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890B1 -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890B1
KR101413890B1 KR1020120105572A KR20120105572A KR101413890B1 KR 101413890 B1 KR101413890 B1 KR 101413890B1 KR 1020120105572 A KR1020120105572 A KR 1020120105572A KR 20120105572 A KR20120105572 A KR 20120105572A KR 101413890 B1 KR101413890 B1 KR 10141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nonwoven
nonwoven fabrics
pair
roll
typ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453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2010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8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롤형 오일 흡착포가 개시된다. 띠 모양의 합성 부직포와; 상기 합성 부직포의 단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점선으로 펀칭된 펀칭부를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oil absorption pad}
본 발명은 롤형 오일 흡착포에 관한 것으로서, 사고로 해양이나 토양에 누출된 오일을 빨아들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일 흡착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터 원사를 솜처럼 만든 뒤, 면형태로 펼쳐서 합성 부직포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터 로 만들어진 오일 흡착포는 오일과 극성이 서로 맞아, 오일이 흡착포에 달라붙었다.
오일 흡착포는 50cm X 50cm 의 사각형 형태로 분리된 상태로 겹쳐져서 보관되며, 사용시 한 장씩 꺼내어 사용하였다. 오일 흡착포는 대량의 오일이 유출된 상황에서는 여러 장을 띠 모양으로 길게 펼쳐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는, 국지적으로 소량의 오일이 누출될 경우 오일 흡착포는 낫개 단위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용목적에 맞지 않게 기존 오일 흡착포는 한 장씩 포개져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었다.
또한, 태안반도 유조선 사고와 같이 누출된 오일의 양이 많을 경우, 단위 면적당 많은 양의 오일을 흡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롤형 오일 흡착포가 필요하다. 아울러, 바다에 펼쳐진 롤형 오일 흡착포를 갈고리로 건져내더라도 오일의 무게에 의해서 롤형 오일 흡착포가 찢어지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롤형 오일 흡착포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휴지처럼 낫장으로 쉽게 뜯을 수 있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털을 이용한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털이 합성 부직포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자리잡아 을 수 있도록 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융착으로 두겹의 합성 부직포와 그 내부의 새털을 고정하여, 외부에서 갈고리로 걸어 당기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띠 모양의 합성 부직포와;
상기 합성 부직포의 단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점선으로 펀칭된 펀칭부를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합성 부직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 사이에는 새털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개재하는 단계;
(b) 새털과 공기를 함께 분사하는 분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 사이로 새털을 분사하는 동안, 상기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새털을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 사이에 개재되도록 단계;
(c)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일정 구간 반복적으로 단방향으로 선형태로 열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d) 펀칭기를 이용하여 상기 융착부에 길이방향으로 점선이 형성되도록 펀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 제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는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와 상기 새털이 쉽게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마찰시켜 전하를 띄도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지처럼 낫장으로 쉽게 뜯을 수 있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털을 이용한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털이 합성 부직포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자리잡아 을 수 있도록 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융착으로 두겹의 합성 부직포와 그 내부의 새털을 고정하여, 외부에서 갈고리로 걸어 당기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롤형 오일 흡착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의 사시도.
도 4는 말려진 형태의 롤형 오일 흡착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의 제조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의 제조 공정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복수의 롤형 오일 흡착포 유닛이 결합된 롤형 오일 흡착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롤형 오일 흡착포가 롤 형태로 말려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롤형 오일 흡착포(100)는 롤 형태로 말려져서 보관되며, 롤 형태의 휴지를 뜯듯이 롤형 오일 흡착포 유닛(10)을 한 장 단위로 뜯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롤형 오일 흡착포(100)는 띠 모양의 합성 부직포(111,112)와; 합성 부직포(111,112)의 단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융착부(13)와; 상기 융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점선으로 펀칭된 펀칭부(14)를 포함한다.
