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22B1 - 액체의 탈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의 탈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22B1
KR101409822B1 KR1020127022023A KR20127022023A KR101409822B1 KR 101409822 B1 KR101409822 B1 KR 101409822B1 KR 1020127022023 A KR1020127022023 A KR 1020127022023A KR 20127022023 A KR20127022023 A KR 20127022023A KR 101409822 B1 KR101409822 B1 KR 10140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weight
liquid
polyether
deg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749A (ko
Inventor
빌리발드 부르거
루드윅 에스터바우어
홀거 라우츠체크
Original Assignee
와커 헤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커 헤미 아게 filed Critical 와커 헤미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11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D19/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 B01D19/04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hemical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D19/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22Other features of pulping processes
    • D21C3/28Prevention of fo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p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적어도 50 중량%, 특히 70 중량%, 함유하는 액체에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 0.00001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여 액체를 탈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2067643957-pct00006

상기 식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C1-C30-알킬 라디칼, C1-C30-알케닐 라디칼 또는 화학식 R1-C(O)- (II)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R1은 C1-C22-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x는 6 내지 300의 값을 갖고,
y는 0 내지 30의 값을 가지며,
y/x 비는 0 내지 1이다.

Description

액체의 탈기 방법 {METHOD FOR DEAERATING LIQUIDS}
본 발명은 액체의 탈기, 특히, 예를 들어 직물 처리 또는 펄프 및 종이 생산에서 수득되는 수성 현탁액의 탈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액체, 특히, 바람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으로서 계면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폐수의 살포, 액체의 강한 교반, 및 증류, 세척 또는 염색 작업 중에 이들 시스템이 기체 물질과 다소 강한 접촉을 하게 되는 경우 포획된 공기 기포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섬유와 같이 촘촘히 분포한 입자를 함유하며 공기 기포를 끌어당길 수 있는 액체는 공기를 포획하는 경향이 있다.
펄프 생산시 포획된 공기는 예를 들어 물의 신속한 배수를 막으며, 이에 따라 품질 및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표면 폼(foam)은 공지의 소포제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235,509 A호에 기재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미국 특허 제3,984,347 A호에 기재된 폴리옥시알킬렌과 배합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문헌("Antifoaming action of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type triblock copolymers on BSA foams", Nemeth, Zs.; Racz, Gy.; Koczo, K. Colloids Surf., A, 127(1-3), 151-162, 1997)에 기재된 폴리옥시알킬렌 단독으로 구성된다.
독일 특허 제1444442 A1호는 약 50% 글리콜 및 폴리글리콜을 함유하는 유압액(hydraulic fluid)에서의 폼 파괴가 화학적으로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통상의 소포제는 "건조" 표면 폼의 제어에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 다량의 기체 기포는 얇은 액체 필름에 의해 분리된다 (Langmuir 2004, 20, 9463-9505에 기재됨). 그러나, 이들은 현탁된 고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으며 주로 액체로 구성된 액체-기체 혼합물의 탈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이는 매크로폼(macrofoam)으로 지칭되기도 하는 표면 폼을 파괴하는 소포제의 표면 특성과 용해도가 탈기제의 특성과 본질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이다(참조, Adams, J. W. et al. Verfkroniek, 68 (10) 1996 p. 43-45). 소포제는 양립하지 못하며, 신속하게 표면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미세 거품(microfoam)을 제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탈기제는 표면이 아니라 액체 상 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더 잘 양립한다. 따라서 양호한 소포제 효능으로부터 탈기제 효능을 추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cf. 유럽 특허 제257 356 B1호, 제2쪽, 제28-31행).
