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18B1 -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 Google Patents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18B1
KR101409918B1 KR1020120120579A KR20120120579A KR101409918B1 KR 101409918 B1 KR101409918 B1 KR 101409918B1 KR 1020120120579 A KR1020120120579 A KR 1020120120579A KR 20120120579 A KR20120120579 A KR 20120120579A KR 101409918 B1 KR101409918 B1 KR 10140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ata
remote device
channel
configur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647A (ko
Inventor
마나스 뎁
시앙-링 리
치우 엔곡 웡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트랜스시버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인바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RF 수신기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RF 섹션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RF 섹션을 구성하고,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의 동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통신하기 위한 RF 섹션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DUAL ASSOCIATION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본 발명은 그 내용들이 본 출원에 참조로서 임의의 및 모든 목적들을 위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1년 10월 28일에 제출된 일련 번호 제61/552,835호를 가지며, 대리인 문서 번호 제BP23760호를 갖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로 명명된 가 제출된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35 U.S.C. § 119에 기초하여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안테나들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 및 유선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은 국내 및/또는 국제 셀룰러 전화 시스템(cellular telephone system)들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가정용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인터넷 내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들에 이른다. 통신 시스템의 각각의 형태가 구성되고, 이에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RFID,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개량된 이동 전화 서비스들(AMPS: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s), 디지털 AMPS, 이동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로컬 다지점 전송 시스템들(LMDS: 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다채널 다지점 전송 시스템들(MMDS: multi-channel-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및/또는 그들의 변형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셀룰러 전화(cellular telephone), 양방향 라디오(two-way radio),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장비(home entertainment equipment), RFID 리더(RFID reader), RFID 태그(RFID ta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들로서도 알려진) 직접적인 통신들에 대하여, 참여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수신기들 및 송신기들을 동일 채널 또는 채널들(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캐리어들 중 하나)에 튜닝(tune)하고, 그 채널(들)로 통신한다. 간접적인 무선 통신들에 대하여,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할당된 채널을 통하여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들에 대해) 연결된 기지국 및/또는 (예를 들어, 가정 내 또는 건물 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기 위해서, 연결된 기지국들 및/또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들은 직접, 시스템 컨트롤러(system controller)를 통하여,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및/또는 다른 어떤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를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무선 통신들에 참여하는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빌트-인(built-in) 무선 트랜스시버(즉,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거나, 연결된 무선 트랜스시버(예를 들어, 가정 내 및/또는 건물 내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스테이션, RF 모뎀 등)에 결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수신기는 안테나에 결합되고,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intermediate frequency stage)들, 필터링 스테이지(filtering stage), 및 데이터 복구 스테이지(data recovery stage)를 포함한다. 저잡음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인바운드(inbound) RF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후 증폭한다.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은 증폭된 RF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baseband signal)들 또는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하여 증폭된 RF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로컬 오실레이션(local oscillation)들과 혼합(mix)한다. 필터링 스테이지 필터들은 필터링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밴드 신호(band signal)들 중에서 원하지 않는 밴드 외 신호들을 약화시켜 베이스밴드 신호들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한다. 데이터 복구 스테이지는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필터링된 신호들로부터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복구한다.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data modulation stage),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 및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는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미가공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신호들로 변환한다.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은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로컬 오실레이션들과 혼합한다. 전력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하기에 앞서 RF 신호들을 증폭한다.
현재, 무선 통신들은 허가 또는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들 내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들은 900 MHz, 2.4 GHz 및 5 GHz의 비허가 공업용, 과학용, 및 의료용(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일어난다. ISM 주파수 스펙트럼이 허가되지 않는 반면, 전력, 변조 기술들, 및 안테나 이득에 대한 제약들이 있다. 또 다른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은 55-64 GHz의 V-밴드이다.
