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69B1 - 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 Google Patents

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69B1
KR101409469B1 KR1020120135268A KR20120135268A KR101409469B1 KR 101409469 B1 KR101409469 B1 KR 101409469B1 KR 1020120135268 A KR1020120135268 A KR 1020120135268A KR 20120135268 A KR20120135268 A KR 20120135268A KR 101409469 B1 KR101409469 B1 KR 10140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art
remote controller
golf course
user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0363A (en
Inventor
이홍규
Original Assignee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40Adaptation of control equipment on vehicle for remote actuation from a stationary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2Driver interactions by presenc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은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졌음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동카트의 주행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전동카트를 사용자가 위치한 곳까지 원격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cart operation of a golf cour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art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a golf course, which comprises: an electric car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navigation satellite and moving along a movement route derived from a golf cour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a remote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Wh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are in different areas,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cart is in another area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carried by the user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golf course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in a different area, the user is informed to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en. Further, the user can control the travel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with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electric cart can be remotely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Description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golf cart,

본 발명은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카트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cart operation for a golf cour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 cart.

골프장에서 사용자들은 골프 경기를 하려면 각종 개인용 장비들을 가지고 다닌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각종 개인용 장비들을 탑재할 수 있는 수동카트나 장비 탑재와 사용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카트가 사용된다.On the golf course, users carry various personal gear to play golf. In order to assist with this, a manual cart or apparatus equipped with a variety of personal equipment and an electric cart capable of boarding the user are used.

최근에는 골프 경기의 진행을 원화하게 하기 위해 전동카트의 기능을 확장하여 전동카트에 항법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뿐 아니라, 전동카트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에 전동카트 유도장치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특별히 핸들 조작 등을 하지 않아도 전동카트가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case where a GPS receiv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of a navigation satellite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cart by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ic cart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gress of the golf game. In addition, there is a case in which a motorized cart guiding device is mounted on the road so that the motorized cart can be automatically moved so that the motorized cart can be moved along the road even if the user does not particularly operate the handle.

그런데, 전동카트가 도로의 유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주행 되더라도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지 않으면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다. 그래서 골프 경기를 하면서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사용자는 전동카트가 있는 곳까지 다시 걸어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electric cart is automatically driven by the guidance device of the road,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can not be controlled unless the user rides on the electric cart. 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cart and the electric cart is increased, the user has to walk again to the place where the electric cart is located.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0733(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에는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전동카트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휴대한 사용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의 주행 동작 등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00733 (Automatic Position Control Electric Cart System for Golf Cour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escribe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cart is kept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A technique capable of driving is disclosed. And a user is able to remotely control the travel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using the remote controller.

그렇지만, 선행기술은 전동카트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동작할 때 전동카트가 다른 장애물 등과 충돌하거나 사용자가 전동카트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electric cart is operated in a state away from the user's sight, the electric cart collides with other obstacles or the like and the user can not cope with a safety accident such as falling from the electric car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를 원격에서 제어하더라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cart operation for a golf course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even if the user controls the electric cart remotely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car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navigation satelli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and moving along a movement path derived from a golf cours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wherein the golf course is a golf course The remote controll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cart is in another area is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are in different areas.

이때,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의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수단과 상기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ic cart may include obstacle sensing means for sensing a peripheral obstacle of the electric cart and a passenger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l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i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golf cours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s the coordinates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four point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 order to set the region, One of the lines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is preferably a boundary line that separates one area from the adjacent area.

그리고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And an auxiliary lin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olf game progres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boundary 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rea of the golf course divided by the auxiliary line including the boundary line And can be set to an error range for one area.

이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다수 개일 때,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lers is plural, the electric cart can determine that the remote controller within the error range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remaining remote controllers are located, if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within the error range have.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f the four points is connected by a line to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djacent points are set so that a line connecting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is linked according to the golf course type .

여기서,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상기 골프장에서 이동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car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y using the path that the remote controller moved in the golf course.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은,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의 위치를 항법위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항법위성으로부터 확인하여 전동카트로 전송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와 2단계에서 확인한 전동카트의 위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golf cart electric cart, comprising the steps of: (1) confirming a position of an electric cart capable of moving along a travel route derived from a golf cour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 A second step of confirming a position of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from a navigation satellit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to the electric cart;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s of the electric cart and the remote controller identified in steps 1 and 2 are in different areas;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 that the electric cart and the remote controller are in different areas,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urth step of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cart is in another area,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olf course progress direction so as to be moved to another region as the golf course progresses.

