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404B1 -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404B1
KR101356404B1 KR1020120120333A KR20120120333A KR101356404B1 KR 101356404 B1 KR101356404 B1 KR 101356404B1 KR 1020120120333 A KR1020120120333 A KR 1020120120333A KR 20120120333 A KR20120120333 A KR 20120120333A KR 101356404 B1 KR101356404 B1 KR 101356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signal
output
offs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640A (ko
Inventor
스티븐 오
단단 리
아리아 베자드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4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 H03D3/008Compensating DC offs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4Balanced arrangements
    • H03D7/1425Balanced arrangements with transistors
    • H03D7/1458Double balanced arrangements, i.e. where both input signals are different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5Multiple-frequency-changing at least two frequency changers being located in different paths, e.g. in two paths with carriers in quad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하향 변환 모듈은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한 믹서를 포함한다. 믹서 로드부는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믹서 출력으로부터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직류(DC) 오프셋 소거 모듈은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DC 오프셋을 측정하고,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소거 전류들을 생성하며, 소거 전류들을 믹서 출력 신호와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Description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DOWN CONVERTER WITH OFFSET CANCELL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관련 특허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콘텐트들이 임의의 및 모든 목적들을 위해,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되는 2011년 10월 28일에 출원된, 일련 번호 제61/552,835호를 가지며, 대리인 문서 번호 BP23760호를 갖는,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로 명명된 가 출원된 특허에 대한 우선권을 35 U.S.C.§119에 기초하여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 안테나들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들이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 및 유선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은 국내 및/또는 국제 셀룰러 전화 시스템들로부터 점-대-점 가정-내 무선 네트워크들로의 인터넷 내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시스템들에 이른다. 각각의 유형의 통신 시스템이 구성되며,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RFID, IEEE 802.11, 블루투스, 개선된 이동 전화 서비스들(advanced mobile phone services; AMPS), 디지털 AMPS, 이동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로컬 다중-포인트 분배 시스템들(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LMDS), 다중-채널-다중-포인트 분배 시스템들(multi-channel-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s; MMDS), 및/또는 그것의 변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유형에 의존하여, 휴대 전화기, 2-방향 라디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홈 엔터테인먼트 장비, RFID 판독기, RFID 태그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직접 통신들(또한 점-대-점 통신들로서 알려진)을 위해, 참여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것들의 수신기들 및 송신기들을 동일한 채널 또는 채널들에 동조시키고(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캐리어들 중 하나) 채널(들)을 통해 통신한다. 간접 무선 통신들을 위해,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할당된 채널을 통해 연관된 기지국(예로서, 셀룰러 서비스들을 위해) 및/또는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예로서, 가정-내 또는 빌딩-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해)와 직접 통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기 위해, 연관된 기지국들 및/또는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들은 직접, 시스템 제어기를 통해, 공중 교환망(PSTN)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및/또는 몇몇 다른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무선 통신들에 참여하기 위한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해, 그것은 내장된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즉,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연관된 무선 트랜시버(예로서, 가정-내 및/또는 건물-내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한 국, RF 모뎀 등)에 연결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수신기는 안테나에 연결되며 저 잡음 증폭기,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 필터링 스테이지, 및 데이터 복원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저 잡음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해 인바운드 RF 신호들을 수신하며 그 후 증폭시킨다.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은 증폭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들 또는 중간 주파수(IF)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들을 갖고 증폭된 RF 신호들을 믹싱한다. 필터링 스테이지는 필터링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원치 않는 대역 외 신호들을 감쇠하도록 기저대역 신호들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한다. 데이터 복원 스테이지들은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필터링된 신호들로부터 원 데이터를 복원한다.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들, 및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조 스테이지는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원 데이터를 기저대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하나 이상의 중간 주파수 스테이지는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들을 갖고 기저대역 신호들을 믹싱한다. 전력 증폭기는 안테나를 통한 송신 이전에 RF 신호를 증폭시킨다.
