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989B1 - 공기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989B1
KR101414989B1 KR1020130157713A KR20130157713A KR101414989B1 KR 101414989 B1 KR101414989 B1 KR 101414989B1 KR 1020130157713 A KR1020130157713 A KR 1020130157713A KR 20130157713 A KR20130157713 A KR 20130157713A KR 101414989 B1 KR101414989 B1 KR 10141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water tank
dry filt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89B1/ko
Priority to US15/031,78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243492A1/en
Priority to PCT/KR2014/009770 priority patent/WO2015060587A1/ko
Priority to JP2016550439A priority patent/JP201653852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31Pretreatment by other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1Bacteria;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조에 물을 채워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중으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2차적으로 공기를 필터링하고, 또한 수조의 물을 직접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써 열효율이 높은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지고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1차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건식필터;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중으로 유입받아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 필터링하며, 물속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수조;로 구성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공기를 건식 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 한 후, 2차로 습식 필터에 의해 필터링함과 동시에 습식 필터에서 냉방 및 난방을 행하도록 한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실외 공기에 포함된 각종 미세먼지, 분진, 대기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내 공기에도 미세먼지, 악취, 세균, 그리고 새집 증후군과 같이 내장재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건강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냉방이나 난방을 행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게 되므로, 밀폐된 실내에서의 실내 공기는 신선하지 못하고 더더욱 오염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실내의 산소 농도도 그만큼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12-0013146호에서는 '공기 조화기용 습식 여과형 필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용 습식 여과형 필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의 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게 양측부가 개구된 틀체(112); 상기 틀체(112)의 내부에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틀체(112)를 통과하는 에어에 함유된 분진이나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엘리먼트들(114); 상기 필터엘리먼트들(114)에 걸러지는 분진이나 먼지가 물방울과 접촉하여 침전되게 하여 습식여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필터엘리먼트(114)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들(114)을 향하여 에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물을 안개모양으로 만들어 살포할 수 있게 하는 노즐들(116); 및 상기 노즐들(116)을 통해 필터엘리먼트(114)들에 살포된 물을 배수할 수 있게 상기 틀체(112)의 하부에 설치한 드레인(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 조화기용 습식 여과형 필터장치'는 분진이나 먼지를 걸러내기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필터엘리먼트(114)에 각각 다수의 노즐들(116)이 구비되어 물을 살포함으로써 대량의 물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필터엘리먼트(114)에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대용량의 송풍팬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 송풍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살포된 물이 날려서 효과적인 필터링이 행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살포된 물이 필터엘리먼트(114) 쪽으로 지속적으로 분사되므로, 살포된 물과 접촉한 분진이나 먼지가 필터엘리먼트(114)에 접촉함으로써 다시 필터엘리먼트(114)가 오염되며, 그 오염된 부위에서 각종 세균들이 증식하게 되어 다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요인되므로 건강에 매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오염된 필터엘리먼트(114)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필터엘리먼트들(114)을 일일이 분해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본 발명은 수조에 물을 채워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중으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2차적으로 공기를 필터링하고, 또한 수조의 물을 직접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써 열효율이 높은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식 필터를 통과한 물이 다수개로 분기된 열교환부관을 지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 효율을 높인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 장치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지고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1차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건식필터;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중으로 유입받아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 필터링하며, 물속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수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필터를 통해 먼지나 분진 등이 1차 필터링되고, 수중을 통과하면서 잔여 먼지나 분진 및 세균, 유해 가스 등의 유해 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수중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물을 분사하여 필터링하는 경우보다 과도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을 직접 가열 또는 냉각하여 수중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함으로써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경우보다 에너지 소모가 매우 낮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조의 덮개를 열어 쉽게 내부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용 습식 여과형 필터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수조내에 설치된 필터부재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5는 열교환부의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송풍팬(210), 건식필터(220), 수조(240)로 구성된다.
송풍팬(210)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부가하여 토출하는 것으로서, 시코로팬 등의 일반적인 송풍팬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1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건식필터(220)를 통해 먼지 또는 분진 등이 제거되는데, 상기 건식필터(220)는 하우징(221)의 내부에 필터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건식 필터부재(222)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부재(222)의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하우징(221)은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건식필터(22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유입관로(230)를 통해 수조(240)로 유입되는데, 상기 수조(240)는 물을 수용하고 있으며, 일측 하부에는 상기 건식필터(220)를 통과한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유입구(241)가 설치되는데, 상기 유입구(241)는 수조(240) 내의 수면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되어 공기 유입관로(230)와 접속된다.
이는 곧 공기가 큰 압력을 가지지 않고도 수중으로 쉽게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물이 건식필터(22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조(240)의 타측 하부에는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드레인(244)이 설치되며, 드레인(244)에는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밸브(2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중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조(240)의 상측에는 유출구(242)가 형성된다.
