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72B1 -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72B1
KR101409972B1 KR1020120097378A KR20120097378A KR101409972B1 KR 101409972 B1 KR101409972 B1 KR 101409972B1 KR 1020120097378 A KR1020120097378 A KR 1020120097378A KR 20120097378 A KR20120097378 A KR 20120097378A KR 101409972 B1 KR101409972 B1 KR 10140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ballast water
lamp
ultraviolet lam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788A (ko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2009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72B1/ko
Priority to PCT/KR2012/007117 priority patent/WO2014034988A1/ko
Publication of KR2014003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4Lamp cleaning installations, e.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8Having flow diverters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에 대한 자외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며,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일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타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가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의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 및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One-Body Type Ballast Water UV-rays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에 대한 자외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며,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일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타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가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의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 및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 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신규 건조되는 선박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들 중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방식을 사용하는 자외선 처리장치 또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부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구획하면서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1003)이 상기 바디(1001)의 양측면에 볼트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격벽(1003)을 바디(1001)의 양측에서 조립식으로 볼트 결합시키는 종래 구조에서는, 볼트를 이용한 격벽(1003)과 바디(1001)의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도로 숙력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격벽(1003)의 바디(1001)에의 결합시 그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운데, 이때 격벽(1003)과 바디(1001)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지 못하게 되면 바디(1001)의 양측에 각각 결합한 상기 격벽(1003) 내에 관통 형성된 (자외선램프(1002)의 삽입결합을 위한)램프삽입공(10031)의 중심 역시 일측 격벽의 램프삽입공(10031)과 타측 격벽의 램프삽입공(10031) 간에 일치하지 않고 편심(θ)되게 되므로(도 3 참조), 이로 인해 서로 편심(θ)된 양측의 램프삽입공(10031)에 양단이 삽입결합된 자외선램프(1002)는 작동 중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한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일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타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가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의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 및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 처리장치에서 자외선램프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가 내부에 자석을 삽입한 후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에 의한 자석의 변성을 방지하는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리드스위치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고, 커버부재에는 상기 턱이 수용결합하는 턱결합홈을 형성하여, 수용홈과 커버부재 간의 결합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턱의 돌출된 면 중 수용홈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과, 상기 커버부재에서 제1외주면과 제2외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는 각각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돌출된 턱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가 수용홈 내에 용이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될 수 있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자외선램프부;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네 면이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개방된 양측 방향에서 각각 일정 깊이 함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의 상기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을 상기 네 면 중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가 위치하는 않는 면에 형성하고,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가 삽입되며 자외선램프를 둘러싸는 와이퍼몸체와, 상기 와이퍼몸체를 구동축에 연결하는 암과, 상기 암을 이동시키는 구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암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고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용접에 의한 자석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양단에 탄성부재와 자석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탄성부재와 자석이 삽입된 후 수용홈에 결합하여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턱이 수용결합하는 턱결합홈을 형성하여, 수용홈과 커버부재 간의 나사결합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외주면과, 상기 제1외주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턱결합홈이 형성된 제2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턱의 돌출된 면 중 수용홈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과, 상기 제1외주면과 제2외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는 각각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된 턱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가 수용홈 내에 용이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일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타측 격벽에서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가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의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 및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자외선 처리장치에서 자외선램프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가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 내에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가 내부에 자석을 삽입한 후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에 의한 자석의 변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리드스위치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고, 커버부재에는 상기 턱이 수용결합하는 턱결합홈을 형성하여, 수용홈과 커버부재 간의 결합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턱의 돌출된 면 중 수용홈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과, 상기 커버부재에서 제1외주면과 제2외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는 각각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돌출된 턱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가 수용홈 내에 용이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B-B' 단면도
도 3는 도 2에서 격벽의 조립이 불량하였을 때 램프삽입공의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자외선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D-D'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리드스위치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자외선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세척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리드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리드스위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도 10의 리드스위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는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A-A' 단면도
도 14는 도 4의 C-C' 단면도
도 15은 도 14의 단면에서 밸러스트수의 흐름을 도시한 참고도
도 16은 도 14에서 자외선램프의 증감에 따른 단면 변화를 도시한 참고도
도 17는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세척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서 세척유닛의 증감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0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와이퍼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와이퍼몸체의 단면도
도 22은 도 9의 와이퍼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와이퍼몸체의 단면도
도 24은 도 2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25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암과 구동축 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도 9의 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암 허브의 분해사시도
도 28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구동축과 구동축삽입공 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D-D'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B'부분의 확대도
도 31은 밸러스트수의 누설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2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바디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기체흐름라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34은 도 33의 평면도
도 3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D-D' 단면도
도 36은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밸러스트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D-D' 단면도
도 38은 도 37에서 제2날개판이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C-C' 단면도
도 40는 자외선램프 길이와 유입부 직경과의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하기에서 도면부호 'W'는 밸러스트수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될 수 있는 유입부(124)와 유출부(125)를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바디(10)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310)를 포함하는 자외선램프부(30);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130)이 바디(10)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130)을 바디(10)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바디(10), 자외선램프부(30), 세척부(5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기능들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바디(10)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그 측부에 형성되는 유입부(124)와 유출부(125)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상기 바디(10) 내부를 지나면서 자외선에 조사된 후 유출되게 된다.
