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440B1 -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440B1
KR100542440B1 KR1020020077326A KR20020077326A KR100542440B1 KR 100542440 B1 KR100542440 B1 KR 100542440B1 KR 1020020077326 A KR1020020077326 A KR 1020020077326A KR 20020077326 A KR20020077326 A KR 20020077326A KR 100542440 B1 KR100542440 B1 KR 10054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verter
local
frequency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528A (ko
Inventor
박봉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4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5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ultiple discret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RF(Radio Frequency) 송수신 장치와 하나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전송 주파수가 상이한 듀얼 밴드 무선 랜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고, 제품의 설계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듀얼 밴드, 무선 랜, 중간 주파수

Description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DUAL BAND WIRELESS LAN TRANSCEIVER}
도 1은 종래의 단일 대역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제1 국부 신호 발생기 230: 제2 국부 신호 발생기
113: 제1 하향 혼합기 124: 제1 상향 혼합기
213: 제2 하향 혼합기 224: 제2 상향 혼합기
500: 채널선택필터 311, 321: 자동이득 제어기
312, 316: 제3 하향 혼합기 313,317,323,326:저역 통과 필터
314, 318: 이득증폭기 315, 319: AD변환기
322, 325: 제3 상향 혼합기 324, 327: DA변환기
402: 제3 국부 신호 발생기
본 발명은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대역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대역 무선 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대역 무선 랜 장치는,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제1 및 제2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국부 신호 발생기(61, 64)를 포함하는 국부 신호 발생부(60), 제1 국부 신호 발생기(61)로부터 생성된 국부 신호와 기저대역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I(In-phase), Q(Quadrature-phase)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상향 변환부(50), 제1 상향 변환부(50)에 의해 상향 변환된 신호를 제2 국부 신호 발생기(64)로부터 생성된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고 함)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상향 변환부(40), 제2 상향 변환부(40)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안테나(10)를 이용하여 송신하기 적합하도록 RF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안테나(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20), 제2 상향 변환부(40)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20)와 안테나(10)를 이용하여 송신할 것인지, 안테나(10)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20)를 통하여 입력받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송/수신 모드 선택 스위치(30), 대역 통과 필터(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제2 국부 신호 발생기(64)로부터 생성된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하향 변환부(80) 및 제1 하향 변환부(80)로부터 입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제1 국부 신호 발생기(61)로부터 생성된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기저대역의 I/Q 신호로 변환하는 제2 하향 변환부(80)를 포함한다.
한편, 현재 상용화가 진행중인 무선 랜은 2.4㎓ 대역의 무선 랜이고, 향후에 5㎓ 대역의 무선 랜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2.4㎓와 5㎓ 대역의 무선 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는 단일 대역의 송수신만이 가능하며, 이러한 송수신 장치를 듀얼 밴드로 구성하려면 두 개의 RF 장치에 각각 중간 주파수 송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치 내에서 간섭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동작 성능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대역의 RF 장치에 동일한 중간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가 RF 장치에 미치는 간섭을 줄이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제1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국부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다른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제2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국부 신호 발생부; 중간 주파수 대역의 제3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로부터 생성된 제3 국부 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3 상향 변환부;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에 의해 상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상향 변환부;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에 의해 상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상향 변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상기 제2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2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한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제1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한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와 제1, 제2 상향변환부 사이 또는 상기 제3 하향 변환부와 상기 제1, 제2 하향 변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채널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모드 선택부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모드 선택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국부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3 국부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켜서 I(In-phase) 신호와 Q(Quadrature-phase)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변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상기 제1 주파수는 2㎓ 이상이고,
상기 제1 국부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중간 주파수의 차이인 소정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제1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상향 변환부 및 제1 하향 변환부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상기 제2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며,
상기 제2 국부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주파수와 상기 중간 주파수의 차이인 소정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제2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상향 변환부 및 제2 하향 변환부에 제공한다.
상기 제3 국부 신호 발생부는,
374㎒를 중심으로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제3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상향 변환부 및 제3 하향 변환부에 제공한다.
