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563B1 -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563B1
KR101414563B1 KR1020097025964A KR20097025964A KR101414563B1 KR 101414563 B1 KR101414563 B1 KR 101414563B1 KR 1020097025964 A KR1020097025964 A KR 1020097025964A KR 20097025964 A KR20097025964 A KR 20097025964A KR 101414563 B1 KR101414563 B1 KR 10141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mi
downlink
flag indicator
control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863A (ko
Inventor
히데카즈 타오카
노부히코 미키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2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2Feedback error handling
    • H04B7/0656Feedback error handling at the transmitter, e.g. error detection at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5Feed forward of transmit weights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는,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기지국장치는,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에 따라서,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수단과,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Figure R1020097025964
기지국장치, 플래그 인디케이터, 프리코딩 벡터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방식에 관한 연구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는, W-CDMA나 HSDPA, HSU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을 검토하고 있다. LTE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OFDM 방식을, 상향링크에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예정하고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FDM)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방식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 상에,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싱글캐리어 FDMA(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싱글캐리어 방식의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LTE는, 상향링크, 하향링크 모두 하나 내지 2개 이상의 물리채널을 복수의 유저장치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복수의 유저장치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이라 불리며, LTE에서는 상향공유물리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의해 상향링크의 통신이, 하향공유물리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의해 하향통신이 수행된다.
이들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LTE에서는 1ms)마다, 어느 유저장치에 대해서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이 시그널링에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에서는,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 L1/L2 제어채널(DL-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상기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 스케줄링 정보 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인포메이션(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송달확인정보(ACK/NACK:Acknowledgement information),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어느 유저장치에 대해서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정보이다.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 록(RB: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MIMO가 수행되는 경우의 스트림의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상향링크의 리소스의 할당정보, UE의 ID,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업링크 MIMO(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멀티 인풋 멀티 아웃풋(MIMO) 방식은, 통신에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전송신호의 고속화 및/또는 고품질화를 도모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의 통신이다. 또한, 송신신호의 스트림을 복제(duplicate)하고, 복제된 각 스트림을 적절한 가중(weights)과 함께 합성하여 송신함으로써, 지향성이 제어된 빔으로 통신상대에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프리코딩(precoding) 방식이라 불리며, 사용되는 가중계수(웨이트)는 프리코딩 벡터라 불린다.
도 1은 프리코딩이 수행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2개의 스트림(송신신호 1, 2)은 각각 복사부(duplication unit)에서 2계통(stream)으로 복제되고, 각 계통에서 프리코딩 벡터가 승산되고, 합성된 후에 송신된다. 보다 적절한 프리코딩 벡터를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도시와 같은 클로즈드 루프(closed loop) 방식의 프리코딩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리코딩 벡터는, 수신측(유저장치)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보다 적절한 값이 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된다. 프리코딩 방식에서는, 각 스트림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송신되므로, 스트림마다의 품질개선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프리코딩된 공유데이터채널을 적절히 복조하기 위해서는, 공유데이터채널에 대한 채널 보상(channel compensation)을 정확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수행하는 하나의 방법은, 공유데이터채널과 동일하게 프리코딩되는 레퍼런스신호를 별도 전용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확실히 그와 같은 레퍼런스신호가 있으면, 채널 추정(estimation)을 고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용으로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는 레퍼런스신호용 리소스는 적지 않으므로, 오버헤드가 상당히 커져버린다. 따라서 이 방식은, 시스템 전체에서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관련으로부터는, 전(all) 유저에 공통인 공통레퍼런스신호(Comm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유, 공유데이터채널에 적용된 프리코딩이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저장치에 통지될 필요가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 정보를,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코딩의 내용을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하나의 방법은, 프리코딩된 하향물리공유채널과 함께, 그 채널에 적용된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PMI가 항상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어떠한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PMI가 기지국장치(eNB)로 피드백된다.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에 의해 지정된 프리코딩 벡터 또는 다른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PMI와 함께, 하향물리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통신상황에 가장 상응하는 PMI를 기지국장치(eNB)에서 결정하고, 하향링크에서의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가 4스트림분의 프리코딩 벡터를 기지국장치(eNB)로 송신했을때, 하향 트래픽은 2스트림으로 충분히 족할지도 모른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eNB)는 2스트림에 관한 프리코딩 벡터를 마련하고, 그것으로 통신함으로써, 리소스의 과부족없이 유효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하향링크에서 항상 PMI를 통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적어도 그만큼 오버헤드가 커져버린다. 