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860B1 - 안전 커터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860B1
KR101408860B1 KR1020120080373A KR20120080373A KR101408860B1 KR 101408860 B1 KR101408860 B1 KR 101408860B1 KR 1020120080373 A KR1020120080373 A KR 1020120080373A KR 20120080373 A KR20120080373 A KR 20120080373A KR 101408860 B1 KR101408860 B1 KR 10140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utter blade
pressed
lin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442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2008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8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그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진움직임과 후방으로 후퇴하는 후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칼날이 사용될 수 있고 다시 후방으로 후퇴되어 몸체 내부에 보관되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정간격마다 절단안내홈을 다수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마디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교체식 커터날;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측이 사용자의 손의 압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캐리어가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고, 가했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누름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의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단부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의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이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안전 커터 장치 {safety Cutter device}
본 발명은 안전 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누름손잡이가 눌리면 교체식 커터날이 캐리어와 함께 전진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칼날의 사용이 가능하고, 누름손잡이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교체식 커터날이 몸체 속으로 후퇴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안전 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터 장치는, 종이, 알루미늄 캔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금속 박판 등과 같이 얇은 판형부재를 자르는데 사용되거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커터 장치는 커터, 커터칼, 커팅장치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터 장치는, 그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식 커터날을 구비한다. 커터 장치에 구비된 교체식 커터날은, 그 후방 고정용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용 관통공은 밀대부재에 돌출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밀대부재는 커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밀대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커터날의 칼날부분이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칼날을 사용하게 된다. 칼날 사용이 끝나면, 사용자는 밀대부재를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켜 몸체 내부에 커터날이 보관되도록 한다.
한편, 교체식 커터날에는, 사전에 형성된 절단안내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커터날을 사용하다가, 끝의 날이 무디어지는 경우 그 부분을 자르고 다음의 날카로운 칼날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터날을 모두 사용하면, 커터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터 장치는, 사용자가 칼날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그대로 두는 경우 위험하게 되지만, 이를 위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커터 장치를 개선하여, 손잡이를 누르는 경우에만,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전을 고려한 커터 장치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장치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교체식 커터날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특허공보 제20-03699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일반적인 커터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누름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눌러야 교체식 커터날의 칼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누름 손잡이부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칼날 부분이 몸체 내부로 안전하게 후퇴하는 안전 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용칼날이 아닌 범용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교체식 커터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체식 커터날을 전방으로 빼고 전방에서 집어 넣어 몸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안전 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그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진움직임과 후방으로 후퇴하는 후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칼날이 사용될 수 있고 다시 후방으로 후퇴되어 몸체 내부에 보관되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정간격마다 절단안내홈을 다수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마디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교체식 커터날;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측이 사용자의 손의 압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캐리어가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고, 가했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누름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의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단부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의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이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교체식 커터날은, 그 후방의 단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에는, 그 캐리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커터날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교체식 커터날은, 그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관통공 걸림돌출부에 걸려서 고정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에는, 나사부와 그 나사부의 일단부에 직경이 확장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고정나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가 커터날 고정부재에 체결되고, 그 나사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캐리어에 밀착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2연장부를 구비한 시소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는, 상기 시소부재의 제1연장부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몸체에 대해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그 푸쉬버튼의 타측이 상기 시소부재의 제2연장부의 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소부재는 그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연장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가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교체식 커터날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는,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이 걸리는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에는,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향해 이동한 잠금위치와, 그 잠금위치로부터 후퇴한 해제위치로 움직임이 가능한 스토퍼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누름손잡이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누름손잡이부가 눌려진 후, 상기 잠금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도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부재는, 그 일단부가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누름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며 눌려지게 되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 또는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호 관통 결합된 링크축 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축 핀부재는, 그 일단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누름 손잡이부에는 상기 링크축 핀부재의 연장된 부분의 움직임 궤도에 대응하는 핀부재 가이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축 핀부재는, 그 연장된 일단부가 상기 핀부재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 손잡이부가 눌려지거나 원래위치로 회복되는 움직임을 하는 경우,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누름손잡이부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 커터 장치에 따르면, 누름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야, 캐리어에 고정된 교체식 커터날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칼날의 사용이 가능하고 누른 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교체식 커터날이 고정된 캐리어가 후방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하게 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체식 커터날이 캐리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있어서, 교체식 커터날의 마디를 잘라내며 사용하게 되어 그 길이가 작아지게 되어도, 항상 적당한 길이만큼의 칼날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 손잡이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링크축 핀부재의 연장된 부분을 누름 손잡이부에 형성된 핀부재 가이드 홈부에 삽입시켜 이동하게 함으로써, 누름손잡이부가 눌리지 않으면 교체식 커터날이 고정된 캐리어가 이동하지 않게 하여 더욱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주로 탄성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내지 도 10은 링크축 핀부재의 연장부와 핀부재 가이드홈부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안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들.
