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86B1 - 콘텐츠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86B1
KR101410786B1 KR1020120051982A KR20120051982A KR101410786B1 KR 101410786 B1 KR101410786 B1 KR 101410786B1 KR 1020120051982 A KR1020120051982 A KR 1020120051982A KR 20120051982 A KR20120051982 A KR 20120051982A KR 101410786 B1 KR101410786 B1 KR 10141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ent
provider
evaluation
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145A (ko
Inventor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래픽리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래픽리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래픽리포트
Priority to KR102012005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콘텐츠 제품별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저장부; 상기 제품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순위를 산출하는 제품 순위 평가부; 및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평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평가 항목을 반영하는 것에 의해 보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뢰도 높은 순위 정보에 의해 효율적인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도울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다음 제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평가 시스템{Contents Evaluation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에 게시된 제품 콘텐츠에 대해 다양한 평가 항목 및 가중치를 적용하여 콘텐츠 제품의 순위 정보 및/또는 콘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온라인 거래를 위해 인터넷 등에 게시된 제품의 경우, 간단한 판매 순위나 클릭 횟수 등의 제공에 의해 제품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간단한 정보 제공의 경우, 온라인에 게시된 제품 콘텐츠에 대한 아주 원시적 단계의 정보 제공일 뿐 객관적 평가 및 주관적 평가 요소가 두루 반영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신규 제품 콘텐츠의 경우 초기 정보를 갖출 수 없어, 소비자에의 정보 제공이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도울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자의 피드백 정보로도 활용하여 다음 제품의 개발에 이용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다양한 평가 항목을 반영하는 것에 의해 보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순위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도 높은 순위 정보에 의해 효율적인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도울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다음 제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콘텐츠 제품별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품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점수 및 제품 순위를 산출하는 제품 순위 평가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제품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평가 항목인 제 1 평가 항목에 대한 제 1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 및 상기 콘텐츠 제품에 대한 상기 콘텐츠 관리자 또는 상기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로부터의 평가 항목인 제 2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저장하는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평가 항목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클릭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호의적 코멘트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악의적 코멘트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추천 횟수; 상기 콘텐츠 제품의 판매 개수;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매출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평가 항목은, 상기 콘텐츠 제품 자체의 형태 또는 외관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형태 평가 항목; 상기 콘텐츠 제품을 사용할 고객의 감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감성 평가 항목;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공익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공익 평가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 1 평가 점수를 위한 제 1 가중치 및 상기 제 2 평가 점수를 위한 제 2 가중치를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제공하는 가중치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는, 상기 제 1 평가 점수와 상기 제 1 가중치를 곱한 제 1 최종 점수와, 상기 제 2 평가 점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곱한 제 2 최종 점수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인 상기 제품별 점수를 산출하는 제품 점수 산출 유닛; 및 상기 제품 점수 산출 유닛에 저장된 상기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별 순위를 산출하는 제품 순위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자 순위 평가부는, 상기 동일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제품별 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 및 상기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에 저장된 상기 제공자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공자별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공자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공자별 순위를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공자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의 주변에 상기 테이블의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순위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품별 순위를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품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의 주변에 상기 테이블의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순위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제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품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품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평가 항목을 반영하는 것에 의해 보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뢰도 높은 순위 정보에 의해 효율적인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도울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다음 제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정보 제공부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에 제품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공자 정보 제공부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자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본 발명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의 사용 환경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한 제품의 구매는 보편화 되어 있으나, 객관적 평가 및 주관적 평가 요소를 두루 반영한 보다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정보의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품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 정보, 즉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고객의 제품 구매를 도울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다음 제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자별 순위 평가 및 콘텐츠 제품별 순위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은, 제품 정보 저장부(10), 가중치 저장부(20), 제품 순위 평가부(30), 제품 정보 제공부(40), 제공자 정보 저장부(50), 제공자 순위 평가부(60) 및 제공자 정보 제공부(70)를 포함한다.
