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23B1 -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23B1
KR101409423B1 KR1020120151284A KR20120151284A KR101409423B1 KR 101409423 B1 KR101409423 B1 KR 101409423B1 KR 1020120151284 A KR1020120151284 A KR 1020120151284A KR 20120151284 A KR20120151284 A KR 20120151284A KR 101409423 B1 KR101409423 B1 KR 10140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stainless steel
separator
fuel cel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훈
김종희
김광민
이윤용
서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은 중량퍼센트(wt%)로 Cr:28~35%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강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를 열처리하여 α'상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Fabrication method of bipolar plate for PEMFC}
본 발명은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Cr을 함유한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연료가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로 내연기관을 이용하지 않아 소음, 진동이 없고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거의 없어 새로운 에너지 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전해질로 이온전도성을 갖는 고체 고분자막을 사용하므로 상온, 상압에서 작동이 가능하며 운전온도가 80℃ 정도로 낮고 가동시간이 짧으며 출력밀도가 높아 수송 및 휴대용, 가정용 등의 전력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스테인리스 분리판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고분자 연료전지의 스택(100)은 전해질과 전극(Anode, Cathode) 및 가스밀봉용 가스켓이 포함된 막-전극 집합체(110)와 유로가 있는 분리판(120), 공기의 입,출구(130,140), 수소가스의 입,출구(150,160)가 포함된 엔드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분리판(120)은 일반적으로 흑연, 카본, Ti합금, 스테인리스강 및 도전성 플라스틱 중 하나로 형성된다. 그 중 스테인리스 강은 낮은 계면 접촉저항, 우수한 내식성, 열전도성, 낮은 기체투과성을 가지며 대면적화와 양호한 제품 성형성의 장점이 있다.
스테인리스강 분리판은 다른 소재에 비해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고분자 연료전지의 분리판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스택의 부피와 무게를 저감해야 하는데 스테인리스강은 일정 수준의 절대 강도 확보를 위해서는 0.1mmt 전후의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스택의 무게와 부피의 저감에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처리를 통하여 강도가 향상된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은 중량퍼센트(wt%)로 Cr:28~35%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강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를 열처리하여 α'상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450~550℃에서 5~2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는 중량퍼센트(wt%)로 Mo:0.1~3.0%, W:0.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는 중량퍼센트(wt%)로 Mo:2~3.0%, W: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는 400~550℃에서 5~2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진공 또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의 분리판 성형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열처리를 통하여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극박분리판의 채용이 가능해지므로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의 무게와 부피를 저감시킬수 있다.
도 1은 스테인리스 분리판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의 사시도이다.
도2는 Cr함량에 따른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의 α’석출경향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3은 발명강7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시편의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비교강3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시편의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25wt% 이상의 고 Cr 페라이트 강을 475℃ 부근에서 열처리 할 경우 소재내부에 생성되는 α'상에 의해 강화효과가 발생한다.(도2참조) 이러한 현상은 통상 소재의 취화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대부분의 공정에서는 이를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때 형성된 α'상을 이용하여 극박소재가 적용되는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에 응용하는 것을 통하여 기존의 분리판의 두께 보다 얇은 분리판을 적용하면서도 동일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475 취성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소재 내부에 아주 미세한 α'상을 형성되므로 특정 열처리 조건에서 이 석출물을 고르게 형성할 경우 극박 소재의 강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량 퍼센트(wt%)로 28~35%의 Cr을 함유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강을 450~550℃의 온도에서 5~20분간 유지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0.1~3wt%의 Mo, 또는 0.1~5wt%의 W을 단독 혹은 복합 첨가 할 수 있다. 그리고 2~3wt% Mo, 또는 2~5wt% W이 첨가된 경우 열처리 온도 구간이 400~550℃로 확장 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에 의해 강화된 분리판은 통상 150~200Hv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에 비해 200Hv이상의 경도를 가지므로 통상의 소재보다 얇은 소재의 사용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강화 열처리는 통상적으로는 대기 분위기 하에서 진행 되지만 표층 스케일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 진공 또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진행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화 열처리는 분리판 소재 제작단계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경우 분리판 성형공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분리판 성형 공정이 끝난 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 및 열처리 조건의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퍼센트(wt%)이다.
Cr:28~35%
크롬(Cr)은 본 발명에서 α'상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Cr함량이 낮을 경우 강화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열처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첨가할 경우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며 소재의 가공을 저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Mo:0.1~3%
몰리브덴(Mo)는 페라이트강에서 내식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 중의 하나이며 열처리시 강화효과를 촉진할 수 있도록 0.1%이상을 첨가한다. 다만 과도한 첨가시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그 상한을3%로 한정한다.
W:0.1~5%
텅스텐(W)은 페라이트강에서 내식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중에 하나이며 열처리시 강화효과를 촉진할 수 있도록 0.1%이상을 첨가한다. 다만 과도한 첨가시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그 상한을5%로 한정한다.
상기 Mo와 W의 경우 그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의 스테인리스강에서 강화효과를 얻기위한 열처리 온도는 450~550℃가 바람직하다. 그 이외의 온도에서는 강화효과가 일어나지 않거나 열처리에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특히 5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유지하여도 α'상을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α'상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Mo, W이 각각 Mo:2~3.0%, W:2~5.0%으로 다량 첨가되는 경우에는 열처리 온도를 400~550℃로 설정하여도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열처리시간은 5~20분이 바람직하다. 5분 미만의 경우 적정 강화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20분 이상의 경우 그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져 상용공정에 적용이 어려워지며, 과도한 α'상의 형성으로 인해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발명강 10종과 비교강3종을 하기 표1의 조성성분으로 제조하였다. 모든 시편은 진공용해장치를 통하여 50Kg의 잉곳으로 제조한 뒤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을 거쳐 최종 두께 1mmt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열처리 온도와 시간은 각 시편에 대해 표1의 조건으로 진행되었으며 비커스 경도를 1kg의 측정해 강화효과를 확인하였다.
강종 Cr
(wt%)
Mo
(wt%)
W
(wt%)
열처리 온도
(℃)
열처리 시간
(분)
경도
(Hv)
발명강1 28 - - 525 17 230
발명강2 30 - - 450 8 216
발명강3 34 - - 500 5 243
발명강4 30 0.5 - 475 15 252
발명강5 28 2.8 - 475 6 228
발명강6 27 - 0.3 550 7 225
발명강7 29 - 3 500 5 245
발명강8 28 - 5 525 10 261
발명강9 30 1 1.5 500 13 280
발명강10 32 2.5 3.5 425 16 260
비교강1 24 - - 500 8 180
비교강2 29 - - 400 5 192
비교강3 23 2 - 525 5 179
발명강1~10의 경우 해당열처리 조건에서 200Hv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교강 1~3에서는 강화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강화효과는 Mo, W가 첨가될 경우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높은 Mo, W함량을 가지는 발명강10의 경우에는 425℃의 낮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강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강3에서는 Mo가 2wt% 첨가되었으나 Cr의 함량이 23wt%로 강화효과를 나타나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본 발명의 강화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3은 발명강7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시편의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비교강3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시편의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발명강7의 경우 모든 온도구간에서 200Hv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비교강3은 낮은 Cr 함량으로 인해 강화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 110: 막-전극 집합체
120: 분리판 130,140: 공기 입,출구
150, 160: 수소가스 입,출구