현재, 무선 통신들은 허가된 또는 허가되지 않은 주파수 스펙트럼들 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통신은 900 MHz, 2.4 GHz, 및 5GHz의 허가되지 않은 산업, 과학, 및 의료(ISM)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발생한다. ISM 주파수 스펙트럼이 허가되지 않는 반면, 전력, 변조 기술들, 및 안테나 이득에 대한 제약들이 있다. 또 다른 허가되지 않은 주파수 스펙트럼은 55 내지 64 GHz의 V-대역이다.
종래의 처리방식들의 다른 단점들은 다음에 이어지는 개시를 제공할 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장치 및 동작의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변환 모듈이 제공되며, 상기 하향 변환 모듈은: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한 믹서;
상기 믹서에 연결되고,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믹서 출력으로부터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믹서 로드부; 및
상기 믹서 및 상기 믹서 로드부에 연결되고,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DC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DC 오프셋에 기초하여 소거 전류들을 생성하며, 상기 믹서 출력 신호와 상기 소거 전류들을 결합(combine)하도록 동작가능한 직류(DC) 오프셋 소거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transimpedance) 증폭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 및 상기 믹서 출력 신호는 각각 직교 성분(quadrature component) 및 동-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을 가진 믹싱된 신호들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국부 발진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거 전류는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는 802.11 표준에 따라 포맷팅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법이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믹서를 통해,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는 단계;
믹서 로드부를 통해, 상기 믹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직류) DC 오프셋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DC 오프셋에 기초하여 소거 전류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믹서 출력 신호와 상기 소거 전류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 및 상기 믹서 출력 신호는 각각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가진 믹싱된 신호들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국부 발진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이 믹서 로드부의 출력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거 전류는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는 802.11 표준에 따라 포맷팅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트랜시버(125)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변환 모듈(14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전단부(140) 및 하향 변환 모듈(14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기지국(18), 비-실시간 디바이스(20), 실시간 디바이스(22), 및 비-실시간 및/또는 실시간 디바이스(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실시간 데이터(26) 및/또는 비-실시간 데이터(24)를 통신하는 통신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0)는 또한 네트워크(15), 비-실시간 디바이스(12), 실시간 디바이스(14), 비-실시간 및/또는 실시간 디바이스(16)와의 유선 연결을 통해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선 연결(28)은 범용 직렬 버스(USB), 국제 전기 및 전자 기술자 협회(IEEE) 488, IEEE 1394(파이어와이어), 이더넷,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직렬 또는 병렬 진보된 기술 연결(SATA 또는 PATA), 또는 표준 또는 소유권이 있는, 다른 유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유선 연결일 수 있다. 무선 연결은 WiHD, NGMS, IEEE 802.11a, ac, b, g, n, 또는 다른 802.11 표준 프로토콜, 블루투스, 초-광대역(UWB), WIMAX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글로벌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들(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DGE), 개인 통신 서비스들(PCS)과 같은 무선 전화 데이터/음성 프로토콜, 또는 표준 또는 소유권이 있는, 다른 이동 무선 프로토콜 또는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경로는 별개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또는 별개의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별개의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은 통신 디바이스(10)로 및 그로부터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이동 전화, 근거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개인 영역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게임 콘솔, 개인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유선 연결(28) 및/또는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적인 통신 디바이스(10)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또는 공공 또는 사설의 인터넷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에서와 같은 네트워크(15)에 유선 연결(28)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및 비-실시간 디바이스들(12, 14, 16, 18, 20, 22, 25)은 개인용 컴퓨터들, 랩탑들, PDA들, 휴대 전화기들과 같은 이동 