상기 자외선램프부(30)는 상기 바디(10) 내부를 지나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처리하는 부분으로, 자외선램프(310), 슬리브관(320), 자외선센서(340) 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램프(310)는 자외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구성으로 통상 막대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에 전극(311)이 위치하는데,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바디(10) 내부를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바디(10) 내부의 양측 격벽(130)에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이 삽입결합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관(320)은 상기 자외선램프(310)를 둘러쌓아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데, 상기 슬리브관(320)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하게 되면 자외선램프(3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관(320)의 표면은 후술할 세척부(50)에 의해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자외선센서(340)는 상기 바디(10) 내부에서의 자외선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바디(10) 내 자외선의 강도가 자외선 처리에 효과적인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그 값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에 활용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 특히, 상기 슬리브관(32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510)가 삽입되며 자외선램프(310)(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리브관(320))를 둘러싸는 와이퍼몸체(520)와, 상기 와이퍼몸체(520)를 구동축(540)에 연결하는 암(530)과, 상기 암(530)을 이동시키는 구동축(54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50)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130)이 바디(10)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130)을 바디(10)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부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구획하면서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1003)이 상기 바디(1001)의 양측면에 볼트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격벽(1003)을 바디(1001)의 양측에서 조립식으로 볼트 결합시키는 종래 구조에서는, 볼트를 이용한 격벽(1003)과 바디(1001)의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도로 숙력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격벽(1003)의 바디(1001)에의 결합시 그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운데, 이때 격벽(1003)과 바디(1001)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지 못하게 되면 바디(1001)의 양측에 각각 결합한 상기 격벽(1003) 내에 관통 형성된 (자외선램프(1002)의 삽입결합을 위한)램프삽입공(10031)의 중심 역시 일측 격벽의 램프삽입공(10031)과 타측 격벽의 램프삽입공(10031) 간에 일치하지 않고 편심(θ)되게 되므로(도 3 참조), 이로 인해 서로 편심(θ)된 양측의 램프삽입공(10031)에 양단이 삽입결합된 자외선램프(1002)는 작동 중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31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사각형상의 단면(110)을 이루는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상부면(121), 하부면(122), 유입부(124)와 유출부(125)가 위치하는 양 측면(123))과, 상기 네 면이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바디(10)에서 상기 네 면을 제외한 개방된 양측 방향에서 각각 일정 깊이 함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격벽(130)이 바디(10)에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130)이 상기 바디(10) 내에 일체로 형성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별도로 격벽을 바디에 조립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공정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격벽(130) 내에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램프삽입공(131) 역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격벽(130)의 램프삽입공(131)과 바디(10)의 타측에 위치하는 격벽(130)의 램프삽입공의 중심이 상호 일치하게 되므로(즉, 조립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한 편심 발생 없이 공장에서 제작형성된 그대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임), 동일 축선 상에 배열된 상기 램프삽입공(131)과 램프삽입공(131) 간에 양단이 삽입결합하게 되는 자외선램프(310)는 지속적인 작동과정에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130)이 바디(10) 내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른 격벽(130)과 격벽(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세척부(50)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1211)을 상기 바디(10)의 상부면(121) 또는 하부면(122)에 형성하고,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130)이 바디(10)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격벽(130)과 격벽(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세척부(50) 구성들(와이퍼몸체(520), 암(530) 등)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별도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121) 또는 하부면(122)에 가장 큰 부피를 갖는 상기 암(53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설치보수공(1211)을 형성함으로써 격벽(130)의 일체화된 구성과 관계없이 바디(10) 내 각종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보수공(1211)은 작업이 없는 경우 밀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상부덮개(1212)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밀폐시켜 밸러스트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4, 도 5, 도 9,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세척부(50)에서 상기 암(530)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560)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560)는 내부에 자석(563)을 삽입하고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용접에 의한 자석(563)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530)에 부착된 상기 리드스위치(560)는 그 내부에 포함된 자석(563)의 자력을 바디(10) 내의 격벽(130)에 부착된 자력센서가 감지하여, 자석(563)이 일정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경우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여 암(530)의 이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어에 활용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도 1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004)에서 암(10043)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10045)의 구조가 그 내부에 자석(100451)을 포함한 상태에서 외부 전체가 용접에 의해 밀봉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드스위치(10045)와 같이 그 내부에 자석(100451)을 포함한 상태에서 외부 전체가 용접에 의해 밀봉되는 경우에는,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그 내부에 포함된 자석(100451)의 자력이 약화 내지 상실되어 리드스위치(10045)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용접작업을 위해 리드스위치(10045)의 외부면 전체를 금속재질(일 예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게 되는데, 밸러스트수 내에 항상 위치하게 되는 상기 리드스위치(10045) 표면에는 바닷물에 함유된 철가루 등의 성분이 부착되게 되어 리드스위치(10045) 외부면의 스테인레스 금속재질과 그 표면에 부착된 철가루 등의 성분 간에 이종금속 간 부식발생을 유발시키게 되어 리드스위치(10045) 외부면의 부식이 급속히 진행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9,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위치(560)가 그 내부에 자석(563)을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식으로 결합/밀봉될 수 있도록 하여 용접에 의한 자석(563)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리드스위치(56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탄성부재(562)와 자석(563)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561)과, 상기 수용홈(561)에 탄성부재(562)와 자석(563)이 삽입된 후 수용홈(561)에 결합하여 수용홈(561)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5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561)과 커버부재(564)의 조립식 결합을 위해, 상기 수용홈(561)은 나사골(5613)이 형성된 제1내주면(5611)과 상기 제1내주면(56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돌출된 턱(5614)이 형성된 제2내주면(5612)을 포함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부재(564)는 상기 제1내주면(5611)의 나사골(5613)에 결합하는 나사산(5643)이 형성된 제1외주면(5641)과, 상기 제1외주면(564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턱(5614)이 수용결합하는 턱결합홈(5644)이 형성된 제2외주면(564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564)를 상기 수용홈(561) 내에 삽입결합시키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64)의 제1외주면(5641) 나사산(5643)이 상기 수용홈(561)의 제1내주면(5611) 나사골(5613)에 나사결합을 하게 되고, 양자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64)의 제2외주면(5642) 턱결합홈(5644) 내에 상기 수용홈(561)의 제2내주면(5612) 턱(5614)이 수용결합되어 수용홈(561) 내 탄성부재(562)의 탄성에 의해 수용홈(561)과 커버부재(564) 간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턱(5614)의 돌출된 면 중 상기 수용홈(561)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에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5615)가 형성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커버부재(564)의 제1외주면(5641)과 제2외주면(5642)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도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564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홈(56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턱(5614)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564)가 수용홈(561) 내에 용이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564)를 