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028B1 -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028B1
KR102406028B1 KR1020210086598A KR20210086598A KR102406028B1 KR 102406028 B1 KR102406028 B1 KR 102406028B1 KR 1020210086598 A KR1020210086598 A KR 1020210086598A KR 20210086598 A KR20210086598 A KR 20210086598A KR 102406028 B1 KR102406028 B1 KR 10240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y
weight
credit
online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펍스케일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펍스케일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펍스케일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1008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 각각으로부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실시간 매출 정보, 제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구매 리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실시간 매출 정보로부터 상기 매출에 대응하는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구매 리뷰 정보를 자연어 처리 수행하여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제품에 대응하는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구매 리뷰 정보의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Method for credit evaluation of company}
본 발명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획득한 해당 기업의 매출 정보와 리뷰 정보를 바탕으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에서 기업에 대한 신용평가 시 신용평가 시스템에 의해 해당 기업의 담보 상태, 기업의 자산, 신용 상태 등을 고려하여 신용 평가가 이루어지며, 외부 신용 평가 기관으로부터 구체적인 신용 평가 결과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일반적인 신용 평가 결과의 경우 1년을 주기로 평가가 진행되기 때문에 최근 판매 정보를 반영하여 신용 평가를 받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종래의 신용 평가 방법이 현 상태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신규로 제품을 기획하여 판매하는 신규 창업 소상공인 사업자의 경우에는 신용도 측정을 위한 기존의 자료가 부족하고 자료의 신뢰성이 낮아, 최근의 판매 정보 등이 신용 평가 결과에 반영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주로 신용정보제공을 업으로 하는 CB(Credit Bureau) 사에서 산출한 대표자의 개인 신용등급을 근거로 해당 사업자의 신용도를 결정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사업자의 현 상황을 적절하게 반영한 신용 평가 결과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자의 경우에는 매출 증대 및 소비자의 주문 증가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시점에 자금을 조달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자의 경우에도 최근의 사업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사업자의 신용을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신용 평가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10-2007-0080093 (전자 상거래 거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10-1928290 (신용 평가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쇼핑 채널의 제품 판매 관련 매출 정보 및 소비자 리뷰 정보로부터 기업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실시간 매출 정보, 상기 제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구매 리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시간 매출 정보로부터 상기 매출에 대응하는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구매 리뷰 정보를 자연어 처리 수행하여 상기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항목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의 자사 온라인 쇼핑 채널인지 여부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과 관련된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기업과 관련 없는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작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제1 가중치,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는 낮은 제2 가중치,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3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가중치보다 높게, 상기 제3 가중치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신용 평가점수는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한 평가 내용의 분석을 통한 리뷰 평가 점수에 상기 구매자가 남긴 리뷰 점수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중치를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정보 수집 방법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저장된 원가 정보 및 재고수불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제5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5 신용 평가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기초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 - 상기 기초 정보는 상기 실시간 매출 정보 및 상기 구매 리뷰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신뢰도에 따라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매출 정보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응하는 가중치를 부여해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용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용 평가 시스템(100)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200) 및 서버(300)로 구성된다.
서버(300)는 매출 정보 획득부(310), 구매 리뷰 획득 및 자연어 처리부(320), 제1 가중치 반영부(330), 제2 가중치 반영부(340) 및 신용 평가 산출부(3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300)의 매출 정보 획득부(310)는 상기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 각각에서,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 중 특정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실시간 매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매출 정보 획득부(310)는 실시간 매출 정보로부터 매출에 대응하는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매출 정보 획득부(3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에 따른 매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출 정보 획득부(310)는 1일, 일주일 또는 한 달 등을 기준 구간으로 하여 매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의 구매 리뷰 획득 및 자연어 처리부(320)는 상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구매 리뷰 점수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구매 리뷰 획득 및 자연어 처리부(320)는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제품에 대응하는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제1 가중치 반영부(330)는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제2 가중치 반영부(340)는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구매 리뷰 정보의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신용 평가 산출부(350)는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한다.
