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678B1 - 수질시료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시료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678B1
KR101413678B1 KR1020140034715A KR20140034715A KR101413678B1 KR 101413678 B1 KR101413678 B1 KR 101413678B1 KR 1020140034715 A KR1020140034715 A KR 1020140034715A KR 20140034715 A KR20140034715 A KR 20140034715A KR 101413678 B1 KR101413678 B1 KR 10141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magnet member
li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범한
박원석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내부 공간을 각각 구비한 용기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수질시료를 걸러주는 거름망 및 제1자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및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와 결합하는 제2자석부재 및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질시료 채취 장치{Water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수질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없이도 수질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밀폐 보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은 수생태계의 파괴로 생산성이 감소하여 건전한 수생태계 이용을 저해할 뿐 아니라, 이에 의존하고 수계를 이용하는 사람의 건강에도 큰 위협이 된다. 이에 따라, 개발지역에 대하여 하폐수처리장 건설, 하수관거 개선 등으로 오염물질 저감 및 수환경 개선이 이루어졌다.
한편, 군사격장과 폐탄광 등과 같은 격지에서 배출되는 화약물질과 중금속 등은 지속적으로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인체건강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격지는 개발되지 않아 접근이 어려우며, 오염물질이 표면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아 강우 초기 형성되는 표면유출수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이 매우 많다.
수질 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수시 유출되는 유출수를 채취하여 정확한 오염도 측정을 통해 저감 시설을 설계해야 한다. 하지만 격지에서는 정확한 강수시간을 예측할 수 없고, 강수시 하천이 불어나 도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적기에 수질 시료를 채취하기도 어렵다. 또한, 격지에서는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자동시료채취장비를 설치하기 어렵고, 설치한다고 해도 비용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않다. 이에 따라, 격지에 위치한 수질 오염원에 대한 배출저감시설의 설치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한편, 폐수 처리시설, 하천 매립지 침출수 및 지하수로부터 수질 시료를 채취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종래 개발되었으나(특허 10-2012-0084616, 10-2006-0020296 및 10-2007-0010207), 전원을 필요로 하거나 주기적으로 사람이 직접 관리해야 하고 전원공급 및 구동 장치가 필요해 격지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격지에서 무전원으로 수질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수질시료를 수거 전까지 보존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전원 없이도 수질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며, 채취된 수질시료를 밀폐 보존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장치는, (1)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내부 공간을 구비한 용기부, (2)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수질시료를 걸러주는 거름망 및 제1자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3)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와 결합하는 제2자석부재 및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자석부재는 수질시료를 상기 투입구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자석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부체부는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력을 작용시키는 부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체부는 상기 밀폐부재 내에 형성되어 공기로 채워진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용기부의 내부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로 채워진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뚜껑부는 상하로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이 상기 뚜껑 몸체의 상측을 덮고, 상기 제1자석부재가 수질시료를 상기 투입구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 몸체의 상측이나 내주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 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은 하측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부는 (1) 상기 거름망의 하측을 둘러싸는 프레임, (2) 상기 프레임의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름망을 상기 뚜껑 몸체에 고정시키는 금속재질의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장치는, (1) 상측으로 개구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결합된 상기 용기부, 뚜껑부 및 부체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케이스, (2) 상기 용기부 및 뚜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장치는, 현장에서 설치 및 회수가 간편하고, 별도의 전원 없이도 수질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채취된 수질시료를 밀폐 보관함으로써 수질시료의 변질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용기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뚜껑부 및 부체부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부체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수질채취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질시료의 오염도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채취한 시료가 대표성을 가져야 하며, 그 대표성이 유지되기 위해 채취한 수질시료 내 성분이 수거 전까지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석하고자 하는 수질시료의 성분에 따라 상이한 재료의 시료채취용기가 필요하고, 보존 및 보관방법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시료채취 용기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가변성과 다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수질시료 채취용기는 수질 성분과 흡착 및 분해 등의 반응을 하지 않아야 하며, 햇빛, 바람, 온도, 강수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물이 증발하거나 희석되지 않도록 밀봉되어야 하고, 광분해 등에 의해 수질 성분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수질시료 장치가 고가인 경우, 초기 투자비가 증가하여 다수의 지점에서 초기 유출수를 채취하기 어렵고, 이로 말미암아 정확한 오염물질 유출 경로와 오염도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는 현장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용기에 수질시료가 차면 부력과 자력에 의해 용기가 자동적으로 밀폐되어 내용물이 보존되며,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격지에서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보존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효과적으로 초기 표면 유출수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분석물질의 종류에 따라 안정화제를 별도로 사전에 투입해 두면 시료의 변질과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수거 후 정확한 오염도 평가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용기부(100)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용기부(100)는 수질시료를 보관하는 용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110) 및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된 내부 공간(120)을 각각 구비한다. 용기부(100)는 플라스틱, 유리,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이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부(200)는 투입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의 뚜껑으로서, 거름망(210), 제1자석부재(220) 및 뚜껑 몸체(230)를 각각 구비한다.