게다가 PMI가 차지하는 정보량은, 하향링크에서의 유저 다중수와 함께 증감하여, 수신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은 곤란해지기 쉽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코딩 벡터를 유저장치에서 기지(known)로 하는 다른 방법은, 기지국장치(eNB)가 유저장치(UE)로부터 피드백된 PMI에 항상 따르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하향물리공유채널에 PMI가 부수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기지국장치(eNB)는 프리코딩 벡터를 보다 적절한 것으로 변경할 수 없게 되어, 리소스의 유효이용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만일 기지국장치(eNB)에서 검출한 PMI가 잘못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가 기대하는 것과 다른 벡터로 프리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유저장치는 PMI가 잘못 인정된 것을 모르므로, 유저장치는 품질이 나쁜 수신신호를 쓸모없이 처리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의 오버헤드의 삭감 및 무선리소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는,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flag indicator)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의 오버헤드의 삭감 및 무선리소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프리코딩이 수행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장치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X=1의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출비트(error detection bit)가 도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X=0의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출비트 및 채널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어비트에 피드백 PMI가 길쌈(convolve)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2 RF 수신기부
104 상향링크 수신신호 복조부
106 데이터신호 복호부
108 제어정보 복호부
110 PMI 정오(正誤) 판정부
112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
114 CRC 부여부
116 PMI 제거부
118 채널 부호화부
120 제어정보 변조부
122 직병렬 변환부
124 채널 부호화부
126 데이터 변조부
128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
130 신호다중부
132 역 푸리에 변환부
134 RF 송신기부
202 데이터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
204 제어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
206 상향링크 송신신호 생성부
208 RF 송신기부
210 RF 수신기부
212 푸리에 변환부
214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
216 PMI 축적부
218 제어정보 복조부
220 채널 복호부
222 PMI 추가부
224 CRC 검출부
230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
232 신호분리부
234 채널 복호부
236 병직렬 변환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우선,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가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장치(eNB)로 피드백된다. 기지국장치(eNB)는,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실제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마련한다. 기지국장치(eNB)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함께 하향물리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유저장치(UE)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을 확인함으로써, 과거에 PMI로 기지국장치(eNB)에 피드백한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1비트로 표현되고, "0"의 값을 취하는 경우는, PMI에서 지정한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통신에 사용된다. "1"의 값인 경우는,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에서 통신개시 전부터 기지인 디폴트 벡터(default vector)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된다.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비트수는 PMI보다 적어도 되므로, PMI를 매회 하향링크에서 통지하는 종래방식보다도 오버헤드를 상당 히 삭감할 수 있다. 또,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로부터 피드백된 PMI에서 지정되는 것과는 다른 프리코딩 벡터를 선택할 여지가 있으므로, 리소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그런데, 기지국장치(eNB)가 하향통신에 사용한 프리코딩 벡터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따라서 유저장치(UE)에서 마련한 프리코딩 벡터가 항상 일치한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eNB)가 유저장치(UE)로부터의 PMI를 잘못 수신하고, 잘못 인정된 PMI가 나타내는 벡터가 하향링크의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된 경우나,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유저장치(UE)에서 잘못 수신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유저장치(UE)가 마련한 프리코딩 벡터로 수신신호의 가중 및 이후의 복조처리를 진행하면, 현저하게 열화한 신호가 쓸모없이 도출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유저장치(UE)는 기지국장치(eNB)로부터의 통지의 당부(當否)를 확인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기지국장치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coding unit)로서 채널 부호화한다. 이 오류검출정보는, 제어정보 및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calculation target)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다.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소정값인 경우에는 PMI가 연상 대상에 포함되고, 다른 소정값인 경우에는 연산 대상에 PMI는 포함되지 않는다. 유저장치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필요에 따라서 PMI를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대해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고, 오류검출정보를 도출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에서 마련된 오류검출정보와 유저장치에 서 마련된 오류검출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따라서 유저장치(UE)에서 마련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하는 것의 당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비트수는 PMI보다 적으므로, 플래그 인디케이터만으로는 충분히 큰 오류정정 능력을 얻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플래그 인디케이터뿐만 아니라, 그것이 제어정보 및 오류검출정보와 함께 부호화된다. 따라서, 플래그 인디케이터만일 때보다도 큰 부호화 이득이 얻어져, 제어비트 등과 같은 정도로 큰 오류정정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몇 비트로 표현되어도 좋으나, 최소 1비트로 표현되어도 좋다.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PMI에서 지정된 벡터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의 벡터가 반드시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PMI보다 적은 비트수의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을 판정함으로써, 실제로 사용되는 벡터를 특정할 수 있다.