3PL(Third Party Logistics)을 이용하는 기업의 경우, 제품 설계만 자체적으로 하고, 제품의 제작을 전문 제작 업체에 맡기고, 온라인 쇼핑 채널을 통해 구매 접수를 받고, 상기 3PL 업체로 구매 요청 리스트를 전달하면, 바로 구매자 주소지로 제품을 보내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에서, 반품이나, 소비자의 반응을 통해, 기업의 신용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각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발생하는 매출 정보를 가공하면, 더욱 정확한 신용 평가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쇼핑몰 채널에서 얻는 해당 기업의 판매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신용 평가 정보로 활용하여 기업의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신용 평가 방법은, 우선 서버(300)의 매출 정보 획득부(310)에서 실시간 매출 정보 획득하고 획득한 실시간 매출 정보로부터 매출에 대응하는 제1 신용 평가 점수 산출 단계(S100)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신용 평가 점수는 다양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매출량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매출의 증가율, 제품별 매출비중 및 주 소비층 등을 반영하여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용 화장품의 경우 20대 여성의 구매보다, 30대, 40대의 구매가 향후 지속적인 매출 증가 요소라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렇다면 제1 신용 평가 점수 산출 단계(S100)에서 서버는 매출 정보 획득부(310)에서 소비자의 연령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점 요소가 있는지 또는 감점 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 후 이러한 가점 요소 또는 감점 요소를 제1 신용 평가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가중치 반영부(330)에서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때 제1 가중치 반영부(330)에서 반영하는 가중치는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는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수집된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신뢰도는 서버가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집하는 방법이란 정보의 수정이 불가능하게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서버로 바로 정보가 제공되는지 아니면 기업이 정보의 수정이 가능할 수 있는 형태로 서버에 정보가 제공되는지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별도의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매출 정보를 획득한 경우와 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자사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수정 및 가공이 가능한 상태로 매출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비교하면, 전자의 신뢰도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의 가중치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즉, 이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의 자사 온라인 쇼핑 채널인지 여부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또한, 동일한 제3 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 채널이라도 하더라도 쇼핑 채널의 특징(시장 점유율, 판매 동향)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과 관련된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기업과 관련 없는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작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기업이 직업 운영하는 자사 쇼핑 채널의 경우에는 기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쇼핑 채널에 비해, 기업 측에서 자의적으로 매출 정보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매출 정보의 신뢰도가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업의 자사 쇼핑 채널은 그 가중치를 낮게 설정한다.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가중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등의 쇼핑 채널의 경우에는 해당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 규모가 소규모 쇼핑 채널에 비해 크고 지속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출 정보나 소비자 리뷰의 신뢰도가 커서 가중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가중치는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그 수치가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서버(300)의 구매 리뷰 획득 및 자연어 처리부(320)는 상기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 각각으로부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구매 리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 리뷰 정보를 자연어 처리하여 상기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제3 신용 평가 점수 산출(S300)한다.
한편, 이러한 제3 신용 평가점수는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한 평가 내용의 분석을 통한 리뷰 평가 점수에 상기 구매자가 남긴 리뷰 점수, 즉, 구매자가 특정 제품의 구매 후, 문자로 남기는 리뷰 외에 점수화 된 리뷰 점수를 남기는 메뉴가 있어, 제품의 품질이나 배송 서비스 등을 숫자화 된 리뷰 점수로 남기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제품 잘 받았습니다. 다음에 또 구매하겠습니다'라는 리뷰와 함께 10점 만점에 9.0 점을 리뷰로 남긴다면, '잘 받았다'는 리뷰와 '또 구매' 라는 문구를 자연어 처리로 인식하여 점수화하고, 여기에 9/10의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리뷰를 자연어로 처리한 내용에 따라 점수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긍정 리뷰라고 하더라도 리뷰의 대상이 제품의 품질에 대한 것인지, 배송 서비스에 대한 것인지를 구분하여 리뷰의 대상이 제품의 품질에 대한 것인 경우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리뷰의 대상에 대한 점수의 차등화 정도는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그 수치가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버(300)의 제2 가중치 반영부(340)가, 상기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S400)한다.