따라서, 이러한 적용을 위해 특정 제제가 제안된다. 영국 특허 제2 350 117 A호는 더욱 양호한 탈기를 위하여 Si-C- 또는 Si-O-C-결합된 폴리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환형 실록산의 사용을 제안한다. 유럽 특허 제257 356 B1호는 (이소부티릴옥시)이소프로필디메틸프로폭시기를 포함하는 실록산을 청구하고 있는데, 이는 폴리에테르실록산보다 더 양호하게 플라스티졸을 탈기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다양한 응용분야, 특히 펄프 생산에 있어서 더 양호하고 더욱 경제적인 탈기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놀랍게도, 특정 폴리옥시알킬렌이 우수한 탈기 효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물을 적어도 50 중량% 및 특히 적어도 70 중량% 함유하는 액체에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1 중량%를 첨가하여 액체를 탈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67643957-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C1-C30-알킬 라디칼, C1-C30-알케닐 라디칼 또는 화학식 R1-C(O)- (II)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R1은 C1-C22-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x는 6 내지 300의 값을 갖고,
y는 0 내지 30의 값을 가지며,
y/x 비는 0 내지 1이다.
R 라디칼의 예로는 수소 및 메틸, 알릴 및 부틸 라디칼을 들 수 있다. R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화학식의 라디칼 R1은 메틸 및 부틸 라디칼이다.
화학식 (I)에서, 인덱스 x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이다. y/x 비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7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25 및 특히 0 내지 0.1이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에 y = 0이다.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은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20 000,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 000의 평균 몰질량(mean molar mass) (수 평균 Mn)을 갖는다.
사용되는 폴리옥시알킬렌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몰질량 (수 평균 Mn)이 1000 내지 8000 g/mol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한 종류의 폴리옥시알킬렌 또는 두 종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에서 옥시알킬렌기는 무작위로 분포할 수 있거나, 블록 공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은 공지의 상업적 제품이다. x 및 y의 값에 따라, 폴리옥시알킬렌은 액체이거나 왁스 제품이며, 바람직한 것은 점도 (25℃ 및 1013 hPa에서)가 400 내지 1500 ㎟/s인 액체 제품이다.
폴리옥시알킬렌의 수용해도는 y/x 비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한 것은 25℃ 및 1013 hPa에서 2% 미만 정도로 수용해성이거나, 35℃ 미만, 특히 25℃ 미만의 구름점(cloud point) (EN 1890 Variant A로 측정됨)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탈기는 분산된 형태로 기체를 함유하는, 즉, 미세 거품을 함유하며 여기에서 미세 거품 중의 액체 부피비가 기체 부피비보다 높은 액체의 기체 함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 액체의 탈기 과정은,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50 부피%,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20 부피% 및 특히 기껏해야 10 부피%의 기체가 분산된 형태로 함유된 액체 상의 기체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바람직하게는 5 부피% 미만 및 특히 2 부피% 미만의 기체 함량이 얻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펄프 생산 중에 수득되는 액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물 함량을 갖는 수성 섬유-함유 현탁액의 탈기 방법을 제공한다.
탈기될 액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의 첨가와 별도로,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의 추가 글리콜 또는 폴리글리콜을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글리콜 또는 폴리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다.
더 높거나 낮은 수준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인 펄프를 셀룰로오스 물질, 예를 들어, 목재로부터 생산하는 과정 중에 상이한 분해 용액(digestion solution)을 사용하여 리그닌과 같은 다른 성분을 용해시킨다. 후속의 세척 및 체질 작업에서 수득된 펄프를 분해 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정제한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분해 공정은 알칼리 설페이트 또는 크라프트 공정(craft process)이며, 여기에서는 NaOH/NaS을 함유하는 분해 용액을 사용하여 소위 설페이트 또는 크라프트 펄프로 불리는 것을 수득한다. 추가로 수득되는 산물은 분해 용액과 마찬가지로 셀룰로오스 물질, 예를 들어, 목재의 기타 성분을 함유하는 흑액(black liquor)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은 직접 사용되거나, 더 양호한 분포 및 취급에 힘입어 적합한 유기 물질 중의 용액으로서, 또는 유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에 대한 적합한 유기 첨가물은 광유(mineral oils), 천연유(native oils), 이소파라핀, 폴리이소부틸렌, 옥소알콜 합성의 잔기, 저분자량 합성 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도데실 팔미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지방 알콜, 알콜의 에테르, 프탈레이트 및 인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폴리옥시알킬렌에 대한 적합한 추가의 첨가물은 선형이거나 분지형일 수 있는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이다.