그리고 상기 1단계에서의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6단계에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t in step 1; And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n obstacle is present from the electric cart to the remote con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t in step 5, The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is not transmitted to the electric cart side even if the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is inputted by the user.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to the electric cart side when the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is continuously input by the user at least twice.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버튼을 비활성화하는 7-1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user inputs an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continuously at least twice, the remot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7-1 for deactivating a button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이때,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ler in step 2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in the step 2 i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golf cours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s the coordinates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four point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 order to set the region, One of the lines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is preferably a boundary line that separates one area from the adjacent area.

그리고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And an auxiliary lin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olf game progres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boundary 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rea of the golf course divided by the auxiliary line including the boundary line And can be set to an error range for one area.

이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일 때,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이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within the error range, the remote controller within the error range is in the same area as the other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 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of the four points is connected by a line to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 line connecting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golf course type. .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을 통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탑승자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를 자체제어모드로 전환하는 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전동카트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cart operation for a golf course,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user is boarding a motorized cart, Stage 1; And a second step of switching the electric cart to a self-control mod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in step 1, wherein the self-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controls the electric cart.

그리고 전동카트가 자체제어모드에서 주행 중에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는지 감지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의 주행을 정지하는 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hird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riding in the electric cart while the electric cart is traveling in the self control mode; And stopping the running of the electric car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 that the user is not boarding the electric cart.

이때, 상기 4단계에서 전동카트의 이동이 중지되면, 전동카트는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는 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가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는 일정 시간 이후에 전동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cart is stopped in step 4, the electric cart may be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 mode. If the electric cart is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 mode in step 5, The electric cart can be controll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first step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in the first step i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졌음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 경기를 진행하면서 전동카트를 사용자가 있는 곳까지 원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골프 경기가 지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carried by the user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golf course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in a different area, the user is informed to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en. Accordingly, the user can remotely move the electric cart to the user's position while the user is playing a golf game, thereby preventing the golf game from being delayed.

또한, 전동카트는 주변의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여 정지하거나 사용자에게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알리기 때문에 전동카트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로 동작하더라도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cart senses that there i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and stops or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even if the electric cart operates in a state of being out of sight of the user.

더욱이,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한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전동카트에서 내리는 상태에서는 전동카트의 동작이 멈추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승하차를 하거나 골프클럽을 전동카트에서 탈착하는 동안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when the user is on the electric cart or when the user is off the electric car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is stopped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used so that the user can get on and off the electric cart, There is an effect that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골프장이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골프장의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골프장의 영역의 오차범위를 나타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전동카트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golf cart electric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golf cour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electric cart and the remote controller are located in different areas in the electric cart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a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setting of a golf course area in a golf course electric cart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rror range of a golf course area in a golf course electric cart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ic cart operation of a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 in which an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electric cart is execute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은 전동카트 및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1, the golf cart electric cart operation control system includes an electric cart and a remote controller 12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1 to 8. Fig.

골프장은 티잉그라운드(teeing ground), 페어웨이(fairway), 해저드(hazard) 및 그린(green)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장을 다수 영역으로 나눈다. 골프장을 다수 영역으로 나누는 것은 골프장 코스의 길이나 구조 등에 따라 영역의 개수와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golf course includes a teeing ground, a fairway, a hazard, and a g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golf cour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division of golf courses into a plurality of areas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length and structure of golf courses, and the number and method of areas.

전동카트(11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골프장 코스의 주변에 마련된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운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동카트(110)가 자동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미도시)을 따라 이동한다.The electric cart 11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and can move along the road provided around the course of the golf course.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operated by the user directly, and in some cases,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automatically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without any operation by the user. 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cart 110 automatically moves, it moves along a guide wire (not shown) installed on the road.

즉, 골프장 코스의 주변에 마련된 도로에는 유도선이 설치되고, 전동카트(110)에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을 감지할 수 있는 유도선 감지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므로 전동카트(110)는 자동 운행 되더라도 유도선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유도선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도로를 벗어나 운행되지 않는다.That is, an induction line is installed on a road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golf course, and a guide wire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an induction line installed on a road is mounted on the electric cart 110. Therefore, even if the electric cart 110 is automatically operated, the electric cart 110 moves along the guide wire detected by the guide wire sensing device, so that the electric cart 110 is not operated out of the road.

그리고 전동카트(110)에는 주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수단이 포함된다. 장애물 감지수단은 통상적으로 적외선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전동카트(110)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수단에서 전동카트(1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이동 중이던 전동카트(110)는 정지하고, 멈춰 있는 전동카트(110)는 이동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electric cart 110 includes an obstacle sensing means capable of sensing a peripheral obstacle. The obstacle sensing means may be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and one or more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electric cart 110. When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detects an obstacle around the electric cart 110, the electric cart 110 which is moving stops, and the stopped electric cart 110 does not move.