이때 평가 대상 항목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제1 가중치,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는 낮은 제2 가중치,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3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가중치는 제2 가중치보다 높게, 제3 가중치는 제1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중치는 1.0, 상기 제2 가중치는 0.3, 상기 제3 가중치는 1.3로 설정할 수 있다. 제품의 품질은 리뷰 대상에서 중요한 항목이므로 1.0의 가중치를 두고,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는 기업에서 직업 배송하는 것이 아니고, 배송 업체를 쉽게 바꿀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0.3 정도의 가중치를 두며, 재구매 여부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품질에 대한 리뷰보다 높은 1.3 정도의 가중치를 두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서버(300)의 신용 평가 산출부(350)는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S500)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매출 정보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응하는 가중치를 부여해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추가로 기업의 원가 정보 및 재고수불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5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410). 서버는 기업이 서버에 입력한 정보 및 서버에 수신된 매출과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예상영업현금흐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기업의 예상엽업현금흐름 산출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업은 먼저 서버에 제품의 원가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서버는 온라인 쇼핑 채널 및 3PL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매출, 주문, 배송 및 재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서버는 앞서 입력받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고수불부 및 제품의 원가를 산출하게 된다. 서버는 이러한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로직을 이용하여 재고수불부 및 제품의 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재고수불부 정보와 원가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의 예상영업현금흐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버는 경우에 따라 세금계산서 또는 신용카드 정보 등을 추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산출된 기업의 예상영업현금흐름 정보는 기업 신용평가에 대한 중요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원가 정보는 기업이 직접 서버에 정보를 입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원가 정보에 대해서는 다른 정보(제3자가 서버에 제공한 정보)에 비해서 낮은 신뢰도를 부여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면, 단순한 기업의 매출에만 기초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을 반영하여 기업의 신용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신용 평가 시스템
200: 온라인 쇼핑 채널
300: 서버
310: 매출 정보 획득부
320: 구매 리뷰 획득 및 자연어 처리부
330: 제1 가중치 반영부
340: 제2 가중치 반영부
350: 신용 평가 산출부

Claims (11)

  1.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다수의 온라인 쇼핑 채널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실시간 매출 정보, 상기 제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소비자로부터 받은 구매 리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시간 매출 정보로부터 상기 매출에 대응하는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2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구매 리뷰 정보를 자연어 처리 수행하여 상기 구매 리뷰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매출 정보는, 상기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매출량, 매출의 증가율, 제품별 매출 비중 및 상기 제품의 주소비층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용 평가 점수는, 상기 제품의 주소비층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된 가점 요소 또는 감점 요소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수집된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신뢰도는, 상기 각각의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상기 서버로 제공되는 정보가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더 높게 결정되고,
    제3 신용 평가 점수는, 상기 구매 리뷰 정보에 포함된 자연어에 대한 점수화 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화 된 정보는,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대상이 상기 제품의 품질인 경우, 상기 구매 리뷰 정보의 대상이 배송 서비스인 경우보다 더 높은 점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항목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의 자사 온라인 쇼핑 채널인지 여부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상기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이 포털 사이트에 속하는 경우 더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기업과 관련된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기업과 관련 없는 온라인 쇼핑 채널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매출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전체 사용자 유입량이 작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클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지속 가능성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 채널의 반품률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중치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제1 가중치, 제품의 배송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는 낮은 제2 가중치, 제품의 재구매 여부에 대한 평가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3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가중치보다 높게, 상기 제3 가중치는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 평가 방법은,
