럼 모터(3)가, 상기 모터의 드럼(4) 상에 부착된 상기 필터 바스켓(9)을 갖는 상기 필터 하우징(1) 내에 동축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 바스켓(9)과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먼지나 세척 대상(cleaning bodies)이 대부분 유지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인 방식으로, 선택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스켓(9)은, 상기 드럼(4)의 외벽에 부착된 관 단편(tube piece: 10)과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환상 외벽(13) 사이에 연장되는 방사형 지주(radial strut)들에 의해 상기 드럼(4)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모터(3)의 단부(7a, 7b)들은, 방사형 지주(8)들에 의해 상기 필터 하우징(1)에 연결된 고정 기구(fixture; 5a, 5b)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스켓은, 상기 드럼 모터(3)의 드럼(4)에 고정된 복수의 필터 요소, 또는 필터 캔들(filter candles)과 같은 다수의 필터 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웹(separating webs; 12)들은 내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환상 외벽(13)으로부터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필터 표면 상에서 연장되고 스크린 표면(11)들을 이용하여 필터 챔버(14)들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챔버(14)들로부터 남겨져 있는 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으로부터 파이프 단편(17)으로서 형성된 플러시-아웃 도관(flush-out conduit)을 통해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과 현재 대면하고 있는 각 필터 챔버(14)로 흡입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은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을 대면하는 필터 챔버(14)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망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웹(separating webs; 12)들은 내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환상 외벽(13)으로부터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필터 표면 상에서 연장되고 스크린 표면(11)들을 이용하여 필터 챔버(14)들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챔버(14)들로부터 남겨져 있는 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으로부터 파이프 단편(17)으로서 형성된 플러시-아웃 도관(flush-out conduit)을 통해 상기 플러싱 파이프 단편(16)과 현재 대면하고 있는 각 필터 챔버(14)로 흡입을 가할 수 있고,
    상기 드럼(4) 상에 상기 필터 바스켓(9)을 부착하기 위한 방사형 지주들은 상기 필터 챔버(14)들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분리 웹(12)들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모터(3)는 자신의 단부(7a, 7b)들에서 방수 시일(liquid-proof seals; 28a, 28b)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모터(3)는 자신의 고정 단부(7a, 7b)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드럼(4) 사이에 축 베어링(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하나의 회전 방향이 방해받으면(block), 상기 드럼 모터(3)와 상기 필터 바스켓(9)의 회전 방향이 역으로 되도록 상기 드럼 모터(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1020097003621A 2007-01-11 2007-01-11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 KR101416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7/000207 WO2008083713A1 (de) 2007-01-11 2007-01-11 Filter für fluide in rohrlei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223A KR20100014223A (ko) 2010-02-10
KR101416689B1 true KR101416689B1 (ko) 2014-07-09

Family

ID=378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621A KR101416689B1 (ko) 2007-01-11 2007-01-11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3047B2 (ko)
EP (1) EP2109489B1 (ko)
JP (1) JP5103481B2 (ko)
KR (1) KR101416689B1 (ko)
DE (1) DE502007005581D1 (ko)
WO (1) WO2008083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719B1 (fr) * 2008-10-02 2016-02-26 Beaudrey & Cie Filtre auto-nettoyant bidirectionnel
US9561454B2 (en) 2012-10-09 2017-02-07 Ovivo Inc. Debris filter with splitter bar
WO2014198907A1 (en) * 2013-06-13 2014-12-18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Pore roller filtration apparatus
US10230284B2 (en) * 2016-02-15 2019-03-12 Nidec Motor Corporation Motor assembly with compact gear drive
CN110975379B (zh) * 2019-12-10 2021-08-24 君品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反冲洗精密过滤器
CN113577966B (zh) * 2021-08-19 2022-09-13 界首市振航塑料机械有限公司 一种可视化塑料造粒烟气智能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137B1 (ko) * 1993-04-21 2001-12-28 볼프강 화우스,칼-페터 찌이트로우 믹싱드럼의구동을위한유체정역학적기어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0995A (en) * 1960-08-29 1964-07-14 Kinney Eng Inc S P Self-cleaning rotary strainer
US3622006A (en) * 1969-10-20 1971-11-23 Marc M Brunner Self-cleaning strainer for pipeline
JPS5372271A (en) * 1976-12-09 1978-06-27 Kubota Ltd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fluid
JPS62109723U (ko) * 1985-12-28 1987-07-13
DE3640638C1 (de) * 1986-11-28 1988-05-19 Taprogge Gmbh Vorrichtung zur mechanischen Reinigung von Fluessigkeiten
FR2609644B1 (fr) 1987-01-16 1991-01-04 Beaudrey & Cie Filtre auto-nettoyant a inserer sur une conduite sous pression
DE4103514C1 (ko) * 1991-02-06 1992-11-05 Josef Dipl.-Ing. 4006 Erkrath De Koller
US5217512A (en) 1992-05-28 1993-06-08 Pneumafil Corpo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debris from a moving airstream
FR2716530B1 (fr) 1994-02-24 1996-07-12 Beaudrey & Cie Dispositif d'interception pour éléments solides circulant dans un échangeur de chaleur pour le nettoyage de celui-ci.