상기 제1 국부 신호 발생부 및 제2 국부 신호 발생부는,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채널 선택 제어 신호 및 전력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국부 신호 및 제2 국부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중 I(In-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A(digital-to-analog) 변환기; 상기 제1 DA 변환기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A 상향 혼합기; 상기 기저대역 신호 중 Q(Quadrature-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DA(digital-to-analog) 변환기; 상기 제2 DA 변환기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B 상향 혼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는,
상기 제3A 및 제3B 상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향 변환부에서 수신된 신호 중 I(In-phase) 신호 및 Q(Quadrature-phase)신호를 상기 제3 국부 신호와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A 하향 혼합기 및 제3B 하향 혼합기; 상기 제3A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analog-to-digital) 변환기; 상기 제3B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analog-to-digital) 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3A 및 제3B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자동 이득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상향 변환부는,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1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혼합기; 상기 상향 혼합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동 증폭기;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향 변환부는,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2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혼합기; 상기 상향 혼합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동 증폭기;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 키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크기가 증폭된 신호에서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거된 신호와 상기 제1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혼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크기가 증폭된 신호에서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거된 신호와 상기 제2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혼합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의 구성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는, 제1 수신부(110), 제1 송신부(120), 제1 국부 신호 발생기(130), 제2 수신부(210), 제2 송신부(220), 제2 국부 신호 발생기(230), 제3 수신부(310), 제3 송신부(320), 중간 주파수 발생기(400) 및 채널 선택 필터(500)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110) 및 제1 송신부(120)는 F1(여기서, F1 > 2㎓)을 중심 주파수로 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2 수신부(210) 및 제2 송신부(220)는 F2(여기서, F2 > 2 ×F1)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3 수신부(310) 및 제3 송신부(320)는 중간 주파수인 F3(약 374㎒ 정도)을 중심 주파수로 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1 국부 신호 발생기(130)는 F1vco(여기서, F1vco = F1 -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국부 신호 발생기(230)는 F2vco(여기서, F2vco = F2 -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중간 주파수 발생기(400) 내의 제3 국부 신호 발생기(402)는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3 수신부(310) 및 제3 송신부(320)는 기저대역 장치와 I(In-phase), Q(Quadrature-phase)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각각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서 신호가 송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저대역 장치에서 제3 송신부(320)로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는 DA(digital to analog)변환기(324, 32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저역 통과 필터(323, 326)에서 고주파의 잡음 신호가 제거되고, 이 신호는 제3A 상향 혼합기(322) 및 제3B 상향 혼합기(325)에서 제3 국부 신호 발생기(402)에서 발생한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대역(즉,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자동 이득 제어기(321)를 거치면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되고, 채널 선택 필터(500)에서 잡음 신호들이 제거된다.
한편, 제어장치에서 보내진 채널 선택 제어 신호와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1 국부 신호 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F1vco 주파수 대역 신호는, 제1 상향 혼 합기(124)에서 채널 선택 필터(500)를 통과한 F3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혼합되어 F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구동 증폭기(123)를 거치면서 신호의 크기가 커지고, 대역 통과 필터(122)에서 잡음 신호가 제거된 후, 전력 증폭기(121)에서 다시 신호의 크기가 커지고, 스위치(103)를 거친 후 제1 안테나(101)를 통하여 무선 환경으로 송신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에서 보내진 채널 선택 제어 신호와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2 국부 신호 발생기(230)에서 발생되는 F2vco 주파수 대역 신호는, 제2 상향 혼합기(224)에서 채널 선택 필터(500)를 통과한 F3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혼합되어 F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구동 증폭기(223)를 거치면서 신호의 크기가 커지고, 대역 통과 필터(222)에서 잡음 신호가 제거된 후, 전력 증폭기(221)에서 다시 신호의 크기가 커지고, 스위치(203)를 거친 후 제2 안테나(201)를 통하여 무선 환경으로 송신된다.
이와 같은 신호의 송신 과정에서, 제1 송신부(120)가 동작할 때에는 제2 송신부(220)가 대기상태에 있고, 제2 송신부(220)가 동작할 때에는 제1 송신부(120)가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서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F1을 중심 주파수로 하는 신호가 제1 안테나(101)를 통해서 수신되면, 이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102)에서 잡음 신호가 제거된 후, 스위치(103)를 통과하여 제1 수신부(110)로 전달된다.
