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559B1 -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559B1
KR101414559B1 KR1020120147952A KR20120147952A KR101414559B1 KR 101414559 B1 KR101414559 B1 KR 101414559B1 KR 1020120147952 A KR1020120147952 A KR 1020120147952A KR 20120147952 A KR20120147952 A KR 20120147952A KR 101414559 B1 KR101414559 B1 KR 10141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ter
underwater
pouring
superabsorb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815A (ko
Inventor
현태양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5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6Placing concrete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7Plastics thermo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수중 구조물 제작용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반에 천공된 후 물이 채워진 삽입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삽입홀 내부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액상의 물질에 의해 팽윤된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고흡수성 수지 아래로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nd concrete structures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수중 작업의 특성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는, 직경 20 내지 50 cm의 트레미관을 수중으로 넣어 트레미관의 하측 선단 입구를 수중의 밑바닥으로 위치시키고, 공기가 주입된 고무제 볼을 트레미관의 내부에 투입하여 트레미관 속에 차있는 물위에 띄워 놓은 다음, 물이 유동되지 않은 정수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시작하여서, 트레미 관의 하측 선단물을 타설되는 콘크리트 속에 2 내지 6 m 정도 파묻힌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타설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48168호에서는 고무제 볼 대신 스치로폼을 트레미관의 내부에 투입하여 트레미관 속에 차 있는 물위에 띄워 놓은 다음, 초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사 과정에서는 트레미관의 직경과 유사한 1개의 고무제 볼 또는 스치로폼을 이용하여 최초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초기에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과 타설이음부에 대한 신뢰도 및 철근과 콘크리트 부착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해결되지 않고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많은 양의 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중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20074호
본 발명은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반에 천공된 후 물이 채워진 삽입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로 인해 물이 오염되거나, 수중 작업의 특성으로 인해 재료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 제작용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반에 천공된 후 물이 채워진 삽입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삽입홀 내부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액상의 물질에 의해 팽윤된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고흡수성 수지 아래로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타설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시키기 때문에 수중불분리 콘크리트가 많은 양의 물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불분리 콘크리트가 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재료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적층되는 고흡수성 수지에 액상의 첨가제를 흡수시켜 수중에 투하하면 액상의 첨가제가 물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흡수성 수지가 수중에 투하되었을 때 중력에 의해 가라앉는 속도가 빨라져 수중불분리 콘크리트가 물과 접촉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중 구조물을 제작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의 개략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 중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의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의 개략 도시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 중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의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수중 구조물 제작용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반에 천공된 후 물이 채워진 삽입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강 바닥을 천공하여 케이싱을 설치한 후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케이싱(10), 트레미관(30),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 고흡수성 수지(130), 수중 콘크리트(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0)은 수중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수중의 지면(1)을 천공하였을 때, 천공된 부분에 삽입되어 수중 구조물이 제작되는 위치의 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물을 가둬두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10)이 구비됨으로써, 후술될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 또는 수중 콘크리트(150)가 타설될 때 물이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나 수중 콘크리트(150)가 유동되는 물을 따라 흐르지 않고 타설될 수 있다. 그러나 수중 구조물이 작업되기 위해 상기 케이싱(10)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상기 케이싱(10) 없이 수중 구조물 제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된 수중의 지면(1)에 상기 케이싱(10)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미관(30)은 상기 수중의 지면(1)을 천공하고 상기 케이싱(10)을 설치한 후,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 또는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후술될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상기 트레미관(30)을 통해 타설될 수도 있고 상기 트레미관(30)을 통해 타설되지 않고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가 타설된 후,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기 전에 타설하는 것으로, 수중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기 전 먼저 타설되어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가 물과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점성이 크며, 수중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줄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또는 아크릴(Acrylic) 증점제가 포함되어 있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예를 들어 천공된 바닥면으로부터 1 내지 6 미터의 높이까지 타설한다.
고흡수성 수지(130)는 타설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되도록 수중으로 투하하면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고, 친수성 작용기인 카르복시기가 포함되어 있어 삼투현상에 의해 물과 닿으면 물을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내부로 물을 흡수시킨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카르복시기가 그물망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된 물을 가둬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일반적으로 물과 닿으면 물을 흡수하여 팽윤되고, 이로 인해 물보다 비중이 커지면서 중력에 의해 가라앉게 되어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계, 젤라틴 등이 있다.