거름망(210)은 뚜껑 몸체(230)의 상측에 구비되어 투입구(110)를 둘러 덮는 것으로서, 투입구(110)로 투입되는 수질시료 중에서 큰 입자(토사, 식물 잔재물 및 기타 부유물질)를 걸러주며, 이를 위해 일정한 크기 이하의 다수의 개구홈으로 형성된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진다.
뚜껑 몸체(230)는 중공에 의하여 상하로 관통된 통 형상의 구성으로서, 투입구(110)에 체결된다. 투입구(110)에 뚜껑 몸체(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뚜껑 몸체(230)와 투입구(110)는 체결 수단을 각각 구비한다. 체결 수단으로는 암수 나사 결합 방식, 나사산 결합 방식, 또는 핀고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23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231)이 형성되고, 투입구(11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231)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제1나사산(231)과 제2나사산(111)에 의해 뚜껑 몸체(230)와 투입구(110)가 체결 및 분리된다.
제1자석부재(220)는 자기력을 갖는 구성으로서, 제1개구부(221)를 구비하며, 뚜껑 몸체(23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자석부재(220)는 원형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자석부재(220)의 표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이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 몸체(230)와 투입구(110)의 체결시, 제1자석부재(220)는 투입구(110)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투입구(110)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거름망(210)을 거쳐 투입된 수질시료가 제1개구부(221)를 통해서만 투입구(110)에 투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뚜껑 몸체(230)와 투입구(110)의 체결시 제1자석부재(220)가 투입구(11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제1자석부재(220)의 외주면이 이루는 크기는 투입구(110)의 내주면이 이루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반대로, 뚜껑 몸체(230)와 투입구(110)의 체결시 제1자석부재(220)가 투입구(110)의 내측면에 위치할 경우, 제1자석부재(220)의 외주면이 이루는 크기는 투입구(110)의 내주면이 이루는 크기와 같게 형성된다. 제1자석부재(220)와 뚜껑몸체(230)는 나사산 결합 방식이나 끼움결합 방식, 또는 핀고정 방식의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거름망(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중금속 분석에 방해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과 같이 수질시료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않고 수질시료에 의해 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 몸체(230)는 플라스틱, 유리,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이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거름망(210)은 뚜껑 몸체(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거름망(210)과 뚜껑 몸체(230)는 체결 수단을 각각 구비한다.
예를 들어, 거름망(210)과 뚜껑 몸체(230)의 체결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40)과 고정링(250)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3개구부(241)를 구비하며, 제3개구부(241)에 거름망(210)이 결합된다. 즉, 하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거름망(210)은 하측이 프레임(240)의 제3개구부(24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40)은 거름망(210)을 둘러싸서 거름망(210)을 지지하며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프레임(240)은 플라스틱, 유리,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이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2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제4개구부(251)를 구비하며, 프레임(240) 상에 구비된다. 프레임(240) 상에 고정링(250)이 구비될 때, 통 형상의 거름망(210)은 제4개구부(251)를 관통한다. 제4개구부(251)는 제3개구부(241)와 크기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40) 상에 고정링(250)이 마련되고, 금속재질의 고정링(250)과 제1자석부재(220) 사이에 자기 인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프레임(240)은 뚜껑 몸체(230) 상에 고정된다.
