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83B1 -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83B1
KR101415383B1 KR1020087016342A KR20087016342A KR101415383B1 KR 101415383 B1 KR101415383 B1 KR 101415383B1 KR 1020087016342 A KR1020087016342 A KR 1020087016342A KR 20087016342 A KR20087016342 A KR 20087016342A KR 101415383 B1 KR101415383 B1 KR 10141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transition
measurement
channel quality
measurement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133A (ko
Inventor
이주호
시아오치앙 리
청쥔 쑨
츈잉 쑨
장유지엔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삼성 텔레콤 알 앤 디 센터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삼성 텔레콤 알 앤 디 센터,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이징 삼성 텔레콤 알 앤 디 센터
Publication of KR2008009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송 모드 전이 방법에 있어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측정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하는 전이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분산 전송, 집중 전송, 기지국, 전이 지시자, 하향링크, 상향링크

Description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A METHOD FOR TRANSITION BETWEEN DISTRIBUTED TRANSMISSION AND LOCALIZED TRANSMISSION}
본 발명은 집중 데이터 전송 모드와 분산 데이터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두 모드간의 전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 함) 표준화 기구는 기존의 시스템 표준에 대한 Long-Term Evolution("LTE"라 함)를 진행중에 있다. 다수의 물리 계층 전송 기법들 가운데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은 하향링크 솔루션들 중 하나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는 OFDM이 높은 스펙트럼 활용 효율성과 낮은 처리 복잡도와 같은 장점들을 갖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OFDM은 다중 반송파 변조 통신 기법이다. OFDM 기본 원리는 고속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저속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하여 직교 서브 반송파들이 그룹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다중 반송파의 특징들로 인하여, OFDM 기법은 여러 가지 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1) OFDM 기법의 주목할만한 우수성은 채널 지연이 순환 전치 구간(cyclic prefix; CP)(각각의 심벌에 보호 구간을 부가함으로써 도입됨)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 있는데, 왜냐하면 데이터가 다수의 서브 반송파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고, 그에 상응하여 각각의 서브 반송파에서의 심벌 길이가 증가하면서도 채널 지연에 대한 민감성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서브 반송파는 플랫 페이딩 채널(flat fading channel) 상태를 겪게 된다. (2) OFDM 기법은 높은 스펙트럼 활용 효율을 갖는다. 주파수 영역에서, OFDM 신호들은 실제로 오버랩한다. 이러한 오버랩은 스펙트럼 활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3) OFDM 기법은 협대역 간섭 저항성(anti-narrowband interference) 또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에 저항함에 있어 강한 능력을 갖는다. OFDM에서는 채널 코딩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통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 및 시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획득하여 협대역 간섭 또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4) OFDM 기법에서는, 기저 대역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ation;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변조가 구현되는바, IFFT/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고속 푸리에 변환)는 가용 고속 계산법을 제공하고, DSP(Digital Signal Prp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 칩 및 하드웨어 구조에서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OFD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2가지 전송 모드 즉 집중 전송 모드와 분산 전송 모드가 존재한다.
집중 데이터 전송이란, 데이터를 집중화된 서브 대역의 서브 반송파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에 효과적인 변조 및 코딩 방법을 구체화하여 BS와 UE 사이의 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적응적 변조 코딩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전송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분산 전송 모드란 UE가 빗 모양의 서브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체 주 파수 대역에 걸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반송파들이 최대한으로 전체 주파수 대역에 분포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시킨다. 통상적으로, 적응적 변조 코딩 및 주파수 스케줄링을 사용할 수 있는 집중 데이터 전송 모드가 더 큰 전송 이득을 갖는다. 그러나, 급변하는 일부 채널들에서, 특정 시점에서 예측되는 채널 상태는 다음 시점의 채널 상태를 반영할 수가 없고, 그에 따라 집중 전송을 구현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분산 데이터 전송 모드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위해 데이터 전송에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
하향랑크 데이터의 전송 프로세스 동안 집중 전송 모드의 경우, UE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을 측정한 후에, 각각의 서브 대역의 측정된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기지국(BS)으로 보고한다. 상기 CQI들을 수신한 BS는 각각의 UE로부터 보고된 CQI 및 현재의 시스템 부하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자원을 UE에 할당할지 여부와, 어떤 집중 주파수 대역을 UE에 할당할지를 판단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스케줄링 및 적응적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Coding; AMC)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UE가 데이터 전송 과정 동안 계속해서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CQI를 기지국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최대 처리량에 도달할 수 있다.