전화기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트랜시버들을 구비한 디바이스들, FM 튜너들, TV 튜너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캠코더들, 또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 또는 다른 데이터 또는 통신들을 생성하고, 처리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동작시, 통신 디바이스는 표준 전화기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음성 통신들,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애플리케이션들, 로컬 게이밍, 인터넷 게이밍,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멀티미디어 메시징, 웹 브라우징,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오디오/비디오 재생, 오디오/비디오 다운로딩, 스트리밍 오디오/비디오의 플레이, 데이터베이스들, 스프레드시트들, 워드 프로세싱, 프리젠테이션 생성 및 프로세싱과 같은 오피스 애플리케이션들 및 다른 음성 및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과 함께, 실시간 데이터(26)는 인터넷 게이밍 등을 포함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비-실시간 데이터(24)는 텍스트 메시징,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업로딩 및 다운로딩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트랜시버들은 이어지는 도 3 내지 도 9와 관련되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도 2는 공통 참조 부호들에 의해 참조되는 도 1의 많은 공통 요소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통신 디바이스(30)는 통신 디바이스(10)와 유사하며 도 1과 함께 논의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가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기능들, 및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30)는 RF 데이터(40)를 통해 데이터 디바이스(32) 및/또는 데이터 기지국(34) 및 RF 음성 신호들(42)을 통해 음성 기지국(36) 및/또는 음성 디바이스(38)와 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해 동시에 통신하기 위한 둘 이상의 별개의 무선 트랜시버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트랜시버(125)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RF 트랜시버(125)는 통신 디바이스들(10 또는 30), 기지국(18), 비-실시간 디바이스(20), 실시간 디바이스(22), 및 비-실시간, 실시간 디바이스(25), 데이터 디바이스(32), 및/또는 데이터 기지국(34), 및 음성 기지국(36) 및/또는 음성 디바이스(3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무선 트랜시버를 나타낸다. RF 트랜시버(125)는 RF 송신기(129), 및 RF 수신기(127)를 포함한다. RF 수신기(127)는 RF 전단부(front-end)(140), 하향 변환(down conversion) 모듈(142), 및 수신기 프로세싱 모듈(144)을 포함한다. RF 송신기(129)는 송신기 프로세싱 모듈(146), 상향 변환(up conversion) 모듈(148), 및 무선 송신기 전단부(15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및 송신기 각각은 안테나 인터페이스(171) 및 다이플렉서(diplexer)(듀플렉서(duplexer))(177)를 통해, 아웃바운드 RF 신호(170)를 생성하기 위해 안테나에 송신 신호(155)를 연결하고 수신된 신호(153)를 생성하기 위해 인바운드 신호(152)를 연결하는 안테나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송신/수신 스위치는 다이플렉서(177)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안테나가 표현되지만, 수신기 및 송신기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 구조를 공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 및 송신기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 구조,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 구조, 위상 어레이(phased array)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 및 RF 트랜시버(125)와 유사한 다른 RF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는 다른 제어가능한 안테나 구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들 안테나들의 각각은 고정되고, 프로그램가능한 안테나 어레이 또는 다른 안테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트랜시버의 안테나 구조는 무선 트랜시버가 준수하는 특정 표준(들) 및 그것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의존할 수 있다.
동작시, RF 송신기(129)는 아운바운드 데이터(162)를 수신한다. 송신기 프로세싱 모듈(146)은 아웃바운드 데이터(162)를 포함하는 아웃바운드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또는 저 중간 주파수(IF) 송신(TX) 신호들(164)을 생성하기 위해, 표준 또는 소유권이 있는 무선 전화 프로토콜 또는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프로토콜에 따라 아웃바운드 데이터(162)를 패킷화한다(packetize). 기저대역 또는 저 IF TX 신호들(164)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예로서, 제로 IF를 가진) 또는 디지털 저 IF 신호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저 IF는 통상적으로 수백 킬로헤르츠 내지 수 메가헤르츠의 주파수 범위에 있을 것이다. 송신기 프로세싱 모듈(146)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스크램블링, 인코딩, 펑처링(puncturing), 매핑, 변조, 및/또는 디지털 기저대역-IF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상향 변환 모듈(148)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모듈,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 및 믹싱부(mixing section)를 포함한다. DAC 모듈은 기저대역 또는 저 IF TX 신호들(164)을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그것을 믹싱부에 제공하기 전에 아날로그 신호들의 이득을 필터링 및/또는 조정한다. 믹싱부는 송신기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들을 상향-변환된 신호들(166)로 변환한다.