제1 수신부(110)로 입력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111)에서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대역 통과 필터(112)에서 이미지 신호가 제거되며, 제1 하향 혼합기(113)에서 제1 국부 신호 발생기(130)에서 발생된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대역(즉, F3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고, 자동 이득 제어기(311)에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된 후, 제3 수신부(310)로 전송된다.
제3 수신부(310)로 입력된 신호는 제3A 하향 혼합기(312) 및 제3B 하향 혼합기(316)에서 제3 국부 신호 발생기(402)에서 발생한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대역(즉, F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고, 저역 통과 필터(313, 317)에서 고주파의 잡음 신호가 제거되고, 이득 증폭기(314, 318)에서 신호의 크기가 커진 후,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315, 31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기저대역장치로 전송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F2을 중심 주파수로 하는 신호가 제2 안테나(201)를 통해서 수신되면, 이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202)에서 잡음 신호가 제거된 후, 스위치(203)를 통과하여 제1 수신부(210)로 전달된다.
제2 수신부(210)로 입력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11)에서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대역 통과 필터(212)에서 이미지 신호가 제거되며, 제2 하향 혼합기(213)에서 제2 국부 신호 발생기(230)에서 발생된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대역(즉, F3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고, 제3 수신부(310)를 거쳐서 기저 대역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중심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에 있어서, 듀얼 밴드 RF 장치와 하나의 중간 주파수 대역 장치만으로 전체 송수신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설계 비용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중간 주파수 장치로 설계할 때 발생하는 간섭 현상도 줄일 수 있으므로 듀얼 밴드 송수신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서로 다른 두 개의 중심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제1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국부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다른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제2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국부 신호 발생부;
    중간 주파수 대역의 제3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로부터 생성된 제3 국부 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3 상향 변환부;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에 의해 상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상향 변환부;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에 의해 상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상향 변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상기 제1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상기 제2 국부 신호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2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제1 모드 선택부;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모드 선택부;
    상기 제3 상향 변환부와 제1, 제2 상향변환부 사이 또는 상기 제3 하향 변환부와 상기 제1, 제2 하향 변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모드 선택부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모드 선택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국부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3 국부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켜서 I(In-phase) 신호와 Q(Quadrature-phase)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변위부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상기 제1 주파수는 2㎓ 이상이고,
    상기 제1 국부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중간 주파수의 차이인 소정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제1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상향 변환부 및 제1 하향 변환부에 제공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상기 제2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며,
    상기 제2 국부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주파수와 상기 중간 주파수의 차이인 소정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제2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상향 변환부 및 제2 하향 변환부에 제공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국부 신호 발생부는,
    374㎒를 중심으로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제3 국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상향 변환부 및 제3 하향 변환부에 제공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부 신호 발생부 및 제2 국부 신호 발생부는,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채널 선택 제어 신호 및 전력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국부 신호 및 제2 국부 신호를 생성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중 I(In-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A(digital-to-analog) 변환기;
    상기 제1 DA 변환기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A 상향 혼합기;
    상기 기저대역 신호 중 Q(Quadrature-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DA(digital-to-analog) 변환기;
    상기 제2 DA 변환기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B 상향 혼합기; 및
    상기 제3A 및 제3B 상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향 변환부에서 수신된 신호 중 I(In-phase) 신호 및 Q(Quadratur-phase)신호를 상기 제3 국부 신호와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3A 하향 혼합기 및 제3B 하향혼합기;
    상기 제3A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analog-to-digital) 변환기;
    상기 제3B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analog-to-digital) 변환기; 및
    상기 제3A 및 제3B 하향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 자동 이득 제어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 변환부는,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1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혼합기;
