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417B1 -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417B1
KR101411417B1 KR1020130078922A KR20130078922A KR101411417B1 KR 101411417 B1 KR101411417 B1 KR 101411417B1 KR 1020130078922 A KR1020130078922 A KR 1020130078922A KR 20130078922 A KR20130078922 A KR 20130078922A KR 101411417 B1 KR101411417 B1 KR 101411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eccentricity
brightn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환
최경융
Original Assignee
태백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백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백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01N2021/318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using 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 G01N2201/0612Laser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축 측정 대상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LED와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체의 광축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검사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LED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광이 확산된 상기 발광체를 촬영하여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을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 상에 상기 촬영물의 중심점을 지나는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양측의 상기 중심선과 상기 구획의 경계선과의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포함하는 발광체를 촬영한 촬영물 상에서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지점과 촬영물의 중심선과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Method for Light emitting module's eccentricity measuring}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발광체를 촬영한 촬영물 상에서의 동일 명도 지점과 촬영물의 중심점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편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액정 패널은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LED 모듈을 포함한다.
LED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를 커버하는 렌즈를 이용하는 발광체를 복수로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ED 모듈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ED 모듈(10)은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로드(11) 상에 발광체(1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체(12)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체(12)는 LED(14)와 LED(14)를 커버하고 LED(14)에서 발광된 광을 일정 방향으로 균일하게 조사하는 렌즈(16)를 포함한다.
이때, 렌즈(16)는 LED(14)에서 발광되는 광의 확산을 위해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그리고, LED(14)는 단일개로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의 LED(14)를 포함하는 집속체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체(12)는 LED(14)의 중심과 렌즈(16)의 중심축(이하 광축)이 서로 일방향으로 편심되지 않고 서로 일치될 필요가 있다.
LED(14)와 렌즈(16)의 광축이 편심되면 발광체에서 발광되는 광이 조사 방향에 따라 균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LED 모듈이 포함하는 발광체의 편심 상태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필요를 위해 등록특허 10-1207146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은 확산판을 통해 촬영한 LED 발광체의 촬영물상의 명도 차이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의 광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LED 모듈이 포함하는 LED와 렌즈로 구성되는 발광체의 광축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LED 모듈을 검사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발광체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발광체의 상측에 확산판을 배치하고, 상기 발광체를 촬영하여 발광체의 촬영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의 검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검사영역의 명도를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검사영역의 명도를 비교하여 상기 LED와 렌즈의 광축 정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 정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촬영물 상에서 상기 렌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의 원형 영역을 검사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검사영역 중 명도가 최고인 구획과 명도가 최소인 구획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구획의 명도의 편차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광축정렬상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방법은, LED 모듈의 중심이 낮은 명도를 가지고, 상기 LED 모듈의 중심의 양측으로 명도의 최고치가 대칭으로 발현되는 특성을 가지는 LED 모듈의 광축 검사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LED 모듈의 중심의 광특성이 상이하게 발현되는 LED 모듈의 광축검사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포함하는 발광체를 촬영한 촬영물 상에서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지점과 촬영물의 중심선과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편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축 측정 대상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발광다이오드와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체의 광축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검사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LED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광이 확산된 상기 발광체를 촬영하여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을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 상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중심점을 지나는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과 상기 구획의 경계선과의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물 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물 상에 명도 측정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와 이웃하는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명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을 동일 구획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은 상기 촬영물의 화소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에 의해 거리가 차이가 있으면 편심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의해 거리가 동일하면 편심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심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중심점과 교차점간의 긴거리 및 짧은 거리의 거리비를 구하고, 상기 거리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선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심선이 최초 위치로 순환할 때까지 상기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포함하는 발광체를 촬영한 촬영물 상에서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지점과 촬영물의 중심선과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LED 모듈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포함하는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의 수행에 의해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편심 정도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은 배치하는 단계(S110),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S120),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S130),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S140),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S150),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S160) 및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검사 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치하는 단계(S110)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의 발광체를 소정의 위치 상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편심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외력에 의한 진동 등이 방지될 수 있고, 검사 대상에 대한 전원 공급 및 검사 대상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주변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검사 대상인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은 본체(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0)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에 대한 검사 위치를 제공하고, LED 모듈(10)에 대한 검사를 위한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형성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될 수 있고, 필요 장소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체(110) 상에는 전원 공급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검사 대상이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에 대하여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여(S120),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이 발광되도록 한다. 이때, 검사 대상인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에 대해서는 동일한 전원을 공급하여, 동일한 발광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전원 공급부(120)는 균일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S13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에 대하여 촬영이 수행되고, 촬영 후에는 촬영 결과로서 촬영물을 출력한다. 이때, 촬영물은 발광 다이오드(14)가 중심에 위치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S130)는 별도의 촬영부(13)에 의해 수행된다.