도 11 내지 도 13은 교체식 커터날을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4와 도 15는, 주로 푸쉬버튼과 시소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의 교체식 커터날을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6과 도 17은 시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 장치(1)는, 몸체(10), 캐리어(20), 교체식 커터날(30), 탄성지지부(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손잡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안전 커터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몸체(10)의 내부에 공간에는 다른 구성부품들이 장착된다. 몸체(10)는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진다. 몸체는 필요에 따라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몸체(10)는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부재(14, 1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0)의 전방의 캐리어(2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보강부(12)가 구비되어 있다. 보강부(12)는 금속이나 더욱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10)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20)는, 몸체(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작동시 전방 부분이 일부 외부로 노출 된다. 캐리어(20)는, 누름 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게 되면 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진움직임이 발생한다. 그리고 누름손잡이부(5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지지부(40)의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인 후방으로 후퇴하는 후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체식 커터날(30)은, 캐리어(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교체식 커터날(3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커터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범용 제품이다. 교체식 커터날(30)은, 그 후방의 단부 근처에 관통형성된 고정용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간격마다 절단안내홈(31)을 다수 구비하고 있다. 사용함에 따라, 칼날이 무디어 지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단안내홈(31)을 잘라서,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마디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체식 커터날(30)은, 캐리어(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20)와 함께 움직인다. 교체식 커터날(30)은 캐리어(20)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교체식 커터날(30)은, 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단에 위치한 칼날이 사용될 수 있고 다시 후방으로 후퇴되어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안전하게 보관되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누름손잡이부(50)는, 몸체(10)에 구비된다. 누름손잡이부(50)의 일측(51)이 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4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비된다. 타측(52)이 사용자의 손의 압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탄성지지부(40)가 탄성변형되면서 캐리어(2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전진움직임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누름손잡이부(50)에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게 되면, 탄성지지부(40)의 회복력에 의해 캐리어(2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후진움직임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누름손잡이부(50)는, 그 일측(51)이 몸체(10)의 후방측에 축핀(5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누름손잡이부(50)를 상대적으로 힘이 쎈 검지와 중지를 주로 이용하여 누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누름손잡이부(50)를 잡았을 때, 약지 손가락 쪽으로 누름손잡이부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게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누름손잡이부(50)를 손으로 잡아 가압하게 되면 캐리어(20)가 전방으로 움직이는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그와 동시에 교체식 커터날(30)의 단부가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누름손잡이부(50)를 가압했던 힘을 사용자가 제거하면 캐리어(20)가 후방으로 움직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온다. 이러한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교체식 커터날(30)이 몸체(10) 내부공간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여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40)는, 제1링크부재(41)와 제2링크부재(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탄성지지부(40)를 설명한다. 제1링크부재(41)는, 그 일단부(14a)가 몸체(10)에 대해 회전축핀부재(41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링크부재(42)는 그 일단부(42a)가 제1링크부재(41)의 타단부(41b)에 핀부재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부(42b)는 캐리어(20)에 역시 축핀부재(42c)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탄성부재(43)는, 도 3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43)의 일단부(43a)는 몸체(10)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43b)는, 누름 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며 눌려지게 되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링크부재의 타단부(42b)에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누름 손잡이부(50)가 평상의 상태, 즉 사용자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0)에는 스토퍼 부재(8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스토퍼부재(80)는, 작은 원기둥 또는 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몸체(10)의 가이드 홈부(14b)에 구비되어, 가이드 홈부(14b)를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스토퍼부재(80)는, 가이드 홈부(14b)를 따라 이동하되, 누름손잡이부(50)가 있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 잠금위치와, 그 잠금위치로부터 후퇴한 해제위치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5와 6에는, 스토퍼 부재(80)가 잠금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잠금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누름손잡이부(50)가 눌리지 않게 되게 되어 안정하다(도 5의 경우).