다음의 개시 내용이 제시되는 경우, 종래의 접근법들의 다른 문제점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더 설명되는 동작의 방법들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트랜스시버(transceiver)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local area network protocol)에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인바운드 데이터(inbound data)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RF 수신기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remote)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의 동시 연결(simultaneous association)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제 2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2 액세스 포인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스테이션(station)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802.11 표준 프로토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채널 캐시(channel cach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하향 변환 모듈(down conversion module) 및 적어도 하나의 상향 변환 모듈(up conversion module)을 구성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데이터(local oscillator dat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전치왜곡(predistortion)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혼합된 신호 교정 데이터(mixed signal calibration dat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기 이득 데이터(receiver gain dat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교정하고; 채널 캐시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복구하며; 및 상기 제 1 채널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함으로써,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F(radio frequency) 트랜스시버(transceiver)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local area network protocol)에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인바운드 데이터(inbound data)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RF 수신기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remote)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동시 연결(simultaneous association)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채널 캐시(channel cache)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교정하고; 상기 채널 캐시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복구하며;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함으로써,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제 2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2 액세스 포인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스테이션(station)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802.11 표준 프로토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하향 변환 모듈(down conversion module) 및 적어도 하나의 상향 변환 모듈(up conversion module)을 구성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데이터(local oscillator dat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전치왜곡(predistortion)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혼합된 신호 교정 데이터(mixed signal calibration dat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기 이득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트랜스시버(118)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트랜스시버(118)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섹션(137)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기지국(base station)(18), 비실시간(non-real-time) 디바이스(20), 실시간(real-time) 디바이스(22), 및 비실시간 및/또는 실시간 디바이스(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실시간 데이터(24) 및/또는 비실시간 데이터(26)를 통신하는 통신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다. 부가하여, 통신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15), 비실시간 디바이스(12), 실시간 디바이스(14), 및 비실시간 및/또는 실시간 디바이스(16)와 유선 연결(wireline connection)로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선 연결(28)은 유니버설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488, IEEE 1394 (Firewire), 이더넷(Ethernet),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직렬 또는 병렬 개량된 접속 기술(SATA or PATA: serial or 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또는 다른 표준 또는 독점(proprietary) 유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유선 연결일 수 있다. 