디폴트 벡터는 사용되지 않는 것을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경우(X=0), 제어정보에 PMI가 길쌈된 정보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이 채널 부호화되고, 유저장치에 송신되어도 좋다. 이것은 제어정보의 비트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PMI를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 다. 단, PMI가 차지하는 비트수가 몇비트인지가 유저장치에 별도 통지되는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로부터 피드백되어 온 PMI에 대해서 오류검출을 수행해도 좋다. 이것은, 하향링크의 통신에 디폴트 벡터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확실히 판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PMI와, PMI에 대한 오류검출정보가 기지국장치에서 수신되고, 유저장치에서 산출된 오류검출정보와, 기지국장치에서 산출된 오류검출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오류검출이 수행되어도 좋다.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품질의 좋고 나쁨에 따라서, 오류검출이 수행되어도 좋다.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공유데이터채널의 우도(尤度, likelihood)정보에 기초하여, 오류검출이 수행되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질지도 모르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동작설명(하향링크의 통신개시 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프리코딩을 수행하면서 멀티 인풋 멀티 아웃풋(MIMO: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의 통신이 수행된다. 따라서,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는 각각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가지며, 각 안테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는, 적절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프리코딩 벡터에 의한 가중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에서의 동작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의 동작 예를 나타낸다. 프리코딩 벡터는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장치(eNB)로의 피드백(PMI)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제어된다. 도 5의 단계 502에서는, 기지국장치(eNB)에 피드백하는 PMI가 결정된다. 전형적으로는, 프리코딩 벡터는, 코드북(codebook)에 사전에 저장완료된 소정수개의 벡터(U1, U2, ..., UP) 중의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PMI는 소정수개의 벡터(U1, U2, ..., UP) 중의 어느 하나(Ui)를 지정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프리코딩 벡터는, 택일적인 선택지가 아니라, 적절한 어떠한 벡터로 적응적으로 조정되어도 좋다. 단, 프리코딩 벡터가 될 수 있는 벡터를 택일적인 선택지(selection)로 한정하는 것은, 벡터제어 연산부담을 경감하면서 적응제어(adaptive control)를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계 504에서는, 결정된 PMI가 기지국장치(eNB)로 송신된다.
도 6의 단계 60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로부터 PMI를 수신한다.
단계 604에서는, PMI에서 지정되어 있는 프리코딩 벡터가 무엇인지가 특정된다. 그리고, 특정된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에서의 통신에 상응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스트림 수, 송신 안테나 수, 하향 트래픽량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PMI에서 지정된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에 서의 통신에 최적이 아닌 경우,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에서 통신개시 전부터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된다. 디폴트 벡터는, 몇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으나, 설명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오직 하나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하향링크의 프리코딩 벡터로서 2개의 선택지가 마련되며, 하나는 PMI에서 지정되어 있는 벡터이며, 다른 하나는 디폴트 벡터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하향링크의 프리코딩 벡터로서, 무엇이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정의되고, 1비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예를 들면, 1 또는 0)에 따라서, 디폴트 벡터 또는 PMI에서 지정되어 있는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 디폴트 벡터가 한가지보다 많이 마련되는 경우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도 1보다 많은 비트수로 표현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디폴트 벡터가 3종류 마련되고, 그들 중 어느 것이 하향통신에 사용되는지를 유저장치에 통지하기 위해서, 2비트의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사용되어도 좋다.
단계 606에서는, 디폴트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출비트가 계산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류검출비트는, 제어비트(제어정보)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도시의 예에서는 "1")을 포함하는 정보에, 소정의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도출된다. 오류검출비트는, 전형적으로는 도시와 같이 순회 리던던시 검사(CRC)에서 사용되는 검사 비트이나, 적절한 어떠한 다른 오류검사비트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CRC에 의한 검사 비트에 유저식별자(UE-ID)가 길쌈된것이, 오류검출비트로서 사용된다. 제어비트에는, 하향링크에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며, 전형적으로는 L1/L2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가 그것에 해당하나, 그 일부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으며, 혹은 L1/L2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쪽이든, 이 단계에서 오류검출비트의 연산 대상이 되는 '제어비트'는 플래그 인디케이터도 PMI도 아닌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의 단계 608에서는, 오류정정용의 채널 부호화가 수행된다. 부호화는 컨볼루션 부호화(convolution coding), 터보 부호화(turbo coding) 등의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인 적절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1")와,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이 하나의 부호화 단위로서 부호화된다.