삭제
하향랑크 데이터의 전송 프로세스 동안 분산 전송 모드의 경우, UE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평균 패널 품질을 측정한 후에, 단일의 평균 CQI를 기지국(BS)에 보고한다. 평균 CQI를 수신한 BS는 각각의 UE로부터 보고된 CQI 및 현재의 시스템 부하에 따라 분산 주파수 자원을 UE에 할당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스케줄링 및 적응적 변조 코딩(AMC)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역시 UE가 데이터 전송 과정 동안 계속해서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평균 CQI를 측정하여 측정된 CQI를 기지국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최대 처리량에 도달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중 전송 모드에서 UE로부터 BS로 전송된 측정 보고의 내용은 서브 대역에서의 CQI이고, 분산 전송 모드에서는 UE가 단일의 평균 CQI만을 BS에 전송한다. 따라서, 집중 전송 모드에서 CQI 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가 분산 전송 모드에서의 비트 수보다 훨씬 더 많다.
LTE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은 BS와 UE 사이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BS와 UE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택한다. BS와 UE 간의 채널 상태가 변할 경우에는 집중 전송과 분산 전송 사이의 전이가 일어날 소지가 높다.
기존의 IEEE 802.16E 무선 전송 기법에는 상기 두 개의 전송 모드 사이의 전이가 규정되어 있다.
도 1은 IEEE 802.16E의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UE는 모든 서브 반송파에서 측정된 SNR(Signal-to-Noise Ratios; 신호 대 잡음 비)의 시간 영역에서의 표준 편차의 최대치를 확인하여, 상기 최대치가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게 유지되고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SNR이 정해진 임계치보다 클 경우, UE는 분산 전송 모드에서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 지시자를 BS에게 전송한다(101). BS가 상기 전이 지시자를 수신한 후에, 채널 측정 보고 요청(REP-REQ)을 UE에게 전송하게 된다(102). UE가 측정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에, 채널 측정 보고 응답(REP-RSP)을 BS에게 전송하며(103), 상기 REP-RSP 메시지는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5개의 주파수 서브 대역의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REP-RSP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다음 프레임의 시작에서, UE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시간 영역에서의 차이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하게 된다(104). 상기 BS는 UE에 의해 보고된 CQI에 의거하여 UE에게 집중 채널 할당을 전송하고(105), UE에게 집중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106).
도 2는 IEEE 802.16E의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UE는 모든 서브 반송파에서 측정된 SNR의 시간 영역에서의 표준 편차의 최대치를 확인하여, 이 최대치가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임계치보다 클 경우, UE는 집중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 지시자를 BS에게 전송하고(201), UE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한다(202). 그 후 UE는 BS가 분산 채널 할당(203)을 UE에게 전송할 때까지, 집중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 지시자(201)와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CQI 보고(202)를 반복하여 전송한다. 그 후에 BS는 분산 데이터 전송을 UE에 전송한다(204).
시간 영역의 모든 주파수 서브대역에서 측정된 SNR의 표준 편차의 최대치가 비교적 클 경우, 분산 전송이 UE에 적합하고, 시간 영역의 모든 주파수 서브대역에서 측정된 SNR의 표준 편차의 최대치가 비교적 작고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SNR이 정해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집중 전송 모드가 UE의 전송 모드로 적합한 것임을 IEEE 802.16E의 데이터 전송 모드 전이 프로세스 방법으로부터 알 수 있다. IEEE 802.16E에 따르면, 고속으로 이동된 UE의 시간 영역 채널 편차가 비교적 큰 편차를 가지며, 저속으로 이동된 UE의 시간 영역 채널 편차가 비교적 작은 편차를 가지므로, 분산 데이터 전송이 고속으로 이동된 UE와 저속으로 이동된 UE에 적합하고,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SNR이 높은 경우, 집중 데이터 전송이 적합하다.