무선 연결은 WiHD, NGMS, IEEE 802.11a, ac, b, g, n, 또는 다른 802.11 표준 프로토콜, 블루투스, 초광대역(UWB: Ultra-Wireband), WIMAX,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동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글로벌 발전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율(EDGE: Enhanced Data Rate for Global Evolution),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또는 다른 이동 무선 프로토콜과 같은, 무선 전화 데이터/음성 프로토콜 또는 다른 표준 또는 독점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통신 경로는 분리된 캐리어(carrier) 주파수들 및/또는 분리된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분리된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은 통신 디바이스(10)로 및 통신 디바이스(10)로부터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는 셀룰러 전화, 로컬 영역 네트워크 디바이스, 개인 영역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은,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게임 콘솔(game console), 개인용 컴퓨터, 랩톱 컴퓨터, 또는 유선 연결(28) 및/또는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게다가, 통신 디바이스(10)는 유선 연결(28)을 통하여, 인터넷 또는 다른 공중 또는 사설 광역 네트워크에서와 같은. 네트워크(15)에 결합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간 및 비실시간 디바이스들(12, 14, 16, 18, 20, 22 및 25)은 개인용 컴퓨터들, 랩톱들, PDA들, 셀룰러 전화들과 같은 이동 전화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트랜스시버들이 장착된 디바이스들, FM 튜너들, TV 튜너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캠코더들, 또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 또는 다른 데이터 또는 통신들을 생성, 처리 또는 사용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동작시, 통신 디바이스는 표준 전화 애플리케이션들(standard telephony applications)과 같은 음성 통신들,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VoIP: voice-over-Internet Protocol) 애플리케이션들, 로컬 게임, 인터넷 게임,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멀티미디어 메시징(multimedia messaging),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오디오/비디오 재생, 오디오/비디오 다운로딩, 오디오/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재생, 데이터베이스(database)들,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들,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생성 및 처리와 같은, 오피스 애플리케이션(office application)들 및 다른 음성 및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하여, 실시간 데이터(26)는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인터넷 게임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포함한다. 비실시간 데이터(24)는 텍스트 메세징,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업로딩 및 다운로딩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0)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무선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포함한다. 그러한 무선 트랜스시버들은 다음의 도 3 내지 도 5와 연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도 2는 공통 참조 부호들에 의하여 참조되는 도 1의 많은 공통 소자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시한다. 통신 디바이스(30)는 도 1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와 유사하고, 통신 디바이스(10)에 따른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 기능들 및 특징들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30)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하여, RF 데이터(40)를 통한 데이터 디바이스(32) 및/또는 데이터 기지국(34) 및 RF 음성 신호들(42)을 통한 음성 기지국(36) 및/또는 음성 디바이스(38)와 동시에 통신하는 둘 이상의 분리된 무선 트랜스시버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트랜스시버(118)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RF 트랜스시버(118)는 통신 디바이스들(10 또는 30), 기지국(18), 비실시간 디바이스(20), 실시간 디바이스(22), 비실시간 및/또는 실시간 디바이스(25), 데이터 디바이스(32) 및/또는 데이터 기지국(34), 및 음성 기지국(36) 및/또는 음성 디바이스(38) 또는 임의의 다른 802.11에 따르는 STA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제시된다. 통상의 802.11 시스템에서, STA는 인프라스트럭처 BSS 네트워크(infrastructure BSS network)에서 하나의 AP와 연결하거나, 독립 BSS 네트워크(independent BSS network)에서 하나의 STA와 연결한다. 연결 후, 무선 데이터는 (인프라스트럭처 BSS에서) STA 및 AP 사이에서 전송되거나, (독립 BSS에서) 하나의 STA 및 또 다른 STA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RF 트랜스시버(118)는 MIMO 무선(radio)들의 단일 세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94)에 결합되는 AP 또는 STA(90) 및 네트워크(96)에 결합되는 AP 또는 STA(92)와 같은, 다수의 AP들 및/또는 STA들과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는 의사-동시 듀얼 연결(pseudo-simultaneous dual association) 특징을 구현한다. 이들 STA들/AP들은 동일한 밴드 또는 상이한 밴드들에 있을 수 있다. 이 특징은 매우 짧은 시간에 채널들 및 밴드들 사이에서 무선(radio)을 스위칭(switch)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가속 및/또는 마이크로코드(microcode)를 사용하고, 그 결과, 다수의 연결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의 TDMA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에게, 트랜스시버(118)는 연결이 이루어진 상이한 채널들/밴드들에 각각 튜닝된 MIMO 무선(radio)들의 다수의 세트들을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구현시, 단일 MIMO 무선(radio)은 빠른 스위칭 및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를 통하여 두 연결들을 지원한다. 또한, 이 특징은 상이한 채널들/밴드들 사이에서 무선(radio)을 스위칭하는 동안 데이터 처리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트래픽 패턴(traffic pattern)에 기초하여 스마트 스케줄링 기술(smart scheduling scheme)을 지원한다.
