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10B1 -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10B1
KR101411710B1 KR1020120158374A KR20120158374A KR101411710B1 KR 101411710 B1 KR101411710 B1 KR 101411710B1 KR 1020120158374 A KR1020120158374 A KR 1020120158374A KR 20120158374 A KR20120158374 A KR 20120158374A KR 101411710 B1 KR101411710 B1 KR 10141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exhaust pipe
fitting portion
base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여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는 filed Critical (주)여는
Priority to KR102012015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관용 스프링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를 가지는 제1보호막; 상기 제1끼움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상기 제2보호막의 제2주연부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의 제2끼움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으로 소화헤드의 산화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육안점검이 가능해짐으로 해체공사에 따른 인건비 및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Sprinkler Apparatus using for duct}
본 발명은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헤드의 산화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육안점검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해체공사에 따른 인건비 및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는 다양한 단위 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크게는 웨이퍼를 가공(wafer fabrication, fab)하는 공정과가공된 웨이퍼를 개개의 칩 단위로 조립(assembly or package)하는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정은 다시 여러 단계의 복잡한 하부 공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반도체 사업장에서는 웨이퍼 가공공정과 칩 조립공정을 각각 가공라인과 조립라인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가공라인은 반도체 회로나 소자를 만들기 위해 웨이퍼를 가공하는 일련의 과정이 포함하고 있다. 이를 세부 공정별로 나누어 보면 웨이퍼에 산화막을 형성하고 열처리 및 불순물(dopant)을 확산시키는 확산공정, 회로패턴을 형성시키는 포토공정(photolithography), 포토공정에서 형성된 패턴을 완성하기 위해 화학적 반응 등을 통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주는 식각공정, 반도체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비소(arsenic) 이온, 인(phosphorus) 이온 등의 불순물을 주입하는 이온주입공정, 화학적 반응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전도성 또는 절연성 박막을 형성시키는 증착공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공정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며 특히 확산 공정 및 식각 공정에서는 무기산, 과산화수소, 할로겐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회로 패턴에 포함되지 않은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염산, 질산 등의 다량의 다양한 강산성 가스 및 암모니아, 벤젠, 휘발성 유기화학물과 같은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며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산물이 제조 공정에서 발생이 되고 있으며 이는 배기관을 통하여 작업장 외부로 배출된 후 유해 물질이 제거되도록 재처리되어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는 반도체뿐 아니라 LCD 및 PDP, OLED와 같은 첨단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공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뿐 아니라 LCD 및 PDP, OLED 각 제조 및 조립공정에서 발생된 유독성, 강산성, 가연성 가스에 의하여 반도체 및 LCD 등 첨단 제조 공장의 배기관은 항상 부식 또는 화재 폭발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소화헤드가 설치된 배기관에서는 소화헤드가 강산성 가스에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부식에 의해 소화헤드가 오작동하여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위험성 때문에 세계의 각 공장에서는 크고 작은 화재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반도체 및 LCD 및 PDP, OLED 같은 첨단 공장의 경우 작은 화재에도 대형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라 상기의 생산 공장에서는 배기관에 모두 소화헤드가 장착된 소화설비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배기관 내부의 유독 가스 특히 염산 및 질산과 같은 강산성 가스의 영향으로 소화헤드가 부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헤드(15)에 비닐캡(30)을 씌워 강산성의 가스로부터 소화헤드(15)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기관용 소화헤드 시스템은 배기관에 뚫려있는 Hole과 동일한 직경의 Hole(21)이 있어 배기관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상부에 위치하며 배기관 Hole에 삽입되는 형태의 비닐캡(30)과, 소화헤드(15)를 고정하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볼트(23)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22), 및 급수관(16)과 연결되어 살수 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비닐캡(30)은 배기관 내부의 강산성 가스로부터 상기 소화헤드(15)가 부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빠른 속도로 유독성 기류가 흘러가는 첨단 공장의 배기관 내에서는 비닐캡(30)이 찢어지거나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 많은 유독 성분의 화학반응 때문에 구멍이 뚫려 소화헤드(15)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화헤드(15) 부식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소화헤드(15)를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항상 잠재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점검주기를 매우 짧게 해야 하고 소화헤드(15)가 분리되면 점검시간 동안 밀폐가 풀리기 때문에 유독성 가스가 배기관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유출될 수 있어 점검요원의 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KR 10-1002953 B1 KR 10-1197675 B1 KR 20-0243323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의 유독성 배기가스에 의해 산화되어 손상된 소화헤드로 인해 화재 발생시 살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생 가능한 매출 손실을 없애고 화재 발생시 소화 헤드의 기능 상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화헤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화헤드의 산화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육안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여 해체공사에 따른 인건비 및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소화헤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화헤드 점검시간 동안 소화헤드를 직접 해체하지 않기 때문에 유독성 물질이 점검인원의 인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발생 가능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소화헤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화헤드 작동 유무에 대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여 화재보험 가입시 