집중 전송 모드에 있어서, 몇 개의 서브 대역들의 CQI를 전송하기 위해 더 많은 상향링크 시그널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시그널링 부하가 가중된다. 그러나, 플랫 페이딩 채널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는, 모든 서브 반송파의 SNR이 집중 데이터 전송 반송파이든 또는 분산 데이터 전송 반송파이든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집중 데이터 전송이 분산 데이터 전송에 비해 많은 선택적 주파수 이득을 획득할 수 없게 되므로, 이들의 적응적 변조 코딩 이득은 이들이 분산 전송이나 집중 전송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집중 전송은 상향링크 다중 대역의 CQI 보고를 필요로 하므로, 분산 전송에 비해 더욱 가중된 시그널링이 유발된다. 플랫 페이딩 채널에 있어서, UE가 저속으로 이동된 UE이며 평균 SNR이 비교적 높더라도, 분산 데이터 전송은 집중 데이터 전송에서와 같이 동일한 선택적 주파수 이득을 획득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시그널링 부하는 작으므로, 분산 데이터 전송 모드가 더 적합하게 된다.
이외에, 3GPP의 표준화된 방법에서는 네트워크가 UE의 전송 방법을 제어하며, UE는 데이터 전송 모드의 전이를 결정하지 않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IEEE 802.16E에서의 모드 전이는 3GPP LTE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전이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IEEE 802.16E에서의 모드 전이 방법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UE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보다 적합한 전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모드 전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몇 개의 새로운 측정 보고와 측정 보고 프로세스를 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들 측정 제어와 보고는 RRC 시그널링과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UE와 BS 사이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3GPP에 정의된 RRC 프로토콜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있다. BS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하여 UE에 의해 사용된 네트워크 자원을 구성하고, 측정, 핸드오버 등과 같은 제어에 관한 UE의 기능들을 구성한다. UE와 BS 사이의 물리 계측 인터페이스는 기존 시스템의 CQI 보고와 같은 주로 물리적 신호의 교환을 담당한다. CQI 보고는 3GPP TS 25.211에 정의된 채널 구조와 같이 주어진 물리 채널에 의해 정의된 채널 구조를 통하여 실시되거나, 자체에 정의된 채널 구조를 통하여 실시된다.
상술한 문제점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모드 전이 방법을 제공하며, BS는 데이터 전송의 채널 상태에 의거하여 필요한 측정 보고를 전송하기 위하여 UE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보고에 의거하여 UE의 전송 모드를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산 전송 모드와 집중 전송 모드 사이의 전이 방법은, 기지국이 측정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거하여 새로운 모드로의 전이 지시자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새로운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전송에서의 집중 데이터 전송과 분산 데이터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BS는 UE의 서비스 타입 정보와, 측정과 같은 BS의 정보에 따라서 UE의 전송 모드가 변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BS는 UE에 의해 보고된 몇몇 특정된 정보가 전송 모드 전이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UE에 의해 행해질 측정이 구성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의 측정 제어 메시지(301)를 UE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UE에 의해 행해질 측정(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을 반영하기 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선택도의 측정값)과 측정 보고 상태를 포함한다. BS가 측정 보고 상태를 지시할 경우, 측정 보고 임계치를 UE에게 지시할 수 있고, UE가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주기를 또한 지시할 수 있다. UE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지시자에 따라서 측정하며, 특정 측정은 측정 타입에 따라 달라진다. UE의 측정이 BS의 보고 상태를 만족할 경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302)를 BS에게 전송하게 되며, 이는 특정 측정된 값 또는 이벤트 타입의 측정 보고 또는 그 밖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보고가 이벤트 타입일 경우, UE의 측정값이 어떤 임계치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경우에 BS에게 그 이벤트를 보고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이다. 측정된 값 또는 UE로부터 보고된 측정 이벤트에 의거하여, BS는 UE의 동작을 상세히 결정할 수 있으며, UE에게 새로운 모드 전이 지시자(303)를 전송할 수 있어서, UE가 모드 전이나 상태 전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 UE가 전이 지시자를 수신한 후에, UE와 BS 사이에 새로운 모드의 CQI 보고와 하향링크 전송(304)이 시작된다.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301, 302, 및 303은 모든 주파수 자원의 제어 시그널링이며, 304의 CQI 보고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하향링크 집중 전송 모드는 집중 CQI 보고, 즉 다수 개의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를 보고하는 것으로, 상기 모드에서 UE의 CQI 보고 방법만을 의미하며, 집중 자원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그러나, UE가 상기 모드의 전송 프로세스에서 집중 CQI 보고를 전송하지만, BS가 데이터 전송을 몇 개의 서브 프레임 내의 몇 개의 분산 자원에 할당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향링크 분산 전송 모드는 UE에 의해 전송된 CQI 보고가 주파수 대역에서 단일한 것을 의미하고, 분산 자원으로 전송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UE가 분산 CQI 보고를 전송하지만, BS가 몇 개의 서브 프레임 내의 몇 개의 집중 자원에 데이터 전송을 할당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의 전송 