또한, 전동카트(110)에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탑승자 감지수단이 포함된다. 탑승자 감지수단은 적외선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제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서 내리면 자동으로 전동카트(110)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cart 110 includes a passenger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The occupant detection means senses whether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using an infrared system, an ultrasonic system, or a pressure sensing system. Therefore, when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When the user comes down from the electric cart 110, the electric cart 110 may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automatically.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동카트(110)에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항법위성(3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장치,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 등이 설치된다.In order for the electric cart 110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a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electric cart 110, a GPS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of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a remote controller 12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카트(110)와 무선통신을 하여 전동카트(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전동카트(110)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전용 RF 통신, CDMA, WCDMA, GSM 등의 무선통신망이나 이동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자신의 위치를 전동카트(110) 측으로 송신한다.The remote controller 12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and confirm its position. Furth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controll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110. At this tim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zigbee, dedicated RF communication, CDMA, WCDMA, GSM,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remote controller 120 confirms its position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and transmits its confirmed position to the electric cart 110 side.

또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거리를 판단하지만,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무선통신에 의해서도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GPS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와 무선통신을 통해 측정된 거리 중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거리가 가깝게 측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거리 측정의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basically determined by using the GPS but the distance can also be confi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hav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measured based on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GPS and the distance measur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errors in distance measurement as much as possible.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보관된 골프클럽을 꺼내기 위해 전동카트(110) 뒤쪽에서 접근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한 다른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동작시키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전동카트(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approaches from behind the electric cart 110 to take out a golf club stored in the electric cart 110, another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powered When the cart 110 is operate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Howev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cart 110 is prevented from operating,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동카트(110)의 동작은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Go" 명령과 이동카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Stop" 명령이다. 그러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Go" 명령을 수신한 전동카트(110)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을 따라 이동한다.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that the user can contro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a "Go" command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110 and a "Stop" command for stopping the moving cart . Therefore, the electric cart 110 which has received the "Go" comman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moves along the guide wire installed on the road.

여기서,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같은 영역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 측으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 "Go" 버튼의 램프를 깜빡이거나 진동 또는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알림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고, "Go" 버튼을 눌러 전동카트(110)를 사용자 자신이 있는 영역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의 알림은 소리, 진동 시각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electric cart 110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in the same area. If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are in different areas, the electric cart 110 transmits a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120 side. When receiv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ic cart 110, the remote controller 120 flashes the lamp of the " Go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or outputs a vibration or sound to inform the user. T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electric cart 110 is in another area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moves the electric cart 110 to the area where the user is by pressing the "Go" button. The notification at this time means that the user is informed by using sound, vibration time signal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20)이나 태블릿 PC 등으로 대체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2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220)에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원격에서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동카트(110)와 스마트폰(220)과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8, the remote controller 120 may be replaced with a smart phone 220 or a tablet PC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o. That is, the user can install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cart 110 on the smart phone 220, and control the electric cart 110 remotely from the installed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smartphone 220 is perform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렇게 스마트폰(2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2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자신의 위치와 전동카트(110)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알림 등의 메시지를 음성을 통해 안내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20 is executed, the location of the smart cart 220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 phone 220 and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displayed on the map. In addition, messages such as notifications can be guided through voice.

이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장이 다수의 영역으로 나뉜 상태에서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설정된 영역으로만 이동한다. 즉, 전동카트(110)가 정지해 있는 영역이 "Ⅱ"영역에서 정지된 상태이고, 사용자는 "Ⅲ"영역에 있다면, 사용자 리모트 컨트롤러(120)에는 이를 위한 알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키면,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이동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있는 "Ⅲ"영역의 중간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a golf cour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oves from one area to another area, the golf course moves only to the set area. That is, if the area where the electric cart 110 is stationary is stopped in the area " II ", and the user is in the area "III ", the user remote controller 120 is notified of this. When the user moves the electric car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the electric cart 110 moves to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t this time, the user moves the electric cart 110 to the middle position of the " .