상기 수용홈(561) 내에 삽입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수용홈(56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턱(5614)에 커버부재(564)의 제1외주면(5641)과 제2외주면(5642)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가 간섭되어 커버부재(564)의 삽입이 방해받게 됨에 따라 무리한 힘을 주입하여 상기 턱(5614) 등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56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564)의 삽입시 만나게 되는(간섭되는) 부위인 상기 턱(5614)의 돌출된 면 중 상기 수용홈(561)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과 상기 커버부재(564)의 제1외주면(5641)과 제2외주면(5642)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 각각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5615,5645)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64)는 상기 제2외주면(5642)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561)의 말단에 밀착되는 스토퍼(5646)를 포함하여, 커버부재(564)가 수용홈(561) 내에 삽입결합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밀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커버부재(564)에 상기 스토퍼(5646)와 같은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564)가 수용홈(561) 내에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거나 또는 덜 삽입된 상태로 결합을 완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부재(564)와 수용홈(561) 간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564)의 제2외주면(5642)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561)의 말단에 밀착되는 스토퍼(5646)를 형성시켜 커버부재(564)가 수용홈(561) 내에 삽입결합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64)는 비금속재질(일 예로, PEEK(Polyetherethereketone) 등)로 형성하여 밸러스트수 내에 포함되어 커버부재(564) 표면에 부착되는 철가루 등의 금속성분으로 인한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은 이종금속 간)부식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커버부재(564)의 제2외주면(5642) 또는 상기 수용홈(561)의 제2내주면(5612) 상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565)이 위치할 별도의 홈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바디(10)는 상기 자외선램프(31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110)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상의 단면(110) 내에 자외선램프(310)를 일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시켜 단면적 대비 배치되는 자외선램프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형 자외선 처리장치에서는 원형 단면의 바디(1001) 내부를 일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자외선램프(1002)를 배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면적 대비 자외선램프의 수가 증대되어 소비전력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밸러스트수 처리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자외선램프의 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원주형 열 하나가 더 배열됨에 따라 바디(1001)의 단면적은 증대되는 반지름의 제곱만큼 급증(원 단면적 : πr2)하게 되며, 또한 새로이 추가된 열은 그 전의 열보다 반드시 많은 수의 자외선램프가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새로인 추가된 열의 원주가 그 전 열의 원주보다 커지기 때문)에 소규모 단위의 밸러스트수 처리용량 증대는 불가능하여 필요에 따른 적정한 처리용량 증대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바(도 13 참조),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자외선램프(31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110)이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게 되면, 상기 자외선램프(310)는 상기 바디(10)의 사각형상의 단면(110) 내에서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라인(330)(이하, 도면부호 330-n(n=1~5)은 상기 라인(330)을 유입부(124)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인 것임)이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복수의 라인(330)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는바, 필요에 따라 자외선램프의 수를 소규모로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의 라인(330)이 추가되는 부분만큼만 바디(10)의 단면적을 증대시키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의도하지 않게 단면적이 급증되어 다시 그 부분을 채워넣기 위해 최초 필요하지 않았던 자외선램프(310)까지 추가로 배열시켜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 없이 필요에 따른 적정한 처리용량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외선램프(310)가 일렬로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단면(110)은 종래 자외선램프가 원주형 열로 배열되는 원형 단면에 비해 동일 단면적 내에 (동일 간격을 가지며)배열되는 자외선램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동일 용량 대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대용량 자외선 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유리하게(보다 적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110) 내에 복수의 라인(330)으로 자외선램프(310)를 배열시킴에 있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24)측에 인접한 제1라인(330-1)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라인(330-2)의 자외선램프(310)가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라인(330-1)을 이루는 자외선램프(310) 간의 간극 사이사이에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자외선램프(310)와 부딪혀 흐름이 변하지 않고 직선의 흐름을 유지한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도 13 참조), 자외선램프(1002)를 원주형으로 배열하다 보면, 자외선 처리장치 내부를 통과하는 밸러스트수가 상기 자외선램프(1002)와 직접 맞닿지 않고 자외선램프(1002) 사이사이를 직선으로 통과하게 되는 경우(ⓐ,ⓑ,ⓒ 참조)가 발생하게 되므로, 자외선 처리의 효과는 자외선 강도는 물론 자외선에 조사되는 시간에 비례하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자외선램프(1002)와 부딪히지 않고 직선으로 통과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 참조)은 그만큼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져 자외선에 조사되는 시간 역시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됨에 따라 자외선 처리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반드시 자외선램프(310)와 부딪혀 흐름이 변하면서 속도가 늦춰져 자외선에 조사되는 시간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 처리 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510)가 결합된 암(530)을 이동시키는 구동축(540)이 상기 라인(330)과 라인(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외선 조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되 만약, 구동축(540)이 3개 라인(330)의 중앙 라인(330) 상에 위치하여 구동축(540)과 자외선램프(310)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된 자외선램프(310)를 구동축(540)에 대해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 전방 및/또는 후방에 배열하여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자외선램프(310)와 부딪히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도 5,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세척부(50)가 일정 범위의 자외선램프(310)들을 통합하여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유닛(50')을 복수로 포함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용량이 증대하여 설치되는 자외선램프(310)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세척유닛(50')을 병렬적으로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장치의 바디(100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자외선램프(1002) 역시 바디(1001)의 원통형 형상을 따라 원주형으로 배열되었고, 따라서, 원주형으로 배열된 자외선램프(1002)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부(1004)의 구성들 역시, 바디(1001)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선 상에 배치되는 구동축(10041)을 중심으로 원주형으로 배열된 자외선램프(1002)를 둘러싸는 와이퍼몸체(10042)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이들 와이퍼몸체(10042)를 구동축(10041)에 연결시키는 암(10043)이 방사상으로 양자 간을 연결시키게 되는바, 자외선램프(1002)의 수가 증대되어 자외선램프(1002)가 원주형으로 복수 열로 배열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구동축(10041)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세척유닛(이는 구동축, 와이퍼몸체, 암이 하나의 세트로 유닛을 이룸을 의미함)만을 적용할 수 없게 되므로 그로 인한 구동축(10041) 및 암(10043)의 비대화 및 고중량화로 인한 각종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40), 와이퍼몸체(520) 및 암(53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세척유닛(50')을 복수로 포함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용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어 상기 바디(10)의 크기(단면)을 키우고 그에 삽입설치되는 자외선램프(310)의 수 즉, 라인(330)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세척유닛(50')을 병렬적으로 추가로 배치시키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세척유닛(50') 자체가 비대화 및 고중량화 되지 않게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특정 크기로 설정된 세척유닛(50')(필요에 따라, 자외선램프(310)의 라인(330) 2라인을 커버하는 크기의 세척유닛(50')과, 3라인을 커버하는 크기의 세척유닛(50')으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을 이용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단면이 특정 방향으로 길어지고 그에 따라 자외선램프(310)의 배열 즉, 라인(330) 수가 증가함에 맞추어 상기 세척유닛(50')을 병렬적으로 추가로 배치하는 것만으로 이를 커버할 수 있게 되면, 일일이 바디(10)의 단면적 크기 증감에 맞추어 세척유닛(50')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별도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세척유닛(50')의 암(530)이 구동축(540)으로부터 과도하게 길게 형성되어 작동과정에서 암(530)의 원활한 이동이 제약되어 세척효율이 떨어지게 된다거나, 구동축(540)의 직경이 과도하게 커져 고중량화로 인한 각종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510)가 