Claims (8)

  1. 중량퍼센트(wt%)로 Cr:28~35%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강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를 열처리하여 α'상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450~550℃에서 5~2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는 중량퍼센트(wt%)로 Mo:0.1~3.0%, W:0.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는 중량퍼센트(wt%)로 Mo:2~3.0%, W: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는 400~550℃에서 5~2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진공 또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재의 분리판 성형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
  8. 제7항에서,
    상기 분리판의 경도는 200Hv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
KR1020120151284A 2012-12-21 2012-12-21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KR10140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84A KR101409423B1 (ko) 2012-12-21 2012-12-21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84A KR101409423B1 (ko) 2012-12-21 2012-12-21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423B1 true KR101409423B1 (ko) 2014-07-02

Family

ID=5174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284A KR101409423B1 (ko) 2012-12-21 2012-12-21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704A (ja) * 2002-09-17 2004-04-08 Sumitomo Metal Ind Ltd 含硼素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KR100757096B1 (ko) * 2007-05-09 2007-09-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스테인리스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704A (ja) * 2002-09-17 2004-04-08 Sumitomo Metal Ind Ltd 含硼素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KR100757096B1 (ko) * 2007-05-09 2007-09-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스테인리스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8054B1 (en) Separator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U2007214896A1 (en) Creep-resistant ferritic steel
Brady et al. Pre-oxidized and nitrided stainless steel alloy foil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bipolar plates: Part 1. Corrosion, interfacial contact resistance, and surface structure
US7947409B2 (en) Metallic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EP1717329A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solid polymer fuel cell separator and solid polymer fuel cell
KR20090078775A (ko) 페라이트 크롬강
JP2009167502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CA2579634A1 (en) Fuel cell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980150B2 (ja) 低温型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3187828A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409423B1 (ko)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JP6510672B2 (ja) 金属ストリップ、バイポーラプレート、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JP6898451B2 (ja) 接触抵抗が優秀な高分子燃料電池分離板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0483B1 (ko)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KR20120073646A (ko) 내식성 및 접촉저항이 우수한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분리판 제조방법
JP2005293982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239476B1 (ko)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8148034B2 (en) Metallic separator for fuel cell
KR101410944B1 (ko)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20110047999A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연결재
WO2013042429A1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2010003417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6512577B2 (ja) 燃料電池構成部品用表面処理部材
KR101959380B1 (ko) 내산화성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이를 사용한 연료전지 접속자 및 연료전지
JP7361478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セパレータ、並びに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