한 종류의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두 종류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화학식
Figure 112012067643957-pct00002
의 폴리옥시알킬렌, 특히 평균 몰질량 (수 평균 Mn)이 1000 내지 8000 g/mol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와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중량부의 혼합물을 0.0001 내지 1.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1 중량% 첨가하여 적어도 50 중량% 및 특히 적어도 70 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탈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선행기술의 일부를 형성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선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에테르 라디칼이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2가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통해 선형 실록산 쇄에 측면으로(laterally) SiC-결합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2 350 117 A호에 기재되어 있다.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에테르 라디칼이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2가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통해 선형 실록산 쇄에 측면으로 SiC-결합되고, 여기에서 이들 선형 실록산 쇄가 측면의 유기 브리지를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브리지의 예로는 산소 및 질소 원자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SiC-결합된 선형 또는 분지형 유기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2가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예를 들어, 알킬렌 라디칼, 실록산 쇄가 결합된 알킬렌 라디칼을 통한 SiC-결합된 폴리에테르 라디칼, 및 폴리에테르 및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SiC-결합된 2가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예를 들어, 알킬렌 라디칼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것은 소포제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1 076 073 A1호, 유럽 특허 제1 424 117 A2호 또는 국제 특허 공개 제2006/128624 A1호에 기재된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이다.
사용된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실록산 쇄가 폴리에테르 라디칼 및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측면의 2가 SiC-결합된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이다.
이들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에 관한 것은 국제 특허 공개 제2006/128624 A1호, 특히 제3쪽 제8행 내지 제13쪽 제38행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50 내지 100 000 000 mPa·s, 바람직하게는 25℃에서 100 내지 1 000 000 mPa·s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에서 1000 내지 100 000 mPa·s의 점도를 갖는다.
탈기 실험의 설명:
펄프 공정(80 중량% 보다 큰 물 함량을 갖는, UPM Kymmene Oy Kuusankoski, Finland 유래의 경질 및 연질목)으로부터 얻은 흑액 350 ml를 비이커 내에서 15분간 교반하면서 일정한 조건하에 80℃로 가열한 다음, 이 중 220 ml를 80℃로 온도조절되고 교반된 글래스 오토클레이브로 옮긴다.
D0의 측정:
탈기제를 첨가하지 않고 오토클레이브를 밀폐하고, 3초간 기다린 후에 오토클레이브의 기부에 있는 출구 밸브를 5초간 개방한다.
그 후, 흑액을 3 bar의 압력하에 매스실린더로 방출하고, 즉시, 밀도 계산을 위해 질량 및 부피를 측정한다.
D2의 측정:
탈기제를 첨가하지 않고 오토클레이브를 밀폐하고 존재하는 흑액을 10분간 3 bar의 압축 공기압 하에 800 rpm으로 교반한다. 3초간 기다린 후에 오토클레이브의 기부에 있는 출구 밸브를 5초간 개방한다.
그 후, 흑액을 3 bar의 압력하에 매스실린더로 방출하고, 즉시, 밀도 계산을 위해 질량 및 부피를 측정한다.
D1의 측정:
하기 표 1에 특정된 양의 탈기제를 첨가한 다음 오토클레이브를 밀폐하고 존재하는 흑액을 10분간 3 bar의 압축 공기압 하에 800 rpm으로 교반한다. 3초간 기다린 후에 오토클레이브의 기부에 있는 출구 밸브를 5초간 개방한다.
그 후, 흑액을 3 bar의 압력하에 매스실린더로 방출하고, 즉시, 밀도 계산을 위해 질량 및 부피를 측정한다.