결합된 암(530)을 이동시키는 구동축(540)이 상기 라인(330)과 라인(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외선 조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되 만약, 구동축(540)이 3개 라인(330)의 중앙 라인(330) 상에 위치하여 구동축(540)과 자외선램프(310)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된 자외선램프(310)를 구동축(540)에 대해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 전방 및/또는 후방에 배열하여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자외선램프(310)와 부딪히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도 5, 도 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세척부(50)에서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와 접촉하면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와이퍼(510)가 주와이퍼(511)와 보조와이퍼(512)가 각각 상기 와이퍼몸체(520)의 내주면에 삽입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자외선램프부(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중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몸체(520)는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싸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암(530)의 일측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이고, 상기 와이퍼몸체(520)의 내주면에는 실제로 직접 이물질과 접촉하면서 이를 제거하는 와이퍼(510)가 삽입결합되어 있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도 17,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된 와이퍼몸체(10042)의 내주면에 단일의 와이퍼(10044)가 삽입결합되어 와이퍼몸체(10042)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자외선램프(1002)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일(단수)의 와이퍼(10044)만이 와이퍼몸체(10042)에 삽입결합되어 작동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와이퍼(10044)가 와이퍼몸체(10042)의 전후 양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전방 이동시에는 후측으로, 반대로 후방 이동시에는 전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지속적으로 마찰을 계속하게 됨으로 인해 와이퍼(10044) 자체가 쉽게 변형되거나 마모되므로 보다 빠른 주기로 교체 수요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자외선 처리장치 자체의 가동 중단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10044)가 와이퍼몸체(10042)의 전후 양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전방 이동시에는 후측으로, 반대로 후방 이동시에는 전측으로 구부러짐을 수없이 반복하면서 자외선램프(1002)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와이퍼(10044) 말단부가 과도하게 연성으로 바뀌게 되어(즉, 와이퍼(10044) 말단부가 과도하게 물러져) 이물질을 제거하는 힘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이물질 제거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9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와이퍼(511) 및 보조와이퍼(512)가 각각 상기 와이퍼몸체(520)의 내주면에 삽입결합된 형태로 상기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중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주와이퍼(511)는 상기 와이퍼몸체(520)의 내주면 중앙부에 위치하여 와이퍼몸체(520) 내주면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부(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고무, MBR고무, 불소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단일(단수) 와이퍼와 달리, 상기 주와이퍼(511)는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후술할 보조와이퍼(512)의 존재로 인해 보조와이퍼(512)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이후 재차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므로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와이퍼(511)는 내주면에서 상기 자외선램프부(30)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함입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홈(5112)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제1날(5111)과 제2날(5113)을 포함하여, 상기 암(530) 및 그에 연결된 와이퍼몸체(52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에 상기 제1날(5111) 또는 제2날(5113)이 상기 홈(5112)의 공간으로 밀리면서 이물질 제거와 동시에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주와이퍼(511)의 말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혀 어느 한쪽으로도 밀리지(구부러지지) 않고 슬리브관(320) 표면에 직각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마찰이 심화되어 원활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주와이퍼(511)의 말단이 전후 왕복이동에 따라 양방향으로 모두 밀리게(구부러지게) 되는 경우라면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말단이 과도하게 물러져 이물질을 제거하는 힘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이물질 제거효율도 떨어지게 되는바, 위와 같이 제1날(5111)과 제2날(5113)이 그 사이의 함입된 홈(5112)을 중심으로 양립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면, 와이퍼몸체(5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날(5111)이 상기 홈(5112)의 공간으로 밀리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반대로 와이퍼몸체(520)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날(5113)이 상기 홈(5112)의 공간으로 밀리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상기 제1날(5111)과 제2날(5113)은 모두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만 어느 한 방향으로만 구부러지게 되므로 전후 모든 방향 이동시에 양방향으로 모두 구부러지는 경우에 비해 변형이나 마모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만약 이물질과 먼저 접촉하게 되는 제1날(5111) 또는 제2날(5113)에서 미처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제2날(5113) 또는 제1날(5111)이 재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퍼(512)는 상기 주와이퍼(5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암(530) 및 그에 연결된 와이퍼몸체(52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에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에 부착된 이물질이 상기 주와이퍼(511)에 닦이기 전 일차적으로 보조와이퍼(512)에 걸려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테프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단일(단수) 와이퍼와 달리, 상기 주와이퍼(511)와 더불어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보조와이퍼(512)의 존재로 인해 보조와이퍼(512) 및 주와이퍼(511)에 의해 이중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자외선램프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램프(310)를 보호하는 슬리브관(32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퍼(512)는 보조와이퍼(512)의 몸체에서 내주면 외측 전방 방향으로 'θ1'만큼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출부(5121)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와이퍼(512)의 내주면에서 외측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상기 경사돌출부(5121)는 슬리브관(320)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첨예부(5122)를 형성하여, 슬리브관(320) 표면과 보조와이퍼(512) 간의 마찰은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와이퍼(512)는 그 내주면에서 외측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출부(5121)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조와이퍼(512)의 내주면 전체가 슬리브관(320)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경사돌출부(5121)의 말단만이 슬리브관(320) 표면과 접촉하면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특히, 상기 경사돌출부(5121)의 말단 즉, 슬리브관(320)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첨예부(5122)를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더 슬리브관(320) 표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돌출부(5121)는 와이퍼몸체(520)의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돌출부(5121)가 슬리브관(320)의 표면에 수직으로 맞닿게 되지 않고 예각으로 경사지게 맞닿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리브관(320)의 표면의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4, 도 5, 도 9, 도 26 및 도 2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세척부(50)의 암(530)이 상기 와이퍼몸체(520)가 결합하는 판부(531)와, 상기 판부(531)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동축(54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허브(532)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532)는 상기 구동축(540) 외주면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내심부(5322)가 허브몸체(5321)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도 17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와이퍼몸체(10042)가 부착되어 있는 암(10043)이 허브(100431)를 통해 암(10043)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축(10041)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도 25에서 도시하고 있듯이, 종래의 허브(100431)와 구동축(10041)의 결합구조를 보면, 허브(100431)의 내경에는 별도의 내심(100432)의 결합되어 상기 내심(100432)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골이 상기 구동축(10041) 외주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을 하면서 구동축(10041)의 회전에 연동하여 암(10043)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허브(100431)와 그 내경에 결합하는 내심(100432) 간에는 나사를 이용한 결합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를 이용한 결합방식으로 허브(100431)와 내심(100432)을 결합시키게 되면, 나사의 일단이 상기 내심(100432)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구동축(10041)의 회전과 암(10043)의 이동과정 중에서 모멘트를 받게 되는 상기 내심(100432)에 삽입된 나사의 일단이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나사결합이 풀리게 되어 