먼저, 제품 정보 저장부(10)는 콘텐츠 제품별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품 정보 저장부(10)는, 콘텐츠의 제품 식별 항목을 저장하는 제품 식별 항목 저장 유닛(11), 콘텐츠 제품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평가 항목인 제 1 평가 항목에 대한 제 1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12), 및 콘텐츠 제품에 대한 콘텐츠 관리자 또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로부터의 평가 항목인 제 2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저장하는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첨언하자면, 콘텐츠 제품이 N개인 경우, 제품 정보 저장부(10)는 N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N개의 영역 각각에는 제품 식별 항목 저장 유닛(11), 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12) 및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13)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제품 식별 항목 저장 유닛(11)에 포함된 N개의 제품 식별 항목을 이용하여,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12)에 포함된 N개의 제 1 평가 점수 및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13)에 포함된 N개의 제 2 평가 점수 각각을 매칭할 수도 있다.
제품 식별 항목의 예로는, 콘텐츠 제품을 본 발명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 상에서 분류하기 위한 일련 번호 또는 닉네임 등을 들 수 있다.
제 1 평가 항목은,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클릭 횟수,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호의적 코멘트 횟수,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악의적 코멘트 횟수,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추천 횟수, 콘텐츠 제품의 판매 개수 또는 콘텐츠 제품의 매출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평가 항목은 기존에 고객과의 연결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정량화된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평가 항목은, 콘텐츠 제품 자체의 형태 또는 외관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형태 평가 항목, 콘텐츠 제품을 사용할 고객의 감성과 관련된, 즉 감성적 요인에 기인하는 평가 항목인 감성 평가 항목 또는 콘텐츠 제품의 공익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공익 평가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태 평가 항목의 예로는 콘텐츠에 제공된 제품 디자인의 안정성, 단순성, 간결성, 고급성, 색감, 배색, 질감, 패턴, 구성, 구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성 평가 항목의 예로는 유행하는 디자인인지, 사용할 때 즐거움이 느껴지는 디자인인지, 다른 제품과 다른 독특한 개성이 느껴지는 디자인인지, 어떤 다른 제품과도 차별화된 혁신적인 디자인인지, 고객의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디자인인지, 세계에 내어 놓아도 자랑스러운 디자인인지, 제품의 디자인으로 인해 실내 분위기가 바뀌는 지 등이 있다.
아울러, 공익 평가 항목에 따르면, 제품 콘텐츠가 공서 양속에 반하는 콘텐츠인지 여부를 콘텐츠 정보의 고객에의 제공 이전과 이후에 각각 평가하여, 제공 이전이라면 고객에의 제공을 불허하여 사전 검증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제공 이후라면 사후 검증을 통하여 고객에의 콘텐츠 정보 제공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 2 평가 항목은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자료들이 주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저장부(10)는,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정보 저장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시스템 정보의 일실시예로서는, 시스템 상에서의 콘텐츠의 등록 시간, 등록 파일명, 파일 사이즈, 파일 형식, 콘텐츠 제공자 정보, 수정 시간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가중치 저장부(20)는, 제 1 평가 점수를 위한 제 1 가중치 및 제 2 평가 점수를 위한 제 2 가중치를 산출하거나, 미리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공자 순위 평가부(60)에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품 순위 평가부(30)는 제품 정보 저장부(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순위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품 순위 평가부(30)는, 제품 점수 산출 유닛(31) 및 제품 순위 산출 유닛(32)을 포함한다. 제품 점수 산출 유닛(31)은, 제 1 평가 점수와 제 1 가중치를 곱한 제 1 최종 점수와, 제 2 평가 점수와 제 2 가중치를 곱한 제 2 최종 점수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인 제품별 점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품 점수 산출 유닛(31)은, 제품 점수 산출 유닛(31)에 저장된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제품별 순위를 산출한다.
아울러, 제품 정보 제공부(40)는, 제품 순위 평가부(30)에 의해 산출된 제품별 순위를 다수의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정보 제공부(40)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에 제품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정보 제공부(40)는, 다수의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테이블의 주변에 테이블의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 정보 제공부(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품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품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하다. 즉, 제 1 평가 점수, 제 2 평가 점수 및 가중치 등의 열람이 가능하다.