무선 송신기 전단부(150)는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하며 또한 송신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70)을 생성하기 위해 상향-변환된 신호들(166)을 증폭시키며, 이것은 포함된다면, 송신기 필터 모듈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는 임피던스 매칭 및 선택적 대역통과 필터레이션(filtration)을 제공하는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인터페이스(171)를 통해 아웃바운드 RF 신호들(170)을 송신한다.
RF 수신기(127)는 수신기 전단부(140)를 위한 수신된 신호(153)로 인바운드 RF 신호(152)를 처리하도록 동작하는 안테나 및 안테나 인터페이스(171)를 통해 인바운드 RF 신호들(152)을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인터페이스(171)는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RF 전단부(140)에 제공하고, 인바운드 RF 신호(152)의 선택적 대역통과 필터레이션을 제공한다.
하향 변환 모듈(142)은 믹싱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모듈을 포함하며, 또한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믹싱부는 원하는 RF 신호(154)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와 같이, 수신기 국부 발진(158)에 기초한 하향 변환된 신호(156)로 변환한다. ADC 모듈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로 변환한다.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인바운드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156)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를 고역 통과 및/또는 저역 통과 필터링한다. ADC 모듈 및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의 순서가 스위칭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터링 및/또는 이득 모듈은 아날로그 모듈임을 주의하자.
수신기 프로세싱 모듈(144)은 프로브 디바이스(105) 또는 디바이스들(100 또는 101)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데이터와 같은 인바운드 데이터(160)를 생성하기 위해, 표준 또는 소유권이 있는, 밀리미터파 프로토콜에 따라 기저대역 또는 저 IF 신호(156)를 처리한다. 수신기 프로세싱 모듈(144)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디지털 중간 주파수-기저대역 변환, 복조, 디매핑, 디펑처링,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프로세싱 모듈(144) 및 송신기 프로세싱 모듈(146)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중앙 프로세싱 유닛,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상태 머신, 논리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동작 명령들에 기초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연관 메모리는 온-칩 또는 오프-칩인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판독-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이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통해 그것들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때, 이러한 회로를 위한 대응하는 동작 명령들을 저장하는 연관 메모리는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한 회로와 함께 내장된다는 것을 주의하자.
프로세싱 모듈(144) 및 송신기 프로세싱 모듈(146)은 별개로 도시되지만, 이들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공유된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통해 또는 별개의 및 공유된 프로세싱의 조합으로 개별적으로, 함께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RF 트랜시버의 선택적 기능들 및 특징들을 포함한 추가 상세들이 이어지는 도 4 내지 도 9와 함께 논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변환 모듈(14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하향 변환 모듈(142)은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국부 발진 신호(248)에 기초하여, RF 전단부(140)에서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한 믹서(244)를 포함한다. 믹서 로드부(mixer load section)(245)는 믹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믹서 로드부(245)의 출력에서 하향 변환된 신호(156)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직류(DC) 오프셋 소거(cancellation) 모듈(250)은,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소거 전류들(256)을 생성하고 소거 전류들(256)을 믹서 출력 신호와 결합하기 위하여, 믹서 로드부(245)의 출력에서 DC 오프셋을 측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DC 오프셋 소거 모듈(250)은 AC 필터레이션을 가진 트랜스컨덕턴스(transconductance) 회로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회로와 같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중앙 프로세싱 유닛,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상태 머신, 논리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의 하드 코딩 및/또는 동작 명령들에 기초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메모리 및/또는 집적 메모리 소자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또 다른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 회로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판독-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통해 그것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한다면, 대응하는 동작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소자(element)는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한 회로 내에, 또는 그 외부에 내장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의하자.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된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명령들을 메모리 소자는 저장하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실행할 것임을 또한 주의하자.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소자는 제조사의 제조물(article)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전단부(140) 및 하향 변환 모듈(14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DC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 믹서가 하향 변환 모듈(142)과 같은 하향 변환 모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신 신호(153)는 RF 전단부(140)의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한 이득 LNA 스테이지들(240, 242)에 의해 처리된다. 믹서(244)는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또는 저 IF로 하향 변환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LO) 신호들(248)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246)를 포함한다. 트랜스임피던스(transimpedance) 증폭기(246)는 하향 변환된 신호 출력(156)을 생성한다. 큰 DC 오프셋은 믹서(244) 전에 LNA들(240, 242)에 의해 증폭되는 수신 신호(153)에서 LO 및 LO 누설의 자가-믹싱(self-mixing)으로 인해,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246)의 출력에 존재할 수 있다.