단계 610에서는, PMI에서 지정되어 있는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출비트가 계산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류검출비트는,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도시의 예에서는 "0")과, 피드백되어 온 PMI를 포함하는 정보에, 소정의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도출된다. 오류검출비트는, 전형적으로는 도시와 같이 CRC에서 사용되는 검사 비트이나, 적절한 어떠한 다른 오류검사비트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CRC에 의한 검사 비트에 UE-ID가 길쌈된것이, 오류검출비트로서 사용된다. 도 7의 경우와는 달리, 이 경우, 피드백되어 온 PMI가, 오류검출비트를 도출할 때의 연상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것에 유의를 요한다. 오류검출비트는, 전형적으로는 도시와 같이 CRC에서 사용되는 검사비트이나, 적절한 어떠한 다 른 오류검사비트가 사용되어도 좋다. 제어비트에는, 하향링크에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며, 전형적으로는 L1/L2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가 그것에 해당하나, 그 일부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으며, 혹은 L1/L2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의 단계 612에서는, 오류정정용의 채널 부호화가 수행된다. 부호화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인 적절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0")와,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이 하나의 부호화 단위로서 부호화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부호화 단위에는, 피드백된 PMI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에 특히 유의를 요한다. 즉, 피드백되어 온 PMI는, 오류검출비트를 도출하기 위한 연산 대상에는 포함되나, 채널 부호화의 대상은 되지 않는다. 또, 단계 608에서도 단계 610에서도 채널 부호화는,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1단위로 하므로, 그것들은 같은 정도의 크기가 되는 것에도 유의를 요한다.
도 6의 단계 614에서는, 채널 부호화된 정보부분을 포함하는 신호가 하향링크에서 적절히 전송된다. 도시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 6에서는 하향 송신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신호처리는 생략되어 있다. 송신신호에는, 제어채널뿐만 아니라, 하향물리공유채널(PDSCH), 레퍼런스신호 등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신호처리의 구체 예로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변조(QPSK, 16QAM 등), 프리코딩에 의한 가중(weighting), 역 푸리에 변환, 가드인터벌(guard interval)의 부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대역한정(band limiting), 전력증폭(power amplification)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단계 602에서, 수신한 피드백 PMI에 대해서 오류가 있는지 여부가, 추가적으로 기지국장치에서 확인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로부터, PMI뿐만 아니라, 그 PMI에 대한 오류검사비트도 수신되는 경우, 그 오류검사비트를 이용하여 PMI의 정오(正誤)가 확인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향레퍼런스신호의 수신품질(예를 들면, 수신 SINR 등)의 좋고 나쁨에 기초하여, 수신한 PMI의 정오가 확인되어도 좋다. 또, 상향공유데이터채널이 기지국장치에서 수신되는 경우, 그 상향공유데이터채널을 복호할 때 얻어지는 우도(likelihood data)에 기초하여, 수신한 PMI의 정오가 확인되어도 좋다. 수신한 PMI 자체의 복호시에 얻어진 우도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들의 방법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조합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단계 612의 채널 부호화에 앞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MI를 나타내는 정보가, 제어비트에 길쌈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PMI를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링크에서 전송할 때, 신호의 비트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단, 제어비트의 몇 비트가 길쌈에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저장치에 어떠한 수단으로 통지될 필요가 있다.
<동작설명(하향링크의 통신개시 후)>
도 5의 단계 506에서는, 유저장치(UE)에서 하향물리공유채널이 수신된다. 도시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 5에서는 하향 수신신호를 마련하기 위한 일반적 인 신호처리는 생략되어 있다. 수신신호에는, 제어채널뿐만 아니라, 하향물리공유채널(PDSCH), 레퍼런스신호 등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신호처리의 구체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력증폭, 대역한정,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가드인터벌의 제거, 푸리에 변환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단계 508에서는, 수신신호의 제어정보 부분에 관해서 채널 복호가 수행된다. 도 6의 단계 608, 6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부호화는,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 부분을 1단위로서 수행되고 있다. 복호 후,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 X가 확인된다. X=1인 경우 흐름은 단계 510으로 진행하고, X=0인 경우 흐름은 단계 512로 진행한다.
단계 510에서는, X=1인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사비트가 계산된다. 본 단계에 이르는 경우는,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디폴트 벡터인 경우이다. 따라서, 기지국장치에서는 도 6의 단계 606에 의한 오류검출비트가 부가되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그래서, 도 5의 단계 510에서도,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1")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에 소정의 연산이 수행되고, 오류검출비트가 도출된다.
단계 512에서는, X=0인 경우에 있어서의 오류검사비트가 계산된다. 본 단계에 이르는 경우는,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PMI에서 지정되는 벡터인 경우이다. 따라서, 기지국장치에서는 도 6의 단계 610에 의한 오류검출비트가 부가되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그래서, 도 5의 단계 512에서도,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0")와, PMI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에 소정 의 연산이 수행되고, 오류검출비트가 도출된다. 이 PMI는, 유저장치(UE)가 단계 504에서 기지국장치(eNB)로 송신한 것이므로, 예를 들면 버퍼에 기억해두면 유저장치에 있어 기지이다.