제공자 정보 저장부(50)는 콘텐츠 제공자별로 제공자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공자 정보의 예로는, 이름, 별명, 아이디, 식별 번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자 순위 평가부(60)는 제품 점수 산출 유닛(31)에 의해 산출된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 순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공자 순위 평가부(60)는, 동일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제품별 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61) 및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61)에 저장된 제공자별 점수를 이용하여 제공자별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산출 유닛(62)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공자 정보 제공부(70)는, 제공자 순위 평가부(60)에 의해 산출된 제공자별 순위를 다수의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공자 정보 제공부(70)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자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제공자 정보 제공부(70)는, 다수의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테이블의 주변에 테이블의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순위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100)에 따르면, 콘텐츠가 나타내는 제품을 구매한 고객 또는 잠재 고객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제공자에게도 각 제품별, 제공자별 순위 정보를 제공 가능하여 고객의 입장에서는 향후 제품 구매시 참고 자료로 사용 가능하고, 콘텐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순위 정보를 피드백하여 향후 보다 나은 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었을 경우, 고객은 새로운 제품의 콘텐츠 제공자의 순위 정보 및 기존 출시한 제품의 순위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제품 구매 결정에 반영 가능하여, 새로운 제품 구매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콘텐츠 평가 시스템
10 : 제품 정보 저장부 20 : 가중치 저장부
30 : 제품 순위 평가부 40 : 제품 정보 제공부
50 : 제공자 정보 저장부 60 : 제공자 순위 평가부
70 : 제공자 정보 제공부
11 : 제품 식별 항목 저장 유닛 12 : 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
13 :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 14 : 시스템 정보 저장 유닛
31 : 제품 점수 산출 유닛 32 : 제품 순위 산출 유닛
61 :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 62 : 제공자 순위 산출 유닛

Claims (15)

  1. 다수의 제품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받아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제품별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저장부;
    상기 제품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점수 및 제품 순위를 산출하는 제품 순위 평가부;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품 순위를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품 정보 제공부;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공자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평가부; 및
    상기 제공자 순위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공자 순위를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공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제품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평가 항목으로, 정량화된 객관적 수치 항목인 제 1 평가 항목에 대한 제 1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제 1 평가 점수 저장 유닛; 및 상기 콘텐츠 제품에 대한 콘텐츠 관리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로부터의 평가 항목으로,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제 2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저장하는 제 2 평가 점수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평가 항목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클릭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호의적 코멘트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악의적 코멘트 횟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추천 횟수; 상기 콘텐츠 제품의 판매 개수; 및 상기 콘텐츠 제품의 매출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평가 항목은, 상기 콘텐츠 제품 자체의 형태 또는 외관과 관련된 평가 항목인 형태 평가 항목; 상기 콘텐츠 제품을 사용할 고객의 감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으로, 디자인의 혁신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는 감성 평가 항목; 및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공익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으로, 상기 콘텐츠 제품이 공서 양속에 반하는지 여부를 상기 콘텐츠 제품에 관한 정보의 고객에의 제공 이전과 이후에 각각 평가하여, 제공 이전이라면 사전 검증 기능에 의해 고객에의 제공을 불허하고, 제공 이후라면 사후 검증을 통하여 고객에의 상기 콘텐츠 제품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는 공익 평가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제품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의 주변에 상기 테이블의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품 순위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제품을 표시하고, 상기 제품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품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품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공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다수의 제공자 또는 상기 콘텐츠 제품의 고객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에는 제공자 순위가 기재된 테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의 주변에 상기 테이블의 제공자 순위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공자 순위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공자 순위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점수 산출 과정에서 사용한 각 항목별 상세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 1 평가 점수를 위한 제 1 가중치 및 상기 제 2 평가 점수를 위한 제 2 가중치를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에 제공하는 가중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는,
    상기 제 1 평가 점수와 상기 제 1 가중치를 곱한 제 1 최종 점수와, 상기 제 2 평가 점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곱한 제 2 최종 점수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인 상기 제품별 점수를 산출하는 제품 점수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순위 평가부는,