합성 부직포(111,112)는 한 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새털(12)을 개재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합성 부직포(111,112)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터 재질의 원사를 니들 공정을 거쳐, 부직포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롤 형태로 말려져서 제조사로 부터 공급받는다. 이러한 합성 부직포는 자동차 내장재,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므로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터 재질의 원사를 이용하여 합서 부직포(111,112)를 제조하나, 오일을 잘 흡착하는 재질이라면 다른 종류의 합성섬유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합성 부직포(111,112)는 원사들이 얼기설기 엮여 있어서, 한번에 손으로 쉽게 잘라낼 수 없다. 그러나, 합성 부직포(11,112)는 그러나, 합성 부직포(111,112)는 면직물 처럼 짜여진 형태가 아니라 임의적으로 뭉쳐서 펼쳐진 형태이기 때문에 갈고리를 넣고 당기면 서서히 찢어진다. 그러나, 합성 부직포(111,112)가 융착되면, 융착부(13)는 두꺼운 비닐과 같은 시트 형태가 된다. 이때, 융착부(13)에 점선으로 펀칭부(14)를 형성하면, 펀칭부(14) 방향으로는 쉽게 찢을 수 있다. 이는, 과자봉지를 쉽게 찢을 수 있도록 점선으로 펀칭한 형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합성 부직포(11,112)의 일부 영역에도 융착으로 서로 연결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 모양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융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합성 부직포(11,1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12) 사이에는 새털(12)이 개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의 제조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오일 흡착포의 제조 공정도이다.
S11은 한 쌍의 롤러(211, 212)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112)를 개재하는 단계이다. 한 쌍의 롤러(211.212) 사이에 개재된, 합성 부직포(111, 112)는 롤러(211.212)를 지나면서, 서로 면착된다. 그러나, 합성 부직포(111, 112)는 서로 분리된 상태이다.
한편, S11 단계에서는,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 112)와 새털(12)이 쉽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 112)를 마찰시켜 전하를 띄도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새털(12)은 너무 가벼워, 공기와 함께 분사되더라도, 쉽게 합성 부직포(111, 112)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합성 부직포(111, 112)가 새털(12)을 당길 수 있도록 전하를 띄도록 한다면, 쉽게 새털(12)을 합성 부직포(111, 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책받침으로 머리를 문지르면, 머리카락이 책받침에 달라붇는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합성 부직포(111, 112)와 새털(12)이 쉽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합성 부직포(111, 112)에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마찰을 가한다. 이때 사용되는 마찰부재는 합성수지 필름, 융과 같은 직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는 합성 부직포(111, 112)가 새털(1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S12는 새털(12)과 공기를 함께 분사하는 분사기(22)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211.212) 사이로 새털(12)을 분사하는 동안, 상기 롤러(211.212)가 회전하여 상기 새털(12)이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112)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롤러(211.212)가 회전하면서, 새털(12)을 그 사이에 가두게 된다.