아울러, 수조(24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식 수중 히터(246)와,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코일(247)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냉각코일(247)에는 냉매가 흐르게 되며, 그 냉매는 공지의 냉각 싸이클을 갖는 냉각장치(250)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즉, 냉각장치(250)는 냉매 압축수단, 팽창수단 등을 구비한 공지의 구조를 가지며, 냉각코일(247)은 열교환기로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히터(246)와 냉각장치(250)는 컨트롤 판넬(26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게 되는데, 수조(240)내에 수온센서(270)가 구비되어 수온센서(270)로부터 물의 온도값을 컨트롤 판넬(260)에 인가받아 히터(246)와 냉각장치(25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수조(240)의 상측은 분리가 가능한 덮개(240-1)가 체결됨으로써 덮개(240-1)를 분리하여 수조(240)의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동작을 설명한다.
송풍팬(21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압력을 가지고 건식필터(220)로 유입되면, 먼지 또는 분진 등이 1차로 제거되어 공기유입관로(230)를 통해 수조(240)로 유입된다.
수조(240)로 유입된 공기는 수중을 통과하면서 공기방울 형태로 상승하고, 물과 접촉하여 2차 필터링이 행해지는데, 많은 공기방울에 의해 표면적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오염물질이 물에 효율적으로 흡착되어 필터링 효과가 극대화되며, 이렇게 2차 필터링이 행해진 신선한 공기는 유출구(24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히터(246)에 의해 수조(240)내의 물이 40~50℃ 정도로 가열되면, 물과 접촉된 공기방울 내부의 공기 온도도 상승하게 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따뜻하게 가열되어 난방이 행해질 것이고, 냉각장치(250)와 냉각코일(247)에 의해 물이 18~25℃로 냉각되면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어 냉방이 행해질 것이다.
이러한 난방 또는 냉방은 사용자가 컨트롤 판넬(260)을 조작하여 물의 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컨트롤 판넬(260)은 수온센서(270)로부터 온도값을 인가받아 히터(246) 또는 냉각장치(250)를 구동시킴으로써 물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게 된다.
수조(240)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드레인(244)의 밸브(245)를 열어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 다음 덮개(240-1)를 열고 청소하고, 이후 밸브(245)를 닫아 수조(240)에 다시 물을 채우면 된다.
수조(240)의 크기는 지름 30cm, 높이 50cm 정도로 크지 않으므로, 내부에 20~30리터의 물을 채워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많은 물이 소요되지 않는다.
한편, 수중의 공기방울이 상승하여 수면에서 터지게 되고, 그 터지는 팽창력에 의해 물이 튀어 비산됨으로써 자칫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의 상측부위에서 수조(24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브라켓(248)이 설치되고, 그 브라켓(248)에 부직포 등으로 된 건식 필터부재(249)가 수조(240)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막도록 안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물이 튀더라도 필터부재(249)에 가로막혀 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아울러 필터부재(249)에 의해 다시 한번 필터링이 행해짐으로써 깨끗하고 신선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수조(300)의 상부 측면을 통해 관통되어 공기유입관(33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공기유입관(330)은 수조(300)의 내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유입관(330)의 절곡된 하단부에는 열교환부(34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데, 공기유입관(330)과 열교환부(340)는 용접, 나사결합, 본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부(340)는 도5에서와 같이 상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고정구(341)를 가지며, 상기 고정구(341)의 내측에는 'U'형 금속관 형태를 갖는 열교환관(342)이 다수개 장착되는데, 이러한 열교환관(342)은 그 일측이 고정구(341)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고정구(341)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고정구(34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열교환관(342)은 열전달율이 높은 구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교환면적을 높이기 위해 주름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구(341)의 내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관(342)은 다수개가 빼곡히 밀집하여 있으므로, 그 밀집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용접 등에 의해 상호간 고정되면서, 고정구(341)에도 가장자리의 열교환관(342)이 용접이나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341)의 외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관(342)들은 고정구(341)의 외측둘레를 따라서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수조(300) 내의 물의 수면은 고정구(341)의 외측에 위치한 열교환관(342)이 잠기지 않는 높이를 가지며, 도2에서와 같이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식 수중 히터(246)와,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코일(247) 및 냉각장치(250), 수온센서(270))가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팬(210)에 의해 압력을 가지고 유입된 공기가 건식필터(220)를 통해 필터링되어 공기유입관(330)을 통해 수조(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부(340)의 다수의 열교환관(342)에 의해 분기되어 수면위로 배출되는데, 이때 가열 또는 냉각된 물과 열교환관(342)이 수중에서 접촉되어 있으므로, 열교환관(342)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물과 열교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되게 된다.
