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179B1 - 복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복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179B1
KR101409179B1 KR1020070090808A KR20070090808A KR101409179B1 KR 101409179 B1 KR101409179 B1 KR 101409179B1 KR 1020070090808 A KR1020070090808 A KR 1020070090808A KR 20070090808 A KR20070090808 A KR 20070090808A KR 101409179 B1 KR101409179 B1 KR 10140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heat exchanger
heat
insertion hole
tub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732A (ko
Inventor
민은기
이상률
장준일
정광용
김병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1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l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기 내부에 배플을 삽입하여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로 구획하고, 배플의 격실 사이에 형성된 튜브삽입홀에 삽입되는 열차단용 부재를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거나, 열차단용 부재의 양단부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리크감지홀을 형성하는 복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써포트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내부에 상기 튜브와 나란한 배플이 각각 삽입되어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로 구획되는 복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중간에 격실이 형성되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실사이에는 리크(Leak)발생 시 열교환매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튜브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는, 튜브삽입홀을 통한 리크테스트를 통해 리크감지가 용이해져 열교환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에 장착된 후에도 리크로 인한 냉매나 오일의 누출을 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에 의해 상, 하판이 일체로 형성된 배플로 인하여 헤더탱크 내부에 설치가 용이해지고 배플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헤더탱크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므로 헤더탱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복합 열교환기, 배플, 리크감지