소화설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험료를 낮출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소화헤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는 배기관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의 외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를 가지는 제1보호막; 상기 제1끼움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상기 제2보호막의 제2주연부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의 제2끼움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수단은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수단은 리트머스 용지, 용기에 수용된 메틸오렌지 용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분에 프레넬 렌즈, 확대렌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배기관과 동일한 재질의 FRP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배기관은 FRP 재질의 접착제로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의하면, 배기관 내부의 유독성 배기가스에 의해 산화되어 손상된 소화헤드로 인해 화재 발생시 살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생 가능한 매출 손실을 없애고 화재 발생시 소화 헤드의 기능 상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의하면, 소화헤드의 산화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육안점검이 가능해짐으로 해체공사에 따른 인건비 및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의하면, 소화헤드 점검시간 동안 소화헤드를 직접 해체하지 않기 때문에 유독성 물질이 점검인원의 인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발생 가능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에 의하면, 소화헤드 작동 유무에 대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여 화재보험 가입시 소화설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험료를 낮출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의 확대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넬 렌즈 기능을 구비한 상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의 확대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록렌즈 기능을 구비한 상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의 확대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넬 렌즈를 설치하였을 경우 빔의 경로를 보여주는 광 경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의 확대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넬 렌즈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 제1보호막(31), 제2보호막(32), 측정수단(33), 상부플레이트(22), 소화헤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소화헤드(15)를 배기관(10)에 설치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0)에 형성된 구멍(11)과 연통되는 구멍(21)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10)의 외부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배기관(10)과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고정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상기 배기관(10)과 베이스 플레이트(20)를 FRP 재질로 형성하였을 때, FRP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배기관(10)을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결합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상부플레이트(22)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호막(31)은 배기관(1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로부터 소화헤드(15)를 보호하기 위한 얇은 막으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한 구멍(21)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31a)와, 상기 제1끼움부(31a)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31b)를 가진다. 상기 제1주연부(31b)에는 상기 다수의 볼트(23)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31c)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보호막(32)은 배기관(1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로부터 소화헤드(15)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호막(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헤드(15)를 이중으로 보호하기 위한 얇은 막으로서, 상기 제1끼움부(31a)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32a)와, 상기 제2끼움부(32a)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32b)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후술하는 측정수단(33)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주연부(32b)에는 상기 다수의 볼트(23)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32c)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은 후술하는 소화헤드(15)가 배기관(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강산성의 배출가스에 의해 부식되는 것으로부터 소화헤드(15)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기관(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열에 의해 쉽게 녹을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기타 비닐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융점을 낮추기 위하여 최대한 박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수단(33)은 상기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10) 내부의 배출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리트머스 용지나 용기에 담겨진 메틸오렌지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트머스 용지는 푸른 리트머스 용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푸른 리트머스 용지는 산성에 노출되게 되면, 점차로 붉게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푸른 리트머스 용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호막(31)과 상기 제2보호막(32) 사이에 배치하게 되면, 배기관(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강산성의 유독성 가스가 상기 제1보호막(31)에 침투하여 상기 푸른 리트머스 용지를 점차로 붉은 색으로 변하게 하므로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가 있게 되어 상기 제1보호막(31)의 교체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틸오렌지 용액의 경우 산성에서 적색, 중성과 염기성에서 노란색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용기에 소량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뚜껑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보호막(31) 내부의 상면에 위치시켰을 경우 원 용액의 노란 색상이 적색으로 변하였을 경우 상기 제1보호막(31)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후술하는 소화헤드(15)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32a)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소화헤드(15)를 끼울 수 있는 구멍(22a)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2b는 볼트(23)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이고, 22c는 소화헤드(15)가 결합된 