DC 오프셋 소거 모듈(250)은 믹서 로드부 출력들인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246)의 출력들에서 DC 오프셋을 측정하고, LO 자가-믹싱 DC 전류들에 대해 반대 극성인 소거 전류들(256)을 투입(inject)하며, 그 결과 믹서 로드부는 본질적으로 어떤 DC 오프셋도 없다. DC 오프셋 소거 모듈(250)은 높은 LO 누설, 높은 LNA(들) 이득, 및/또는 높은 믹서 이득에 의해 야기된 DC 오프셋들을 보상하고, 그에 의해 보다 양호한 수신기 잡음 지수(receiver noise figure)(즉, 보다 양호한 수신기 민감도)를 달성한다.
표시된 바와 같이, LNA들(240, 242)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 믹서(244)로부터의 출력 신호, 국부 발진기 신호들(248), 하향 변환된 신호(156) 및 소거 전류들(256)은 각각 직교 성분(quadrature component) 및 동-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을 가진 믹싱된 신호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수신 신호(153)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272)를 생성하는 RF 전단부(140)의 저 잡음 증폭기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저 잡음 증폭기(270)가 제공된다. 제 1 이득을 가진 프로그램가능한 입력 스테이지는 제어 신호들(266)의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하다. 제 2 이득을 가진 프로그램가능한 캐스코드(cascode) 스테이지는 제어 신호들(266)의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하다. 프로그램가능한 저항기 스테이지는 제 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진 탱크(resonant tank) 회로의 품질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저 잡음 증폭기들(210, 240, 또는 242)과 같은,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가 공급 전류 소비, 낮은 이득에서의 보다 낮은 잡음 저하(degradation), 및 출력 LC 탱크의 보존된 선택성에 대하여 보다 많은 유연성을 허용하는 다중 모드 이득 제어들과 함께 제공된다. 프로그램가능한 입력 스테이지(262)는 보다 낮은 이득 및 보다 낮은 전류 소비를 동시에 허용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266)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턴 오프되거나 또는 턴 온 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들(T5, T6, T7, T8)을 포함한다. 프로그램가능한 캐스코드 스테이지(260)는 예측가능한 이득 단계(gain step)들을 갖고 이득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266)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한 트랜지스터들(T1, T2, T3, T4)을 포함한다. 이것은 보다 낮은 이득에서 잠재적으로 저하된 잡음을 가질지라도, 출력 LC 탱크 선택성을 보존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한 출력 저항기(R1)는 인덕터(L1)와 함께 형성된 공진 탱크 회로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266)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하다. 이것은 최소 잡음 저하를 갖는 보다 낮은 이득을 허용한다. 저하된 출력 LC 탱크 선택성은 예를 들면 인접한 수신기 간섭원(interferer)들을 가진 이슈가 아니다. 프로그램가능한 저항기는 스위칭 저항기(switched resistor)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스위칭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직렬 및 병렬로 결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고정 저항기(fixed resistor)들을 통해, 또는 다른 조정가능한 저항기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특히,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 및 특징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단계(400)에서,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는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믹서를 통해 그리고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하향 변환된다. 단계(402)에서, 하향 변환된 신호는 믹서 로드부를 통해, 믹서 출력에 기초하여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생성된다. 단계(404)에서, (직류) DC 오프셋은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측정된다. 단계(406)에서, 소거 전류들이 생성된다. 단계(408)에서, 소거 전류들은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믹서 출력 신호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를 포함한다.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된 수신 신호 및 믹서 출력 신호는 각각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가진 믹싱된 신호들일 수 있다. 국부 발진, 믹서 로드부의 출력 및 소거 전류들은 각각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특히, 방법은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 및 특징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단계(410)에서, 프로그램가능한 입력 스테이지의 제 1 이득은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된다. 단계(412)에서, 프로그램가능한 캐스코드 스테이지의 제 2 이득은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된다. 단계(414)에서, 프로그램가능한 저항기 스테이지는 제 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진 탱크 회로의 품질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공진 탱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한 캐스코드 스테이지는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개개의 이득들을 가진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개의 이득들은 복수의 이산(discrete) 이득 단계들에 대한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가능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한 입력 스테이지는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턴 온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한 입력 스테이지는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실질적으로" 및 "대략"은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상대성 및/또는 그것의 대응하는 용어에 대한 산업-허용 오차를 제공한다. 