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28B1 -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28B1
KR101410728B1 KR1020130014845A KR20130014845A KR101410728B1 KR 101410728 B1 KR101410728 B1 KR 101410728B1 KR 1020130014845 A KR1020130014845 A KR 1020130014845A KR 20130014845 A KR20130014845 A KR 20130014845A KR 101410728 B1 KR101410728 B1 KR 10141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recycled
image data
dimensional image
pla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신
Original Assignee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3001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스크린(10), 플라스틱 파봉기(20), 압착장치(30), 수평 정렬장치(40), 스캔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수직 정렬장치(70), 그리고 다수의 토출장치(80)를 포함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스캔검출장치(50)의 센싱 분류 모듈(100)은, 스캐너(51)로부터 2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수단(110); 디지털 변환 수단(110)으로부터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한 뒤, 3차원 입체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단위인 폴리곤의 집합을 생성하는 폴리곤 생성수단(120); 폴리곤 생성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폴리곤의 집합 위에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붙이는 수행을 하여 3차원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텍스처 맵핑수단(130); 3차원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압착장치(30)에 의한 압착 작용에 의해서도 미리 설정된 수직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영상 영역을 추출한 뒤, 추출된 3차원 영상데이터의 영역을 연속적인 크기 변환인 단계적 스케일업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필터링 수단(140); 및 필터링 수단(140)으로부터 수신된 단계적 스케일업된 3차원 영상데이터 영역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에 의해 2개 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오버랩된 것인지를 최종 판단하여, 오버랩된 경우 검출정보를 생성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전달수단(170)으로 출력하는 오버랩 판단수단(15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System for subdividing recycle plastic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세분화하여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음료용 캔이나 병 또는 각종 포장재 등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폐기물로, 이들을 동일한 군(群)으로 분리하여 재처리 작업을 통해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자원절약은 물론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폐기물를 버릴때 재활용 가능한 것과 그렇지못한 것들을 분리하여 버리게 되고,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폐기물는 별도의 수거작업을 통해 수거한 후 이를 동일한 군, 즉 금속재, 종이재와 유리병 및 플라스틱재 등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원료를 재활용 공장 등으로 보내어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를 참조하면 각종의 재활용 폐기물를 수집하여 그 중 중, 경량물을 콘베어수단을 통해 이송하는 수집, 집하과정과 수집, 집하과정 이후 이송된 중, 경량물 중 원료별로 분리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집하과정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수거된 재활용 폐기물를 수거하고 이를 수작업을 통해 대형물과,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리하여 중, 중량물 및 경량물은 콘베어이수단을 통해 선별과정으로 이송되고, 분리된 대형물은 자체 처리된다.
여기에서 대형물과, 중량물 및 경량물의 기준은 냉장고와 같이 부피가 크거나 이종의 다른 재료가 조합된 재활용 폐기물는 대형물로 분리되고, 병과 같이 부피가 작거나 단일의 재료로 구성된 재활용 폐기물를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리된다.
또한 선별과정은 집하과정 이후, 이송된 중량물 및 경량물의 재활용 폐기물를 각각의 원료별 즉, 금속류와 종이류 및 플라스틱류로 선별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전자석을 이용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이용한 금속류를 분리하고,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선별장치와, 트롬멜스크린 및 비철금속선별기등을 통해 각각의 원료별로 분리된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질별로 선별된 각각의 재활용 폐기물는 압축기 또는 파쇄기 등을 통해 일정 크기로 압착시켜 각각의 재질별 재생공장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금속류나 종이류 등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또한 금속류의 경우 금속선별기 또는 비철금속선별기를 통해 재질별 선별 및 육안으로 재질의 차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육안으로 합성수지라는 정도로 분리가 될 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품의 정확한 재질의 선별이 어렵고, 또한 이렇게 육안으로만 선별이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재질에 따라 가지고 있는 특성이 상실되며, 그리고 각기 다른 합성수지 재질의 혼합으로 재활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련기술문헌]
1.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분리장치(Re-application trash sorting seperation system whichuses the wind force)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35659호)
2. 재활용 폐기물의 자동 선별 컨베이어 시스템(AUTO-SORTING CONVEYOR SYSTEM FOR REUSING GARBAG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61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세분화하여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영상데이터 및 필터링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정밀한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롤러스크린(10), 플라스틱 파봉기(20), 압착장치(30), 수평 정렬장치(40), 스캔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수직 정렬장치(70), 그리고 다수의 토출장치(80)를 포함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스캔검출장치(50)의 센싱 분류 모듈(100)은, 스캐너(51)로부터 2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수단(110); 디지털 변환 수단(110)으로부터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한 뒤, 3차원 입체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단위인 폴리곤의 집합을 생성하는 폴리곤 생성수단(120); 폴리곤 생성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폴리곤의 집합 위에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붙이는 수행을 하여 3차원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텍스처 맵핑수단(130); 3차원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압착장치(30)에 의한 압착 작용에 의해서도 미리 설정된 수직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영상 영역을 추출한 뒤, 추출된 3차원 영상데이터의 영역을 연속적인 크기 변환인 단계적 스케일업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필터링 수단(140); 및 필터링 수단(140)으로부터 수신된 단계적 스케일업된 3차원 영상데이터 영역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에 의해 2개 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오버랩된 것인지를 최종 판단하여, 오버랩된 경우 검출정보를 생성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전달수단(170)으로 출력하는 오버랩 판단수단(150); 을 포함한다.