RF 트랜스시버(118)의 동작은 다음 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RF 트랜스시버(118)는 802.11ac STA에서 구현되고, AP 또는 STA(90) 및 AP 또는 STA(92)는 두 액세스 포인트들(즉, 이 예에서 AP(90) 및 AP(92))인 경우를 고려하자. RF 트랜스시버(118)는 스캔(scan)을 수행하고, 2347 MHz의 주파수에서 채널 6에서의 AP(90)와 연결한다. RF 트랜스시버(118)는 채널 6을 태그(tag)하고, 채널 캐시(cache)에 이 채널에 대한 채널 구성 데이터(channel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한다. RF 트랜스시버(118)는 또 다른 스캔을 수행하고, 5200 MHz의 주파수에서 채널 40에서의 AP(92)와 연결한다. RF 트랜스시버(118)는 채널 40을 태그하고, 또한 채널 캐시에 이 제 2 채널에 대한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후, RF 트랜스시버(118)는 두 액세스 포인트들과 연결들을 유지하는 동시에, AP(90) 및 AP(92) 둘 다를 통하여 네트워크들(94 및 96)과 동시에 통신하는 시간을 분할한다. 채널 40 및 채널 6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이에서 스위칭할 시간인 경우, RF 트랜스시버는 채널 캐시로부터 새로운 채널에 대한 채널 구성 데이터를 복구하고, 새로운 채널에 RF 트랜스시버(118)를 튜닝하기 위하여, 주파수들, 수신기 설정들 및 송신기 설정들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RF 트랜스시버는 1 밀리세컨드(millisecond) 미만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비록 위의 예는 상이한 두 액세스 포인트들을 갖는 802.11ac STA 사이에서의 연결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동작시, RF 트랜스시버(118)는 액세스 포인트 및 연결된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주변 또는 다른 원격 디바이스와 같은, 또 다른 STA와 동시에 연결할 수도 있다. 게다가, 비록 위의 예는 RF 트랜스시버(118)가 상이한 인접하지 않은 두 주파수 밴드들에서 두 주파수 채널들을 통하여 동시에 통신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였지만, RF 트랜스시버(118)는 마찬가지로 동일 주파수 밴드 내에서 상이한 두 주파수들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부가하여, 비록 위의 예는 두 원격 디바이스들과의 동시 연결을 설명하였지만, 셋 이상의 디바이스들과의 동시 연결이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트랜스시버(118)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구성 가능한 RF 트랜스시버(118)가 제시된다. RF 섹션(RF section)들(137)은 안테나(antenna) 또는 안테나 구조(100)의 안테나들에 의한 송신을 위하여 베이스밴드 신호(baseband signal)들을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안테나 구조(1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베이스밴드로 하향 변환(down convert)하는 다수의 분리된 송신기 및 수신기 체인(chain)들을 포함한다. RF 트랜스시버(118)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다른 스테이션(station)들과의 동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처리 모듈(225)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들(116)에 기초하여, 상이한 두 로컬 영역 네트워크 채널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스위칭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특히, 처리 모듈(225)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RF 섹션(137)을 구성하고, 제 1 원격 디바이스 및 제 2 원격 디바이스 둘 다와의 동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RF 섹션(137)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처리 모듈(225)은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162)를 베이스밴드 송신 신호들로 처리하고, 제어 신호들(116)의 제어 하에 베이스밴드 수신 신호들을 인바운드 데이터(inbound data)(160)로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섹션(139)을 구성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몇몇 선택적인 기능들 및 특징들을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118)의 구현 및 동작에 관한 예들이 다음의 도 5와 관련하여 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섹션(137)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RF 프론트-엔드(RF front-end)(140) 및 하향 변환 모듈(down conversion module)(142)을 포함하는 RF 수신기 섹션 및 상향 변환 모듈(up conversion module)(148) 및 무선 송신기 프론트-엔드(radio transmitter front-end)(150)를 포함하는 RF 송신기 섹션을 갖는 단일 RF 섹션(137)을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118)의 부분이 도시된다. RF 트랜스시버(125)는 RF 송신기(129), 및 RF 수신기(127)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처리 모듈(baseband processing module)(139)은 수신기 처리 모듈(receiver processing module)(144) 및 송신기 처리 모듈(transmitter processing module)(146)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및 송신기는 송신 신호(transmit signal)(155)로부터 아웃바운드 RF 신호(170)를 생성하고, 인바운드 신호(152)로부터 수신 신호(received signal)(153)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안테나 구조(100)에 결합된다. 안테나 구조(10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구조,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 구조, 페이즈드 어레이(phased array)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다른 제어 가능한 안테나 구조와 같은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다른 RF 섹션들(137)에 결합되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안테나들 각각은 고정될 수 있고,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으며, 안테나 어레이 또는 다른 안테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구조(100)는 무선 트랜스시버가 따르는 특정 표준(들)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를 수도 있다.