발광체에 대한 촬영을 위해 촬영부(130)가 사용된다.
촬영부(130)는 LED 모듈(1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이 이루어질 때 LED 모듈(10)에 포함되는 발광체(12) 각각을 촬영하여 촬영물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와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부(130)는 전원 공급부(12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촬영물은 명도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흑백 영상일 수 있다. 또한, 흑백 영상인 경우 인식성 향상을 위해 컬러화 처리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촬영 직후 그래픽 파일 형태의 촬영물을 출력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촬영부(130)에서 출력되는 촬영물은 소정의 픽셀 사이즈(예를 들어 1024x768)를 갖는 그래픽 파일(예를 들어, jpg, tif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 시간 조절이 가능하고 CCD 또는 CMOS와 같은 고체 촬영 소자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효율의 향상을 위해 촬영부(130)는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30)가 포함하는 카메라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촬영부(130)는 발광체(12)의 검사 위치에서 발광체(12)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LED 모듈(10)를 배치한 후 촬영부(130)를 동작시키면, 촬영부(130)는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LED 모듈(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고, 하나의 LED 모듈(10)에 대하여 검사가 완료되면 다음 열의 LED 모듈(10)로 이송되어 촬영이 수행되도록 한다.
촬영에 의해 얻어진 촬영물은 후술하는 비교부(160)로 출력되고, 비교부(160)에서는 촬영물을 이용하여 LED 모듈(10)의 편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촬영물 상에는 촬영부(130)의 촬영 소자가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열점(hot pixel)과 같은 노이즈(noise)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를 수행하여 촬영물 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검사 대상인 LED 모듈(10)과 후술하는 촬영부(130)의 사이에는 확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확산판(132)은 발광체(12)에서 발광된 광을 확산시켜, 촬영물 상에서 LED(14) 부분만 밝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확산판(132)은 발광체(12)에서 발광된 광을 확산시켜, 광축이 정렬되어 있는 발광체에 대한 촬영물의 경우 촬영물 전체에 걸쳐 균일한 명도가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확산판(132)은 LED 모듈(10)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LED 모듈(10)이 포함하고 있는 복수개의 발광체(12) 중, 촬영 대상인 발광체(12) 만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체(12)의 검사 위치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에 의해 촬영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부(130)에서 출력된 촬영물에 대해서는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S140)는 촬영물 상에서 동일한 명도를 나타내는 지점을 동일 구획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포함하는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S140)는 명도 측정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42), 명도를 측정하는 단계(S144),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S146), 설정하는 단계(S148)를 포함한다.
명도 측정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42)는 촬영물 상에서 명도 측정의 지점을 설정한다.
여기서, 촬영물은 소정의 픽셀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파일이므로, 명도 측정 지점 설정은 촬영물 상의 각각의 픽셀(pixel)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촬영물 상의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명도 측정이 이루어진다(S144). 촬영부(130)에서 출력되는 촬영물의 명도 측정은 촬영물의 각 픽셀의 밝기를 측정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별도의 명도 측정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촬영물 상의 명도 측정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도 측정부(150)는 촬영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픽셀의 배치 순서를 따라 차례대로 명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명도값을 출력하여 후술하는 비교부(160)로 입력되도록 한다.