종국에는 구동축(10041)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암(10043)은 그에 연동하여 이동하지 않게 되는 문제나 내심(100432)의 이탈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9,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532)의 구조에 있어 상기 구동축(540) 외주면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내심부(5322)가 허브몸체(5321)의 내경에 결합됨에 있어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사용중 허브몸체(5321)와 내심부(5322) 간의 분리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몸체(5321) 내에 내심부(5322)를 수용할 내심부수용홈(53211)을 형성하여 내심부수용홈(53211) 내에 상기 내심부(5322)를 삽입한 다음, 별도의 덮개부(5323)를 결합하여 내심부(5322)가 삽입되었던 내심부수용홈(53211)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함으로써 허브몸체(5321)와 내심부(5322) 간의 직접적인 나사결합 없이 내심부(5322)가 분리되지 않도록 양자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내심부수용홈(53211)의 직경은 상기 내심부(5322)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여 내심부(5322)가 내심부수용홈(53211) 내에 압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심부(5322)의 일측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덮개부(5323)와 접하게 되는 일측의 단부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면취된 면취부(53221)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5323) 중앙 부위에는 상기 내심부(5322)의 면취부(53221)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삽입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공(53231)을 형성하는데, 상기 삽입공(53231)의 형상은 상기 면취부(53221)가 형성된 내심부(5322)의 일측 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3231) 내에 면취부(53221)가 형성된 내심부(5322)의 일측 단부가 정확하게 끼워맞춤되어 삽입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부(5323)의 삽입공(53231) 내에 면취부(53221)가 형성된 내심부(5322)의 일측 단부를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통상 원형의 내심부(5322) 외주면에서 외경이 축경되도록 면취된(바람직하게는 평면 형상으로 면취된) 면취부(53221)로 인해 상기 내심부(5322)가 내심부수용홈(53211) 내에서 회전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허브몸체(5321)는 상기 덮개부(5323)가 결합하게 되는 일측의 반대측 타단에서 상기 내심부수용홈(532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내심부받침부(53212)를 포함하여, 상기 내심부수용홈(53211) 내에 삽입된 상기 내심부(5322)의 타측 단부(즉, 상기 면취부(53221)가 형성된 일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가 상기 내심부받침부(53212)에 걸려 내심부수용홈(53211) 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허브몸체(5321)와 덮개부(5323)는 부식이 방지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심부(5322)는 PEEK(Polyetherethereketone) 또는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도 29 내지 도 3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세척부(50)의 암(530)을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축(540)이 상기 바디(10) 내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30)의 구동축삽입공(132) 내에 삽입되어 결합지지됨에 있어, 상기 구동축(540)이 상기 구동축삽입공(132) 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결합구조에서 구동축(54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541)와, 구동축삽입공(132) 주위의 격벽(130)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544)에 결합한 고정자(542) 사이의 접촉면(5411) 밀착을 통해 밸러스트수의 유출(즉, 전자장비 등이 위치하는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도 2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의 자외선램프(1002)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의 암(10043)을 이동시키는 구동축(10041)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바디(1001) 내 내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03)의 구동축삽입공(10032)을 구동축(10041)의 일단이 관통하여 구동모터에 연결되게 되므로 구동축(10041)과 구동축삽입공(10032) 간의 결합부위에서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41)의 일단이 삽입된 구동축삽입공(10032) 주위를 별도의 커버부재(1005)를 사용하여 폐쇄시킨 다음, 상기 커버부재(1005)가 구동축삽입공(10032)의 내주면 및 구동축(10041) 일단의 외주면과 각각 만나는 부위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오링(10051)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여 밸러스트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의 경우, 단순히 탄성을 갖는 오링(10051)을 압입결합시켜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히, 지속적으로 회전을 반복하게 되는 상기 구동축(10041) 일단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오링(10051)의 경우에서 지속적인 마찰로 인한 마모와 변형 등으로 인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기능이 상실되어 단기간 사용 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구동축(540)과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축(54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541)와, 구동축삽입공(132) 주위의 격벽(130)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544)에 결합한 고정자(542) 사이의 접촉면(5411) 밀착을 통해 밸러스트수의 유출(즉, 실내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541)는 상기 구동축(540)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환형케이싱(543) 내 일측에 형성된 회전자안착홈(5431) 내에 결합하여 상기 환형케이싱(543)과 함께 구동축(5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자(541)의 일면은 후술할 고정자(542)의 일면과 접촉면(5411)을 형성하여 상기 접촉면(5411)에서의 완전 밀착(기밀)과 유막 형성(액밀)을 통해 밸러스트수 누설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541)와 후술할 고정자(542)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면(5411)은 회전하는 회전자(541)와 고정된 고정자(542)가 마찰되는 부분이므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면으로 가공되어야 하고 특히, 상기 접촉면(5411)의 평활도와 유막형성이 기밀 기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상기 접촉면(5411)이 완전 평면상태로 가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541)는 후술할 탄성스프링(547)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면(5411)에서 회전자(541)와 고정자(542)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형성된 유막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만약,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마모된 양만큼 후술할 탄성스프링(547)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자(541)가 가압되어 보상되기 때문에 역시 지속적으로 기밀이 유지되게 된다.
상기 고정자(542)는 구동축(540)이 구동축삽입공(132) 내에 삽입된 이후 구동축삽입공(132)을 밀폐시키면서 격벽(130)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544) 내 일측에 형성된 고정자안착홈(5441) 내에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자(541)의 일면과 접촉면(5411)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고정자(542)는 상기 고정자안착홈(5441) 내에서 별도의 보조시트(5421)와 함께 결합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자(542)를 정확한 위치와 깊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환형케이싱(543)은 추가적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제1홈(5432)의 일측에 제1부재(545)를 결합시키고 제1홈(5432)의 타측에 제2부재(546)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부재(545)와 제2부재(546) 사이에 탄성스프링(547)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545)에 의해 하단이 지지된 탄성스프링(547)의 상단이 상기 제2부재(546)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자(541)를 상기 접촉면(5411)에 대해 상기 고정자(542)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환형케이싱(543)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불소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547)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홈(5432)의 양단에 결합한 상기 제1부재(545)와 제2부재(546) 양자 간에는 서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제1부재(545)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스프링(547)이 탄성으로 상기 제2부재(546)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전자(541) 역시 상기 접촉면(5411)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 마모된 양만큼 가압되어 보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접촉면(5411)에서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프레임(544)은 구동축삽입공(132)에 결합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삽입공(13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제2홈(5442)을 형성하고 상기 제2홈(5442) 내에 기밀부재(548)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54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제3홈(5443)을 형성하고 상기 제3홈(5443) 내에도 역시 기밀부재(548)를 포함하여, 앞서 설명했던 상기 회전자(541)와 고정자(542) 간의 접촉면(5411)을 이용한 기밀기능 이외에 추가로 상기 기밀부재(548)를 이용한 기밀기능으로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홈(5442)에 삽입결합된 기밀부재(548)는 구동축삽입공(132)의 내주면과 커버프레임(544) 사이에서의 밸러스트수 유출을 방지하는 기밀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3홈(5443)에 삽입결합된 기밀부재(548)는 구동축(540)의 외주면과 커버프레임(544) 사이에서의 밸러스트수 유출을 방지하는 기밀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촉면(5411)과 상기 기밀부재(548)를 통해 이중으로 구동축삽입공(132)에서의 밸러스트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544)의 상측면에서는 커버프레임(544)을 격벽(130)에 고정시키는 나사결합 이외에 추가로, 상기 커버프레임(544)의 상측 중앙 부위를 너트(549)(및 와셔(5491))를 사용하여 