동작시, 송신기 처리 모듈(146)은 아웃바운드 데이터(162)를 포함하는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outbound symbol stream)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또는 저(low)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송신(TX: transmit) 신호들(164)을 생성하기 위하여, 표준 또는 독점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아웃바운드 데이터(162)를 패킷으로 나눈다.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TX 신호들(164)은 (예를 들어, 제로(zero) IF를 갖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들 또는 디지털 저 IF 신호들일 수 있고, 여기서 저 IF는 전형적으로 일백 킬로헤르츠(kilohertz)에서 수 메가헤르크(megahertz)의 주파수 범위에 있을 것이다. 송신기 처리 모듈(146)에 의하여 수행되는 처리는 스크램블링(scrambling), 인코딩(encoding), 펑츄어링(puncturing), 맵핑(mapping), 변조, 및/또는 디지털 베이스밴드-IF 변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향 변환 모듈(148)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to-analog conversion) 모듈,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같은 로컬 오실레이터, 및 혼합 섹션을 포함한다. DAC 모듈은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TX 신호들(164)을 디지털 영역으로부터 아날로그 영역으로 변환한다.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혼합 섹션에 아날로그 신호들의 이득을 제공하기에 앞서 아날로그 신호들의 이득을 필터링 및/또는 조정한다. 혼합 섹션은 송신기 로컬 오실레이션(transmitter local oscillation)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TX 신호들을 상향 변환된 신호들(up-converted signals)(166)로 변환한다.
무선 송신기 프론트-엔드(150)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를 포함하고, 또한 송신 필터 모듈(transmit filter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만약 포함된다면, 송신기 필터 모듈에 의하여 필터링될 수 있는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70)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향 변환된 신호들(166)을 증폭한다. 안테나 구조(100)는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70)을 송신한다.
RF 섹션(137)은 수신기 프론트-엔드(140)에 대하여 인바운드 RF 신호(152)를 수신 신호(153)로 처리하도록 동작하는 안테나 구조(100)를 통하여 인바운드 RF 신호(152)들을 수신한다. RF 프론트-엔드(140)는 목표 RF 신호(154)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153)를 증폭하는 이득을 조정 가능한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한다. 저 잡음 증폭기는 통과대역 여과(bandpass filt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 변환 모듈(142)은 혼합 섹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와 같은 로컬 오실레이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to-digital conversion) 모듈을 포함하고, 또한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섹션은 수신기 로컬 오실레이션(receiver local oscillation)에 기초하여, 목표 RF 신호(154)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와 같은, 하향 변환된 신호(down-converted signal)(156)로 변환한다. ADC 모듈은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로 변환한다.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인바운드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156)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를 고역 및/또는 저역 통과 필터링한다. ADC 모듈 및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의 배치는 바뀔 수 있고, 그 결과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아날로그 모듈인 것을 주의한다. 송신기 로컬 오실레이션 및 수신기 로컬 오실레이션은 단일 로컬 오실레이터 또는 복수의 로컬 오실레이터들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음을 주의한다.
수신기 처리 모듈(144)은 인바운드 데이터(160)를 생성하기 위하여 표준 또는 독점 밀리미터파 프로토콜(millimeter wave protocol)에 따라 베이스밴드 또는 저 IF 신호(156)를 처리한다. 수신기 처리 모듈(144)에 의하여 수행되는 처리는 베이스밴드 변환에 대한 디지털 중간 주파수, 복조, 디맵핑(demapping), 디펑츄어링(depuncturing), 디코딩(decoding) 및/또는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 처리 모듈(144), 송신기 처리 모듈(146), 및 처리 모듈(225)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상태 기계(state machine), 로직 회로(logic circuitry),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연산 명령(operational instruction)들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들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연결된 메모리는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온-칩(on-chip) 또는 오프-칩(off-chip)인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들 처리 디바이스들이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그들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경우, 이 회로에 대해 대응하는 연산 명령들을 저장하는 연결된 메모리는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에 내장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비록 수신기 처리 모듈(144), 송신기 처리 모듈(146) 및 처리 모듈(225)이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소자들은 분리되어, 하나 이상의 공유 처리 디바이스들의 작동을 통하여 함께, 또는 분리 및 공유 처리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처리 모듈(225)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RF 섹션(137)을 구성하고, 제 1 원격 디바이스 및 제 2 원격 디바이스 둘 다와 동시 연결을 유지하도록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RF 섹션(137)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모듈(225)은 RF 섹션(137)의 구성을 제어하고, 현재 사용 중인 채널에 대하여 베이스밴드 처리 모듈(139)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채널 구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물리적(PHY: physical) 레이어(layer)를 동작하기 위하여 RF 섹션(137)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software driver)를 구현한다. 