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91B1 -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91B1
KR101413091B1 KR1020120140105A KR20120140105A KR101413091B1 KR 101413091 B1 KR101413091 B1 KR 101413091B1 KR 1020120140105 A KR1020120140105 A KR 1020120140105A KR 20120140105 A KR20120140105 A KR 20120140105A KR 101413091 B1 KR101413091 B1 KR 10141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erilization
ultraviolet
sterilized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966A (ko
Inventor
함준상
설국환
오미화
정석근
한기성
조수현
성필남
강근호
서영석
김현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4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7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irradiation, e.g. by microwaves ; by sonic or ultrasonic waves
    • A23C3/076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irradiation, e.g. by microwaves ; by sonic or ultrasonic waves by ultraviolet or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8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containing vitamins or antibiotics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착유된 우유에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우유 살균 제조방법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영양 성분의 변성을 최소로하며, 우유의 살균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고, 살균된 우유의 기호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terilized milk by using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착유된 우유에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가공품의 살균 또는 멸균 공정은 따로 정하여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축산물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고시)에 따라 저온장시간 살균법(63 ~ 65 ℃에서 30분), 고온단시간 살균법(72 ~ 75 ℃에서 15초 내지 20초), 초고온순간 살균법(130 ~ 150 ℃에서 0.5초 내지 5초) 또는 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력을 가지는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살균 제품에 있어서는 살균 후 즉시 10 ℃이하로 냉각시켜야 하고, 멸균 제품은 멸균한 용기 또는 포장에 무균공정으로 충전 및 포장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어 유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살균 및 냉각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을 이용한 우유 살균법을 사용하는 경우, 열에 약한 우유의 유청단백질은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고, 수용성 비타민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의 손실을 가져온다. 저온장시간 살균법의 경우 약 12 ~ 20%, 고온단시간 살균법의 경우 50%, 초고온순간 살균법의 경우 60 ~ 65%의 변성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영양 성분의 변성을 최소로하며 우유를 살균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6703호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6703호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착유된 우유에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유된 우유에 50 ppm ~ 250 ppm의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항산화제가 첨가된 우유를 시간당 500 ~ 1000 kg으로 자외선 조사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250 nm ~ 260 nm 파장의 자외선으로 5 분 ~ 10 분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카테킨, 비타민 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우유 살균 제조방법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영양 성분의 변성을 최소로하며, 우유의 살균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고, 살균된 우유의 기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착유된 우유의 펩타이드 피크를 나타낸 질량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저온장시간살균한 우유의 펩타이드 피크를 나타낸 질량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3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자외선 살균 우유의 펩타이드 피크를 나타낸 질량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4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자외선 살균 우유의 펩타이드 피크를 나타낸 질량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외선 살균 모듈'은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유체를 살균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은 착유된 우유가 유입되는 입구 및 살균 모듈에 의해 살균된 우유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살균 모듈의 내부 및 외부에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유체라도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자외선 램프에 의해 조사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자외선 살균 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유된 우유에 50 ppm ~ 250 ppm의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항산화제가 첨가된 우유를 시간당 500 ~ 1000 kg으로 자외선 조사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250 nm ~ 260 nm 파장의 자외선으로 5 분 ~ 10 분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착유된 우유는 착유 직후부터 2 ~ 6 ℃로 냉각되며, 상기 냉각된 우유는 항상화제가 첨가된 이후 시간당 500 ~ 1000kg으로 복수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살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자외선 살균 모듈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기의 표 1에는 고온에 의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양 성분의의 변성이 가장 낮은 저온장시간 살균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법(자외선 파장 255 nm, 살균 모듈의 수는 1개 내지 4개)에 따른 우유의 살균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총세균수와 대장균수는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농립수산식품검역검사본부 고시)에 따라 분석되었다.