프로세스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집중 데이터 전송과 분산 데이터 전송 사이의 하향링크 전송 전이에는 두 가지의 프로세스가 있으며, 하나는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이고, 다른 하나는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BS는 UE의 상향링크 전송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변화가 느린 경우,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여(401), 하향링크 채널에서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하는 측정 보고와 상기 측정된 보고 상태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지시한다. BS가 측정 보고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측정 보고 임계치, 또는 UE가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주기를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UE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UE의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를 측정하기 시작하고, 보고 상태가 만족하는 경우,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측정된 페이딩의 선택도 값을 보고하기 위해 측정 보고(402), 또는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를 반영하는 이벤트를 BS에게 전송한다. BS는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보고 또는 이벤트 보고를 UE로부터 수신한 후에, UE의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 정도 또는 수신된 이벤트 보고에 의거하여, UE의 하향링크 전송을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 변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전송 모드를 변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BS는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403)를 UE에게 전송한다.
UE가 전이 지시자(403)를 수신한 후에, 집중 CQI 보고(404)를 BS에게 전송하고, 몇 개의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하기 시작한다. BS는 집중 CQI 보고를 수신한 후에, 다양한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에 의거하여 UE에 대한 채널 할당을 행하고, 집중 채널 할당 시그널링(405)을 UE에게 전송하고, 어떤 주파수 서브 대역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에 사용되는지를 UE에게 지시한다. 그 후에, BS는 UE에게 집중 데이터 전송(406)을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BS는 UE의 상향링크 전송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변화가 빠른 경우, 즉, BS에 의해 측정된 UE의 상향링크 채널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 정도가 정해진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BS는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503)를 UE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변화가 느린 경우, BS는 UE로부터 BS로 전송된 몇몇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가 하향링크 채널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할 수 있는지의 여부, 즉, 집중 CQI 보고에서 주파수 서브 대역의 수가 전체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단하게 되며, 만약 반영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BS는 집중 CQI 보고에 의거하여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결정하고,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에 의거하여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503)를 UE에 전송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만약 UE로부터 BS에 전송된 집중 CQI가 부분적인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이어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없을 경우, BS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501)을 UE에게 전송하여, 하향링크 채널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하는 측정 보고와 UE의 보고 상태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지시한다. BS가 측정 보고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UE에게 측정 보고 임계치를 지시할 수 있거나, UE가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주기를 지시할 수 있다. UE가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자신의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를 측정하기 시작하고, 보고 상태가 만족하면,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측정된 페이딩의 선택도 값을 보고하기 위해 측정 보고(502), 또는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를 반영하는 이벤트를 BS에게 전송한다. BS가 주파수 영역 선택적 보고 또는 이벤트 보고를 UE로부터 수신한 후에, BS의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 정도 또는 보고된 이벤트에 의거하여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UE의 하향링크 전송을 변환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변환시키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BS는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503)를 UE에게 전송한다.
UE가 전이 지시자(503)를 수신한 후에, 분산 CQI 보고(504)를 BS에게 전송하고, 전체 주파수 대역의 평균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한다. BS가 분산 CQI 보고를 수신한 후에, 상기 보고된 CQI 값에 의거하여 UE에 대한 채널을 할당하고, 분산 채널 할당 시그널링(505)을 UE에게 전송하고, 어떤 분산 주파수 서브 대역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에 사용될지를 UE에게 지시한다. 그 후에, BS는 분산된 데이터 전송(506)을 UE에게 전송한다.
상기 두 개의 전이 프로세스에서의 BS와 UE의 특정 동작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BS의 동작 흐름도이다.