D0 = 탈기제 없이; 교반하지 않고 80℃에서의 흑액 밀도
D2 = 탈기제 없이; 교반한 후에 80℃에서의 흑액 밀도
D1 = 탈기제 존재하에; 교반한 후에 80℃에서의 흑액 밀도
탈기 % = 100 × ( D 1 - D 2 ) / ( D 0 - D 2 )
D 0 (경질목): 1.01 g/㎤ 및 D 2 (경질목): 0.83 g/㎤.
D 0 (연질목): 1.03 g/㎤ 및 D 2 (연질목): 0.77 g/㎤.
실시예 1 및 2 (중합체 1 및 2 존재),
실시예 3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1 의 혼합물),
실시예 4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3 의 혼합물),
비교 실험예 1 및 2 (중합체 C1 C2 존재),
비교 실험예 3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4 의 혼합물).
탈기제로 사용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2의 중합체 1 및 2 그리고 비교 실험예 1 및 2의 중합체 C1 및 C2를 계량하여 추가의 임의 첨가제 없이 흑액 내로 직접 가하였다.
중합체 1:
중합체 1은 평균 몰질량 (수 평균 Mn)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중합체 2:
중합체 2는 하기 일반 구조식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중앙 분자 부분을 형성하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12067643957-pct00003
평균 몰질량 (수 평균 Mn)은 3500 g/mol이며,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질량에 의거한 몰비는 대략 3100 g/mol이다.
중합체 C1 :
비교 실험예 1에서, 사용된 탈기제는 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2 350 117 A호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선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디메틸실록시 및 하이드로메틸실록시 단위로 구성되고 활성 수소 함량이 0.133%이며 점도가 72 ㎟/s (25℃)이고 말단에 메틸기를 갖는 실록산 67 g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PO/EO 비가 4.0이고 요오드 수가 11.2인 알릴 폴리에테르 (H2O 함량 560 ppm) 408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00℃로 가열하였다. 이소프로판올 중의 헥사클로로플라틴산 2% 용액 0.5 ml를 첨가하면 하이드로실릴화가 시작되며, 이는 약한 발열 반응에서 명백해진다. 맑은 공중합체가 얻어질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100 내지 110℃로 유지하면 활성 수소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다. 측면의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은 870 ㎟/s (25℃)의 점도를 갖는다.
중합체 C2 :
비교 실험예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 평균 몰질량 (수 평균 Mn)이 400 g/mol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한다.
중합체 C3 (국제 특허 공개 제2006/128624 A1호에 따름):
중합체 C1을 130℃로 가열하고, 1 hPa에서 미량의 물을 제거한다. 그 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7 g을 계량하여 넣고 혼합물을 20분간 균질화한다.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DBTL) 1 방울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을 시작한다. 2 시간 후, NCO 함량이 검출 한도 (IR: 20 ppm) 밑으로 떨어지면, 계면활성제 (commercially available under the Emulan® HE 50 from BASF SE, Ludwigshafen, Germany) 120 g을 계량하여 넣는다. 25℃로 냉각시킨 후, 80% 공중합체 용액은 2100 ㎟/s의 점도 및 0.139 meq/g의 우레탄 함량을 갖는다.
중합체 C4 :
중합체 C4는 독일 특허 제1444442호의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약 200의 쇄 길이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흑액에 첨가된 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의 양은 표 1에 기록되어 있다. 탈기 효능의 시험 결과는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실시예/
비교 실험예
탈기제 첨가량 (㎕) 경질목 유래 흑액에서의 탈기 (%) 연질목 유래 흑액에서의 탈기 (%)
실시예 1 중합체 1 8 53.0 83.2
실시예 2 중합체 2 8 52.9 78.5
실시예 3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1 8 55.8 85.6
실시예 4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3 8 58.1 88.9
비교 실험예 1 중합체 C1 8 43.9 69.2
비교 실험예 2 중합체 C2 8 0 0
비교 실험예 3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4. 두가지 중합체는 균질하게 혼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탈기 실험이 실행되지 못하였다. n.a. n.a. n.a.