열교환관(342)을 통과한 공기는 수조(300) 내에서 수면 위로 배출되는데, 이때 수조(300)내의 공기도 가열 또는 냉각된 물에 의해 뜨겁거나 차가운 상태이므로 열교환관(342)을 통과한 공기가 다시 한번 수조(300)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유출구(35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구조는 수조(300) 내에서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하여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210 : 송풍팬 220 : 건식필터
221 : 하우징 222 : 필터부재
230 : 공기유입관로 240 : 수조
240-1 : 덮개 241 : 유입구
242 : 유출구 244 : 드레인
245 : 밸브 246 : 히터
247 : 냉각코일 248 : 브라켓
249 : 필터부재 250 : 냉각장치
260 : 컨트롤 판넬 270 : 수온센서
330 : 공기유입관 340 : 열교환부
341 : 고정구 342 : 열교환관

Claims (9)

  1.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지고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1차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건식필터;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중으로 유입받아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 필터링하며, 물속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수조;로 구성되며,
    상기 수조의 수면 상측에는 수조의 내부 둘레를 따라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수조의 내부를 가로막도록 필터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2.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지고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건식필터;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건식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수면 상부에서 공기유입관을 통해 유입받아 수중에 설치된 열교환부를 통과시키면서 다시 수면위로 배출시켜 실내로 토출시키는 수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체로 되어 상측이 상기 공기유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는 다수의 'U'형 열교환관의 일측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고정구의 하측을 통해 인출되어 타측이 고정구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그 타측의 단부가 수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은 주름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필터는 투명재질로 된 하우징의 내부에 필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 받는 공기유입관로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관로의 입구부위는 수면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9. 삭제
KR1020130157713A 2013-10-24 2013-12-18 공기조화 장치 KR10141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31,788 US20160243492A1 (en) 2013-10-24 2014-10-17 Air conditioning device
PCT/KR2014/009770 WO2015060587A1 (ko) 2013-10-24 2014-10-17 공기조화 장치
JP2016550439A JP2016538527A (ja) 2013-10-24 2014-10-17 空気調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104 2013-10-24
KR1020130127104 2013-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989B1 true KR101414989B1 (ko) 2014-07-04

Family

ID=5174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713A KR101414989B1 (ko) 2013-10-24 2013-12-18 공기조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43492A1 (ko)
JP (1) JP2016538527A (ko)
KR (1) KR101414989B1 (ko)
WO (1) WO20150605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48B1 (ko) * 2015-10-22 2016-12-30 박정규 공기조화 장치
KR20180075005A (ko) * 2016-12-26 2018-07-04 박정규 냉난방이 가능한 환기장치
CN111998461A (zh) * 2020-09-02 2020-11-27 浙江美臣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8073A (zh) * 2015-12-25 2017-07-04 范波 水清洗空气净化凉风烤火一体机
CN113720164A (zh) * 2021-07-28 2021-11-30 西安工业大学 一种机械零件加工用自洁式冷却设备
CN117232291B (zh) * 2023-11-16 2024-02-02 江苏大江干燥设备有限公司 一种带布风结构的换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596A (ja) * 1991-10-31 1993-05-14 Tadahiko Ibamoto 空調機および熱交換器
JP2003090630A (ja) 2001-09-18 2003-03-28 Hananoi Kensetsu Kk 冷暖房装置
KR100615062B1 (ko) * 2004-05-04 2006-08-25 김진환 물을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7651B2 (ja) * 2000-08-01 2006-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気化式加湿装置
JP2004069290A (ja) * 2002-06-14 2004-03-04 Earth Chem Corp Ltd 卓上型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596A (ja) * 1991-10-31 1993-05-14 Tadahiko Ibamoto 空調機および熱交換器
JP2003090630A (ja) 2001-09-18 2003-03-28 Hananoi Kensetsu Kk 冷暖房装置
KR100615062B1 (ko) * 2004-05-04 2006-08-25 김진환 물을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48B1 (ko) * 2015-10-22 2016-12-30 박정규 공기조화 장치
KR20180075005A (ko) * 2016-12-26 2018-07-04 박정규 냉난방이 가능한 환기장치
KR101967175B1 (ko) * 2016-12-26 2019-04-09 박정규 냉난방이 가능한 환기장치
CN111998461A (zh) * 2020-09-02 2020-11-27 浙江美臣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587A1 (ko) 2015-04-30
US20160243492A1 (en) 2016-08-25
JP2016538527A (ja)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989B1 (ko) 공기조화 장치
KR101082792B1 (ko) 고효율 냉각탑
US11035614B2 (en) Device for producing a stream of air through a volume of liquid
KR20090108250A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가정용 제습장치
KR100740670B1 (ko) 응축수 제거 및 가습기능을 갖는 환기조화시스템
KR20100096801A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KR101967175B1 (ko) 냉난방이 가능한 환기장치
KR20170006444A (ko) 공기 정화 장치
KR20060026222A (ko) 배기가스 내부 순환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2512U (ko) 수류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CN203857654U (zh) 加湿换气装置及空调系统
KR100837619B1 (ko) 축사용 공기정화겸용 냉·난방장치
KR101170599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101394811B1 (ko) 에코 마스터 환기시스템
KR101691548B1 (ko) 공기조화 장치
CN108844137A (zh) 一种带有杀菌功能的空气净化器
CN208269690U (zh) 一种易清洁式高效冷却水塔
KR101959875B1 (ko) 실내공기 리턴으로 청정기능 겸비한 전열교환기
CN107449072A (zh) 具有电子制冷片的除湿装置
CN204902063U (zh) 空气调节装置
KR20080028610A (ko) 습식 공기청정기
CN111256224A (zh)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
CN216953450U (zh) 空调冷凝水循环利用装置
CN210832315U (zh)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
KR102451979B1 (ko) 공기정화형 제습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