가압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커버프레임(544) 및 고정자(542)가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기밀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4, 도 5,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유출되는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130)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중심으로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은 각각 측커버(126)의 결합에 의해 개방된 일측이 밀폐됨)이 각각 양측에 분리되어 위치하고,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분리된 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 사이를 연결하는 기체흐름라인(140)을 포함하여, 일측 제1공간(133)의 압력을 외부 압력(대기압)보다 높이기 위해 기체유입라인(150)을 통해 제1공간(133) 내부로 유입된 기체(순수한 안전공기)가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을 통해 타측 제2공간(134)에도 동시에 이동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된 양측 공간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외부 압력보다 같거나 높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도 2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부 구조가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03)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데, 상기 격벽(1003)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공간(이 공간에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 및 구동모터 등이 위치하게 됨)은 바디(1001)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중심으로 각각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위치하게 된다.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자외선 처리장치의 특성상, 자외선 처리장치의 내부 공간 특히, 전자장치 등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에는 내부공기의 압력을 높여 외부의 유해 공기(특히, 폭발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압력방폭이 실시되어야 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압력방폭이 실시되지 않은 채 자외선 차단장치가 설치되었다. 설사, 종래의 자외선 차단장치에서 압력방폭을 실시하는 경우를 상정해 본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바디(1001) 내부구조를 갖는 종래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는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 및 구동모터 등이 설치되는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공간이 바디(1001)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전혀 연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공간에 대한 압력방폭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분리된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공간마다 별도의 기체유입라인을 설치하여 각각 기체(순수한 안전공기)를 주입하여 내부공기 압력을 높여야만 하므로 압력방폭 작업이 별개로 이루어져야 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또한, 좌우 양측에서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는 압력방폭 작업에서는 양측의 내부기압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균등한 압력방폭이 이루어지게 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안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분리된 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 사이를 연결하는 기체흐름라인(140)을 통해, 일측 제1공간(133)의 압력을 외부 압력(대기압)보다 높이기 위해 기체유입라인(150)을 통해 제1공간(133) 내부로 유입된 기체(순수한 안전공기)가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을 통해 타측 제2공간(134)에도 동시에 이동하여 주입됨으로써, 분리된 양측 공간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외부 압력보다 같거나 높게 하여 균등한 압력방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33 및 도 34을 참조하면,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은 상기 바디(10)의 외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 양자 간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바디(10)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으로부터 분기되어 바디(10) 외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커버하는 제3공간(135)에 연결되는 보조흐름라인(141)을 포함하여,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을 흐르는 유입된 기체를 상기 보조흐름라인(141)을 통해 상기 제3공간(135)에도 주입하여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에 더해 제3공간(135)도 동시에 압력방폭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자외선 처리장치의 특성상, 특히 전자장치 등은 외부와 분리된 공간 내에서 내부공기의 압력을 높여 외부의 유해 공기(특히, 폭발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압력방폭이 실시되어야 하는바, 상기 바디(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자외선센서(340), 유량계, 온도센서 등의 전자장치들은 이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별도의 제3공간(135) 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3공간(135) 역시 압력방폭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상기 기체흐름라인(140)과 제3공간(135)을 연통시키는 보조흐름라인(141) 구성을 통해 상기 제3공간(135)에 대한 별도의 압력방폭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에 대한 압력방폭 작업시 유입되는 기체(순수한 안전공기)를 그대로 보조흐름라인(141)을 통해 제3공간(135) 내로 주입시켜 동시에 일괄적인 압력방폭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분리된 각 공간에 대한 균등한 압력방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35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이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양 격벽(130)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이 상기 바디(10)의 외부에 돌출되어 별도의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양측으로 이격된 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을 동시에 압력방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균등한 압력방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바디(10) 내에서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이 격벽(130)과 격벽(130) 사이의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가로지르는 구조상,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에 의해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아야 하므로, 이를 위해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가로지르는 상기 기체흐름라인(140)은 석영관으로 형성하여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을 관통하는 기체흐름라인(140)에도 불구하고 자외선이 상기 석영관을 투과하게 되어 밸러스트수에 대한 자외선 살균효과가 영향을 받지 않고 자외선 처리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 도 5, 도 37 및 도 3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바디(10) 내부가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유출되는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으로 격벽(1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자외선램프(310)는 상기 유입부(124)와 유출부(125)를 통과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어 상기 격벽(130)에 의해 양단이 각각 결합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바디(10) 내측면에서 상기 유출부(125) 주위를 둘러싸며 일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날개판(160)이 형성되어 바디(10)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 중 상기 격벽(130)에 지지된 자외선램프(310) 양단의 전극(311) 부근(자외선램프(310) 중 전극(311) 부근에서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음)을 흐르면서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조사받지 않은 밸러스트수가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그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부 구조가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03)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됨과 아울러, 바디(1001)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이 각각 양측의 격벽(1003)에 결합지지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에는 각각 자외선을 생성시키기 위한 전극(10021)(상기 전극(10021) 부근에서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음)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전극(10021)은 상기 격벽(1003)으로부터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1) 내에서의 밸러스트수 흐름을 보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 중 양측 격벽(1003)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의 경우에는 상기 자외선램프(1002)의 양측 전극(10021) 부위만을 지나게 되면서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조사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살균처리 효과가 저하되고 따라서 이러한 밸러스트수 흐름에 포함된 미생물들은 미처리된 상태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003)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부분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는 자외선램프(1002)의 양단 및 구동모터 등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부피가 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공간의 경우 바디(100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구동모터의 말단부까지 전부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자외선 처리장치의 특성상, 자외선 처리장치가 필요 이상의 과다 부피를 갖게 되면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의 흐름 중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을 결합지지하는 상기 격벽(130)을 따라 흐르면서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311) 부위만을 지나게 되면서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조사받지 않고 