한편,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물보다 비중이 작을 경우,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비중이 물보다 커지도록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내부에 액상의 첨가제를 흡수시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에 첨가되는 액상의 첨가제로는 시멘트 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1,2-디클로로에탄 중 어느 하나의 것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물보다 비중이 작더라도 수중에 투하되면 물을 흡수하여 팽윤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상기 수중불분리 콘르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큰 액상의 첨가제를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에 흡수시킴으로써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상기 액상의 첨가제와 물을 흡수시킨 후, 팽윤된 상태의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를 수중으로 투하시키면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에 상기 액상의 첨가제만 흡수시킨 후, 수중으로 투하시키면 수중에 투하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수중에서 물을 흡수하여 팽윤되면서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수중 콘크리트(150)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아래로 타설되어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와 함께 경화되면 수중 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는 후술되겠지만, 트레미관(30)을 통해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아래로 타설된다.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는 고흡수성 수지(130)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에 의해 물과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나, 물과의 접촉을 완전 차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의 재료가 물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크릴계 또는 셀로로오스계의 혼화제가 혼합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의 블록도 및 수중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의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지반(1)을 천공하는 단계(S205)와,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10)와,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하는 단계(S215)와,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먼저 지반(1)을 천공하는 단계는 수중 구조물을 제작될 위치의 지반(1)을 제작될 수중 구조물보다 큰 단면의 크기로 천공한다. 그리고 천공된 지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수중 구조물이 제작되는 곳은 물이 유동하는 곳이기 때문에 수중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후술될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나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면 유동하는 물에 의해 재료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을 설치하여 수중 구조물이 제작될 공간에는 물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수중 구조물 제작의 편리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반을 천공하여 상기 케이싱(10)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타설한다.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투하하여 타설하거나, 트레미관(30)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직접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타설되는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는 천공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D)가 1 내지 6 미터의 범위 안에서 타설되도록 한다.
도 1 또는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트레미관(30)이 타설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에 일부가 잠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레미관(30)이 잠입되는 깊이는 상기 트레미관(3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 표면까지의 높이(d)가 0.3 내지 0.4 미터가 된다. 상기 트레미관(30)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먼저 타설한 후 상기 트레미관(30)을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트레미관(30)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트레미관(30)을 통해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타설하여 상기 트레미관(30)의 일부가 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먼저 타설한 후 상기 트레미관(30)을 설치할 때에는, 후술될 고흡수성 수지(130)를 적층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트레미관(30)이 적층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를 관통하여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에 잠입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타설한 후에는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고흡수성 수지(130)를 적층시킨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액상의 물질에 의해 팽윤된 상태의 고흡수성 수지(130)를 수중으로 투하시키고,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중력에 의해 가라앉으면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된다.
한편,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비중이 물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에 액상의 첨가제를 흡수시켜 수중에 투하한다. 이 때,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에 흡수되는 액상의 첨가제로는 시멘트 물, 메틸렌크롤라이드 또는 1,2-디콜로에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팽윤된 상태의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를 수중으로 투하시켜 중력에 의해 적층시키거나, 팽윤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를 수중으로 투하시켜 수중으로부터 물을 흡수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수중에서 팽윤되어 중력에 의해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가 적층된 후에는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한다.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는 상기 트레미관(30)을 통해 타설되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의 아래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와 혼합되며 타설된다.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는 미리 타설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와 상기 고흡수성 수지(10)에 의해 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가 타설되면서,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미관(30)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트레미관(3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까지의 높이(d)를 유지시키며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타설하게 되면 수중 콘크리트(150)의 타설이 완료된 후, 상기 트레미관(30)이 삽입된 깊이가 깊지 않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상기 트레미관(30)을 제거하기가 수월해진다.
한편,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미관(3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미관(3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면,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의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트레미관(30)을 제거하기가 수월하지만 상기 트레미관(30)의 설치 깊이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레미관(3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트레미관(30)은 그대로 두고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를 타설하는 것이 작업이 진행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수중 콘크리트(150)의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수중 콘크리트(150)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를 양생시키고,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110)의 상측에 적층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130)와 상기 케이싱(10)을 제거하여 수중 구조물의 제작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면,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시키기 때문에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와 물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수중불분리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는 물속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작된 콘크리트지만, 수중에서 작업되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면 미세하게 시멘트와 골재가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시멘트와 골재가 분리되면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고흡수성 수지를 적층시키면 물과의 접촉이 차단되기 때문에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분리 현상이 발생되어도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염분이 있는 바다가 아닌 민물, 또는 강에서 작업할 때 이용할 수 있고, 이 외에도 현장타설 말뚝 및 지하연속벽을 시공할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지반 10: 케이싱
30: 트레미관 110: 수중불분리 콘크리트
130: 고흡수성 수지 150: 수중 콘크리트

Claims (12)

  1. 수중 구조물 제작용 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반에 천공된 후 물이 채워진 삽입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삽입홀 내부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가 물에 노출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재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보다 비중이 큰 액상의 첨가제를 흡수시킨 고흡수성 수지를 상기 케이싱을 통하여 수중으로 투하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수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면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상측에 적층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 내로 수중 콘크리트를 트레미관을 이용하여 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설되는 수중 콘크리트가 상기 수중 불분리 콘트리트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상기 타설된 수중 콘크리트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 및 상기 팽윤된 고흡수성 수지에 의하여 이중으로 물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 첨가제로는 시멘트 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1,2-디클로로에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트레미관을 삽입하되 적층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미관의 하단 일부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에 잠입되도록 삽입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서는,
    트레미관을 이용해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트레미관의 하단 일부가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에 잠입되도록 상기 수중불분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트레미관의 하단이 상기 수중불분이 콘크리트의 상측면으로부터 0.3 내지 0.4 미터 이하로 잠입되도록 삽입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방법.