표 1의 결과로부터 참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 실험예 1 및 2에서의 탈기는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훨씬 열등하다.
비교 실험예 1에서는 영국 특허 제2 350 117 A호와 유사하게 비분지형 선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비교 실험예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사용된다.
실시예 3에서는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1의 균질한 혼합물, 선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30%의 중합체 C1을 첨가하면 중합체 1을 수분산성으로 만든다.
놀랍게도, 경질 및 연질목으로부터의 흑액에서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1의 혼합물은 두 가지 각각의 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탈기를 보여준다.
실시예 4에서는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3의 균질한 혼합물,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탈기제로서 사용된다. 30%의 중합체 C3를 첨가하면 다시 한번 중합체 1의 효능을 개선한다.
비교 실험예 3에서는, 독일 특허 제1444442 A호에 따른, 70% 중합체 1 및 30% 중합체 C4의 혼합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사용된다. 혼합물은 불안정하며 몇 분 내에 2개의 상으로 분리된다. 오랜 기간에 걸쳐 안정한 균질 혼합물이 후속의 실제 취급 및 탈기제로서의 용도에 결정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탈기 실험이 수행되지 못하였다.

Claims (7)

  1. 펄프 제조시에 생기는 액체의 탈기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는 물을 7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함유 수성 현탁액(aqueous fiber-containing suspension)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액체에, 평균 몰질량(mean molar mass) (수 평균 Mn)이 1000 내지 8000 g/mol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 및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 내지 200 중량부의 혼합물을, 상기 액체와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지형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 라디칼이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통해 선형 실록산 쇄에 측면으로 SiC-결합되고, 상기 선형 실록산 쇄가 측면의 유기 브리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액체의 탈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7022023A 2010-02-23 2011-02-21 액체의 탈기 방법 KR101409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2234.9 2010-02-23
DE102010002234A DE102010002234A1 (de) 2010-02-23 2010-02-23 Verfahren zum Entlüften von Flüssigkeiten
PCT/EP2011/052493 WO2011104196A2 (de) 2010-02-23 2011-02-21 Verfahren zum entlüften von flüssigk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749A KR20120111749A (ko) 2012-10-10
KR101409822B1 true KR101409822B1 (ko) 2014-06-19

Family

ID=4435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23A KR101409822B1 (ko) 2010-02-23 2011-02-21 액체의 탈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63640B2 (ko)
EP (1) EP2539034B1 (ko)
JP (1) JP5306546B2 (ko)
KR (1) KR101409822B1 (ko)
CN (1) CN102781534B (ko)
DE (1) DE102010002234A1 (ko)
WO (1) WO20111041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615B1 (ko) 2014-07-02 2016-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KR101586580B1 (ko) 2014-08-01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박스 파쇄 방식을 사용한 잠수함 및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KR101586579B1 (ko) 2014-08-01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절단 방식을 사용한 잠수함 및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KR101586581B1 (ko) 2014-08-01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양한 사이즈의 재료 공급이 가능한 잠수함 및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KR101824768B1 (ko) 2015-05-14 2018-0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메틸렌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한 잠수함 연료전지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잠수함 연료전지의 연료 공급 방법
EP3954740A1 (de) * 2020-08-14 2022-02-16 Evonik Operations GmbH Entschäumer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organofunktionell modifizierten polysiloxan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351A (en) 1992-09-28 1997-12-23 Basf Aktiengesellschaft Antifoams based on oil-in-water emulsions for the paper industry