    상기 상향 혼합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동 증폭기;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는,
    상기 제3 상향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2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혼합기;
    상기 상향 혼합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동 증폭기;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1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크기가 증폭된 신호에서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거된 신호와 상기 제1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혼합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크기가 증폭된 신호에서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거된 신호와 상기 제2 국부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혼합기
    를 포함하는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KR1020020077326A 2002-12-06 2002-12-06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KR10054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26A KR100542440B1 (ko) 2002-12-06 2002-12-06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26A KR100542440B1 (ko) 2002-12-06 2002-12-06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28A KR20040049528A (ko) 2004-06-12
KR100542440B1 true KR100542440B1 (ko) 2006-01-11

Family

ID=3734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326A KR100542440B1 (ko) 2002-12-06 2002-12-06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72A (ko) * 2003-02-08 200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송신/수신 장치 및 송신/수신 방법
KR100886678B1 (ko) * 2004-06-29 2009-03-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KR100680273B1 (ko) * 2005-01-18 2007-02-07 박욱기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의 RF Front-End 부분
CN1809195A (zh) * 2005-09-12 2006-07-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多模终端的多通信网络呼叫处理方法
WO2007046600A1 (en) * 2005-10-15 2007-04-26 June-Soo Oh Wireless robust modulation-demodulation communication methode & device and rear viewing device for vehicle
US7877026B2 (en) * 2006-08-31 2011-01-25 Broadcom Corporatio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with on-chip photodiode array
US7697899B2 (en) * 2006-08-31 2010-04-13 Broadcom Corporation RFIC with on-chip acoustic transducer circuit
KR100801240B1 (ko) * 2006-11-24 2008-02-04 주식회사 에스씨티 멀티밴드 ofdm통신용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US8787285B2 (en) 2011-10-28 2014-07-22 Broadcom Corporation Dual association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1244231B1 (ko) * 2011-12-30 2013-03-25 (주)시큐리티존 무선통신 제어보드 및 제어보드의 무선통신 제어방법
KR101691848B1 (ko) * 2012-09-06 2017-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269B1 (ko) * 1995-03-27 1999-09-01 Lan과 다른 통신 채널을 복합시키는 복합 전송 시스템
KR20000056687A (ko) * 1999-02-25 2000-09-15 김영환 멀티 모드 이동 전화 단말기
JP2002033676A (ja) * 2000-07-17 2002-01-31 Sony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機器
KR20040004217A (ko) * 2003-11-20 2004-01-13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무선 랜 듀얼밴드 칩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269B1 (ko) * 1995-03-27 1999-09-01 Lan과 다른 통신 채널을 복합시키는 복합 전송 시스템
KR20000056687A (ko) * 1999-02-25 2000-09-15 김영환 멀티 모드 이동 전화 단말기
JP2002033676A (ja) * 2000-07-17 2002-01-31 Sony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機器
KR20040004217A (ko) * 2003-11-20 2004-01-13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무선 랜 듀얼밴드 칩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28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1952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4986314B2 (ja) 無線通信用トランシーバ
US6393299B1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US8626100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multiple standard transceiver
US20050020298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EP26125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band radio operat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0754186B1 (ko) 국부 발진 주파수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장치
JP2000049637A (ja) 二重帯域送受信装置及び二重帯域伝送方法
WO2015130448A1 (en) Frequency adjustment of signals
KR100542440B1 (ko) 듀얼 밴드 무선 랜 송수신 장치
JP2007528665A (ja) アンテナダイバーシチシステムにおいてフィーダの数を低減させる方法、装置、基地局、及び基地局サイト
EP1224743B1 (en) Switched sideband frequency low-if transmitter
KR100714699B1 (ko) 복수의 통신/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기
KR100527844B1 (ko) 초고주파 송수신 장치
CN110995306B (zh) 无线区域网络收发器及其方法
CN105830352A (zh) 发射器和接收器的公共观察接收器的方法和设备
US5669067A (en) Remotely controllable variabl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ceiver
KR100349659B1 (ko) 무선 랜 알에프 프런트엔드 송수신 장치
JP2011250093A (ja) 受信機及び送信機
KR101030091B1 (ko) 대역 및 대역폭 가변이 가능한 직접 변환 방식의 중계기
KR100353710B1 (ko) 시분할듀플렉싱 방식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KR2003008201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중계장치 및 방법
KR100421960B1 (ko) 휴대폰과 무전기 기능이 혼용된 통신단말기
KR20030075438A (ko)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이용한송수신 장치
KR20030079279A (ko) 알에프를 공통으로 하는 이중 변복조 고주파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