이렇게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원격 조정을 하여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110)에 실어놓은 골프 클럽을 바로 교체할 수 있어 골프 경기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체로 골프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경기에 필요한 골프 클럽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경기하는 내내 들고 다닐 수 없다. 그래서 이를 전동카트(110)에 실어놓고 다니는데, 경기하는 동안 사용자는 골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전동카트(110)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로인해 골프 클럽의 교체를 위해 전동카트(110)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경기가 지연되는데,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거리를 줄임이기 때문에 경기를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cart 110 can be remotely adjusted to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user can immediately replace the golf club loaded in the electric cart 110, thereby preventing the golf game from being delayed. Generally, golfers who use the golf course can not carry it around during the competition because of the variety of golf clubs required for the game. Therefore, it is carried on the electric cart 110. During the game, the user freely moves the golf course and is distanced from the electric cart 110 in most cases. Therefore, as the time for the golf cart to move to the electric cart 110 increases, the game is delay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ectric cart 110 moves to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So that the game can be played more smoothly.

이때, 상기에서 설명된 골프장을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에 대해 설명하며, 이에 대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division of the golf course described abov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will be describ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 4 and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경기의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영역이 나뉘는데, 영역과 인접한 영역은 경계선(BL1, BL2, BL3)으로 구분된다. 이 중 하나의 경계선(BL1)은 골프장의 양 측 경계에 각각 임의의 지점(BP1, BP2)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임의의 지점(BP1, BP2)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설정한다. 이때, 골프장 양측 경계에 설정된 임의 지점(BP1, BP2)은 해당 지점(BP1, BP2)의 위도와 경도 좌표를 설정하여 지정한다. 여기서, 경계선은 골프경기의 진행방향과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필요에 따라 골프경기의 진행방향과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rea i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golf game,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area is divided into the boundary lines BL1, BL2, and BL3. One of the boundary lines BL1 is set at an arbitrary point BP1 and BP2 respectively on both side boundaries of the golf course and is set by connecting a set arbitrary point BP1 and BP2 by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arbitrary points BP1 and BP2 set on both sides of the golf course are set by sett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points BP1 and BP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line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golf game, and it may be set within an angle of 45 to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golf game, if necessar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계선(BL1)은 "Ⅰ"영역과 "Ⅱ"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제2경계선(BL2)은 "Ⅱ"영역과 "Ⅲ"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제3경계선(BL3)은 "Ⅲ"영역과 "Ⅳ"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각 경계선이 설정된 상태에서, 골프장 측면에 대한 경계선 설정은 골프장의 경계의 형태에 따라 설정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경계선(BL3)의 제1지점(BP1)에서 제2경계선(BL2)의 제1지점(BP3)까지는 골프장의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 지점의 위ㅇ경도 좌표를 확인하여 "Ⅲ"영역의 경계를 확인한다.4,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s for distinguishing the "I" region from the "II" region, and the second boundary line BL2 is for separating the "II" region and the "III" region , And the third boundary line BL3 is for distinguishing the " III "area from the" IV "area. With each of the boundary lines thus set, the boundary line setting for the golf course side is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undary of the golf course. 4, from the first point BP1 of the third boundary line BL3 to the first point BP3 of the second boundary line BL2, ㅇ Confirm the boundary of "Ⅲ" area by checking the hardness coordinates.

마찬가지로, 제3경계선(BL3)의 제2지점(BP2)에서 제2경계선(BL2)의 제2지점(BP4)까지 골프장의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 지점의 위ㅇ경도 좌표를 확인하여 "Ⅲ"영역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3경계선(BL3)의 제1지점(BP1) 및 제2지점(BP2)과 제2경계선(BL2)의 제1지점(BP3) 및 제2지점(BP4)으로 설정된 골프장 내에서 하나의 영역("Ⅲ"영역)이 설정된다.Likewise, from the second point (BP2) of the third boundary line (BL3) to the second point (BP4) of the second boundary line (BL2), the longitude coordinates of each point are check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undary of the golf course, "Check area boundaries. This allow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ints BP1 and BP2 of the third boundary line BL3 and the second and third boundary lines BL2 and BP2 to be positioned in the course set at the first point BP3 and the second point BP4. ("III" area) is set.

물론, 이때, 제2경계선(BL2)과 제3경계선(BL3)만으로 "Ⅲ"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경기를 하다가 자신이 친 공이 경기를 진행하는 골프장이 아닌 옆의 다른 골프장 등으로 넘어가는 경우에 사용자가 옆의 다른 골프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경기를 계속 진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III" region only at the second boundary line BL2 and the third boundary line BL3.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goes to another golf course besides the golf course where the player is playing the golf game, the user may continue the game while moving to another golf course.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사용자의 경기진행 방향에 대한 것을 기록하여, 어느 골프장에서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옆의 다른 골프장으로 이동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일례로, 사용자가 1번 홀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도중 공이 옆의 6번 홀로 넘어가서 6번 홀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이동경로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누적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1번 홀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remote controller 120 records the user's game progress direction and confirms which golf course the game is proceeding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 problem even if he moves to another golf course. That is, for example, even if the ball passes through the sixth hole and moves to the sixth hole during the course of the golf game in the first hole, since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is accumulated and recor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the golf course is in progress.