    기업의 원가 정보 및 재고수불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5 신용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5 신용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업의 예상영업현금흐름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업이 상기 서버에 입력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수신된 매출과 재고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상기 예상영업현금흐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품의 원가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매출, 주문, 배송 및 재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기준을 이용하여 재고수불부 정보 및 제품의 원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수불부 정보와 원가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의 예상영업현금흐름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가 정보는 상기 기업이 직접 서버에 정보이며,
    상기 원가 정보에 대해서는 제3자가 서버에 제공한 정보에 비해서 낮은 신뢰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기초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 - 상기 기초 정보는 상기 실시간 매출 정보 및 상기 구매 리뷰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신뢰도에 따라 상기 제2 신용 평가 점수 및 상기 제4 신용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KR1020210086598A 2021-07-01 2021-07-01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KR10240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98A KR102406028B1 (ko) 2021-07-01 2021-07-01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98A KR102406028B1 (ko) 2021-07-01 2021-07-01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28B1 true KR102406028B1 (ko) 2022-06-08

Family

ID=8198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98A KR102406028B1 (ko) 2021-07-01 2021-07-01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093A (ko) 2006-02-06 2007-08-09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전자 상거래 거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KR101279713B1 (ko) * 2012-12-03 2013-06-27 임성범 인맥정보를 이용한 리뷰 신뢰도 검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10786B1 (ko) * 2012-05-16 2014-06-25 주식회사 그래픽리포트 콘텐츠 평가 시스템
KR101928290B1 (ko) 2018-04-05 2018-12-12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신용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2119713B1 (ko) * 2019-08-12 2020-06-08 주식회사 나우에이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신용도 평가 방법 및 서버
KR20210047229A (ko) * 2019-10-21 2021-04-2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매 우선순위와 상품 리뷰 감성분석을 반영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093A (ko) 2006-02-06 2007-08-09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전자 상거래 거래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KR101410786B1 (ko) * 2012-05-16 2014-06-25 주식회사 그래픽리포트 콘텐츠 평가 시스템
KR101279713B1 (ko) * 2012-12-03 2013-06-27 임성범 인맥정보를 이용한 리뷰 신뢰도 검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28290B1 (ko) 2018-04-05 2018-12-12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신용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2119713B1 (ko) * 2019-08-12 2020-06-08 주식회사 나우에이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신용도 평가 방법 및 서버
KR20210047229A (ko) * 2019-10-21 2021-04-2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매 우선순위와 상품 리뷰 감성분석을 반영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ebl et al. Reverse factoring in the supply chain: objectives, antecedents and implementation barriers
Schmitz The effects of electronic commerce on the structure of intermediation
Sollish et al. Strategic global sourcing best practices
KR10106109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중고차 정보 제공 및 매매 시스템
US77567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facilitating analysis of variance and recourse transactions
US113864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product specific data with customer and merchant specific data
US2020025075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trading platform for valuing and exchanging flatted shares of a private company
EP3754572A1 (en) 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20188874A1 (ja) 信用分析支援方法、信用分析支援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
US20210056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medical equipment
Honarmandi et al. Comparing the impact of brand value on corporate profit in B2B and B2C businesses: A case study
Kumar et al. Seller experience assessment in online marketplace: a scale development study
KR20170011440A (ko) 고객 맞춤형 재무설계 및 서비스 포함한 금융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정보처리장치
KR20150126465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동차 견적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06028B1 (ko) 기업에 대한 신용 평가 방법
KR20010095850A (ko) 기업과 기업 간의 온라인 입찰시스템
WO2014071447A1 (en) Improvements in electronic commerce
JP6526356B1 (ja) 銀行業務支援システム、銀行業務支援方法及び銀行業務支援プログラム
JP5204143B2 (ja) 取引サーバ、取引プログラム及び取引支援方法
JP2020035417A (ja) 銀行業務支援システム、銀行業務支援方法及び銀行業務支援プログラム
KR20090120115A (ko) 맞춤형 주식 투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65157B1 (ja) 与信審査システム
Koczar et al. Tools for considering ESG factors in business valuation
JP4548704B2 (ja) 取引サーバ、取引プログラム及び取引支援方法
KR20240076058A (ko) 실시간 농산물 시세를 반영한 공영 도매시장 pos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