이때, 롤러스크린(10)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파봉기(20)로 전달하며, 플라스틱 파봉기(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구멍을 뚫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며, 압착장치(30)는, 구멍이 뚫린 재활용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수평 정렬장치(40)로 전달하며, 수평 정렬장치(40)는, 압착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스캔검출장치(50)로전달하며, 스캔검출장치(50)의 스캐너(51)는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2차원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센싱 분류 모듈(100)로 전달하여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엉킨 상태를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캔검출장치(50)는, 분류피더(60)로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전달과 함께,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부(53);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링 수단(140)은, 화질개선을 위해 필터링시 니어리스트 필터링(nearest filtering), 바이리니어필터링(bi-linear filtering) 및 트라이리니어필터링(tri-linear filtering) 중 하나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전달수단(170)은,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스캐너(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각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검출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파봉기(20)로 전달하는 롤러스크린(10);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구멍을 뚫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는 플라스틱 파봉기(20); 구멍이 뚫린 재활용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전달하는 압착장치(30); 압착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전달하는 수평 정렬장치(40); 및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캐닝에 따라 검출하여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스캔검출장치(50); 를 포함하며, 스캔검출장치(50)는,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2차원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스캐너(51); 2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엉킨 상태를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52); 및 분류피더(60)로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전달과 함께,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부(53); 를 포함하며, 출력 장치부(53)는, 중앙 처리부(52)의 제어에 의해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스캐너(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상기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검출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며, 각 상기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세분화하여 토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3차원 영상데이터 및 필터링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정밀한 분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재활용 분류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1)에 포함된 스캔검출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캔검출장치(50)에 구비된 센싱 분류 모듈(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재활용 분류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롤러스크린(10), 플라스틱 파봉기(20), 압착장치(30), 수평 정렬장치(40), 스캔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수직 정렬장치(70), 그리고 다수의 토출장치(80)를 포함한다.
롤러스크린(10)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예,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파봉기(20)로 전달한다.
플라스틱 파봉기(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구멍을 뚫는 작업을 수행한 뒤, 플라스틱 파봉기(20)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30)로 전달한다.
압착장치(30)는 구멍이 뚫린 재활용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수평 정렬장치(40)로 전달한다.
수평 정렬장치(40)는 압착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전달하여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며, 이와 같이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스캔검출장치(50)로 전달한다.
스캔검출장치(50)는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캐닝에 따라 검출하여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스캔검출장치(50)는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분류피더(60)로 전달한다.
분류피더(60)는 다수의 토출장치(80)를 이루는 각 토출장치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이 전달되도록 한다.
삭제
도 3은 도 2의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1)에 포함된 스캔검출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캔검출장치(50)는 스캐너(51), 중앙처리부(52) 및 출력 장치부(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2)는 센싱 분류 모듈(100)을 구비한다.
스캐너(51)는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2차원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한다.