그에 따라 사용자가 6번 홀로 이동되더라도 1번 홀의 제2경계선(BL2) 및 제3경계선(BL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 사용자는 "Ⅲ"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판단된다. 그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가 "Ⅱ"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전동카트(110)로부터 수신한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moves to the sixth hall, if the user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boundary line BL2 and the third boundary line BL3 of the first hall, the remot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located in the " III " 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cart 110 is located in the "II" area, the remote controller 1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electric cart 110 to inform the user.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시스템에서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때,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P1)의 위치가 "Ⅳ"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Ⅲ"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위치정보가 잘못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a golf course electric car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is receive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That is,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first user P1 is located in the " IV "area, as shown in FIG. 5,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rroneously positioned in the " III"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경계선에 소정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오차범위(ER)는 경계선(BL3)의 양측에 위치된 보조선(SL1, SL2)에 의해 설정된다. 여기서, 각 보조선(SL1, SL2)은 앞서 설명한 경계선(BL3)을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s set for the set boundary line. As shown in FIG. 5, the error range ER is defined by the auxiliary lines SL1 and SL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line BL3. . Here, the auxiliary lines SL1 and SL2 are set in the same manner as that for setting the boundary line BL3 described above.

여기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사용자는 한 사람이 아닌, 적어도 두 명이상의 사용자가 경기를 진행하고 각 사용자들은 모두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각 사용자들의 위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two or more users, not a single user, play the game while the user carries the game while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carried by each user. Therefore, the position of each user can be confirmed by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그런데, 사용자들 중 일부가 영역의 경계선(BL3) 근처에 오차범위(ER) 내에 있는 경우, 그 사용자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명확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동일한 영역에 있는지 다른 영역에 있는지 구분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when some of the users are within the error range ER near the boundary line BL3 of the area, it may not be clear which area the user is i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 electric cart 110 is in the same area as the remote controller 120 carried by the user or in another area.

본 발명에서는 경계선(SL3) 근처의 오차범위(ER)에 다수의 사용자 중 일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오차범위(ER)에 위치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located in the error range ER near the boundary line SL3, the user located in the error range ER confirms the position of another user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other user is located do.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명의 사용자(P1, P2, P3, P4) 중 제1사용자(P1)가 경계선(SL3)의 오차범위(ER) 내에 있고, 나머지 사용자(P2, P3, P4)는 "Ⅲ"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1사용자(P1)도 "Ⅲ"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전동카트(110)에서 판단한다. 그러므로 "Ⅲ"영역에 위치한 전동카트(1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전동카트(110)가 "Ⅱ"영역에 있으면, 사용자들(P1, P2, P3, P4)에게 전동카트(110)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수신된다.
5, the first user P1 among the four users P1, P2, P3 and P4 is within the error range ER of the boundary line SL3 and the remaining users P2, P3, P4 is located in the " III "area, the first user P1 is also located in the area" III " Therefore, the electric cart 110 located in the "III" area does not operate. At this time, if the electric cart 110 is in the "II" area, a signal informing the users P1, P2, P3 and P4 that the electric cart 110 is in another area is received by each remote controller 120 do.

그리고 전동카트(110)에는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키실 수 있다.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the electric cart mounted on the electric cart 110 may be mounted on the electric cart 110. This allows the user to move the electric car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ic cart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aboard the electric cart 110.

이때,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보다 해당 신호가 선행한다. 즉, 사용자가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동작시키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서는 전동카트(110)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카트(110)가 이동할 때 외부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ic cart mounted on the electric cart 110 precedes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carried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electric car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ic cart, the electric cart 110 is not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This is to prevent a fall accident or the like which may b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from the outside when the electric cart 110 moves while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골프장용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방법을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cart 110 using the golf cart electric cart 110 operation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

본 설명에서는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가지고 골프용 전동카트(110)에서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의 주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In this description, a case where a user moves on foo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the golf cart 100 with the remote controller 120 in a golf cour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120 can control the travel of the electric cart 110 remotely.