측정된 명도에 대한 값은 비교부(160)로 입력된다.
비교부(160)는 입력되는 각 픽셀의 명도값을 서로 비교한다(S146). 즉, 비교부(160)는 촬영물 상에서 소정 지점의 픽셀을 명도값과 그 픽셀에 이웃하는 픽셀의 명도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명도 기준 위치를 이웃하는 픽셀로 이동하여, 픽셀과 이웃하는 픽셀의 명도값에 대한 비교를 계속 수행하여 비교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비교값은 비교 대상 픽셀의 명도값이 동일하거나, 비교 대상 픽셀 중, 명도값이 더 큰 픽셀이 어느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비교부(160)는 비교값을 이용하여 명도값이 서로 동일한 비교 대상 픽셀이 위치하는 부분을 동일 구획으로 설정한다(S148).
도 7은 구획이 설정된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14)는 중심에 위치되므로, 발광 다이오드(14)에서 이격될수록 그 명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촬영물 상에서 발광 다이오드(14)와의 거리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명도가 저하되므로, 비교부(160)가 설정한 구획은 발광 다이오드(14)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 구획의 개수는 5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상기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S150)는 발광다이오드의 위치인 중심점(C)을 지나는 중심선(CL)을 도시한다.
상기 중심선(CL)은 촬영물 상의 구획을 지나며, 구획과 구획의 경계선과 교차한다.
중심선이 도시된 후,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S160)는 촬영물에서 구획된 구획의 중심점 즉, 발광 다이오드(14)의 위치를 지나는 중심선(CL)과 구획의 경계선과의 교차점의 거리를 환산한다. 즉, 촬영물 상에 도시된 중심선(CL)은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중심점(C)을 지나고, 구획과 구획의 경계선과도 교차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14)의 양측으로 교차점이 위치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14)의 위치와 양측의 교차점간의 거리를 각각 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편심 정도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S170)는 발광 다이오드(14)와 양측의 교차점간의 거리를 서로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편심을 판단한다. 여기서, 거리 비교에 사용되는 교차점은 설정된 구획 중, 최외곽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교차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광 다이오드(14)와 양측의 교차점간의 거리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71). 판단 결과,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점과 양측의 교차점간의 거리(a, b)가 서로 동일하면, 중심선 상에서 광축이 정렬된 상태로서 양품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72). 도 10의 (a)는 발광 다이오드(14)와 중심점(C)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14)와 양측의 교차점간의 거리가 서로 차이가 있다면, 광축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서 편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73). 이때,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축은 일측으로 편심이 발생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의 (b)는 편심 정도가 100μm인 경우이다.
편심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편심 정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모듈의 양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와 교차점과의 거리 중 긴 거리와 짧은 거리 간의 비(짧은거리/긴거리)가 기준치(0.9)보다 작은 경우에는 불량품으로 판단하고, 0.9이상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의 (c)와 (d)는 광축의 편심량이 더 큰 예로서, 도 9의 (c)는 편심 정도가 200μm이고, 도 9의 (d)는 편심 정도가 300μm 이다.
편심 상태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면, 편심 상태를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74).