단계 514에서는, 기지국장치(eNB)에서 부가된 오류검출비트와, 유저장치(UE)에서 도출한 오류검출비트를 비교함으로써, 오류검사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벡터가, 디폴트 벡터인지 또는 PMI에서 지정한 벡터인지를 올바르게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16에서는, 단계 514에서 확인된 올바른 프리코딩 벡터에 기초하여, 하향물리공유채널의 채널 보상 및 복조가 고 정밀도로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eNB)가 유저장치(UE)로부터 PMI를 잘못 수신한 경우나, 기지국장치(eNB)로부터의 통지내용을 유저장치(UE)에서 잘못 수신한 경우에, 부정적인 오류검출결과가 유저장치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유저장치는 잘못된 프리코딩 벡터에 관한 정보를, 즉시 파기해도 좋으며, 낮은 우도 그대로 유지하여, 후의 패킷 합성에 대비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장치(UE) 및 기지국장치(eNB)간의 프리코딩 벡터에 관한 확인의 차이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의 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는, RF 수신기부(102), 상향링크 수신신호 복조부(104), 데이터신호 복호부(106), 제어정보 복호부(108), PMI 정오(validity) 판정부(110),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112), CRC 부여부(114), PMI 제거부(116), 채널 부호화부(118), 제어정보 변조부(120), 직병렬 변환부(122), 채널 부호화부(124), 데이터 변조부(126),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128), 신호다중부(130), 역 푸리에 변환부(132) 및 RF 송신기부(134)가 도시되어 있다.
RF 수신기부(102)는, 복수의 안테나 #1∼#M에서 수신한 신호 각각을 베이스밴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는, 예를 들면, 전력증폭, 대역한정,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상향링크 수신신호 복조부(104)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어 수신된 상향 PUSCH, 제어채널(L1/L2 제어채널 등), 레퍼런스신호 등을 적절히 분리한다.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상태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이나 수신신호 품질측정 등도 수행된다. 수신신호 품질은, 예를 들면 SINR로 측정되어도 좋다.
데이터신호 복호부(106)는,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스트림으로 신호 분리하고, 스트림마다 복호를 수행한다. 복호는 송신측에서 수행된 부호화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복호시에, 우도정보와 함께 오류정정도 수행된다.
제어정보 복호부(108)는, 제어채널을 복호하고, L1/L2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 등을 추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정보 복호부(108)는, PMI를 추출하고, 유저장치로부터 통지된 프리코딩 벡터를 특정한다. PMI뿐만 아니라, PMI에 부수하는 CRC 오류검출비트도 수신되어 있는 경우는, PMI에 대한 오류검출처리가 수행되고, CRC 검출결과도 출력된다.
PMI 정오 판정부(110)는, 유저장치(UE)로부터 피드백되어 온 PMI가 잘못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로부터, PMI뿐만 아니라, 그 PMI에 대한 오류검사비트도 수신되는 경우, 그 오류검사비트를 이용하여 PMI의 정오가 확인되어도 좋다. 또,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향레퍼런스신호의 수신품질(예를 들면, 수신 SINR 등)의 좋고 나쁨에 기초하여, PMI의 정오가 확인되어도 좋다. 상향공유데이터채널을 복호할 때 얻어지는 우도에 기초하여, PMI의 정오가 확인되어도 좋다. 또한, 수신한 PMI 자체의 복호시에 얻어진 우도가 사용되어도 좋다. 도 10에서는, CRC 검출결과, 수신 SIR 및 우도정보가 모두 마련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중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조합이 사용되어도 좋다.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112)는, PMI 정오 판정부(110)로부터의 판정결과 및 소정의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하향통신에 사용하는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한다. 소정의 판단기준은, 하향통신에 필요한 스트림 수, 안테나 수, 트래픽양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PMI가 올바르게 수신되어 있는 경우에, 그 PMI에서 나타나는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PMI가 잘못되어 있다면, 그 PMI에서 나타나는 프리코딩 벡터를 사용해도 실익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간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디폴트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PMI가 올바르게 수신되어 있다고 해도, 하향통신에 실제로 필요한 트래픽양에 의존하여, PMI에서 나타나는 것과 다른 벡터가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112)는, 하향통신에 실제로 사용하는 프리코딩 벡터가, 유저장치의 희망대로인지(X=0) 또는 디폴트의 것인지(X=1)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마련하고, 그것을 CRC 부여부(114)에 통지한다. X=0인 경우, PMI도 CRC 부여부(114)에 통지된다.
CRC 부여부(114)는, 제어비트(제어신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필요에 따라서 PMI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고, CRC 오류검출비트를 도출한다.
PMI 제거부(116)는, CRC 오류검출비트의 도출과정에서 연산 대상에 PMI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제거하고,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에 관계없이,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CRC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마련한다.