전동카트(110)는 항법위성(300)을 이용하여 수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S401).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20)도 항법위성(300)을 이용하여 수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S431)한 다음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동카트(110) 측으로 전송한다(S432). 그러면 전동카트(110)는 자신의 위치와 수신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서로 비교 확인한다(S403). 이때, 본 단계(S403)에서는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골프장의 다수 영역에서 같은 영역 안에 있는지를 확인한다.The electric cart 110 confirms its position from time to time using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S401). The remote controller 120 also confirms its position at any time using the navigation satellite 300 (S431), and then transmit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ic cart 110 side (S432). Then, the electric cart 110 compares its own posi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received remote controller 120 (S403). At this time, in this step S403, it is confirmed whether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are in the same area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golf course.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영역 경계선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위치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area boundary line, the position of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20 is checked as shown in FIG. 5, .

단계 S403에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같은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단계 S403에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S404).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P)가 다수 영역 중 "Ⅲ"영역에 위치하고, 전동카트(110)의 위치가 "Ⅱ"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3 that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are in the same area, the electric cart 110 remains stationary.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3 that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are in different areas, the electric cart 110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120 (S404). 3, when the position P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located in the area " III "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is located in the area "II" (110)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120).

이때의 알림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 알림신호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구비된 램프가 깜빡이거나 진동을 울리거나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notification signal at this time is a signal informing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20 that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are in different areas. Upon receipt of the notification signal, the remote controller 120 allows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lamp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is blinking, vibrating, or emitting sound.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알림을 확인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Go" 버튼을 눌러 전동카트(110)를 주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S435). 단계 S435에서 주행명령이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입력된 주형명령에 대한 신호를 전동카트(110)로 전송한다. 전동카트(110)는 단계 S435에서의 주행명령에 따라 주행된다(S406).The user confirms the notifi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inputs a command for driving the electric cart 110 by pressing the "Go" button on the remote controller 120 (S435). When the travel command is input in step S435, the remote controller 120 transmits a signal for the entered template command to the electric cart 110. [ The electric cart 110 travels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command in step S435 (S406).

단계 S406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이동하면,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장애물 감지수단은 전동카트(110)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한다(S407). 이때, 장애물 감지수단은 전동카트(110)의 이동방향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주로 감지하고 장애물이 전동카트(110)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7에서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계속 주행한다. 그리고 장애물이 있으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 측으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함과(S408) 동시에 더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다(S409).If the electric cart 110 moves through step S406,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mounted on the electric cart 110 checks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around the electric cart 110 (S407). At this time, the obstacle sensing means mainly detects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and confirms whether the obsta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t 1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7 that there is no obstacle, the electric cart 110 continues to travel. If there is an obstacle, the electric cart 110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120 indicating that there is an obstacle (S408), and stops without moving further (S409).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단계 S408을 통해 전동카트(110) 측에서 장애물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를 깜빡이거나 진동을 울리거나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단계 S408에서의 알림과 단계 S404에서의 알림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에는 녹색 램프가 설치되고, "Stop" 버튼에는 적색 램프가 설치된 경우, 단계 S404에서는 녹색 램프가 깜빡이고, 단계 S408에서는 적색 램프가 깜박이도록 한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obstacl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 cart 110 through step S408, the remote controller 120 blinks, vibrates, or outputs soun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bstacle notific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in step S408 and the notification in step S404 are preferably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f a green lamp is installed in the "Go"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and a red lamp is installed in the "Stop" button, the green lamp flashes in step S404 and the red lamp flashes in step S408.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이동하더라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even if the electric cart 110 moves at a position out of the user's sight.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이후 전동카트(110) 주변의 장애물이 제거되더라도 전동카트(110)는 다시 자동으로 주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동카트(110)를 주행시키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을 연속으로 두 번 이상 눌러 주행명령을 연속하여 입력한다(S439). 그러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전동카트(110) 측으로 재차 주행명령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고, 전동카트(110)는 다시 주행한다(S406).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obstacle around the electric cart 110 is removed after the electric cart 110 is stop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electric cart 110 does not automatically run again. Therefore, the user continuously inputs the driving command by pushing the " Go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two or more times in order to drive the electric cart 110 (S439). Then, the remote controller 120 transmits a signal for the driving command to the electric cart 110 again, and the electric cart 110 travels again (S406).

여기서, 단계 S439에서 사용자가 "Go"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전동카트(110)로 주행명령이 전송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는 경고음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Here, in step S439, when the user presses the "Go" button only once, the remote controller 120 does not transmit the driving command to the electric cart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20 can output only the warning sound.