급수관(16)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서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2)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체를 투명한 부분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프레넬렌즈나 볼록렌즈도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투명 재질의 상부플레이트(22)의 상면에 프레넬렌즈(35)를 붙인 형상을 도식한 평면도이며, 상기 프레넬렌즈를 통하여 후술하는 소화헤드(15)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상부플레이트(22) 상면 일부 영역에 소화헤드(15)를 크게 확대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프레넬렌즈(35) 대신 볼록렌즈(45)를 부착한 형상을 도식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부플레이트(22)의 상면에 상의 확대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넬 렌즈(35)를 설치하였을 경우 빔의 경로를 보여주는 광 경로도이며, 도 7은 프레넬 렌즈(35)가 부착된 소화헤드 장치의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상기 소화헤드(15)는 급수관(16)의 하부에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10) 내부에 급수를 제공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형성한 구멍(22a)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끼움부(32a)의 내부에 끼워지게 된다. 미 설명 부호 17은 급수관(16)을 상부플레이트(22)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구이고, 18, 19는 오링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는 배기관(10)을 통하여 강산성의 유해가스가 배출되게 될 때, 소화헤드(15)는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에 의해서 이중으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소화헤드(15)는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에 의해 이중으로 강산성의 유해가스로부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배기관(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강산성의 유해가스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점차로 제1보호막(31)을 침투하여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 사이의 공간도 점차로 강산성의 유해가스가 충만한 상태로 만들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리트머스 용지 또는 메틸오렌지 용액을 붉은 색으로 변색시키게 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리트머스 용지 또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붉은 색으로 변색되게 되면, 제1보호막(31)이 강산성의 유해가스에 의해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제2보호막(32)도 조만간 강산성의 유해가스에 의해서 손상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보호막(32)이 손상되기 전에 소화헤드 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제1보호막(31)을 교체하게 되면, 소화헤드(15)는 강산성의 유해가스에 의해서 부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트머스 용지 또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붉은 색으로 변색되는 상태의 확인은 상부플레이트(22)의 일부 또는 전체를 투명한 부분으로 형성하고, 또 제2보호막(32)도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한 부분으로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부플레이트(22)와 제2보호막(32)의 투명한 부분을 통하여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리트머스 용지 또는 메틸오렌지 용액의 변색 상태를 외부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는 소화헤드(15)가 강산성의 가스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호막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제1보호막(31)이 유독성 가스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경우 또 하나의 제2보호막(33)이 소화헤드(15)를 보호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1보호막(31)과 제2보호막(33) 사이에 부착된 상기 측정수단(33)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의 손상유무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호막 교체를 통하여 항상 소화헤드(15)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소화헤드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도 수시로 배기관 내부에 설치된 소화헤드(15)의 부식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화헤드(15)의 확대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안정적인 방재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 의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 배기관 15 : 소화헤드
16 : 급수관 20 : 베이스 플레이트
22 : 상부플레이트 31 : 제1보호막
32 : 제2보호막 23 : 측정수단

Claims (5)

  1. 삭제
  2. 배기관(10)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10)의 외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31a)와, 상기 제1끼움부(31a)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31b)를 가지는 제1보호막(31);
    상기 제1끼움부(31a)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32a)와, 상기 제2끼움부(32a)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32b)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32);
    상기 제1끼움부(31a)와 제2끼움부(32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10)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33);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주연부(32b)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32a)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2);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끼움부(32a)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16)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10)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33)은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3. 배기관(10)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10)의 외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31a)와, 상기 제1끼움부(31a)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31b)를 가지는 제1보호막(31);
    상기 제1끼움부(31a)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32a)와, 상기 제2끼움부(32a)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32b)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32);
    상기 제1끼움부(31a)와 제2끼움부(32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10)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33);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주연부(32b)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32a)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2);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끼움부(32a)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16)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10)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33)은 리트머스 용지, 용기에 수용된 메틸오렌지 용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4. 배기관(10)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10)의 외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31a)와, 상기 제1끼움부(31a)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31b)를 가지는 제1보호막(31);