Description

복합 열교환기 {Complex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복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기 내부에 배플을 삽입하여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로 구획하고, 배플의 격실 사이에 형성된 튜브삽입홀에 삽입되는 열차단용 부재를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거나, 열차단용 부재의 양단부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리크감지홀을 형성하는 복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각종 부품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품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각 독립적인 부품들이었던 것들이 합쳐져 일체형 부품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차량용 열교환기 부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며, 특히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 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冷媒)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冷媒)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장치는 실내를 냉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축기는 대개 차량의 최전방에 위치된다.
차량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냉방을 목적으로 한 냉각장치 뿐 아니라, 오일쿨러(oil cooler)와 같은 냉각장치도 있다. 자동차의 엔진이나 변속기와 같은 부품에는 윤활작용 및 기밀유지를 위하여 오일이 충진되는데, 이와 같은 오일이 너무 뜨거워지면 오일의 점성이 낮아짐으로써 상기 목적한 기능(즉 윤활작용 및 기밀유지)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며 특히 윤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엔진 등의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오일쿨러로서 상기 냉방을 위한 냉각장치와는 별도로 장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와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즉 오일쿨러)가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가하고, 오 일쿨러를 장착하기 위한 엔진룸 내 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응축기와 오일쿨러를 따로따로 장착하는 조립작업에서도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두 가지 부품이 궁극적으로는 냉각을 위해 사용된다는 목적이 같을 뿐 아니라, 보통 응축기와 오일쿨러 장착 시 엔진룸 내에서 비슷한 위치에 장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헤더탱크 내부에 배플을 형성하여 응축기와 오일쿨러로 구획되는 복합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복합형 열교환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복합형 열교환기는, 한 쌍의 평행한 헤더탱크(110) 내부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2개의 배플(150)에 의해 각각 상부 공간부(102)와 하부 공간부(104)로 나뉘고,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10) 사이를 연통하도록 헤더탱크(110) 사이에 평행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튜브(120)와 상기 각 튜브(120) 사이에 개재된 방열핀(130)과 상기 방열핀(13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써포트(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형 열교환기의 상, 하부 공간부(102, 104)는 일반적으로 응축기와 오일쿨러로 이용되며, 상기 배플(150)로 인해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오일이 상호 혼합되지 않고 각각 유동하며 외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복합형 열교환기는 상기 헤더탱크(110) 내부에 2개의 배플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접합되므로 접합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접합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복합형 열교환기의 품질검사 중에 이를 확인하기가 불가능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 냉매와 오일이 상호 혼합되는 경우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플로 구획된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열차단용 부재를 헤더탱크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하거나, 열차단용 부재의 양끝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리크감지홀을 형성하고, 리크테스트를 통하여 배플의 접합불량을 감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복합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써포트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내부에 상기 튜브와 나란한 배플이 각각 삽입되어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로 구획되는 복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중간에 격실이 형성되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실사이에는 리크(Leak)발생 시 열교환매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튜브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삽입홀에 결합되는 열차단용 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열차단용 부재의 단면보다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브레이징 접합 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삽입홀(12)로부터 양단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튜브삽입 홀(12)이 개방되도록 하며, 인접한 방열핀(30)에 의해 고정되는 열차단용 부재(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단용 부재는 상기 튜브 또는 써포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단용 부재에 접합되는 방열핀의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열차단용 부재의 양단 상,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은 상판과 하판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ㄷ'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의 연결부는 상기 튜브삽입홀과 대향되는 헤더탱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더탱크 내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는, 튜브삽입홀을 통한 리크테스트를 통해 리크감지가 용이해져 열교환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에 장착된 후에도 리크로 인한 냉매나 오일의 누출을 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에 의해 상, 하판이 일체로 형성된 배플로 인하여 헤더탱크 내부에 설치가 용이해지고 배플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헤더탱크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므로 헤더탱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의 제 1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열차단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의 제 2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A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A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2실시예의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20)와,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30)과, 상기 방열핀(3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써포트(4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내부에 상기 튜브(20)와 나란한 배플(50)이 각각 삽입되어 제1열교환기(2)와 제2열교환기(4)로 구획되는 복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플(50)은 중간에 격실(58)이 형성되도록 상판(52)과 하판(54)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실(58)사이에는 리크(Leak)발생 시 열교환매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튜브삽입홀(12)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삽입홀(12)에 결합되는 열차단용 부재(80)의 양단부가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단면보다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브레이징 접합 시 간극(60)이 형성된다.
상기 배플(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판(52, 54)이 일정거리 이격되고 일측면이 연결부(56)에 의해 상호 결합된 'ㄷ'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 하판(52, 54)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헤더탱크(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튜브삽입홀(12)의 간격과 비슷하거나 작게 형성하여 1개의 튜브삽입홀(12)의 상, 하로 상기 배플(50)의 상, 하판(52, 54)이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브레이징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열교환기(1)는 상기 배플(50)로 인하여 제1열교환기(2)와 제2열교환기(4)로 구획되어 내부에서 유동하는 서로 다른 유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56)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탱크(10) 내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연결부(56)가 헤더탱크(10) 내면에 밀착되며 브레이징 접합되므로 접합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헤더탱크(10)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복합 열교환기(1)의 제1열교환기(2)와 제2열교환기(4)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 시 오일쿨러 및 응축기로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삽입홀(12)에 삽입되는 열차단용 부재(80)의 양단부를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단면보다 작게 단차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상기 헤더탱크(10)와 튜브/방열핀조립체(20, 30)와의 브레이징 접합 시 상기 튜브삽입홀(12)과 열차단용 부재(80)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접합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인하여 의도적인 간극(60)이 형성되므로 상기 간극(60)을 리크감지수단으로써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차단용 부재(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일부분은 브레이징 접합되어 상기 열차단 용 부재(8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양측면 또는 상하면 중에서 일측면만 단차지거나, 상하면 중 한쪽면만 단차지게 형성되어도 좋다.
아울러 상기 열차단용 부재(80)는 양단부를 단차지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튜브(2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본 발명의 써포트(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복합 열교환기는 배플의 접합불량을 체크하기 위하여 품질검사 중에 복합 열교환기 내부에 헬륨가스를 유동시키고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간극에 근접시켜 헬륨가스의 감지여부에 따라 열교환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헤더탱크(10)와 배플(50) 사이에 접합불량으로 인하여 틈이 형성되면 제1 또는 2열교환기(2, 4)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헤더탱크(10)와 배플(50)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어 격실(58)을 통하여 상기 간극(60)으로 누출되므로 헬륨가스를 이용한 리크테스트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오일의 누출을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리크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6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하면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열차단용 부재(80)가 상기 배플(50)의 격실(58)사이에 형성되는 튜브삽입홀(12)로부터 양단부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인접한 방열핀(30)에 고정되어 상기 튜브삽입홀(12)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 기 배플(50)의 격실(58)사이에 형성되는 튜브삽입홀(12)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상기 튜브삽입홀(12)을 리크감지수단으로써 이용할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단용 부재(80)가 헤더탱크(1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에 접합되는 방열핀(30)의 길이 또한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길이에 부합되게 짧게 형성되며 원래의 경우 방열핀(80)의 끝단이 헤더탱크(10)에 맞닿아 고정되며 브레이징 접합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양단 상하면에 돌출되는 돌출부(84)를 형성하여 방열핀(30)의 끝단이 지지되므로 브레이징 접합이 용이해진다.
아울러 상기 열차단용 부재(80)는 양단이 짧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1)에 사용되는 상기 튜브(20) 또는 써포트(40)를 절단하여 사용하면 추가적인 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하게 되므로 생산효율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도 10은 복합 열교환기의 제2실시예의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헤더탱크(10)와 배플(50) 사이에 접합불량으로 인하여 틈이 형성되면 제1 또는 2열교환기(2, 4)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헤더탱크(10)와 배플(50)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어 격실(58)을 통하여 상기 튜브삽입홀(12)로 누출되므로 리크의 감지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복합 열교환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의 제 1실시예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열차단용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열교환기의 제 2실시예 정면도.
도 8은 도 6의 A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6의 A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2실시예의 유체의 누출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합 열교환기 10: 헤더탱크
12: 튜브삽입홀 20: 튜브
30: 방열핀 40: 써포트
50: 배플 52, 54: 상판, 하판
56: 연결부 58: 격실
60: 간극 80: 열차단용 부재
84: 돌출부