이러한 산업-허용 오차는 1 미만의 퍼센트 내지 50 퍼센트에 이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성분 값들, 집적 회로 프로세스 변화들, 온도 변화들, 상승 및 하강 시간들, 및/또는 열 잡음에 대응한다.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이러한 상대성은 수 퍼센트의 차이 내지 대규모 차이들에 이른다. 여기에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된" 및/또는 "연결"은 아이템들 사이에 직접 연결 및/또는 중간 아이템(예로서, 아이템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구성요소, 요소, 회로, 및/또는 모듈을 포함한다)을 통한 아이템들 사이에 간접 연결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간접 연결을 위해, 중간 아이템은 신호의 정보를 변경하지 않지만, 그것의 전류 레벨, 전압 레벨, 및/또는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론된 연결(즉, 하나의 요소가 추론에 의해 또 다른 요소에 연결된다)은 "연결된"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 개의 아이템들 사이에 직접 및 간접 연결을 포함한다. 여기에 또한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동작가능한" 또는 "동작가능하게 연결된"은 아이템이 활성화될 때 하나 이상의 그것의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전력 연결들, 입력(들), 출력(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아이템들에 대한 추론된 연결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와 연관된"은 별개의 아이템들 및/또는 또 다른 아이템 내에 내장되는 하나의 아이템의 직접 및/또는 간접 연결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양호하게 비교하다"는 둘 이상의 아이템들, 신호들 등 간의 비교가 바람직한 관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관계가 신호(1)가 신호(2)보다 큰 크기를 가질 때, 양호한 비교는 신호(1)의 크기가 신호(2)의 것보다 클 때 또는 신호(2)의 크기가 신호(1)의 것보다 클 때 달성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들 "프로세싱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중앙 프로세싱 유닛,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상태 머신, 논리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의 하드 코딩 및/또는 동작 명령들에 기초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또 다른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 회로일 수 있는, 메모리 및/또는 집적 메모리 소자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판독-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중앙에 위치되거나(예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 연결된) 또는 분산되어 위치될(예로서, 근거리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자.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통해 그것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한다면, 대응하는 동작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소자는 상태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내에, 또는 그 외부에 내장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의하자.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된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명령들을 메모리 소자가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의하자.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소자는 제조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 관계들의 성능을 도시한 방법 단계들의 도움으로 상술되었다. 이들 기능 구성 블록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여기에 임의로 정의되었다. 대체 경계들 및 순서들은 특정된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이러한 대체 경계들 또한 순서들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또한, 이들 기능 구성 블록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대체 경계들은 특정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한 정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흐름도 블록들이 또한 특정 중요한 기능을 도시하기 위해 여기에 임의로 정의되었다. 사용된 정도로,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시퀀스가 달리 정의되며 여전히 특정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능 구성 블록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시퀀스들 모두의 이러한 대안 정의들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이 기술분야의 평균 기술을 가진 자가 또한 여기에서의 기능 구성 블록들, 및 다른 예시적 블록들, 모듈들, 구성요소들이 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이상 구성요소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 적절한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한 프로세서들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적어도 부분적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도시하기 위해 여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장치, 제조물, 기계,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 실시예는 여기에 논의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된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상이한 것들일 수 있다.