로컬 또는 부착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채널 캐시(115)는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 1 원격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RF 섹션(137)을 구성하는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하여 RF 섹션(137)을 구성하는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동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처리 모듈(225)은 제 1 주파수 채널 및 제 2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하여 RF 섹션(137)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처리 모듈(225)은 스위칭 처리 동안 드라이버를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또는 하향 변환 모듈(142) 및 상향 변환 모듈(148)에 의하여 채택되는 VCO들의 교정(calibration)을 제 2 주파수 채널의 새로운 로컬 오실레이터 주파수에 개시한다.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는 채널 캐시로부터 복구되고, 드라이버에서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VCO 교정이 완료되고, 새로운 채널 구성 데이터가 드라이버에 로딩(load)되면, 드라이버는 새로운 채널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enable)될 수 있다. 제 2 채널 주파수에서 제 1 채널 주파수로의 전이(transition)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채널에 대한 채널 구성 데이터는 하향 변환 모듈(142) 및 상향 변환 모듈(148)을 특정 채널의 적절한 주파수들에 구성하고, 또한 이들 주파수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들을 교정하는 로컬 오실레이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구성 데이터는 특정 채널 주파수에서 무선 송신기 프론트-엔드(150)의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하여 송신기 처리 모듈(146)에 의하여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 전치왜곡(predistortion)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구성 데이터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transmit power control data), 혼합된 신호 교정 데이터(mixed signal calibration data), 수신기 이득 데이터(receiver gain data) 및 선택된 채널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RF 섹션(137) 및 베이스밴드 섹션(139)의 다른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및 "대략(approximately)"은 그것의 대응하는 용어 및/또는 아이템들 사이의 상대성에 대하여 산업상 용인되는 허용 범위를 제공한다. 그러한 산업상 용인되는 허용 범위는 1퍼센트 미만에서부터 50퍼센트까지 이르고, 구성요소 값들, 집적 회로 처리 변형들, 온도 변화들, 상승 및 하강 시간들, 및/또는 열 잡음에 대응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이템들 사이의 그러한 상대성은 수 퍼센트의 차이로부터 큰 규모의 차이들까지 이른다. 또한, 본 명세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operably coupled to)", "~에 결합되는(coupled to)" 및/또는 "결합하는(coupling)" 은 아이템들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 및/또는 중간 아이템(예를 들어, 아이템은 구성요소, 소자, 회로, 및/또는 모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을 통한 아이템들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간접적인 결합을 위해, 중간 아이템은 신호의 정보를 변경시키지 않지만 그것의 전류 레벨, 전압 레벨, 및/또는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정되는 결합(즉, 하나의 소자가 유추에 의해 또 다른 소자에 결합되는)은 "~에 결합되는(coupled to)"과 같은 방법으로 두 아이템들 사이의 직접적 및 간접적인 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에 동작 가능한(operable to)" 또는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operably coupled to)" 은 활성화된 경우,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그것의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 연결들, 입력(들), 출력(들) 등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아이템들에 추정되는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여전히 더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와 연결되는(associated with)"은 분리된 아이템들 및/또는 또 다른 아이템 내에 내장되는 하나의 아이템의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인 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양호하게 비교하는(compares favorably)"은 둘 이상의 아이템들, 신호들 등 사이의 비교가 원하는 관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원하는 관계가 신호 1이 신호 2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일 경우, 양호한 비교는 신호 1의 크기가 신호 2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 또는 신호 2의 크기가 신호 1의 크기보다 더 작은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 및/또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은 단일 처리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처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처리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상태 기계,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및/또는 연산 명령어들의 하드 코딩(hard coding)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들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처리 모듈, 모듈, 처리 회로 및/또는 처리 유닛은 메모리 및/또는 집적 메모리 소자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또 다른 처리 모듈, 모듈, 처리 회로 및/또는 처리 유닛의 내장 회로일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처리 모듈, 모듈, 처리 회로 및/또는 처리 유닛이 하나 초과의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처리 디바이스들은 중앙에 위치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하여 함께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로컬 영역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간접적인 결합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는 것을 주의한다. 또한, 처리 모듈, 모듈, 처리 회로 및/또는 처리 유닛이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그것의 기능들을 구현하면, 대응하는 연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소자는 상태 기계,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내장될 수 있음을 주의한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 소자는 저장할 수 있고, 처리 모듈, 모듈, 처리 회로 및/또는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면들에서 예시된 적어도 어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연산 명령어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소자는 제조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시된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수행을 예시하는 방법 단계들을 위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들 기능적 구조 블록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시퀀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 임의로 정의되었다. 