DE29510217U1 (de) * 1995-06-23 1995-09-07 Stegmann K H Filter zur Reinigung von Flüssigkeiten
JPH1080609A (ja) * 1996-09-09 1998-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洗浄式ストレーナ装置
JP3631871B2 (ja) * 1997-01-28 2005-03-23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小型モータ
FR2767381B1 (fr) * 1997-08-13 1999-10-29 Beaudrey & Cie Filtre a inserer sur une conduite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n tel filtre
JP4062904B2 (ja) * 2001-10-22 2008-03-1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ポンプゲート
JP2004027878A (ja) * 2002-06-21 2004-01-29 Kubota Corp 横軸排水ポンプ装置
JP2004143888A (ja) * 2002-10-28 2004-05-20 Kubota Corp ポンプゲート
JP3959491B2 (ja) * 2003-01-20 2007-08-15 伊東電機株式会社 モータ、並びに、モータ内蔵ローラ
JP2005176588A (ja) * 2003-11-20 2005-06-30 Sumitomo Heavy Ind Ltd モータ内蔵ローラ
CA2450588C (en) 2003-11-25 2011-10-18 Alexander D. Kanaris Motorized drum roller with fixed ends
JP2007289890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Corp ストレーナ
WO2008083714A1 (de) * 2007-01-11 2008-07-17 Taprogge Gmbh Filter für flu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137B1 (ko) * 1993-04-21 2001-12-28 볼프강 화우스,칼-페터 찌이트로우 믹싱드럼의구동을위한유체정역학적기어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3481B2 (ja) 2012-12-19
WO2008083713A1 (de) 2008-07-17
US8123047B2 (en) 2012-02-28
EP2109489B1 (de) 2010-11-03
DE502007005581D1 (de) 2010-12-16
JP2010515562A (ja) 2010-05-13
KR20100014223A (ko) 2010-02-10
EP2109489A1 (de) 2009-10-21
US20090321345A1 (en)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689B1 (ko) 도관 내의 유체를 위한 필터
US10245531B2 (en) High-efficiency automatic self-cleaning strainer
US8678199B2 (en) Filter for fluids
CN110642406A (zh) 一种环保用污水处理装置
KR101759663B1 (ko) 모터펌프의 여과필터 자동 세척장치
CN210859363U (zh) 用于城市明挖隧道施工的抽水水泵
WO2021019494A1 (en) Self cleaning filtering apparatus for plate heat exchangers
KR102053710B1 (ko)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CN113926233A (zh) 一种低负载启动的过滤器
KR20120114791A (ko)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CN207085462U (zh) 滤网式反冲洗排污滤水器
JP4183591B2 (ja) 夾雑物除去装置
CN217613310U (zh) 一种自清洁过滤器
JP3909244B2 (ja) ふるい分け装置
CN219559080U (zh) 用于定型机排风口的过滤装置
US5238502A (en) Condenser backflush system and method for use
JPH07136440A (ja) フィルタ装置
CN214437056U (zh) 转鼓式精密过滤器
JPH0724222A (ja) 流水管内の夾雑物除去装置
CN206577469U (zh) 一种转盘微滤装置
CN201551882U (zh) 一种连续旋转挤压过滤装置
CN216295373U (zh) 一种低负载启动的过滤器
KR20110020458A (ko) 양방향 이물질 배출부를 갖는 디스크 필터
CN104174204A (zh) 一种流体过滤方法和装置
CN219272344U (zh) 一种滤网杂质自动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