Claims (7)

  1.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20)와,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30)과, 상기 방열핀(3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써포트(4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내부에 상기 튜브(20)와 나란한 배플(50)이 각각 삽입되어 제1열교환기(2)와 제2열교환기(4)로 구획되는 복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플(50)은 중간에 격실(58)이 형성되도록 상판(52)과 하판(54)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실(58)사이에는 상기 방열핀(30)에 대향하는 위치에 리크(Leak)발생 시 열교환매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튜브삽입홀(12)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삽입홀(12)에 결합되는 열차단용 부재(80)의 양단부가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단면보다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브레이징 접합 시 간극(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삽입홀(12)로부터 양단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튜브삽입홀(12)이 개방되도록 하며, 인접한 방열핀(30)에 의해 고정되는 열차단용 부재(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용 부재(80)는 상기 튜브(20) 또는 써포트(40)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에 접합되는 방열핀(30)의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84)가 상기 열차단용 부재(80)의 양단 상,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50)은 상판(52)과 하판(54)이 연결부(56)에 의해 연결되어 'ㄷ'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50)의 연결부(56)는 상기 튜브삽입홀(12)과 대향되는 헤더탱크(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더탱크(10) 내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교환기.
KR1020070090808A 2007-09-07 2007-09-07 복합 열교환기 KR10140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08A KR101409179B1 (ko) 2007-09-07 2007-09-07 복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08A KR101409179B1 (ko) 2007-09-07 2007-09-07 복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32A KR20090025732A (ko) 2009-03-11
KR101409179B1 true KR101409179B1 (ko) 2014-06-19

Family

ID=4069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808A KR101409179B1 (ko) 2007-09-07 2007-09-07 복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889A (ja) * 1992-03-26 1993-10-22 Nippondenso Co Ltd 熱交換器
JPH10111086A (ja) * 1996-10-03 1998-04-28 Zexel Corp 熱交換器
US20050211425A1 (en) * 2004-03-26 2005-09-29 Valeo, Inc. Heat exchanger having an improved baffle
US20060021746A1 (en) * 2004-07-31 2006-02-02 Valeo, Inc. Heat exchanger having a double baff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889A (ja) * 1992-03-26 1993-10-22 Nippondenso Co Ltd 熱交換器
JPH10111086A (ja) * 1996-10-03 1998-04-28 Zexel Corp 熱交換器
US20050211425A1 (en) * 2004-03-26 2005-09-29 Valeo, Inc. Heat exchanger having an improved baffle
US20060021746A1 (en) * 2004-07-31 2006-02-02 Valeo, Inc. Heat exchanger having a double baff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32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7704B (zh) 集成热交换器
US5236044A (en) Heat exchanger tank partition device
US7562695B2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33207A1 (en) Multi-fluid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037925B2 (en) Heat exchanger having integrated tank header and partition structure and partition inserting groove with leak detection
JP2010175241A (ja) 2種類の流体のための熱交換器、特に空調装置のための蓄積蒸発器
KR20120044851A (ko) 열교환기
KR20120044849A (ko) 헤더유닛 및 이를 가지는 열교환기
JP4032548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CN101120224A (zh) 为热交换器容纳流体的箱,特别是用于热交换器组件的热交换器,特别是以单芯体为形式的热交换器组件
KR101409179B1 (ko) 복합 열교환기
KR101385019B1 (ko) 복합 열교환기
KR101384997B1 (ko) 복합 열교환기
KR10142269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US20050178525A1 (en) Heat exchanger, method of manufacture and tube plate therefor
JP7290030B2 (ja) 熱交換器
KR20200000639A (ko) 열교환기
JP2019007722A (ja) 蓄冷熱交換器
KR100783011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90056428A (ko) 오일쿨러
KR20130026631A (ko) 열교환기
KR101422712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20070070391A (ko) 열교환기
KR101631572B1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