채널 부호화부(118)는, 그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를 수행한다.
제어정보 변조부(120)는, 채널 부호화 후의 신호를 데이터 변조한다.
직병렬 변환부(122)는, 하향물리공유채널로 전송되는 직렬적인 송신신호를 병렬적인 복수의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채널 부호화부(124)는, 각 스트림에 대해서 채널 부호화를 수행한다.
데이터 변조부(126)는, 채널 부호화 후의 신호에 대해서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128)는, 각 스트림에 대해서, 프리코딩 벡터에 의한 가중을 수행한다. 프리코딩 벡터는,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112)에서 결정된 것이다.
신호다중부(130)는, 제어채널, 물리공유채널 및 다른 채널을 다중한다.
역 푸리에 변환부(132)는, 다중 후의 각 스트림을 역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수행한다.
RF 송신기부(134)는, 각 스트림을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와 같은 처리에는, 가드인터벌의 부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대역한정, 전력증폭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유저장치의 구성>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에는, 데이터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202), 제어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204), 상향링크 송신신호 생성부(206), RF 송신기부(208), RF 수신기부(210), 푸리에 변환부(212),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214), PMI 축적부(216), 제어정보 복조부(218), 채널 복호부(220), PMI 추가부(222), CRC 검출부(224),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230), 신호분리부(232), 채널 복호부(234) 및 병직렬 변환부(236)가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202)는, 상향물리공유채널의 채널 부호화 및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제어신호 부호화 및 변조부(204)는, 상향 L1/L2 제어채널의 채널 부호화 및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상향링크 송신신호 생성부(206)는,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적절히 맵핑하고, 송신 스트림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이산 푸리에 변환, 주파수영역에서의 맵핑 등의 처리, 역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가 스트림마다 수행된다.
RF 송신기부(208)는, 베이스밴드의 스트림을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무선 송신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와 같은 처리는, 예를 들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대역한정, 전력증폭 등을 포함해도 좋다.
RF 수신기부(210)는, RF 송신기부(208)와는 반대로,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무선신호를 베이스밴드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와 같은 처리는, 전력증폭, 대역한정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등을 스트림마다 수행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푸리에 변환부(212)는, 각 스트림에 대해서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고, OFDM 방식에서의 복조를 수행한다.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214)는, 수신신호 중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에 상응하는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PMI를 출력한다. 전형적으로, 프리코딩 벡터는, 코드북에 사전에 저장완료된 소정수개의 벡터(U1, U2, ..., UP) 중의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PMI는 소정수개의 벡터(U1, U2, ..., UP) 중의 어느 하나(Ui)를 지정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프리코딩 벡터는, 택일적인 선택지가 아니라, 적절한 어떠한 벡터로 적응적으로 조정되어도 좋다.
PMI 축적부(216)는, 프리코딩 벡터 선택부(214)에서 결정된 PMI를 일정기간 보유한다.
제어정보 복조부(218)는, 수신신호 중의 제어신호를 복조한다.
채널 복호부(220)는, 제어정보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CRC 오류검출비트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하나의 복호단위로서 채널복호를 수행한다. 채널복호의 단위 는, 송신측에서 수행되고 있는 부호화의 단위에 맞추어 수행된다. 복호의 결과,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 X가 판정된다.
PMI 추가부(222)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이 소정값(상기 예에서는, X=0인 경우)인 경우에, 과거에 기지국장치로 송신한 PMI를 PMI 축적부(216)로부터 추출하고, 오류검출비트의 도출에 대비한다. 이 경우,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 X=0과, 마련된 PMI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CRC 오류검출비트가 도출된다.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이 다른 소정값(상기 예에서는, X=1의 경우)인 경우에는, 아무런 PMI도 마련하지 않고, 오류검출비트의 도출에 대비한다. 이 경우, 제어비트와,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 X=1을 포함하는 정보부분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CRC 오류검출비트가 도출된다.
CRC 검출부(224)는, 기지국장치에서 마련된 오류검출비트와, 유저장치(PMI 추가부(222))에서 마련된 오류검출비트를 비교함으로써, 기지국장치로부터의 통지의 당부를 확인한다.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기지국장치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이후의 처리가 진행된다. 오류가 검출된 경우는, 기지국장치로부터의 통지내용은 파기되어도 좋으며, 후의 패킷 합성에 대비하여 보유되어도 좋다.
프리코딩 벡터 승산부(230)는, 수신한 하향물리공유채널에 프리코딩 벡터에 의한 가중을 수행한다. 프리코딩 벡터는, 과거에 유저장치가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여 통지한 것일지도 모르며, 디폴트로 결정되어 있는 벡터일지도 모른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CRC 검출부(224)에서의 검출결과에 의존한다.