BS가 분산 데이터 전송(602)을 UE에게 전송하는 프로세스에서, BS는 UE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603), UE의 상향링크 채널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가 느린지의 여부를 판단하여(604), 만약 느리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분산 전송으로 진행하고 모니터링하며, 만약 느리다고 판단될 경우, BS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605)을 전송하고, 하향링크 채널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하는 측정 보고와 UE의 보고 상태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지시한다. BS가 측정 보고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측정 보고 임계치를 UE에게 지시할 수 있거나, UE의 측정 보고의 주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BS는 하향링크 채널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반영하는 측정 보고 또는 UE에 의해 전송된 변화 정도(606)를 반영하는 이벤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607)하여, 만약 만족하지 않은 경우, 측정 보고 수신(606)으로 진행하고, 만약 전이 상태가 만족하는 경우,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를 UE에게 전송한다(608). 그 후에, UE로부터 전송된 집중 CQI 보고(609)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의 보고된 CQI 값에 의거하여 UE에 대한 채널을 할당하고, 집중 채널 할당 지시자(610)를 UE에게 전송한다. 그 후에, 전송 모드 전이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집중 데이터 전송을 할당된 채널(61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UE의 동작 흐름도이다.
UE가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 보고와 보고 상태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702)을 수신하면, UE는 대응하는 측정(703)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보고 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704)하고, 만약 만족하지 않은 경우, 측정과 판단을 계속하며, 만약 만족하는 경우,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의 측정 보고를 전송(705)하거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를 반영하는 이벤트를 BS에게 전송한다. 그 후에, UE는 BS로부터 송신된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모드 전이 지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706), 만약 수신하지 않은 경우, 측정과 보고를 계속하고, 만약 모드 전이 지시를 수신한 경우,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CQI를 보고하기 위해 집중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한다(707). 그런 다음, BS로부터 전송된 집중 채널 할당 시그널링을 수신하여(708) BS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주파수 서브 대역들이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되고, 정해진 주파수 대역들에서 집중 데이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709), 그러므로 전송 모드 전이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BS의 동작 흐름도이다.
BS가 집중 데이터 전송(802)을 UE에게 전송하는 프로세스에서, BS는 UE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803)을 실행하고, 그런 다음 UE의 상향링크 채널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가 느린지의 여부를 판단(804)하여, 만약 상기 변화가 느리지 않은 경우, 전이 지시자를 UE에게 전송하고(809),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 변환하도록 UE를 지시한다. 만약 상기 변화가 느린 경우, BS는 집중 전송의 현재 CQI 보고에 의거하여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를 판단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 판단하며(805), 만약 판단가능한 경우, BS는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에 의거하여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808), 만약 만족하지 않은 경우, BS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고(806),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 보고와 보고 상태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지시한다. BS가 측정 보고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BS는 측정 보고 임계치를 UE에게 지시할 수 있고, 또한 UE가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주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UE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의 측정값이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변화 정도를 반영하는 이벤트의 측정 보고를 수신한다(807). 그 후에,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 보고 또는 이벤트 보고에 의거하여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8).
판단(808)을 실행한 후에, 만약 이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BS는 단계 805를 계속 실행한다. 만약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BS는 전이 지시자(809)를 UE에게 전송하여, 집중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해 UE를 지시한다. 그런 다음, BS는 UE로부터 전송된 분산 CQI 보고를 수신하고(810), 보고된 CQI에 의거하여 분산 전송의 채널 할당 지시자를 UE에게 전송하며, 마지막으로 분산 전송을 UE에게 지시된 채널로 전송하게 되어(812), 집중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가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UE의 동작 흐름도이다.
UE가 집중 전송 프로세스 중인 경우, UE는 BS로부터 측정 제어 시그널링이 송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902), BS가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 주파수 영역 선택도의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요청하지 않는 경우, UE는 BS로부터 전송 모드 전이 지시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하게 된다(906). 만약 요청이 있는 경우, UE는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를 측정한다(903). 그 후에, UE는 보고 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904), 만약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계 903을 계속 실행하고, 만약 만족하는 경우,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 보고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페이딩의 선택도 변화 정도를 반영하는 이벤트 보고를 BS에게 전송하고(905), 그 후에 단계 906을 실행하여, 전송 모드 전이 지시자가 BS로부터 송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6).
판단(906)을 실행한 후에, 이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UE는 단계 902를 실행하고, 만약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분산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하게 되며(907), 그런 다음 BS로부터 송신된 분산 채널 할당 지시자를 수신하고, 마지막으로 BS로부터 송신된 분산 전송을 할당된 분산 채널로 수신할 수 있게 되어(909),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가 완료된다.