그리고 단계 S407, S408, S409 및 S439의 과정이 일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이상 반복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Go" 버튼을 비활성화한다(S440). 이는 전동카트(110) 주변에 장애물이 있음에도,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강제로 주행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f the processes of steps S407, S408, S409, and S439 are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remote controller 120 deactivates the "Go" button (S440). This is to prevent a user from forcing the electric cart 110 to trave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even though there is an obstacle around the electric cart 110,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한편,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이동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탑승여부에 따른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방법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aboard the electric cart 110,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f the electric cart 110 is mov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Therefor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 확인한다(S501). 본 단계(S501)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 여부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501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된다(S502). 이때, 자체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직접 제어하는 모드로, 전동카트(110)가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The electric cart 110 confirms whether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S501). In this step S501, whether or not the user boarded the electric cart 11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by using the occupant detection mean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1 that the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the electric cart 110 is switched to the self control mode (S502). At this time, the self-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directly controls the electric cart 110, and is not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when the electric cart 110 is switched to the self-control mode.

이렇게 단계 S502에서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된 다음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주행한다(S503). 그리고 탑승자 감지수단은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고(S504),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으면 전동차의 주행상태가 계속 유지된다.After switching to the self-control mode in step S502, the user runs the electric cart 110 (S503). The occupant detection means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the user is aboard the electric cart 110 (S504), and if the user is aboard, the travel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is maintained.

그런데 단계 S504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정지한다(S515). 즉, 단계 S504는 사용자가 자체제어모드 상태의 전동카트(110)를 계속 운행하는 중간에 전동카트(110)에서 하차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 운행 중에 갑자기 하차하더라도 단계 S515에서 주행 중인 전동카트(110)가 정지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4 that the user is not boarding the electric cart 110, the electric cart 110 is stopped (S515). That is, step S504 is to detect whether the user gets off the electric cart 110 in the middle of continuing to operate the electric cart 110 in the self-control mode. Therefore, even if the user suddenly gets off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because the electric cart 110 is stopped in step S515.

단계 S515에서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다음 전동카트(110)는 원격제어모드로 전환된다(S516). 원격제어모드는 전동카트(110)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이다. 이때, 본 단계(S516)에서 전동카트(110)가 원격제어모드로 전환되더라도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해서 즉시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지 않다. 즉, 사용자는 일정 시간(일례로, 약 10초 정도)의 시간이 지난 이후에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역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서 하차하자마자 전동카트(110)가 움직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After the electric cart 110 is stopped in step S515, the electric cart 110 is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 mode (S516). The remote 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electric cart 110 is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20. At this time, even if the electric cart 110 is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 mode in this step S516, the electric cart 110 can not be immediately controll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 That is, the user can control the electric car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has elapsed. This is also inten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moving the electric cart 110 as soon as the user gets off the electric cart 110.

그리고 전동카트(110)가 원격제어모드 상태에서 주행 중일 때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기 위해 전동카트(110)로 가까이 가는 경우에는 단계 S406 내지 단계 S440의 과정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정지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때 실수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을 누르더라도 단계 S439 및 단계 S440에 의해서 전동카트(110)가 동작하지 않거나 "Go" 버튼이 비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electric cart 110 to board the electric cart 110 when the electric cart 110 is traveling in the remote control mode, the electric cart 110 is moved in the process of steps S406 to S440. So that it can safely be carried on the electric cart 110. Even if the user inadvertently presses the "Go"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20 when the user tries to ride the electric cart 110 while the electric cart 110 is stopped, the electric cart 110 110) does not operate or the "Go" button is inactivated. Therefore, the user can safely ride the electric cart 11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 전동카트 120: 리모트 컨트롤러
220: 스마트폰 300: 항법위성
110: electric cart 120: remote controller
220: Smartphone 300: Navigation satellite