상술된 도면(들)에서 트랜지스터들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ET들)로서 도시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들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쌍극,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MOSFET), N-웰 트랜지스터들, P-웰 트랜지스터들, 강화 모드, 감소 모드, 및 제로 전압 임계(VT)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트랜지스터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하게 서술되지 않는다면, 여기에 제공된 도면들 중 임의의 것의 도면에서의 요소들로, 로부터, 및/또는 그것들 간의 신호들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연속 시간 또는 이산 시간, 및 단일 종단 또는 차동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경로가 단일 종단 경로로서 도시된다면, 그것은 또한 차동 신호 경로를 표현한다. 유사하게, 신호 경로가 차동 경로로서 도시된다면, 그것은 또한 단일 종단 신호 경로를 표현한다. 하나 이상의 특정 아키텍처들이 여기에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평범한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인식된 바와 같이,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들, 요소들 간의 직접 연결, 및/또는 다른 요소들 간의 간접 연결을 사용하는 다른 아키텍처들이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모듈"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된다. 모듈은 여기에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모듈, 기능 블록, 하드웨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모듈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된다면, 하드웨어는 독립적으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하나 이상의 모듈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들 및 특징들의 특정 조합들이 여기에 명확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들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다른 조합들을 명확하게 포함한다.

Claims (14)

  1.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변환 모듈에 있어서,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국부 발진(local oscillation)에 기초하여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한 믹서(mixer);
    상기 믹서에 연결되고, 믹서 로드부(mixer load section)의 출력에서 믹서 출력으로부터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믹서 로드부; 및
    상기 믹서 및 상기 믹서 로드부에 연결되고, DC 오프셋 소거(DC offset cancellation)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DC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DC 오프셋에 기초하여 소거 전류들을 생성하며, 상기 소거 전류들을 상기 믹서 출력 신호와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직류(DC) 오프셋 소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transimpedance) 증폭기를 포함하는, 하향 변환 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 및 상기 믹서 출력 신호는 각각 직교 성분(quadrature component) 및 동-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을 가진 믹싱 신호들인, 하향 변환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류는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는 802.11 표준에 따라 포맷팅되는, 하향 변환 모듈.