부체부(300)는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120)에 위치하며,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력이 작용하여 위치가 상하로 이동한다. 부체부(300)는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제1자석부재(220)와 자력결합하는 제2자석부재(310) 및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투입구(110)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320)를 각각 구비한다. 부체부(300)는 플라스틱과 같이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력이 작용하고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자석부재(310)는 자기력을 갖는 구성으로서, 제2개구부(31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2자석부재(310)는 원형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자석부재(310)의 표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이 수질시료의 수분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 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320)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1)가 형성되고, 돌출부(321)의 외주면이 이루는 크기보다 넓은 면을 갖는 마개부(322)가 돌출부(321)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2자석부재(310)와 밀폐부재(320)는 돌출부(321)가 제2개구부(311)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돌출부(321)는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제1개구부(221)로 삽입되어 뚜껑 몸체(230)의 내주면을 밀폐시킨다. 부체부(300)가 부상하는 과정에서 용기부(100)의 내측벽이나 턱에 걸리지 않도록, 돌출부(321)는 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체부(300)가 부상하는 과정에서 부체부(300)가 전도되지 않도록, 돌출부(321)의 길이(d1, 도 6 참조)는 용기부(100)의 횡단면 내부 폭(d2)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부체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부체부(300)는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력을 작용시키는 부력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력부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320) 내에 공기로 채워진 중공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중공부는 돌출부(32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321)가 밀폐부재(3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수질시료에 의해 부력이 작용할 때, 부체부(300)가 균형을 계속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구된 유입구(410)를 구비한 통 형상의 케이스(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400)는 안정적으로 수질시료를 용기부(10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결합된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를 내부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스(400)는 외부 요인에 의한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기부(100) 내에 채취된 수질시료의 햇빛에 의한 변질을 예방한다. 케이스(400)는 일측 하부에 배출구(420)를 구비한다. 또한 결합된 상기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를 안착시키기 위해, 케이스(400)의 내부에는 용기부(100) 및 뚜껑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500)를 더 포함한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의 수질채취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시료 채취 장치가 수질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결합된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부체부(300)를 케이스(400) 내부 일측면에 고정시키고, 케이스(400)를 유출수가 흐를 수 있는 지점에 설치한다. 강우가 내리면서 유출수가 발생하면 케이스(400)로 유입되어 케이스(400) 내부에 수질시료가 차오른다. 수질시료의 수위가 뚜껑부(200)에 이르게 되면, 용기부(100) 내로 수질시료가 투입된다. 이때, 상측의 거름망(210)이 1차적으로 수질시료의 큰 입자(토사, 식물 잔재물 및 기타 부유물질)를 걸려준다. 이와 같이 큰 입자가 걸러진 수질시료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0)에 마련된 제1자석부재(220)의 제1개구부(221)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로 투입된다. 수질시료가 용기부(100)의 내부로 투입되면,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체부(300)는 용기부(100)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수질시료가 만수위에 이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부재(220)와 제2자석부재(310)가 자기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자석부재(310)의 제2개구부(311)를 관통한 돌출부(321)는 제1개구부(221)를 관통하면서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밀폐된 용기부(100)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수질시료의 성분을 보존한다. 특히, 케이스(400) 내에는 물이 차있게 되므로, 햇볕에 의한 온도상승이나 외부 요인에 의한 수질시료 변질과 용기부(10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용기부 110 : 투입구
111 : 제2나사선 120 : 내부공간
200 : 뚜껑부 210 : 거름망
220 : 제1자석부재 221 : 제1개구부
230 : 뚜껑 몸체 231 : 제1나사선
240 : 프레임 250 : 고정링
300: 부체부 310 : 제2자석부재
311 : 제2개구부 320 : 밀폐부재
321 : 돌출부 322 : 마개부
400 : 케이스 410 : 유입구
500 : 클램프

Claims (10)

  1.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내부 공간을 구비한 용기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수질시료를 걸러주는 거름망 및 제1자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및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와 결합하는 제2자석부재 및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재는 수질시료를 상기 투입구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자석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수질시료의 만수위에서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부는 수질시료의 수위에 따라 부력을 작용시키는 부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부는 상기 밀폐부재 내에 형성되어 공기로 채워진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용기부의 횡단면 내부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로 채워진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하로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이 상기 뚜껑 몸체의 상측을 덮고,
    상기 제1자석부재가 수질시료를 상기 투입구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 몸체의 상측이나 내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하측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거름망의 하측을 둘러싸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름망을 상기 뚜껑 몸체에 고정시키는 금속재질의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구를 구비하고, 결합된 상기 용기부, 뚜껑부 및 부체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용기부 및 뚜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시료 채취 장치.