한편, 해제위치 상태에서 일단 누름손잡이부(50)가 눌린 후, 다시 잠금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누름손잡이부(50)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어도, 눌린 상태를 유지된다. 이러한 동작은 칼날을 계속적으로 몸체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함이다.
즉, 스토퍼 부재(80)는, 잠금 위치에서 누름손잡이부(50)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해제위치에서 누름손잡이부(50)가 눌려진 후 잠금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누름손잡이부(50)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도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계속 사용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링크축 핀부재(45)의 연장부와 핀부재 가이드홈부(54)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 안전 구조를 설명한다. 이러한 안전 구조는, 스토퍼부재(80)에 의해 누름손잡이부(50)가 눌리지 않는 경우에도, 의도하지 않게 캐리어(20) 전방으로의 전진움짐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캐리어(20)에 연결된 제1,2링크부재의 결합부분을 누름손잡이부(50)와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하여, 누름손잡이부(50)의 움직임이 없이는 캐리어(20)의 움직임도 없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제1링크부재(41)의 타단부(41b)와 제2링크부재(42)의 일단부(42a)는, 도 3과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호 관통 결합된 링크축 핀부재(4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9 참조). 그리고 링크축 핀부재(45)의 일단부는 연장형성되어 있다.
누름 손잡이부(50)에는 핀부재(45)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분의 움직임 궤도인 원호에 대응하는 핀부재 가이드 홈부(54)가 구비되어 있다.
링크축 핀부재(45)는, 그 연장된 일단부가 핀부재 가이드 홈부(54)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구속된다. 즉, 누름 손잡이부(50)가 눌려지거나 원래위치로 회복되는 움직임을 하는 경우,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7에서 도 10은, 누름손잡이부(50)가 눌리는 경우, 링크축 핀부재(45)가 누름손잡이부(50)에 구비된 핀부재 가이드 홈부(54)를 따라 이동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한편, 몸체(10)의 일측 부재(14)에는 원호 형상의 홈부(14a)가 구비되어 있다. 홈부(14a)는 링크축 핀부재(45)의 움직임을 막지 않게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리어(20)에는, 커터날 고정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커터날 고정부재(60)는, 캐리어(3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터날 고정부재(60)에는 고정나사(66)가 구비된다. 고정나사(66)는 나사부와 그 나사부의 일단부에 직경이 확장형성된 머리부(65)를 구비한다. 고정나사(66)의 나사부가 커터날 고정부재(60)의 체결공(62)에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된다. 나사부가 체결됨에 따라 머리부(65)의 하측면은 캐리어(20)에 밀착결합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터날 고정부재(60)는 캐리어(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름 손잡이부(50)를 눌렀을 때, 교체식 커터날(30)의 전방 단부가 적당한 길이만큼 몸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커터날 고정부재(60)를 캐리어(2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교체식 커터날(30)은 한 마디씩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길이가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구성은 유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교체식 커터날(30)은, 그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32)이 커터날 고정부재(6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관통공 걸림돌출부(71)에 걸려서 고정지지된다.
한편, 커터날 고정부재(60)는, 시소부재(70)를 구비한다. 시소부재(70)는 그 중간부분이 커터날 고정부재(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심부(72)와 그 중심부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2연장부(74, 76)를 구비한다.
한편, 관통공 걸림돌출부(71)는 시소부재(70)의 제1연장부(74)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몸체(10)에는, 그 일측(18)이 몸체(10)에 대해 핀부재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버튼(17)이 더 구비되어 있다.