도 1은 IEEE802.16E의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2는 IEEE802.16E의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BS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UE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BS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UE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방법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를 설명한다.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전이 예를 먼저 설명하다.
UE의 현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분산 전송이고, UE가 저속으로 이동되는 UE이며, 그 채널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가 느리다고 가정한다. 전송 동안에, BS는 UE의 상향링크 전송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BS가 상향링크 전송 서브 반송파에서의 SNR의 편차를 측정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이다. 만약 일정 기간동안 SNR의 측정된 편차가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을 경우, BS는 UE의 채널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가 느리다고, 즉, UE를 저속으로 이동된 UE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상태에서, 집중 전송은 UE에 대해 적합한 하향링크 전송 모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랫 페이딩 채널에 관하여 살펴보면, 분산 전송이 집중 전송과 동일한 전송 이득을 획득할 수 있고, 대응하는 상향링크 보고 CQI 시그널링 부하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플랫 페이딩 채널에서는 분산 전송이 최적의 전송 방법이다. 따라서, UE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에 의거하여 행해지기 위해서는 자세한 판단이 필요하므로, BS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UE에게 전송하여,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요청한다. 한편으로, BS가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UE에게 요청하는 경우, BS는 대응하는 측정 보고 상태를 또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S는 측정 보고의 임계치를 송신하여,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클 경우, UE가 측정 보고와 이벤트 보고를 BS에게 송신하게 하여, 측정값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지시하고, 또는 정해진 보고 주기, 예를 들어, BS가 10ms의 보고 주기를 송신하는 경우, UE는 측정값을 보고하 기 위해 BS에게 10ms마다 측정 보고를 전송하게 된다.
UE가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 측정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UE는 이러한 측정을 행하기 시작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선택도를 나타내는 측정값은 다양한 CQI 보고 주파수 서브대역의 최대 CQI 차이(CQI_difference_max), 즉, 모든 CQI 보고 주파수 서브대역의 최대 CQI로부터 최소 CQI를 뺀 차이다. 따라서, UE는 모든 CQI 주파수 서브대역의 SNR을 측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거하여 모든 주파수 서브대역의 CQI 값을 판단할 수 있으며, 보고될 CQI_difference_max 값을 산출할 수 있다. UE는 BS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 상태를 참조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 상태는 측정된 CQI_difference_max 값이 BS에 의해 지시된 보고 임계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고 상태가 만족하는 경우, UE는 이벤트 보고를 BS에게 전송하여, CQI_difference_max 값이 BS에 의해 지시된 보고 임계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린다. 하향링크 채널에서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므로, 집중 전송을 이용하는 것이 비교적 큰 스케줄링 이득을 획득하게 된다. 이와 같이, BS는 이러한 이벤트에 의거하여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UE에게 지시 시그널링을 전송하게 된다.
UE가 전이 지시자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UE는 몇몇 주파수 서브 대역의 CQI 값을 보고하기 위해 집중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한다. BS는 UE에 의해 보고된 집중 CQI에 의거하여 UE에 대한 집중 채널을 할당하고, 그 후에 이들 집중 채널로 집중 전송을 행하여, 분산 전송에서 집중 전송으로의 모드 전이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다음은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예를 나타낸다.
현재 UE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집중 전송이며, 시스템의 전체 CQI 보고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수는 8이라고 가정한다.
BS는 먼저 UE의 상향링크 전송 채널 품질의 시간 영역에서의 변화,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송 서브 반송파에서의 SNR의 편차를 모니터링한다.
만약 이 편차가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값보다 크게 될 경우, 이는 UE가 고속으로 이동된 UE임을 나타내고, 적절한 전송 모드는 분산 전송이므로, BS는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 시그널링으로의 전이 지시자를 UE에게 직접 전송하게 된다.