  12.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20147952A 2012-12-18 2012-12-18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41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52A KR101414559B1 (ko) 2012-12-18 2012-12-18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52A KR101414559B1 (ko) 2012-12-18 2012-12-18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15A KR20140078815A (ko) 2014-06-26
KR101414559B1 true KR101414559B1 (ko) 2014-07-03

Family

ID=5113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952A KR101414559B1 (ko) 2012-12-18 2012-12-18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543A (zh) * 2018-05-30 2018-09-21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水下灌注桩护筒施工方法
KR102097580B1 (ko) *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87B1 (ko) * 2017-08-23 2018-06-20 롯데건설 주식회사 강관 내 콘크리트 충전 간소화 공법
CN109914416A (zh) * 2019-04-04 2019-06-21 三门核电有限公司 一种适合海上建构筑物施工的混凝土浇筑工艺
CN110042841A (zh) * 2019-05-06 2019-07-23 中国矿业大学 一种布袋隔水水下混泥土浇筑施工方法
CN112982421A (zh) * 2019-12-17 2021-06-18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水下灌浆保护材料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160A (ja) * 1992-05-12 1993-11-22 Kurita Water Ind Ltd コンクリート打設用コンクリート接触液添加剤および用途
JP2773301B2 (ja) * 1989-10-06 1998-07-09 栗田工業株式会社 水中コンクリート用遮水材
JP2001090073A (ja) * 1999-09-21 2001-04-03 Ohbayashi Corp 軽量骨材を用いた水中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301B2 (ja) * 1989-10-06 1998-07-09 栗田工業株式会社 水中コンクリート用遮水材
JPH05311160A (ja) * 1992-05-12 1993-11-22 Kurita Water Ind Ltd コンクリート打設用コンクリート接触液添加剤および用途
JP2001090073A (ja) * 1999-09-21 2001-04-03 Ohbayashi Corp 軽量骨材を用いた水中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543A (zh) * 2018-05-30 2018-09-21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水下灌注桩护筒施工方法
KR102097580B1 (ko) *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15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59B1 (ko)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CN102635402A (zh) 隧道洞壁渗水处置的下倾钻孔虹吸排水法
CN105178289A (zh) 建筑基坑内预制降水管桩及其使用方法
JP2014522975A5 (ko)
CN107794954B (zh) 一种抗浮泄水泄压结构
CN110409420B (zh) 迎坑面兼有降水功能的地下连续墙
CN110847200B (zh) 一种环基坑水平砂井降水疏干结构及降水疏干方法
CN205384014U (zh) 一种钻孔灌注桩水下混凝土浇筑面高程测量系统
CN104234089A (zh) 一种地下室防排水结合的施工方法
CN105569063A (zh) 地下室挡土墙周边地下水的收集利用方法及集水结构
CN205012325U (zh) 建筑基坑内预制降水管桩
CN205502044U (zh) 一种应用于建筑物下砂性含水层的降水结构
KR20080045600A (ko) 튜브가 추가된 플라스틱 연직배수재 및 연약지반 개량공법
CN203668912U (zh) 一种混凝土内排水管的埋设结构
CN108457238A (zh) 一种多功能水利生态墙
CN211036962U (zh) 一种迎坑面兼有降水功能的地下连续墙
CN210562449U (zh) 一种卫生间排水结构
CN210002331U (zh) 一种水利水电工程边坡的防护结构
JP5654961B2 (ja) 造成地盤における竪集水ますの埋め戻し処理方法
CN109137827B (zh) 一种大型孔洞水下快速封堵方法
CN107227771A (zh) 一种下沉式卫生间施工工艺
CN110451761A (zh) 底部真空排水的淤泥固结脱水处理装置和方法
JP2019194408A (ja) 地盤中での遮水および透水回復工法
CN216515690U (zh) 一种地下构筑物用新型集水坑
CN213233515U (zh) 一种叠合式沉井封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