구분 원유
저온장시간
살균법
자외선 살균법
1개 모듈 2개 모듈 3개 모듈 4개 모듈
총세균수
(CFU/ml)
3,300 110 1,100 25 - -
대장균수
(CFU/ml)
33 5.5 20 - - -
우유의 총세균수는 3,300 CFU/ml이었고 대장균수는 33 CFU/ml이었으나, 저온장시간 살균시 총세균수는 110 CFU/ml, 대장균수는 5.5 CFU/ml로 감소되어 96.7%의 살균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자외선 살균법에서는 살균모듈을 1개 통과시에 총세균수는 1,100 CFU/ml, 대장균수는 20 CFU/ml로 66.7%의 살균율을 나타내었으나, 살균모듈을 2개 통과시에 총세균수는 25 CFU/ml로 감소되어 99.2%의 살균율을 나타내었으며, 살균모듈을 3개 이상 통과할 경우 세균은 검출되지 않아 저온장시간 살균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250 nm ~ 260 nm 파장의 범위로 상기 냉각된 우유에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살균은 빛을 이용한 물리적인 살균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은 250 nm ~ 260 nm 파장의 작용에 의해 미생물 염색체를 손상시켜 미생물이 생육 및 분열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사멸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유체에 대한 자외선 살균은 유체의 자외선 투과율이 통상 60% 이상일 경우 경제성을 인정받아 적용되고 있으며, 유체의 자외선 투과율이 40% 이하일 경우 살균에 자외선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내부 및 외부에 자외선 조사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착유된 우유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열에 의한 우유의 살균보다 소비되는 에너지 비용이 적으며, 고열에 의한 우유 내의 단백질을 포함한 각종 영양분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착유된 우유의 살균에 사용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수십 ~ 수백 nm로 매우 짧기 때문에, 살균하고자 하는 우유의 탁도 또는 색도에 의해 흡수되어 투과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결과 최대 자외선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파장의 범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우유는 5 분 내지 10 분동안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로 살균될 수 있다. 상기의 살균 시간은 통과하는 살균 모듈의 수와 관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50 ppm ~ 250 ppm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카테킨, 비타민 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첨가할 수 있다.
착유된 우유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경우 관능적 품질 저하가 관찰되었으며, 이 때의 품질 저하는 저온장시간 살균한 우유보다 더 크다. 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광산화로 인해 산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능적 품질의 개선을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항산화제는 카테킨, 비타민 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첨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유의 관능적 품질은 30명의 훈련된 관능검사원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색, 향, 조직감,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해 9점 만점으로 평가, 각 우유 샘플은 각각의 관능검사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1회에 한하여 평가되었으며, 관능검사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기록되었다.
하기의 표 2는 저온장시간 살균한 우유와 자외선 살균한 우유(자외선 살균 모듈 3개 및 4개 통과)의 색, 향, 조직감,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조직감 종합적기호도
저온장시간
살균
5.8 4.1 5.5 5 5.1
자외선
살균
모듈
3개
6 3.6 5.2 4.6 5
모듈
4개
5.7 3.9 4.9 4.3 4.1
상기 표 2에 따르면, 관능검사 결과, 자외선 살균 모듈을 4개 통과시켜 살균한 우유의 관능적 품질은 대부분 저온장시간 살균한 우유보다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는 저온장시간 살균한 우유와 항산화제(카테킨 및 비타민 C)를 50 ppm ~ 250 ppm 첨가한 자외선 살균한 우유(자외선 살균 모듈 4개 통과)의 색, 향, 조직감,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조직감 종합적기호도
저온장시간
살균
5.8 4.1 5.5 5.0 5.1
저온장시간 살균 + 비타민C 50 ppm 5.5 4.2 6.0 5.2 5.1
저온장시간 살균 + 비타민C 100 ppm 5.7 3.9 5.5 4.7 4.6
저온장시간 살균 + 비타민C 250 ppm 5.7 3.9 5.7 4.9 5.1
자외선 살균 5.7 3.9 4.9 4.3 4.1
자외선 살균 + 비타민C 50ppm 6.1 4.7 4.9 4.3 4.4
자외선 살균 + 비타민C 100ppm 5.8 4.5 5.2 4.6 4.7
자외선 살균 + 비타민C 250ppm 5.9 4.4 5.1 4.5 4.5
자외선 살균 + 카테킨 50ppm 5.8 4.5 4.8 4.4 4.6
자외선 살균 + 카테킨 100ppm 6.1 4.3 5.0 4.6 4.6
자외선 살균 + 카테킨 250ppm 5.9 4.6 4.9 4.5 4.7
상기 표 3에 따르면, 관능검사 결과, 자외선 살균 모듈을 4개 통과시켜 살균한 우유에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C 또는 카테킨을 약 50 ppm ~ 250 ppm 첨가할 경우, 관능적 품질이 개선되어 저온장시간 살균한 우유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1.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생산된 우유를 4 ℃로 냉각하고, 상기 살균된 우유에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C를 100 ppm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항산화제가 첨가된 우유를 시간당 1000 kg으로 파장 255 nm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4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살균하였다.