만약 이 편차가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값보다 낮을 경우, 이는 UE가 저속으로 이동된 UE임을 나타내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선택도가 순차적으로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UE의 집중 CQI 보고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UE의 집중 CQI 보고가 전체 주파수 대역의 CQI 보고인 경우, 즉, UE가 CQI 보고 주파수 서브대역마다 CQI 값을 BS에게 보고하는 경우, BS는 어떤 다른 추가적인 측정 보고도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며, 집중 CQI 보고에 의거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선택도를 직접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의거하여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전이 지시자를 UE에게 전송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집중 CQI 보고 방법들에 있어서, 이들 중 대부분이 채널 품질 이 가장 좋은 몇몇 주파수 서브대역의 CQI만을 보고하며, 이와 같이 이들 주파수 서브대역의 이들 CQI 보고에 의거하여, BS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 정도를 판단하기에는 종종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UE가 8개의 주파수 서브대역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3개의 주파수 서브대역만을 보고한다고 가정하면,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의 주파수 영역 선택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BS는 UE로부터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을 반영하는 측정 보고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BS는 측정 제어 시그널링을 UE에게 전송하여 CQI_difference_max의 보고 임계치를 지시하고, CQI 보고 주파수 서브대역에서의 최대 보고 CQI 차, 즉 CQI_difference_max 및 지시된 보고 임계치 비교 결과의 이벤트 보고를 알린다. UE가 이 지시를 수신한 후에, 모든 주파수 서브대역의 CQI 값을 측정하고, CQI_difference_max를 산출하여, CQI_difference_max가 보고 임계치보다 낮은 것을 발견한 경우 대응하는 이벤트 보고를 BS에게 전송한다. BS가 이벤트 보고를 수신한 후에, 하향링크 채널에서의 주파수 영역 선택적 페이딩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알게 되면, 그 채널은 거의 플랫 페이딩 채널이므로, 분산 전송 모드가 보다 적합하며, 따라서 BS는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모드 전이 지시자를 UE에게 전송하게 된다. UE가 이 모드 전이 지시자를 수신한 후에, 분산 CQI 보고를 BS에게 전송하게 되며, BS는 UE로부터 송신된 분산 CQI 보고에 의거하여 UE에 대한 분산 전송 채널을 할당하고, 그 후에 할당된 분산 채널로 분산 전송이 행해지며, 따라서 집중 전송에서 분산 전송으로의 모드 전이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BS는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의 변하는 특성에 의거하여 하향링크 전송에 보다 적합한 전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전송 모드를 선택할 때에, 주파수 영역의 변화 특성이 또한 고려되지만, 전통적인 방법은 시간 영역의 변화 특성에 따라서만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고, 새로운 방법은 하향링크 전송이 플랫 페이딩(flat fading)과 유사한 채널 상태하에서 분산 전송을 사용하게 함으로, 전송 이득을 감소시키지 않고 상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송 모드 전이 방법에 있어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측정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하는 전이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단일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서브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복수의 채널 품질 지시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시 고려하는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 선택도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이벤트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은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송 모드 전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측정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현재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하는 전이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단일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서브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복수의 채널 품질 지시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시 고려하는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 선택도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이벤트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은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 전이 방법.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전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측정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하는 전이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단일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서브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복수의 채널 품질 지시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시 고려하는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 선택도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이벤트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은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전이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따라 측정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현재 전송 모드에서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하는 전이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분산 전송 모드 또는 상기 집중 전송 모드에 상응한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분산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단일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지시자가 상기 집중 전송 모드로의 전이를 지시할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는 서브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복수의 채널 품질 지시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시 고려하는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채널 페이딩 선택도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이벤트 타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은 상기 측정 결과와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087016342A 2006-01-06 2007-01-08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 KR10141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005298.0 2006-01-06
CNA2006100052980A CN1996992A (zh) 2006-01-06 2006-01-06 用于分布式和局部式传输模式间转换的方法
PCT/KR2007/000107 WO2007078178A1 (en) 2006-01-06 2007-01-08 A method for transition between distributed transmission and localized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133A KR20080091133A (ko) 2008-10-09
KR101415383B1 true KR101415383B1 (ko) 2014-07-04

Family

ID=382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342A KR101415383B1 (ko) 2006-01-06 2007-01-08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08855B2 (ko)
KR (1) KR101415383B1 (ko)
CN (1) CN1996992A (ko)
WO (1) WO2007078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40341T3 (es) * 2007-09-10 2017-11-02 Nokia Technologies Oy Cambios de los ajustes de hardware basándose en preámbulo de datos
US7995662B2 (en) * 2007-09-14 2011-08-09 Intel Corporation CQI reporting techniques for OFDMA wireless networks