명시된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시퀀스들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또는 시퀀스들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더욱이, 이들 기능적 구조 블록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떤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흐름도 블록들도 어떤 중요한 기능들을 예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임의로 정의되었다. 사용되는 정도에서,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고, 여전히 어떤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능적 구조 블록들 및 흐름도 블록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 및 시퀀스들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또한, 당업자는 기능적 구조 블록들, 및 다른 예시적인 블록들, 본 명세서의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예시된 대로 또는 별개의 구성요소들, 특정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이와 유사한 것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 그의 측면, 그의 특징, 그의 개념 및/또는 그의 예를 예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장치, 제조물, 기계의 물리적인 실시예 및/또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처리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을 통틀어, 실시예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을 통합할 수 있고, 그와 같이,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상이한 것들일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도면(들)에서 트랜지스터(transistor)들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ETs: field effect transistors)로서 도시되지만,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들은 양극성(bipolar),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N-웰 트랜지스터들(N-well transistors), P-웰 트랜지스터들(P-well transistors), 인핸스먼트 방식(enhancement mode), 공핍 방식(depletion mode) 및 제로 전압 임계(VT: voltage threshold)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트랜지스터 구조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대로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들 중 임의의 도면에서의 소자들로, 소자들로부터 및/또는 소자들 사이의 신호들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연속 시간 또는 이산 시간, 및 싱글-엔드형(single-ended) 또는 디퍼런셜(differenti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경로가 싱글-엔드형 경로로서 도시되는 경우, 그것은 디퍼런셜 신호 경로도 나타낸다. 유사하게, 신호 경로가 디퍼런셜 경로로 도시되는 경우, 그것은 싱글-엔드형 신호 경로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특정 아키텍처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아키텍처들도 분명하게 도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data bus)들, 소자들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 및/또는 다른 소자들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모듈"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싱 모듈, 기능적 블록, 하드웨어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모듈이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되면, 하드웨어는 독립적으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서브 모듈(sub-module)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모듈은 하나 이상의 모듈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들 및 특징들의 특정 조합들이 본 명세서에 분명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들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은 동일하게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예들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이들 다른 조합들을 분명하게 통합한다.

Claims (15)

  1.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local area network protocol)에 따라 수신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인바운드 데이터(inbound data)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RF 수신기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remote)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동시 연결(simultaneous association)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채널 캐시(channel cache)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복구하여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오버라이트(overwrite)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이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함으로써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동시 연결을 지원하는, RF 트랜스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제 2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2 액세스 포인트인, RF 트랜스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스테이션(station)인, RF 트랜스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802.11 표준 프로토콜인, RF 트랜스시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하향 변환 모듈(down conversion module) 및 적어도 하나의 상향 변환 모듈(up conversion module)을 구성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데이터(local oscillator data)를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전치 왜곡(predistor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혼합된 신호 교정 데이터(mixed signal calibration data)를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 및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기 이득 데이터(receiver gain data)를 포함하는, RF 트랜스시버.