    상기 제품 점수 산출 유닛에 저장된 상기 제품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별 순위를 산출하는 제품 순위 산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순위 평가부는,
    동일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제품별 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 및
    상기 제공자 점수 산출 유닛에 저장된 상기 제공자별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공자별 순위를 산출하는 제공자 순위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51982A 2012-05-16 2012-05-16 콘텐츠 평가 시스템 KR10141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82A KR101410786B1 (ko) 2012-05-16 2012-05-16 콘텐츠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82A KR101410786B1 (ko) 2012-05-16 2012-05-16 콘텐츠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45A KR20130128145A (ko) 2013-11-26
KR101410786B1 true KR101410786B1 (ko) 2014-06-25

Family

ID=4985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982A KR101410786B1 (ko) 2012-05-16 2012-05-16 콘텐츠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28B1 (ko) * 2021-07-01 2022-06-08 주식회사 펍스케일파트너스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04B1 (ko) * 2014-02-18 2015-02-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비디오 컨텐츠의 스코어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2481B1 (ko) * 2014-03-25 2016-06-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평점 분리 기법에 기반한 재화의 제공자에 대한 평가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6089179A1 (en) * 2014-12-05 2016-06-09 Novavin, Inc. Content evaluation method and server in network environment
KR102162048B1 (ko) * 2018-11-28 2020-10-06 (주)토탈소프트뱅크 마켓플레이스 에셋스토어의 에셋 패키지에 대한 가치 측정 시스템
KR102399834B1 (ko) * 2020-09-10 2022-05-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391640B1 (ko) * 2020-09-10 2022-04-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02A (ko) * 2000-05-06 2001-11-14 최준호 상품구매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80103618A (ko) * 2007-02-22 2008-11-28 예병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저장매체
KR20090003442A (ko) * 2007-06-11 2009-01-12 (주)티유애드 전자상거래에 대한 판매자 평가정보 제공 및 판매신용 인증방법
KR20110024991A (ko) * 2009-09-03 2011-03-09 김서준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02A (ko) * 2000-05-06 2001-11-14 최준호 상품구매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80103618A (ko) * 2007-02-22 2008-11-28 예병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저장매체
KR20090003442A (ko) * 2007-06-11 2009-01-12 (주)티유애드 전자상거래에 대한 판매자 평가정보 제공 및 판매신용 인증방법
KR20110024991A (ko) * 2009-09-03 2011-03-09 김서준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28B1 (ko) * 2021-07-01 2022-06-08 주식회사 펍스케일파트너스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45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786B1 (ko) 콘텐츠 평가 시스템
Liljander et al. Modelling consumer responses to an apparel store brand: Store image as a risk reducer
L. Lewis et al. Technology usage intent among apparel retail employees
Cavalcanti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sumer buying patterns: a behavioral economic analysis
Herstein et al. Private and national brand consumers' images of fashion stores
CN109242563A (zh) 一种智能化信息监测应用方法和系统
KR20130024608A (ko) 구매평가를 이용한 순위산출방법
Pratiwi et al. The Role of Prestige in Medi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Quality and Price Fairness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Online-base Fashion Products
Toporowski et al. The importance of assortment, pricing, and retail site location for competition in food retailing–Results from marketing research
US20170039620A1 (en) Server, analysi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ombination information
US8036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 inference based on cumulative data
Marinković et al. Understanding anteceden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communication: Evidence from hypermarket chains
Negahdari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fluencing on online buying
Tanasapsakul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of different generation’s behavioral intention towards franchised Japanese restaurants in Bangkok, Thailand
CN105894295A (zh) 一种动态关联购物评价方法
JP2007213295A (ja) マーケティング支援装置
Eberhardt et al. On the validity of price knowledge measurements via self-assessment scales: Two studies in retailing
JP2013186535A (ja) ファッションアイテム販促システム、ファッションアイテム販促方法、買い替えアイテム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Nguyen Key operational factors for customer retention at supermarkets in Vietnam
Hardhianti et al. The Influence Of E-Wom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Purchase Interest In Muslim Fashion Products With Trust As An Intervening Variable (Study On Shopee Users In Surakarta City)
KESERWANI et al. Green e-commerce: An assessment of market readiness & movement to a new competitive landscape
Bedi et al. Private Labels Brands: A New Choice for Organised Retailing Consumers in Punjab
Bria et al. Assistance For Vifas Batik Through Online Promotions, Service Standardization and Customer Database Management
Martias Investigating The Role of viral marketing, online consumer reviews and prices on online shop purchasing decisions
Faruqui et al. Influence of Shelf Space Arrangement on Buying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