신호분리부(232)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인 어떠한 신호분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각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채널 복호부(234)는, 하향물리공유채널의 채널 복호를 수행한다.
병직렬 변환부(236)는, 병렬적인 스트림을 직렬적인 신호계열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신호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된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6월 1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16194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8)

  1.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이고, 그리고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가 소정값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상기 PMI가 길쌈된 정보와,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와, 상기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에 대해서 오류검출을 수행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수신부는, 상기 PMI와, 상기 PMI에 대한 오류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장치에서 산출된 오류검출정보와, 해당 기지국장치에서 산출된 오류검출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류검출이 수행되는 기지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에 대해서 오류검출을 수행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향레퍼런스신호의 수신품질의 좋고 나쁨에 따라서, 상기 오류검출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에 대해서 오류검출을 수행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공유데이터채널의 우도(尤度)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검출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
  6.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이고, 그리고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7.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기지국장치 및 상기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고,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다(多)비트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의해, 복수의 디폴트 벡터 중 어느 것도 지정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이고, 그리고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기지국장치 및 상기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고,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다(多)비트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의해, 복수의 디폴트 벡터 중 어느 것도 지정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인디케이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기지국장치 및 상기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고,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다(多)비트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의해, 복수의 디폴트 벡터 중 어느 것도 지정되고,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0.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이고, 그리고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기지국장치 및 상기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고,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다(多)비트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의해, 복수의 디폴트 벡터 중 어느 것도 지정되고,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1.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MIMO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장치;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특정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디케이터(PMI)이고, 그리고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를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하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PMI에서 특정되는 프리코딩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기지국장치 및 상기 유저장치 쌍방에서 기지인 디폴트 벡터가, 하향링크의 통신에서 프리코딩 벡터로서 사용되고,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는, 다(多)비트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에 의해, 복수의 디폴트 벡터 중 어느 것도 지정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제어정보, 플래그 인디케이터 및 오류검출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부분을 부호화 단위로서 채널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검출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및 상기 플래그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연산 대상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97025964A 2007-06-19 2008-06-16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10141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61942 2007-06-19
JP2007161942A JP4729537B2 (ja) 2007-06-19 2007-06-19 基地局装置および送信方法
PCT/JP2008/061005 WO2008156067A1 (ja) 2007-06-19 2008-06-16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863A KR20100023863A (ko) 2010-03-04
KR101414563B1 true KR101414563B1 (ko) 2014-08-06

Family

ID=4015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964A KR101414563B1 (ko) 2007-06-19 2008-06-16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422574B2 (ko)
EP (1) EP2169845B1 (ko)
JP (1) JP4729537B2 (ko)
KR (1) KR101414563B1 (ko)
CN (1) CN101682382B (ko)
BR (1) BRPI0812532A2 (ko)
ES (1) ES2543855T3 (ko)
PT (1) PT2169845E (ko)
RU (2) RU2467480C2 (ko)
WO (1) WO2008156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206A (ko) * 2007-04-20 2009-12-1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imo 통신에 대한 효과적인 프리코딩 정보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57235B2 (en) 2007-06-25 2013-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data in multiple antenna system
KR101293373B1 (ko) * 2007-06-25 2013-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478362B1 (ko) 2007-08-10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귀환데이터 전송방법
JP4652420B2 (ja) * 2008-01-08 2011-03-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送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8830918B2 (en) 2009-03-16 2014-09-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t diversity
TWI517620B (zh) * 2009-03-17 2016-01-11 皇家飛利浦電子股份有限公司 在多輸入多輸出(mimo)網路中通信的方法及裝置
TWI538428B (zh) * 2009-03-17 2016-06-11 皇家飛利浦電子股份有限公司 在網路中通信的方法、副站台及主站台
WO2010109518A1 (ja) * 2009-03-24 2010-09-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CN101902305B (zh) * 2009-05-25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和基站
JP5418598B2 (ja) 2009-09-15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RU2540405C2 (ru) * 2009-11-25 2015-02-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факторизованного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FR2954631B1 (fr) * 2009-12-21 2012-08-10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configuration en boucle fermee d'un reseau d'antenne
KR101695023B1 (ko) * 2010-03-29 201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에서 재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53522B2 (en) 2010-03-29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transmission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IMO