2. Enterococcus faecalis 를 접종한 우유의 살균 효과
일반적으로 원유는 100,000 CFU/ml 이하이면 1등급으로 평가되므로 좀더 높은 수준의 미생물이 함유된 우유에서의 실험결과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원유에 Enterococcus faecalis를 첨가하여 살균 효과를 측정한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나 있다.
구분 원유
저온장시간
살균법
자외선 살균법
1개 모듈 2개 모듈 3개 모듈 4개 모듈
총세균수
(CFU/ml)
190,000 650 63,000 7,400 580 -
대장균수
(CFU/ml)
33 - 9 1 - -
Enterococcus faecalis를 1.9105 CFU/ml로 첨가시 저온장시간 살균법은 99.7%의 살균율을 보인 반면, 자외선 조사를 통한 살균법에서는 살균 모듈을 하나 통과시에 66.8%, 2개 통과시 96.1%, 3개 통과시 99.7%의 살균율을 나타내어 저온장시간 살균법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살균 모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우유의 질량 스펙트럼 측정 결과
다량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원유의 저온장시간 살균 또는 자외선 조사에 따른 살균 결과 단백질의 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살균한 우유에 포함된 펩타이드를 질량분석기(MALDI-TOF-TOF MS, Applied Biosystems)로 분석하였다.
저온장시간 살균유에서는 원유에서 나타난 주요 펩타이드 피크(m/z 938, 1731 등, 도 1 참조)가 관찰되지 않았으며(도 2 참조) 새로운 피크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는 펩타이드 피크 m/z 938, 1731 등에 해당하는 단백질의 변성 또는 분해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반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유의 경우 원유의 주요 펩타이드 피크(m/z 938, 1731 등)가 관찰되었으며, 새로운 펩타이드도 관찰되지 않아 단백질 변성에 따른 영향이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우유 살균 제조방법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영양 성분의 변성을 최소로하며, 우유의 살균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고, 살균된 우유의 기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착유된 우유에 50 ppm ~ 250 ppm의 카테킨, 비타민 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항산화제가 첨가된 우유를 시간당 500 ~ 1000 kg으로 자외선 조사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외선 살균 모듈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250 nm ~ 260 nm 파장의 자외선으로 5 분 ~ 10 분동안 살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20140105A 2012-12-05 2012-12-05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KR10141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5A KR101413091B1 (ko) 2012-12-05 2012-12-05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5A KR101413091B1 (ko) 2012-12-05 2012-12-05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66A KR20140072966A (ko) 2014-06-16
KR101413091B1 true KR101413091B1 (ko) 2014-07-14

Family

ID=5112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05A KR101413091B1 (ko) 2012-12-05 2012-12-05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67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및 고온 가열 살균을 이용한 우유의 살균방법 및 이에 따라 살균된 우유
KR20160073066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및 저온 가열 살균을 이용한 우유의 살균방법 및 이에 따라 살균된 우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845B2 (ja) 1997-03-26 2004-09-29 雪印乳業株式会社 抗酸化能が付与された粉乳
WO2010064773A1 (ko) 2008-12-05 2010-06-10 Choi Jae-Ho 식품의 보존 처리 장치
CN101990951A (zh) 2010-09-19 2011-03-30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乳制品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845B2 (ja) 1997-03-26 2004-09-29 雪印乳業株式会社 抗酸化能が付与された粉乳
WO2010064773A1 (ko) 2008-12-05 2010-06-10 Choi Jae-Ho 식품의 보존 처리 장치
CN101990951A (zh) 2010-09-19 2011-03-30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乳制品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Dairy Sci. vol. 95, pp.6230-6241, Nov. 201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67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및 고온 가열 살균을 이용한 우유의 살균방법 및 이에 따라 살균된 우유