  11. 삭제
  12.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local area network protocol)에 따라 수신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인바운드 데이터(inbound data)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RF 수신기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outbound data)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제 1 원격(remote)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동시 연결(simultaneous association)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채널 캐시(channel cache)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교정하고;
    상기 채널 캐시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를 복구하며;
    상기 제 1 채널 구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채널 구성 데이터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섹션을 구성함으로써,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와 제 2 원격 디바이스와의 동시 연결을 지원하는, RF 트랜스시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제 2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제 2 액세스 포인트인, RF 트랜스시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디바이스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 2 원격 디바이스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스테이션(station)인, RF 트랜스시버.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802.11 표준 프로토콜인, RF 트랜스시버.
KR1020120120579A 2011-10-28 2012-10-29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KR101409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2835P 2011-10-28 2011-10-28
US61/552,835 2011-10-28
US13/331,240 US8787285B2 (en) 2011-10-28 2011-12-20 Dual association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13/331,240 2011-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47A KR20130047647A (ko) 2013-05-08
KR101409918B1 true KR101409918B1 (ko) 2014-06-19

Family

ID=4721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79A KR101409918B1 (ko) 2011-10-28 2012-10-29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7285B2 (ko)
EP (1) EP2587675B1 (ko)
KR (1) KR101409918B1 (ko)
CN (1) CN103152812B (ko)
HK (1) HK1182572A1 (ko)
TW (1) TWI493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6215B (zh) * 2018-04-24 2023-11-03 超视距成都科技有限责任公司 超宽带无线电频谱管控系统及其实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600B1 (en) * 2002-06-03 2005-04-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arbitration
US20100111033A1 (en) * 2008-11-04 2010-05-06 Broadcom Corporation Multiservice communication device with dedicated control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4296B1 (en) * 1999-08-04 2006-05-30 Parkervision,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ncluding techniques of universal frequency translation
DE60134723D1 (de) 2001-05-21 2008-08-21 Sony Deutschland Gmbh Architektur eines zweimodusfunkgrätes für ein digitales und schnurloses kommunikationssystem
US8364080B2 (en) * 2002-08-01 2013-01-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enhanced quality and higher throughput for collocated IEEE 802.11 B/G and bluetooth devices in coexistent operation
KR100542440B1 (ko) 2002-12-06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KR100547736B1 (ko) 2003-06-26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채널의 동적 선택을 위한 스위칭 필터 모듈
US20050208900A1 (en) 2004-03-16 2005-09-22 Ulun Karacaoglu Co-existing BluetoothTM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60215601A1 (en) * 2005-03-14 2006-09-28 H-Stream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wireless PAN network and a wireless LAN network
US20080043673A1 (en) * 2006-08-18 2008-02-21 Johnson Michael D Cellular mobile gateway with signal quality indicator
US9231680B2 (en) 2009-03-03 2016-01-05 Rfaxis, Inc. Multi-channel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US8750266B2 (en) 2009-11-25 2014-06-10 Alcatel Lucent Dual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8638698B2 (en) * 2011-07-26 2014-01-28 Motorola Mobility Llc Front end employing pin diode switch with high linearity and low los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600B1 (en) * 2002-06-03 2005-04-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arbitration
US20100111033A1 (en) * 2008-11-04 2010-05-06 Broadcom Corporation Multiservice communication device with dedicated contro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7675B1 (en) 2018-08-22
TWI493910B (zh) 2015-07-21
HK1182572A1 (zh) 2013-11-29
US20130107818A1 (en) 2013-05-02
CN103152812B (zh) 2015-09-23
EP2587675A1 (en) 2013-05-01
KR20130047647A (ko) 2013-05-08
CN103152812A (zh) 2013-06-12
TW201322668A (zh) 2013-06-01
US8787285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504B2 (en) Transmitter front end with programmable notch filt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737935B2 (en) Multi-band up-convertor mixer
KR101437029B1 (ko) 이중 모드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KR101409915B1 (ko) 수신된 신호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8909272B2 (en) Control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to communication devices that use differing protocol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965431B2 (en) Multimode control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to communication devices that use differing protocol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866557B2 (en) XTAL oscillator
KR20130047636A (ko) 교정된 전치-왜곡을 가진 rf 트랜시버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US8884702B2 (en) Power amplifier with supply switching
KR101356404B1 (ko)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1409918B1 (ko)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