  8.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믹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믹서를 통해, 국부 발진에 기초하여,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증폭된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환하는 단계;
    믹서 로드부를 통해, 상기 믹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에서 DC(직류) 오프셋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DC 오프셋에 기초하여 소거 전류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DC 오프셋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거 전류들을 상기 믹서 출력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믹서 로드부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를 포함하는,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 및 상기 믹서 출력 신호는 각각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가진 믹싱 신호들인,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믹서 로드부의 출력은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거 전류는 직교 성분 및 동-위상 성분을 포함하는,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는 802.11 표준에 따라 포맷팅되는,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120120333A 2011-10-28 2012-10-29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1356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2835P 2011-10-28 2011-10-28
US61/552,835 2011-10-28
US13/329,299 2011-12-18
US13/329,299 US20130107925A1 (en) 2011-10-28 2011-12-18 Down converter with offset cancell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40A KR20130047640A (ko) 2013-05-08
KR101356404B1 true KR101356404B1 (ko) 2014-01-27

Family

ID=472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333A KR101356404B1 (ko) 2011-10-28 2012-10-29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07925A1 (ko)
EP (1) EP2587680A1 (ko)
KR (1) KR101356404B1 (ko)
CN (1) CN103095219A (ko)
TW (1) TWI478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029B2 (en) * 2014-12-15 2016-11-0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signal distortion in I/Q modulation transceivers
CN106160755A (zh) * 2016-09-29 2016-11-23 上海航天测控通信研究所 Ka波段射频调制系统及方法
US11509338B2 (en) 2020-03-18 2022-11-22 Analog Devices, Inc. Nested feedback for offset cancellation in a wireline recei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34Y1 (ko) 2000-03-10 2000-08-16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국부발진신호의 누설 보상 장치
US20030133518A1 (en) 2002-01-11 2003-07-17 Rf Micro Devices Estimation and correction of DC offset in the presence of frequency offset
US20090225911A1 (en) * 2008-03-05 2009-09-10 Imtinan Elahi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distortion performance and direct current (dc) offset cancellation in receivers
US20090305656A1 (en) 2008-06-10 2009-12-10 Mediatek Inc. Direct conversion receiver and dc offset concell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8912A (en) * 1996-07-01 1999-04-27 Motorola, Inc. Direct current (DC) offset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970717B2 (en) * 2001-01-12 2005-11-29 Silicon Laboratories Inc. Digital architecture for radio-frequenc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7088981B2 (en) * 2000-11-29 2006-08-08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for reducing flicker noise in a mixer circuit
US7257380B2 (en) * 2001-11-14 2007-08-14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multimode radio and components thereof
US7239199B1 (en) * 2003-05-22 2007-07-03 Marvell International Ltd. Amplifier calibration
US7769361B2 (en) * 2006-07-19 2010-08-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conversion
US8149955B2 (en) * 2008-06-30 2012-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ngle ended multiband feedback linearized RF amplifier and mixer with DC-offset and IM2 suppression feedback lo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34Y1 (ko) 2000-03-10 2000-08-16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국부발진신호의 누설 보상 장치
US20030133518A1 (en) 2002-01-11 2003-07-17 Rf Micro Devices Estimation and correction of DC offset in the presence of frequency offset
US20090225911A1 (en) * 2008-03-05 2009-09-10 Imtinan Elahi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distortion performance and direct current (dc) offset cancellation in receivers
US20090305656A1 (en) 2008-06-10 2009-12-10 Mediatek Inc. Direct conversion receiver and dc offset concell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40A (ko) 2013-05-08
TWI478508B (zh) 2015-03-21
EP2587680A1 (en) 2013-05-01
US20130107925A1 (en) 2013-05-02
TW201322654A (zh) 2013-06-01
CN103095219A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552B1 (ko) 프로그램 가능 노치 필터를 구비하는 송신기 프론트 엔드 및 그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들
KR101409915B1 (ko) 수신된 신호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8737935B2 (en) Multi-band up-convertor mixer
KR101437029B1 (ko) 이중 모드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US8868007B2 (en) DC offset cancellation
US9154170B2 (en) TIA-to-ADC interface with low-noise and a wide-range of passive gain control
KR20080021533A (ko) 무선 수신기 및 무선 수신기 프론트 엔드
KR20130047636A (ko) 교정된 전치-왜곡을 가진 rf 트랜시버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US7949366B2 (en) Diversity receiver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1356404B1 (ko) 오프셋 소거를 이용한 하향 변환기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
US20140079096A1 (en) Power amplifier with supply switching
US20080207258A1 (en) Multimode transmitter with digital up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1409918B1 (ko) 듀얼 연결 로컬 영역 네트워크 트랜스시버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