KR20160073066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및 저온 가열 살균을 이용한 우유의 살균방법 및 이에 따라 살균된 우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66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te et al. Perspectives and trends in the application of photodynamic inactivation for microbiological food safety
Caminiti et al. The effect of ultraviolet light on microbial inactivation and quality attributes of apple juice
D'Souza et al. Application of light‐emitting diodes in food production, postharvest preservation, and microbiological food safety
Santhirasegaram et al. Effects of thermal and non-thermal processing on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attributes of chokanan mango (Mangifera indica L.) juice
Santhirasegaram et al. Comparison of UV-C treatment and thermal pasteurization on quality of Chokanan mango (Mangifera indica L.) juice
Basaran et al. Influence of apple cultivars on inactivation of different strains of Escherichia coli O157: H7 in apple cider by UV irradiation
Kim et al. The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treatment combined with UV-C on postharvest quality of ‘Maehyang’strawberries
Corrales et al. Effects of the decontamination of a fresh tiger nuts' milk beverage (horchata) with short wave ultraviolet treatments (UV-C) on quality attributes
Csapó et al. Effect of UV light on food quality and safety.
Shin et al. Effect of a combined treatment of rice bran protein film packaging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washing and ultraviolet-C irradi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Goha’strawberries
Islam et al. Effect of UV irradi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and cytotoxicity of apple juice
Gutiérrez et al. Application of UV‐C radiation in the conservation of minimally processed rocket (Eruca sativa Mill.)
Jeon et al. Inactivating foodborne pathogens in apple juice by combined treatment with fumaric acid and ultraviolet-A light, and mechanisms of their synergistic bactericidal action
Mukhopadhyay et al. Efficacy of integrated treatment of UV light and low‐dose gamma irradiation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enterica on Grape Tomatoes
Tomadoni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pomegranate extract and ultrasonic treatments on kiwifruit juice quality parameters
KR101413091B1 (ko) 자외선 살균 우유의 제조방법
Fan et al. Changes in quality, liking, and purchase intent of irradiated fresh‐cut spinach during storage
Vergne et al.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green tea: Effect on catechin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Shaik et al. Nonthermal pasteurization of pineapple juice: A review on the potential of achieving microbial safety and enzymatic stability
Kim et al. Combined treatment of β-resorcylic acid and capric acid enhances mild heat pasteurization for inactivating Salmonella Typhimurium in orange juice
Chun et al. Effects of combined nonthermal treatment on microbial growth and the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yam (Dioscorea japonica Thunb) during storage
Halim et al. Nonthermal pasteurization of pitaya (Hylocereus polyrhizus) juice using the hurdle concept.
KR101174263B1 (ko)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녹즙 및 그 제조방법
KR101014202B1 (ko) 원적외선 건조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건포도
Anugu Microbial inactivation and allergen mitigation of food matrix by pulsed ultraviolet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