Claims (25)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An electric car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navigation satellite and moving along a movement path derived from a golf course; And
And a remote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avigation satellite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The golf cour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olf course progress direction so that the player moves to another region as the golf course progress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cart is in another area is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are in different area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 the golf cours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s coordinates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four point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 order to set the region,
Wherein one of the lines connecting the two adjacent points in a straight line is a boundary line for distinguishing one area from an adjacent area.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의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cart includes an obstacle sensing means for sensing a peripheral obstacle of the electric cart.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cart includes a passenger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boarding the electric cart.
청구항 1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In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4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In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line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olf game proceeding direction,
Wherein an area of the golf course divided by the auxiliary line including the boundary line is set to an error range for one are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이고,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re are a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Wherein the electric cart determin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within the error range is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remaining remote controllers are located if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within the error rang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four points is connected by a line to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Wherein a line connecting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golf course ty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상기 골프장에서 이동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car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route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moved in the golf course.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의 위치를 항법위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항법위성으로부터 확인하여 전동카트로 전송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와 2단계에서 확인한 전동카트의 위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A first step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t capable of moving along a movement route derived from a golf cour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A second step of confirming a position of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cart from a navigation satellit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to the electric cart;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s of the electric cart and the remote controller identified in steps 1 and 2 are in different areas;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 that the electric cart and the remote controller are in different areas,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urth step of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ic cart is in another area,
The golf cour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olf course progress direction so that the player moves to another area as the golf course progresse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 the golf cours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s coordinates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four point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 order to set the region,
Wherein one of the lines connecting the two adjacent points in a straight line is a boundary line for distinguishing one area from the adjacent area.
청구항 11에서,
상기 1단계에서의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6단계에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In claim 11,
5)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t in step 1;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 that an obstacle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t, the electric cart further includes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an obstacle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does not transmit a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to the electric cart side even if the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is input by the user upon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n obstacle in the step 6. [ Control method.
청구항 12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In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eventh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to the electric cart side if the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is continuously input by the user at least two or more times.
청구항 12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버튼을 비활성화하는 7-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In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tep 7-1 of inactivating a button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moving the electric cart from the remote controller if the electric cart moving command signal is continuously input by the user at least two or more time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cart operation.
청구항 11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In claim 1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second step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15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In claim 15,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electric cart in the step 2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 auxiliary line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olf game proceeding direction,
Wherein an area of the golf course divided by the auxiliary line including the boundary line is set to an error range for one area of the golf cours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이고,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이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re are a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within the error range determines that the area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is in the same area as the area in which the remaining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when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within the error range. Cart operation control metho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one of the four points is connected by a line to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Wherein a line connecting a point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and an adjacent point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golf course ty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5268A 2012-04-25 2012-11-27 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KR1014094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3407 2012-04-25
KR1020120043407 2012-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63A KR20130120363A (en) 2013-11-04
KR101409469B1 true KR101409469B1 (en) 2014-06-18

Family

ID=4985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68A KR101409469B1 (en) 2012-04-25 2012-11-27 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69B1 (en) 2023-08-29 2023-11-30 (주)비지언스 Automatic golf cart device with AI-based golfer track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0B1 (en) * 2014-04-16 2014-12-05 (주)조은정밀 A golf cart control system using RF transmission rate measurement system
KR102256070B1 (en) * 2019-03-20 2021-05-26 주식회사 티티엔지 Golf cart system capable of changing traveling mode according to whether golf course field can enter or not and golf cart control method using th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1651A (en)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Golf cart for riding
JP2000163125A (en) * 1998-11-26 2000-06-16 G Three:Kk Automatic traveling cart system
JP2006068212A (en) * 2004-09-01 2006-03-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War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1651A (en)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Golf cart for riding
JP2000163125A (en) * 1998-11-26 2000-06-16 G Three:Kk Automatic traveling cart system
JP2006068212A (en) * 2004-09-01 2006-03-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War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69B1 (en) 2023-08-29 2023-11-30 (주)비지언스 Automatic golf cart device with AI-based golfer track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63A (en)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592B1 (en) Wireless Reconcile golf cart control system for golf field
CN111386504B (en) Golf cart system for automatic driving based on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and golf car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2112B1 (en) Crosswalk walking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4981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mobile body and unmanned mobile body
KR101409469B1 (en) 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WO2018096760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onboard device, an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RU2011123098A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WORKS AND METHODS OF CONTROL IT
JP2003141676A (en)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controller in automatic vehicle guide system, automatic vehicle guide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for automatic vehicle guide
CA2640769A1 (en) Variable path automated guided vehicle
KR20030000733A (en) automatic moving control mobile cart system for golf court
KR102256070B1 (en) Golf cart system capable of changing traveling mode according to whether golf course field can enter or not and golf cart control method using the system
US20180129198A1 (en) Remote controlled safety baby walker
JP2019511304A (en) Rider-controlled non-orbit ride system
JPH0769741B2 (en) Golf cart control system
KR101468870B1 (en) A golf cart control system using RF transmission rate measurement system
KR101053183B1 (en) Automatic Driving System of Electric Golf Cart
KR101096806B1 (en) System for informing traffic signal
JP2004174176A (en) Visually challenging person and healthy person guide device
CN206700372U (en) A kind of blind-guide device and guide vehicle
KR20170015774A (e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Driving based on Sensor
KR102100648B1 (en) Autonomous travel control system for golf cart to guide travel path based on image of camera
KR20190045787A (en) System for autonomous parking wheelchair and method therefor
JP7265677B2 (en) Vehicles and mobile terminals used in them
JP5955248B2 (en)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JPH04259013A (en) Steering controller for automatic traveling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