    상기 제1끼움부(31a)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32a)와, 상기 제2끼움부(32a)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32b)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32);
    상기 제1끼움부(31a)와 제2끼움부(32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10)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33);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주연부(32b)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32a)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2);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끼움부(32a)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16)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10)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2)는 적어도 일부분에 프레넬 렌즈, 확대렌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5. 배기관(10)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관(10)의 외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1끼움부(31a)와, 상기 제1끼움부(31a)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주연부(31b)를 가지는 제1보호막(31);
    상기 제1끼움부(31a)의 내부에 끼워지는 중공의 제2끼움부(32a)와, 상기 제2끼움부(32a)의 상측에서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주연부(32b)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제2보호막(32);
    상기 제1끼움부(31a)와 제2끼움부(32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관(10) 내부의 가스에 의해 상기 제1보호막(31)이 손상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33);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주연부(32b)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끼움부(32a)의 중공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측정수단(3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2);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호막(32)의 제2끼움부(32a)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고정결합되는 급수관(16)이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배기관(10) 내부에 소화수단을 제공하는 소화헤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배기관(10)과 동일한 재질의 FRP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배기관(10)은 FRP 재질의 접착제로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KR1020120158374A 2012-12-31 2012-12-31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KR10141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74A KR101411710B1 (ko) 2012-12-31 2012-12-31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74A KR101411710B1 (ko) 2012-12-31 2012-12-31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710B1 true KR101411710B1 (ko) 2014-06-25

Family

ID=5113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374A KR101411710B1 (ko) 2012-12-31 2012-12-31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692A (ko) 2021-03-15 2022-09-22 승진산업 (주) 소방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73A (ja) * 1998-07-21 2000-02-0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002953B1 (ko) * 2008-05-22 2010-12-22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반도체 흄 덕트용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73A (ja) * 1998-07-21 2000-02-0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002953B1 (ko) * 2008-05-22 2010-12-22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반도체 흄 덕트용 스프링클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692A (ko) 2021-03-15 2022-09-22 승진산업 (주) 소방 구조체
KR102662723B1 (ko) * 2021-03-15 2024-05-02 승진산업 (주) 소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313B1 (ko) 누설 여부 검지가 가능한 진공배관용 연결부재
KR200486357Y1 (ko) 카메라 일체형 화재 감지 장치
Okoh et al. The influence of maintenance on some selected major accidents
KR101411710B1 (ko) 배기관용 소화헤드 장치
US9996147B2 (e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ing device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ing system
KR20190062871A (ko)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및 예방진단 클라우드 시스템
KR20150117464A (ko) 누수감지키트
Chen et al. Study of chemical supply system of high-tech process using inherently safer design strategies in Taiwan
ES2620971T3 (es) Sistema de control de instalaciones contra incendios
JP2010197386A (ja) インライン高圧粒子検知システム
WO2019100609A1 (zh) 掩膜版及薄膜封装方法
CN205212966U (zh) 一种化工生产安防监控装置
US5649598A (en) Corrosion sensing sprinkler shroud
Sanders Designs that lacked inherent safety: case histories
JP3116336U (ja) X線異物検査装置
KR200330141Y1 (ko)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Jebakumari et al. Firefighter Safety Using IoT
KR102351035B1 (ko) 포인트형 센서
Colda et al. Designing and using robots for performing inspections in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s
US20240001170A1 (en) Method and system of air/environmental parameter based automatic closing of one or more valves to isolate breathable air supplied to one or more levels of a structure having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mplemented therein
Low et al. Systems Analysis using CAST and STPA methodologies-A Case Study on handling LPG
JP2014010052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試験方法
CN104916080A (zh) 一种应用于受限空间的移动式气体监测报警装置
Okoh et al. The implication of maintenance in major accident causation.
Obi Optimization of flame and gas de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