중앙처리부(52)는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검출함으로써,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출력 장치부(53)는 분류피더(60)로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전달과 함께, 판단 정보 및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스캔검출장치(50)에 구비된 센싱 분류 모듈(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싱 분류 모듈(100)은 디지털 변환 수단(110), 폴리곤 생성수단(120), 텍스처 맵핑수단(130), 필터링 수단(140), 오버랩 판단수단(150), 재질 판단수단(160) 및 정보전달수단(170)을 구비한다.
디지털 변환 수단(110)은 스캐너(51)로부터 2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한 뒤, 폴리곤 생성수단(120) 및 재질 판단수단(160)으로 전송한다.
폴리곤 생성수단(120)은 디지털 변환 수단(110)으로부터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한 뒤, 3차원 입체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단위인 폴리곤의 집합을 생성한다.
텍스처 맵핑수단(130)은 폴리곤 생성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폴리곤의 집합 위에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붙이는 수행을 함으로써, 3차원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필터링 수단(140)은 3차원 영상데이터에서 압착장치(30)에 의한 압착 작용에 의해서도 미리 설정된 수직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영상 영역을 추출한 뒤, 추출된 3차원 영상데이터의 영역을 연속적인 크기 변환인 단계적 스케일업을 수행한 뒤, 오버랩 판단수단(150)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터링 기술은 화질개선이 가능한 필터링 기술로, 니어리스트 필터링(nearest filtering), 바이리니어필터링(bi-linear filtering), 트라이리니어필터링(tri-linear filtering) 등이 될 수 있으며, 3차원이미지로의 텍스쳐맵핑(texture mapping)시 사용할 수 있는 필터(filter)를 활용하여 텍스쳐맵핑된 데이터의 사이즈 및 화면 비율에 따라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오버랩 판단수단(150)은 필터링 수단(140)으로부터 수신된 단계적 스케일업된 3차원 영상데이터 영역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에 의해 2개 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오버랩된 것인지를 최종 판단하여, 오버랩된 경우 검출 정보를 생성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전달수단(170)으로 출력한다.
정보전달수단(170)은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스캐너(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검출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롤러스크린
20: 플라스틱 파봉기
30: 압착장치
40: 수평 정렬장치
50: 스캔검출장치
51: 스캐너
52: 중앙처리부
53: 출력 장치부
60: 분류피더
70: 수직 정렬장치
80: 다수의 토출장치
100: 센싱 분류 모듈
110: 디지털 변환 수단
120: 폴리곤 생성수단
130: 텍스처 맵핑수단
140: 필터링 수단
150: 오버랩 판단수단
160: 재질 판단수단
170: 정보전달수단

Claims (9)

  1. 롤러스크린(10), 플라스틱 파봉기(20), 압착장치(30), 수평 정렬장치(40), 스캔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수직 정렬장치(70), 그리고 다수의 토출장치(80)를 포함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스캔검출장치(50)의 센싱 분류 모듈(100)은,
    스캐너(51)로부터 2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수단(110);
    디지털 변환 수단(110)으로부터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한 뒤, 3차원 입체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단위인 폴리곤의 집합을 생성하는 폴리곤 생성수단(120);
    폴리곤 생성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폴리곤의 집합 위에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붙이는 수행을 하여 3차원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텍스처 맵핑수단(130);
    3차원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압착장치(30)에 의한 압착 작용에 의해서도 미리 설정된 수직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영상 영역을 추출한 뒤, 추출된 3차원 영상데이터의 영역을 연속적인 크기 변환인 단계적 스케일업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필터링 수단(140); 및
    필터링 수단(140)으로부터 수신된 단계적 스케일업된 3차원 영상데이터 영역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에 의해 2개 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오버랩된 것인지를 최종 판단하여, 오버랩된 경우 검출정보를 생성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전달수단(170)으로 출력하는 오버랩 판단수단(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스크린(10)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파봉기(20)로 전달하며,
    플라스틱 파봉기(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구멍을 뚫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며,
    압착장치(30)는, 구멍이 뚫린 재활용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수평 정렬장치(40)로 전달하며,
    수평 정렬장치(40)는, 압착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스캔검출장치(50)로전달하며,
    스캔검출장치(50)의 스캐너(51)는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2차원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센싱 분류 모듈(100)로 전달하여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엉킨 상태를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스캔검출장치(50)는,
    분류피더(60)로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전달과 함께,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부(5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링 수단(140)은,