WO2009118707A1 (en) * 2008-03-26 2009-10-01 Nokia Corporation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8811353B2 (en) * 2008-04-22 2014-08-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k and PMI in download control signaling for uplink single-user MIMO (UL SU-MIMO)
CN102638822A (zh) * 2008-06-24 2012-08-15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控制的方法、终端、网络侧设备及网络系统
US8208936B2 (en) * 2008-09-04 2012-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ell-edge data through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270423B2 (en) 2008-10-22 2016-02-23 Zte (Usa) Inc. Reverse link acknowledgment signaling
CN102422569B (zh) * 2009-05-08 2015-04-15 中兴通讯(美国)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反向链路信令技术
US9036572B2 (en) 2009-06-11 2015-05-19 Lg Electronics Inc.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94453B2 (en) * 2009-11-03 2013-07-2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646789B1 (ko) 2010-01-1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활성화 방법 및 장치
JP5477482B2 (ja) * 2010-03-19 2014-04-23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セルmimo送信のためのセル選択
US8649282B2 (en) * 2010-04-19 2014-02-11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MAC level message with CQI channel control message for channel feedback report
CN102244564B (zh) * 2010-05-11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mimo系统的下行传输方法和基站
CN102377464A (zh) * 2010-08-06 2012-03-14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下行信道状态测量参考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
EP3110063B1 (en) * 2011-11-07 2018-03-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US9615316B2 (en) * 2011-11-18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odified cell reselection parameters and procedures when access terminals exhibit little or no mobility
US9769806B2 (en) 2012-01-17 2017-09-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source configuration for EPDCCH
US8929934B2 (en) * 2012-04-25 2015-01-0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US9854570B2 (en) * 2012-06-07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virtual cell ID
EP2894919B1 (en) * 2012-09-27 2020-01-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 candidates
KR20160051758A (ko) 2013-09-03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운링크 전송 방법 및 사용자 단말 장치
US10523383B2 (en) * 2014-08-15 2019-12-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forms and utilization thereof
CN106376016A (zh) * 2015-07-20 2017-02-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终端的传输模式间切换方法、装置及系统
US9749941B2 (en) * 2015-12-10 2017-08-29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arch
CN109155687B (zh) * 2016-05-31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确定数据流支持的传输速率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20190100239A (ko) * 2016-12-28 2019-08-2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542549B2 (en) * 2017-10-24 2020-01-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Wireless channel allocation amongst multiple base stations
CN110460976B (zh) * 2019-09-23 2020-03-31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飞行监控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861A (ko) * 2003-11-20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방법
KR20050050922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적응적 채널할당을 위한 채널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050102434A (ko) * 2004-04-22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할당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373B2 (en) * 2003-04-25 2009-12-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feedback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46923B1 (ko) * 2004-03-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KR20050091582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의 채널 품질 표시정보 전송 방법
KR100620914B1 (ko) 2004-04-07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엠씨 모드와 다이버시티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25143B1 (ko) 2004-05-14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89364B1 (ko) * 2004-11-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품질 정보를 통신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861A (ko) * 2003-11-20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방법
KR20050050922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적응적 채널할당을 위한 채널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050102434A (ko) * 2004-04-22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할당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08855B2 (en) 2012-06-26
KR20080091133A (ko) 2008-10-09
WO2007078178A1 (en) 2007-07-12
US20090130985A1 (en) 2009-05-21
CN1996992A (zh)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383B1 (ko) 분산 전송과 집중 전송 사이의 전이 방법
JP5231245B2 (ja) 送信モード遷移を判定するための測定報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7979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ntenna and channel assignments in broadband wireless networks
JP4358270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品質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4376877B2 (ja) 複数のサブキャリアからなるチャネルにより通信可能な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方法
US9930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85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indicator report
EP1750399B1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2320704A1 (en)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005629B1 (en) Channel quality signaling
Crepaldi et al. CSI-SF: Estimating wireless channel state using CSI sampling & fusion
CA2605845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mc channels and diversity channels,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thereof, and system thereof
Classon et al. Multi-dimensional adaptation and multi-user scheduling techniques for wireless OFDM systems
Toskala et al. UTRAN Long‐Term Evolution
CN116599637A (zh) 一种上行物理共享信道的波形切换方法和系统
Wang et al. FC-MAC: Fine-grained cognitive MAC for wireless video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