지나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상기 유출부(125) 부근에서 돌출날개판(160)에 부딪혀 흐름이 변경되면서 반드시 자외선램프(31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위에 근접하여 자외선을 직접 조사받은 후 유출부(125)를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돌출날개판(160)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내측면에서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상기 유출부(125) 주위 전체를 둘러싸면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통상 원통형 환형부재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돌출날개판(160)의 존재로 인한 작용을 보면,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 중 양측 격벽(130)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311) 부위만을 지나게 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은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그대로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유출부(125) 부위에서 상기 돌출날개판(160)에 부딪혀 그 흐름이 역방향으로 바뀌게 되면서 유출부(125) 주위에 인접한 자외선램프(310)의 전극(311)이 아닌 부위 즉, 자외선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부위에 근접하여 지나게 되고 이때, 자외선에 직접 조사되게 된 후 다시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날개판(160)은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조사받지 않은 밸러스트수가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그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외선 처리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돌출날개판(160)의 직경(D1)은 상기 유출부(125)의 직경(D2)보다는 같거나 크고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311) 사이의 간격(D3)보다는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10) 내에서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내측면에서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24) 주위를 둘러싸며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2날개판(161)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이 유입 직후에 바로 상기 격벽(130)을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310) 양단의 전극(311) 부근으로 향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날개판(161)은 앞서 설명한 상기 돌출날개판(160)과 유사한 형태의 구성으로 다만, 그 형성위치가 상기 유입부(124) 주위인 것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2날개판(161)의 존재로 인한 작용을 보면,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의 흐름(ⓕ)은 만약, 상기 제2날개판(161)과 같은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특히, 유입부(124)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유입 즉시 바로 상기 격벽(130)을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310) 양단의 전극(311) 부근으로 향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나, 상기 제2날개판(161)이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유입부(124)를 통한 유입 직후 다시 상기 제2날개판(161)에 의해 바디(10)의 양측 격벽(130)이 아닌, 중앙부를 향하도록 그 흐름이 유도되게 되므로,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최소한 상기 유입부(124)에 근접한 자외선램프(310)의 전극(311)이 아닌 부위 즉, 자외선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부위에 근접하여 지나게 함으로써 자외선 처리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7 및 3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에 의해 바디(10)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흐르지 않는 공간으로 분리 형성된 양측의 공간(제1공간(133) 및 제2공간(134))이 상기 자외선램프(310)나 구동축(540)의 양단을 수용하는 크기(부피) 정도로 최소화되도록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바디(10) 일측의 공간보다 큰 크기(일측 공간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게 되는 상기 구동모터(550)는 별도로 상기 구동모터(550)를 수용할 크기만으로 상기 바디(10) 외측에 추가로 형성된 모터수용부(17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자외선 처리장치가 한정된 선박 공간 내에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게 된다. 즉, 위와 같이 자외선램프(310)나 구동축(540)의 양단을 수용하는 크기(부피) 정도로 최소화된 바디(10) 양측의 공간과 상기 모터수용부(170)의 공간의 부피를 합한 총부피는,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에서의 구동모터까지 수용할 정도의 긴 길이와 그에 따른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 바디(1001) 양측의 공간 부피의 합에 비해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 도 5, 도 39 및 도 4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처리장치는 상기 자외선램프(310)에서 나오는 자외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340)를 복수 개 포함하여, 복수의 자외선센서(340)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다른 자외선센서(340)를 활용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자외선 처리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1) 내에서 자외선램프(1002)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1007)가 바디(1001) 내에 단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자외선센서(1007)로부터만 측정치를 전송받아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바, 만약 상기 자외선센서(1007)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상기 자외선센서(1007)를 수리 및 교체하는 작업과정 동안에 자외선 처리장치 전반에 대해 작동을 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용에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1)의 특정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단수의 자외선센서(1007)는 그 자외선센서(1007)가 위치하는 부근의 자외선램프(100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되므로, 만약 상기 자외선센서(1007)가 위치한 부근의 자외선램프(1002)는 정상적인 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데에 비해 상기 자외선센서(1007)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외선램프(1002)에서는 정상치 이하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외선센서(1007)에서 측정된 자외선 강도는 정상치 이내로 측정되어 전송됨으로써 자외선센서(1007)로부터 멀리 이격된 부근의 밸러스트수가 미처리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도 5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 내에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에서 나오는 자외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340)를 복수 개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자외선센서(340)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다른 자외선센서(340)를 활용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자외선센서(340)의 경우 특정 자외선센서(340) 하나가 작동불능이 된 경우라도 그 교체를 위해 자외선 처리장치 전체를 작동정지시키지 않고 나머지 자외선센서(340)에서 측정된 자외선 강도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 전반을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복수 개 설치된 자외선센서(340)에서 측정되는 측정치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해 보다 정밀하게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특정 부위 한 곳에만 자외선센서가 설치된 경우에는 만약, 자외선센서가 위치한 부근의 자외선램프는 정상적인 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데에 비해 자외선센서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외선램프에서는 정상치 이하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외선센서에서 측정된 자외선 강도는 정상치 이내로 측정되어 전송됨으로써 정확한 제어 및 처리효율 저하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소에서의 자외선센서(340)로부터 측정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적용해 제어하게 되면, 자외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는 부위와 상대적으로 작게 측정되는 부위 모두의 자외선 강도를 합산하여 바디(10) 전체에서의 자외선 강도 평균치를 산출하여 제어에 이용하기 때문에, 바디(10) 내 전체에서 평균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가)작동을 정지시켜 미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외선센서(340)가 특히, 3개 이상 설치되어 운영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자외선센서(340)들 중 그 측정값이 상기 산출된 평균값에 비해 현저히 차이나는 자외선센서(340)에 대해서는 작동(기능) 오류인 자외선센서(340)로 분류하여 오류로 분류된 자외선센서(340)의 측정값은 평균값 산출에서 제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해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자외선램프(310)의 기능이 저하되어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가 약화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정도가 일정 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약화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갑자기 급격하게 강도가 약화되는 경우는 드물며, 오히려 특정 자외선센서(340)에서 측정된 자외선 강도의 측정값이 갑자기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대부분 자외선센서(340) 자체의 문제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하나의 자외선센서(340)가 하나의 자외선램프(310)에 대해서만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자외선센서(340)가 설치된 주변의 여러 자외선램프(31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를 측정하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제어부는 바디(10) 내에 설치된 3개 이상의 자외선센서(340)들 중 그 측정값이 상기 산출된 평균값에 비해 현저히 차이나는 자외선센서(340)에 대해서는 작동(기능) 오류인 자외선센서(340)로 분류하여 오류로 분류된 자외선센서(340)의 측정값은 평균값 산출에서 제외함으로써, 오류가 포함된 평균값에 비해 오류가 제외되어 바디(10) 내 자외선 강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평균을 산출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처리장치의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0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바디(10) 