S13 열융착기(23)를 이용하여, 한 쌍의 합성 부직포(111,112)를 일정 구간 반복적으로 단방향으로 선형태로 열융착하여 융착부(13)를 형성하는 단계; 합성 부직포(111,112)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 녹게 된다. 열융착기(23)에는 선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서 합성 부직포(111,112)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열융착기(23)에 의해서 융착부(13)가 형성된다. 한편, 열융착기(23)는 합성 부직포(111,112)에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또 다른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기존에는 합성 부직포(111,112)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착하였으나, 새털(12)과 같은 이물질이 개재된 상황에서는 초음파는 새털(12)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융착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새털(12)과 같은 물질이 개재된 상황에서는 본 실시예와 같은, 열융착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S14는 펀칭기(24)를 이용하여 융착부(13)의 길이방향으로 점선으로 펀칭을 하는 단계이다. 융착부(13)의 중심부에 융착부(13)의 길이방향으로 점선으로 펀칭을 한다. 융착부(13)는 열에 의해 녹았다가 굳어진 부분으로 비닐 시트와 같은 물성을 지닌다. 점선으로 펀칭되어 있으면, 손으로 쉽게 점선방향으로 찢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롤형 오일 흡착포(100) 롤형 오일 흡착포 유닛(10)
합성 부직포(111,112) 새털(12)
융착부(13)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개재하는 단계;
    (b) 새털과 공기를 함께 분사하는 분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 사이로 새털을 분사하는 동안, 상기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새털을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 사이에 개재되도록 단계;
    (c)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일정 구간 반복적으로 단방향으로 선형태로 열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d) 펀칭기를 이용하여 상기 융착부에 길이방향으로 점선이 형성되도록 펀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는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와 상기 새털이 쉽게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합성 부직포를 마찰시켜 전하를 띄도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형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


KR1020120105572A 2012-09-24 2012-09-24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41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2A KR101413890B1 (ko) 2012-09-24 2012-09-24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2A KR101413890B1 (ko) 2012-09-24 2012-09-24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53A KR20140039453A (ko) 2014-04-02
KR101413890B1 true KR101413890B1 (ko) 2014-06-30

Family

ID=5065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72A KR101413890B1 (ko) 2012-09-24 2012-09-24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39A (ko) 2021-06-24 2023-01-02 문무석 흡착성이 향상된 오일 제거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01251A1 (es) * 2015-07-20 2016-12-07 R Ciancaglini Y Asoc S A Un producto secuestrante de hidrocarburos
KR101903145B1 (ko) * 2017-04-28 2018-10-01 신우산업주식회사 유분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892A (ja) * 1994-08-01 1996-02-13 Daiichi Eizai Kk 油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96611B1 (ko) * 2005-08-03 2007-03-20 흥 길 최 기름흡착포
KR100862043B1 (ko) 2007-12-24 2008-10-09 박교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기름 제거용 흡착포
KR100918075B1 (ko) 2009-03-17 2009-09-22 이동우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 처리 물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892A (ja) * 1994-08-01 1996-02-13 Daiichi Eizai Kk 油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96611B1 (ko) * 2005-08-03 2007-03-20 흥 길 최 기름흡착포
KR100862043B1 (ko) 2007-12-24 2008-10-09 박교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기름 제거용 흡착포
KR100918075B1 (ko) 2009-03-17 2009-09-22 이동우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 처리 물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39A (ko) 2021-06-24 2023-01-02 문무석 흡착성이 향상된 오일 제거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53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3894B2 (ja) 伸縮弾性部材の製造方法
KR101413890B1 (ko)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JP2008533326A (ja) 二次元のウェブ材料、および二次元のウェブ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の使用
KR102488751B1 (ko)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EP1876277B8 (en) Stretc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RU2016102681A (ru) Абсорбцион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а также способы, системы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бсорбцион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или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RU98119305A (ru) Удлиняемый листово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длиняемого лис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варианты)
EA031595B1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ее растяжимое пухоперов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6205705A (ja) フリース複合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A2633169A1 (en) Method for perforating heat meltable material
MX2011000517A (es) Revestimiento de aislamiento cortado con matriz.
CN104470710A (zh) 复合伸缩部件及其生产方法、以及设有复合伸缩部件的穿戴物品及其生产方法
CN106456383B (zh) 吸收性物品的多个片材的固定装置以及固定方法
US9731488B2 (en) Method for laminating a tubular film
JP2007034254A (ja) 吸音性能を向上した多孔質材料系吸音材
CN103347474B (zh) 制造具有低卷曲的沿机器方向的身体粘附吸收性制品的方法
CN104471008A (zh) 防水带及其制造方法
KR101929767B1 (ko) 유흡착포
JP2588843B2 (ja) 粘着テ−プ
TW201714593A (zh) 用於表面緊固件之環構件及成人尿布
JPH0838892A (ja) 油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544933A1 (en) Method for forming a slat piece for venetian blind and the slat piece thus formed
CN205344003U (zh) 一种夹心型保温抗风可重复使用的保湿养护膜
JP3122466U (ja) トナーシール材
RU2016102592A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