US6162330A (en) 1997-11-14 2000-12-19 Dow Corning S.A. Method for restricting air entrapment in a paper making process
DE10233701A1 (de) * 2002-07-24 2004-02-05 Basf Ag Entschäumer und/oder Entlüfter für wässrige, zur Schaumbildung neigende Medien
EP2060674A1 (de) 2007-11-14 2009-05-20 Dr. W. Kolb AG Verfahren zum Entschäumen und/oder Entlüften von Prozessflüssigkeiten einer Papier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5509A (en) 1962-10-03 1966-02-15 Wacker Chemie Gmbh Method for producing antifoam agents
DE1444442A1 (de) 1963-04-20 1968-12-12 Huels Chemische Werke Ag Entschaeumer fuer waessrige Systeme,vorzugsweise Hydraulikfluessigkeiten auf Basis von Silikonpolymeren und Polypropylenglykol
US3984347A (en) 1974-12-19 1976-10-05 Dow Corning Corporation Foam control composition
DE3627782A1 (de) 1986-08-16 1988-02-18 Goldschmidt Ag Th Neue alkoxysiloxan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entlueftungsmittel fuer haertbare harze oder plastisole
DE19836260A1 (de) * 1998-08-11 2000-02-24 Wacker Chemie Gmbh Lineare Polyether-Polysiloxan-Copolyme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918361A1 (de) * 1999-04-22 2000-10-26 Wacker Chemie Gmbh Flüssige Polyether-Polysiloxan-Copolyme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GB2350117A (en) 1999-05-18 2000-11-22 Dow Corning Sa Polysiloxanes for deaeration of liquids
DE19936289A1 (de) 1999-08-02 2001-02-15 Wacker Chemie Gmbh Entschäumerformulierung
DE10255649A1 (de) 2002-11-28 2004-06-17 Wacker-Chemie Gmbh Entschäumerformulierungen
DE102005025450A1 (de) 2005-06-02 2006-12-07 Wacker Chemie Ag Entschäumerformulierungen
JP2007222812A (ja) * 2006-02-24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消泡剤組成物
EP2411110B1 (de) 2009-03-26 2015-05-06 Dr. W. Kolb AG Komponente zur entlüftung eines prozesswassers insbesondere bei der papierherstellung
WO2010108859A1 (de) 2009-03-26 2010-09-30 Dr. W. Kolb Ag Verfahren zum entschäumen und/oder entlüften von prozessflüssigkeiten einer papier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351A (en) 1992-09-28 1997-12-23 Basf Aktiengesellschaft Antifoams based on oil-in-water emulsions for the paper industry
US6162330A (en) 1997-11-14 2000-12-19 Dow Corning S.A. Method for restricting air entrapment in a paper making process
DE10233701A1 (de) * 2002-07-24 2004-02-05 Basf Ag Entschäumer und/oder Entlüfter für wässrige, zur Schaumbildung neigende Medien
EP2060674A1 (de) 2007-11-14 2009-05-20 Dr. W. Kolb AG Verfahren zum Entschäumen und/oder Entlüften von Prozessflüssigkeiten einer Papier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02234A1 (de) 2011-10-06
JP5306546B2 (ja) 2013-10-02
WO2011104196A2 (de) 2011-09-01
EP2539034A2 (de) 2013-01-02
EP2539034B1 (de) 2014-04-30
WO2011104196A3 (de) 2012-01-12
CN102781534B (zh) 2014-09-24
US20120312165A1 (en) 2012-12-13
US8563640B2 (en) 2013-10-22
JP2013520305A (ja) 2013-06-06
CN102781534A (zh) 2012-11-14
KR20120111749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822B1 (ko) 액체의 탈기 방법
EP2563491B1 (de)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EP279476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EP1528954B1 (en) Silicone foam control compositions
EP1807164B1 (de)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EP1534403B1 (en) Silicone foam control compositions
KR102142380B1 (ko) 세제용 소포제 조성물
WO2013167430A1 (de) Entschäumerformulierungen enthaltend organopolysiloxane
EP1618936A1 (de)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EP2906316B1 (en) Anti-foaming agent and pulp production method
KR101168355B1 (ko) 실리콘 소포제 입자
KR102126488B1 (ko) 세제용 소포제 조성물
DE102009047638A1 (de)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KR20200049836A (ko) 옥사미도에스테르-관능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