    화질개선을 위해 필터링시 니어리스트 필터링(nearest filtering), 바이리니어필터링(bi-linear filtering) 및 트라이리니어필터링(tri-linear filtering) 중 하나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보전달수단(170)은,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스캐너(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각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검출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출력 장치부(5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9.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파봉기(20)로 전달하는 롤러스크린(10);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구멍을 뚫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는 플라스틱 파봉기(20);
    구멍이 뚫린 재활용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전달하는 압착장치(30);
    압착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을 전달하는 수평 정렬장치(40); 및
    수평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하로 오버랩(Overlap)되어 엉킨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캐닝에 따라 검출하여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스캔검출장치(50); 를 포함하며,
    스캔검출장치(50)는,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2차원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스캐너(51);
    2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엉킨 상태를 검출시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52); 및
    분류피더(60)로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전달과 함께,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부(53); 를 포함하며,
    출력 장치부(53)는,
    중앙 처리부(52)의 제어에 의해 수평 정렬장치(40)에 의해 수평 정렬된 재활용 플라스틱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스캐너(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상기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검출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며, 각 상기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스캐닝된 재활용 플라스틱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1020130014845A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10141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45A KR101410728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45A KR101410728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728B1 true KR101410728B1 (ko) 2014-06-24

Family

ID=5113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45A KR101410728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75B1 (ko) * 2021-11-12 2022-04-01 김병준 분광기법 및 폐기물 분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459941B1 (ko) 2022-06-02 2022-11-01 원윤준 친환경 단계별 친환경 업사이클 데이터 공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94B1 (ko) * 2005-07-27 2006-07-20 곽희덕 수지 제품의 선별 및 재활용 장치
KR100651272B1 (ko) * 2006-05-08 2006-12-01 주식회사 한성기공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KR20090041921A (ko) * 2007-10-25 2009-04-29 (주)이오니아이엔티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시스템
KR100934901B1 (ko) * 2009-03-11 2010-01-06 (주)이오니아이엔티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94B1 (ko) * 2005-07-27 2006-07-20 곽희덕 수지 제품의 선별 및 재활용 장치
KR100651272B1 (ko) * 2006-05-08 2006-12-01 주식회사 한성기공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KR20090041921A (ko) * 2007-10-25 2009-04-29 (주)이오니아이엔티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시스템
KR100934901B1 (ko) * 2009-03-11 2010-01-06 (주)이오니아이엔티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75B1 (ko) * 2021-11-12 2022-04-01 김병준 분광기법 및 폐기물 분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459941B1 (ko) 2022-06-02 2022-11-01 원윤준 친환경 단계별 친환경 업사이클 데이터 공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729B1 (ko)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CN106670122B (zh) 用于生活垃圾的自动识别分拣回收系统
US85907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EP1616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and collecting data pertaining to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KR101270354B1 (ko) 폐기물 재활용 분류 시스템
CN112024424B (zh) 一种人机协作式垃圾分选系统
CN111215342A (zh) 工业垃圾分类分拣系统
CN106056226A (zh) 生活垃圾智能分类回收云识别系统及方法
EP3732118A1 (en) Device for waste segregation and collection of segregated waste
CN104624505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废塑料分离方法与系统
KR101410728B1 (ko)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JP2021137738A (ja) 廃棄物選別装置
CN111468525A (zh) 一种对垃圾分类后可回收物进行自动化分选的系统及工艺
CN107597626A (zh) 具有不合格品排出结构的自动输送检测装置
KR20090041921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시스템
US8813972B1 (en) Secondary separation system for recyclables
CN207170498U (zh) 生活垃圾分选系统
CN110252762A (zh) 一种混合可回收物分选系统及方法
CN116020771A (zh) 一种基于多源信息融合的可回收垃圾精细分选系统
CN113552636A (zh) 一种混合垃圾分选装置及其分选识别方法
Karthika et al. Machine Learning Powered Smart Dumpster Monitoring and Clearance System
CN217043504U (zh) 一种用于垃圾回收的分拣系统
CN213409464U (zh) 一种垃圾分类识别装置
CN212830606U (zh) 具有检测功能的自动分拣垃圾桶
CN220111276U (zh) 一种磷矿光电智能分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