WO2011126446A1 (en) 2010-04-07 2011-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arameterized codebook with subset restrictions for use with precoding mimo transmissions
CN101873207B (zh) * 2010-06-13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天线系统上行传输块的重传系统及方法
JP5497577B2 (ja) * 2010-08-16 2014-05-21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CN102045762B (zh) * 2010-12-02 2013-07-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报信道状态的方法及装置
EP2475105B1 (en) 2011-01-06 2013-09-11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transmission of signals in a domestic environment
WO2012109529A1 (en) * 2011-02-11 2012-08-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transmission initial access
WO2012115427A2 (ko) * 2011-02-23 2012-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06644B2 (en) * 2011-04-29 2016-04-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2702704B1 (en) * 2011-04-29 2015-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TW201705698A (zh) * 2011-04-29 2017-02-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開茴路空間處理
JP5571116B2 (ja) * 2012-03-23 2014-08-1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9769677B2 (en) 2012-07-02 2017-09-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it-adaptive precoding matrix indicator feedback
TWI489805B (zh) * 2012-07-02 2015-06-21 Ind Tech Res Inst 用於位元自適應預編碼矩陣指示符回饋的方法和裝置
KR102167856B1 (ko) * 2013-08-23 2020-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어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380756B1 (ko) 2016-08-05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보상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789806A (zh) * 2016-11-24 2017-05-31 哈尔滨工业大学 基于频域预编码的wfrft混合载波系统带外功率抑制方法
CN109510653B (zh) * 2018-12-30 2021-07-0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在正交频分复用中使用二维预编码的阵分多址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360A (ko) * 2005-03-04 2006-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시스템의 피드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341B2 (en) * 2001-05-11 2004-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7277475B1 (en) * 2003-09-26 2007-10-02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Narrowband interference excision device
KR20060038812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출력 시스템의 선행 코딩 행렬 정보 전송 방법 및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WO2006098111A1 (ja) * 2005-03-14 2006-09-21 Nec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428269B2 (en) * 2005-06-01 2008-09-23 Qualcomm Incorporated CQI and rank prediction for list sphere decoding and ML MIMO receivers
US9172453B2 (en) *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KR20070108304A (ko) * 2005-10-31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US7949318B2 (en) * 2007-02-05 2011-05-24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rank beamforming precoding apparatus and method
DK2461638T3 (da) * 2006-10-23 2015-01-05 Interdigital Tech Corp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at sende og modtage kanalkvalitetsindikatorer
US7995642B2 (en) * 2007-02-05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coding signaling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95671B2 (en) * 2007-02-09 2011-08-0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ransmission with rank-dependent precoding
US7986959B2 (en) * 2007-02-14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bas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KR101049138B1 (ko) *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KR20090130206A (ko) 2007-04-20 2009-12-1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imo 통신에 대한 효과적인 프리코딩 정보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Y148998A (en) * 2007-04-30 2013-06-28 Interdigital Tech Corp Feedback signaling error detection and checking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957701B2 (en) * 2007-05-29 2011-06-07 Alcatel-Lucent Usa Inc. Closed-loop multiple-input-multiple-output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hierarchical feedback
US7629902B2 (en) * 2007-06-08 2009-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wireless precoding system robust to power imbalance
JP4719728B2 (ja) * 2007-10-01 2011-07-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KR101573072B1 (ko) * 2008-08-27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360A (ko) * 2005-03-04 2006-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시스템의 피드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DL Control signaling of MIMO PMI information for SU-MIMO, R1-072318, 3GPP RAN WG1 #49 meeting (2007.05.07. 공개) *
HUAWEI, DL Control signaling of MIMO PMI information for SU-MIMO, R1-072318, 3GPP RAN WG1 #49 meeting (2007.05.07.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9845A4 (en) 2013-08-07
CN101682382B (zh) 2013-05-29
US8811506B2 (en) 2014-08-19
JP4729537B2 (ja) 2011-07-20
KR20100023863A (ko) 2010-03-04
ES2543855T3 (es) 2015-08-24
US20130163545A1 (en) 2013-06-27
JP2009004921A (ja) 2009-01-08
US20100183085A1 (en) 2010-07-22
CN101682382A (zh) 2010-03-24
BRPI0812532A2 (pt) 2015-02-10
WO2008156067A1 (ja) 2008-12-24
EP2169845B1 (en) 2015-05-27
RU2009149101A (ru) 2011-07-27
PT2169845E (pt) 2015-09-11
RU2467480C2 (ru) 2012-11-20
EP2169845A1 (en) 2010-03-31
RU2501163C1 (ru) 2013-12-10
US8422574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6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US10624088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KR10150347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방법
KR10145572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JP5650338B2 (ja) 受信エンティティ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受信エンティティ
US918481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JP518946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US8902845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US201102000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modulation symbols to resources in ofdm systems
JP2010516129A5 (ko)
WO2013000509A1 (en) Downlink control signalling for indication of interfering layers
JP4800447B2 (ja) 基地局装置、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230327918A1 (en) Channel estimation through dynamic port allocation in uplink transmission for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 mimo) systems
JP5337835B2 (ja)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JP570693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