하나의 중심선에 대하여 광축의 판단이 수행되면, 중심점(c)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중심선(CL)을 회전시키는 단계(S176)를 수행한다. 여기서, 중심선(CL)의 회전 각도는 1도 또는 2도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중심선(CL)이 회전된 후,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S146)를 재수행하여 중심선 상의 광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심선(CL)을 회전시키는 단계(S176)는 중심선(CL)이 최초 위치로 순환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반복(S178)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축이 비 정렬 상태인 경우, 각각의 중심선(CL) 상에서 광축의 이동 방향을 종합하여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의 편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포함하는 발광체를 촬영한 촬영물 상에서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지점과 촬영물의 중심선과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발광다이오드모듈
110: 본체
120: 전원 공급부
130: 촬영부
150: 명도 측정부
160: 비교부

Claims (7)

  1. 광축 측정 대상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발광다이오드와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체의 광축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검사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LED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광이 확산된 상기 발광체를 촬영하여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을 동일 명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물 상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중심점을 지나는 중심선을 도시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과 상기 구획의 경계선과의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교차 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물 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물 상에 명도 측정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와 이웃하는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의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명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을 동일 구획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도 측정 지점은 상기 촬영물의 화소 단위로 설정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에 의해 거리가 차이가 있으면 편심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의해 거리가 동일하면 편심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중심점과 교차점간의 긴거리 및 짧은 거리의 거리비를 구하고, 상기 거리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양품으로 판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선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심선이 최초 위치로 순환할 때까지 상기 명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KR1020130078922A 2013-07-05 2013-07-05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KR101411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22A KR101411417B1 (ko) 2013-07-05 2013-07-05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22A KR101411417B1 (ko) 2013-07-05 2013-07-05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417B1 true KR101411417B1 (ko) 2014-06-25

Family

ID=5113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922A KR101411417B1 (ko) 2013-07-05 2013-07-05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63B1 (ko) * 2016-05-03 2018-06-08 유원엘디에스(주) Led 모듈 검사방법 및 led 모듈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28B1 (ko) 2009-10-06 2010-06-16 (주)오엠티 엘이디 광원 모듈의 고온 점등 검사장비
JP2010286339A (ja) 2009-06-11 2010-12-24 Rozefu Technol:Kk 光源の指向性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10055992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장치의 광학적 위치 어긋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167010B1 (ko) 2011-10-11 2012-07-24 서승환 Led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6339A (ja) 2009-06-11 2010-12-24 Rozefu Technol:Kk 光源の指向性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63128B1 (ko) 2009-10-06 2010-06-16 (주)오엠티 엘이디 광원 모듈의 고온 점등 검사장비
KR20110055992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장치의 광학적 위치 어긋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167010B1 (ko) 2011-10-11 2012-07-24 서승환 Led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63B1 (ko) * 2016-05-03 2018-06-08 유원엘디에스(주) Led 모듈 검사방법 및 led 모듈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46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 장치 및 방법
US9759665B2 (en) Panel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EP2508871A1 (en) Inspection apparatus, measurement method for three-dimensional shape, and production method for structure
CN106657983B (zh) 全景摄像机的参数测试方法和装置
KR101291914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 방법
JP2013543591A (ja) 形状計測装置および形状計測方法
KR20110136866A (ko) 표면 형상 계측 장치, 계측 장치, 및 관찰 장치
KR101630596B1 (ko) 차량하부 촬영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차량하부 촬영방법
JP2022189938A (ja) 光学検査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18515A (ko) 영상 평가 차트 및 이를 이용한 성능 검사 방법
KR101167010B1 (ko) Led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90041009A (ko) 검사 장치, 검사 방법 및 프로그램
CN102595178A (zh) 视场拼接三维显示图像校正系统及校正方法
US2014035480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of an object
KR101411417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편심 측정 방법
US20090174880A1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9236760A (ja) 画像検出装置および検査装置
TWI647660B (zh) 條狀區域檢測裝置、條狀區域檢測方法及其程式的記錄媒體
KR102014171B1 (ko) 유기발광소자의 혼색 불량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150009842A (ko) 카메라 모듈용 결함 픽셀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카메라 모듈용 결함 픽셀 평가 방법
KR102139674B1 (ko) 평판패널 검사 방법
US20170131091A1 (en) Measuring surface geometry using illumination direction coding
KR101351000B1 (ko) 복수 개의 검사 모드를 가지는 인라인 카메라 검사 장치
KR101497523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렌즈 검사 장치 및 방법
JP7027926B2 (ja) 画像検査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