내부가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부(125)를 통해 유출되는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으로 격벽(1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자외선램프(310)는 상기 유입부(124)와 유출부(125)를 통과하는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어 상기 격벽(130)에 의해 양단이 각각 결합지지되는 구조에서, 상기 자외선램프(310)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전극(311)(상기 전극(311) 부근에서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음)이 상기 격벽(130)으로부터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됨에 따라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 내의 자외선램프(310) 길이에서 실질적으로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부분은 양측의 전극(311)과 전극(311) 사이의 간격(D4)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유입부(124) 또는 유출부(125)의 직경(D5)이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 사이의 간격(D4)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입부(124)를 통해 바디(10) 내로 유입되는 밸러스트수가 유입 초기에 실질적으로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 사이가 아닌,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311) 부근으로 바로 흘러들어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외선을 직접 조사받지 않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특히 상기 유입부(124)의 직경(D5)을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 사이의 간격(D4)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함으로써 밸러스트수가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초기에는 바로 실질적으로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램프(310)의 양측 전극 사이로 방향을 잡고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 처리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디 110: 사각형상의 단면 121: 상부면 122: 하부면
123: 측면 124: 유입부 125: 유출부 126: 측커버
1211: 설치보수공 1212: 상부덮개 130: 격벽 131: 램프삽입공
132: 구동축삽입공 133: 제1공간 134: 제2공간 135: 제3공간
140: 기체흐름라인 141: 보조흐름라인 150: 기체유입라인
160: 돌출날개판 161: 제2날개판 170: 모터수용부
30: 자외선램프부 310: 자외선램프 311: 전극 320: 슬리브관
330; 라인 330-1: 제1라인 330-2: 제2라인 340: 자외선센서
50: 세척부 50': 세척유닛 510: 와이퍼 511: 주와이퍼
512: 보조와이퍼 5111: 제1날 5112: 홈 5113: 제2날
5121: 경사돌출부 5122: 첨예부 520: 와이퍼몸체
530: 암 531: 판부 532: 허브 5321: 허브몸체
53211: 내심부수용홈 53212: 내심부받침부 5322: 내심부
53221: 면취부 5323: 덮개부 53231: 삽입공
540: 구동축 541: 회전자 542: 고정자 5411: 접촉면
543: 환형케이싱 5431: 회전자안착홈 5432: 제1홈
544: 커버프레임 5441: 고정자안착홈 5442: 제2홈 5443: 제3홈
545: 제1부재 546: 제2부재 547: 탄성스프링
548: 기밀부재 549: 너트 5491: 와셔
550: 구동모터 560: 리드스위치 561: 수용홈 5611: 제1내주면
5612: 제2내주면 5613: 나사골 5614: 턱 5615: 테이퍼부
562: 탄성부재 563: 자석 564: 커버부재 5641: 제1외주면
5642: 제2외주면 5643: 나사산 5644: 턱결합홈
5645: 테이퍼부 5646: 스토퍼 565: 오링
* 종래 기술에 관련된 부호
1001: 바디 1002: 자외선램프 10021: 전극
1003: 격벽 10031: 램프삽입공 10032: 구동축삽입공
1004: 세척부 10041: 구동축 10042: 와이퍼몸체
10043: 암 100431: 허브 100432: 내심
10044: 와이퍼 10045: 리드스위치 100451: 자석
1005: 커버부재 10051: 오링 1007: 자외선센서

Claims (7)

  1.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될 수 있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자외선램프부와;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밸러스트수가 흐르는 공간과 흐르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단을 각각 결합지지하는 격벽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세척부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가 삽입되며 자외선램프를 둘러싸는 와이퍼몸체와, 상기 와이퍼몸체를 구동축에 연결하는 암과, 상기 암을 이동시키는 구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암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스위치는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고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용접에 의한 자석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과 자외선램프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지지되는 램프삽입공이 동일 축선 상에 관통형성되어, 격벽을 바디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램프삽입공 간의 동심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네 면이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개방된 양측 방향에서 각각 일정 깊이 함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상의 단면의 네 모서리를 둘러싸는 네 면과 상기 격벽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의 상기 세척부 구성들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설치보수공을 상기 네 면 중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가 위치하는 않는 면에 형성하고, 그 개폐를 위한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양단에 탄성부재와 자석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탄성부재와 자석이 삽입된 후 수용홈에 결합하여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턱이 수용결합하는 턱결합홈을 형성하여, 수용홈과 커버부재 간의 나사결합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외주면과, 상기 제1외주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턱결합홈이 형성된 제2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턱의 돌출된 면 중 수용홈의 개방된 부위를 향하는 면과, 상기 제1외주면과 제2외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 부위에는 각각 경사지게 면취된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된 턱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가 수용홈 내에 용이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20120097378A 2012-09-03 2012-09-03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09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378A KR101409972B1 (ko) 2012-09-03 2012-09-03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PCT/KR2012/007117 WO2014034988A1 (ko) 2012-09-03 2012-09-05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378A KR101409972B1 (ko) 2012-09-03 2012-09-03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788A KR20140030788A (ko) 2014-03-12
KR101409972B1 true KR101409972B1 (ko) 2014-06-20

Family

ID=5018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378A KR101409972B1 (ko) 2012-09-03 2012-09-03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9972B1 (ko)
WO (1) WO2014034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1487B2 (ja) 2016-10-28 2020-07-1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水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941A (ja) * 1999-07-26 2001-02-06 Ebara Corp 紫外線殺菌装置
KR20110027741A (ko) * 2011-02-25 2011-03-16 삼건세기(주) 자외선 수처리 장치
JP2012162252A (ja) * 2011-01-17 2012-08-30 Panasonic Corp シーチェストと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175Y1 (ko) * 2004-11-12 2005-01-24 주식회사 에코셋 난류를 이용한 자외선 수처리장치
JP4147537B2 (ja) * 2005-07-20 2008-09-10 千代田工販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用の払拭機構
KR100945091B1 (ko) * 2008-12-12 2010-03-05 계룡환경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KR100994168B1 (ko) * 2009-12-08 2010-11-12 (주)네오텍유브이 관로형 자외선 소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941A (ja) * 1999-07-26 2001-02-06 Ebara Corp 紫外線殺菌装置
JP2012162252A (ja) * 2011-01-17 2012-08-30 Panasonic Corp シーチェストと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10027741A (ko) * 2011-02-25 2011-03-16 삼건세기(주) 자외선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788A (ko) 2014-03-12
WO2014034988A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07B1 (ko) 압력방폭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09969B1 (ko)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09978B1 (ko) 이중 와이퍼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WO2012020879A1 (ko) 밸브 패킹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9972B1 (ko)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833329B1 (ko) 세척부 구동축과 바디 간 기밀결합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09979B1 (ko) 다수의 자외선센서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32982B1 (ko) 다수의 세척유닛을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10830B1 (ko) 바디 내 구성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상부덮개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412714B1 (ko) 세척부 구동축과 바디 간 기밀결합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346271B1 (ko) 조립구조의 리드스위치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346272B1 (ko) 미처리된 밸러스트수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346266B1 (ko) 허브 결합구조를 개선한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1280572B1 (ko) 수도 배관 장치
JP2007270957A (ja) ガス遮断弁
CN102738034B (zh) 包含处理流体泄漏回收结构的半导体处理装置
KR20010054141A (ko) 수위 감지기
TWM453065U (zh) 閥用的保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