KR1020140034715A 2014-03-25 2014-03-25 수질시료 채취 장치 KR10141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15A KR101413678B1 (ko) 2014-03-25 2014-03-25 수질시료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15A KR101413678B1 (ko) 2014-03-25 2014-03-25 수질시료 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678B1 true KR101413678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15A KR101413678B1 (ko) 2014-03-25 2014-03-25 수질시료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67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3B1 (ko) * 2016-08-26 2016-10-14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방사성 폐수지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CN108663234A (zh) * 2018-08-22 2018-10-16 浙江云广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用使用方便的取水装置
CN110954373A (zh) * 2019-05-06 2020-04-03 河海大学 一种可自动收集不同降雨时段水样的装置
KR20210155490A (ko) * 2020-06-16 2021-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퇴비 부숙도 자동 측정 장치
KR20210155491A (ko) * 2020-06-16 2021-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센서를 이용한 퇴비 부숙도 측정장치
CN114136704A (zh) * 2021-11-18 2022-03-04 吕洪德 一种地表水自动监测装置用采水组件
KR20230031070A (ko) * 2021-08-26 2023-03-07 한국수자원공사 자석을 이용한 채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542A (ja) * 1993-01-06 1994-07-19 Oyo Corp 密閉採水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採水装置
JP3009892U (ja) * 1994-10-05 1995-04-11 石切精機株式会社 フロートスイッチ
KR200241120Y1 (ko) 2001-04-24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지하수 시료 채취기
KR100919940B1 (ko) 2007-10-15 2009-10-01 삼창기업 주식회사 수위 변동 가변형 시료수 채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542A (ja) * 1993-01-06 1994-07-19 Oyo Corp 密閉採水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採水装置
JP3009892U (ja) * 1994-10-05 1995-04-11 石切精機株式会社 フロートスイッチ
KR200241120Y1 (ko) 2001-04-24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지하수 시료 채취기
KR100919940B1 (ko) 2007-10-15 2009-10-01 삼창기업 주식회사 수위 변동 가변형 시료수 채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3B1 (ko) * 2016-08-26 2016-10-14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방사성 폐수지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CN108663234A (zh) * 2018-08-22 2018-10-16 浙江云广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用使用方便的取水装置
CN108663234B (zh) * 2018-08-22 2023-09-19 浙江云广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用使用方便的取水装置
CN110954373A (zh) * 2019-05-06 2020-04-03 河海大学 一种可自动收集不同降雨时段水样的装置
KR20210155490A (ko) * 2020-06-16 2021-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퇴비 부숙도 자동 측정 장치
KR20210155491A (ko) * 2020-06-16 2021-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센서를 이용한 퇴비 부숙도 측정장치
KR102387415B1 (ko) 2020-06-16 2022-04-15 대한민국 센서를 이용한 퇴비 부숙도 측정장치
KR102409579B1 (ko) * 2020-06-16 2022-06-16 대한민국 퇴비 부숙도 자동 측정 장치
KR20230031070A (ko) * 2021-08-26 2023-03-07 한국수자원공사 자석을 이용한 채수기
KR102533117B1 (ko) 2021-08-26 2023-05-16 한국수자원공사 자석을 이용한 채수기
CN114136704A (zh) * 2021-11-18 2022-03-04 吕洪德 一种地表水自动监测装置用采水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678B1 (ko) 수질시료 채취 장치
US8286512B1 (en) Apparatus to assist in the collection of stormwater-quality samples in a vertical profile
US8935965B1 (en) Apparatus to assist in the collection of stormwater-quality samples in a vertical profile
US8127626B2 (en) Sediment sampler for in-situ measurement of soluble contaminant flux rates
JPH1037296A (ja) 遮集タンク
CN104769417A (zh) 汞监视系统和方法
KR102366603B1 (ko) 해양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 밀도분리장치
KR101905175B1 (ko) 채수장치
CN103674613A (zh) 一种悬移质泥沙采样器
CA2558577A1 (en) Dual-opening sample containers, fluid samp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045617A1 (en) Device for sequentially collecting rainwater, in particular with a view to studying the variation in the radioactivity of rainwater
JP2009287972A (ja) 自動採水装置
CN111247413B (zh) 自动水采样器设备
US20170121957A1 (en) Drain closure apparatus
US20130305845A1 (en) Water sampling mechanism
CN105727618A (zh) 一种生活污水箱
CN215004427U (zh) 用于污水厂的水质提取装置
CZ2008329A3 (cs) Detritový kontinuální vzorkovac pro drobné toky se spádem
US5744731A (en) Liquid sampling apparatus capable of assembly in different sampling configurations
LU101569B1 (en) Passive sampler deployment housing
KR100518684B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CN209907552U (zh) 一种土木工程道路排水去污环保装置
CN108680399B (zh) 一种地下水定深采样器
KR101486285B1 (ko)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JP5619200B2 (ja) ま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