캐리어(20)가 몸체(10)에 대해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푸쉬버튼(17)을 사용자가 누르면, 그 푸쉬버튼(17)의 타측(19)이 시소부재(70)의 제2연장부(76)의 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시소부재(70)는 그 중심부(7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연장부(74)에 구비된 관통공 걸림돌출부(71)가 교체식 커터날(30)의 고정용 관통공(32)에서 이탈되어 교체식 커터날(30)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관통공 걸림돌출부(71)는, 교체식 커터날(30)의 고정용 관통공(32)이 걸리는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71a)를 구비한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홈부(71a)는 경사진 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71a)를 구비함으로써, 교체식 커터날(30)의 강한 힘이 가해져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관통공 걸림돌출부(71)는, 홈부(71a)의 반대편에 경사면(71b)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사면(71b)은 커터날(30)을 교체시, 쉽게 고정용 관통공(32)으로 걸림돌출부(7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4와 도 15에는, 푸쉬버튼(17)을 누르게 되면 걸림돌출부(71)가 어떻게 후퇴하게 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커터날(3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손쉽고 안전하게 커터날(30)을 몸체(1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그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진움직임과 후방으로 후퇴하는 후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칼날이 사용될 수 있고 다시 후방으로 후퇴되어 몸체 내부에 보관되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정간격마다 절단안내홈을 다수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마디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교체식 커터날;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측이 사용자의 손의 압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캐리어가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고, 가했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부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누름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의 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단부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의 후진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교체식 커터날이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교체식 커터날은, 그 후방의 단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에는, 그 캐리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커터날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교체식 커터날은, 그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관통공 걸림돌출부에 걸려서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에는, 나사부와 그 나사부의 일단부에 직경이 확장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고정나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가 커터날 고정부재에 체결되고, 그 나사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캐리어에 밀착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커터날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2연장부를 구비한 시소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는, 상기 시소부재의 제1연장부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몸체에 대해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그 푸쉬버튼의 타측이 상기 시소부재의 제2연장부의 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소부재는 그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연장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가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교체식 커터날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걸림돌출부는, 상기 교체식 커터날의 고정용 관통공이 걸리는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향해 이동한 잠금위치와, 그 잠금위치로부터 후퇴한 해제위치로 움직임이 가능한 스토퍼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누름손잡이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누름손잡이부가 눌려진 후, 상기 잠금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누름손잡이부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도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부재는, 그 일단부가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누름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며 눌려지게 되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 또는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호 관통 결합된 링크축 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축 핀부재는, 그 일단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누름 손잡이부에는 상기 링크축 핀부재의 연장된 부분의 움직임 궤도에 대응하는 핀부재 가이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축 핀부재는, 그 연장된 일단부가 상기 핀부재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 손잡이부가 눌려지거나 원래위치로 회복되는 움직임을 하는 경우,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손잡이부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 장치.
KR1020120080373A 2012-07-24 2012-07-24 안전 커터 장치 KR10140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73A KR101408860B1 (ko) 2012-07-24 2012-07-24 안전 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73A KR101408860B1 (ko) 2012-07-24 2012-07-24 안전 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42A KR20140013442A (ko) 2014-02-05
KR101408860B1 true KR101408860B1 (ko) 2014-06-19

Family

ID=5026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373A KR101408860B1 (ko) 2012-07-24 2012-07-24 안전 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8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555Y1 (ko) * 1999-03-11 2001-03-15 이정근 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555Y1 (ko) * 1999-03-11 2001-03-15 이정근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42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74277U (zh) 实用刀
US6718640B1 (en) Cutting tool
TWI309197B (en) Releasable blade locking mechanism for utility knife
US8595941B2 (en) Assisted-opening knife
US20080196253A1 (en) Precision knife and blade dispenser for the same
JPS6146153B2 (ko)
JP2017519572A (ja) 剃毛かみそり旋回ロック
JP2007144196A (ja) カッタ
US9446530B2 (en) Mandolin slicer
US20050065541A1 (en) Guarded surgical scalpel with blade stripper lock to prevent accidental or inadvertent ejection of the blade
EP2915495B1 (en) Scalpel handle sheath with blade remover
EP2511056A1 (de) Sicherheits-Messer
CN112617940B (zh) 一种可实施预压的吻合器及其控制方法
US20060185172A1 (en) Utility knife
KR101408860B1 (ko) 안전 커터 장치
US9981396B1 (en) Combination utility knife and box cut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42880B1 (ko) 절단기능을 갖는 롤 화장지 케이스
US20210237292A1 (en) Compact safety cutter
JP6392006B2 (ja) 皮膚切除具
JP6392005B2 (ja) 手持ち具
JP4522131B2 (ja) 隠蔽シート用カッター
JP2021061959A (ja) 穿刺器具
JP3079681U (ja) 安全装置付きカッターナイフ
KR102494436B1 (ko) 의료용 메스 유닛
KR20100008901U (ko)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