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351B1 -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351B1
KR101408351B1 KR1020120060251A KR20120060251A KR101408351B1 KR 101408351 B1 KR101408351 B1 KR 101408351B1 KR 1020120060251 A KR1020120060251 A KR 1020120060251A KR 20120060251 A KR20120060251 A KR 20120060251A KR 101408351 B1 KR101408351 B1 KR 10140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glass wool
insulating box
box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674A (ko
Inventor
임형근
조민호
현재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3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17C13/126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for large storage containers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은, 복수의 글래스 울(glass wool)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 울 고정부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복수의 공간부에 복수의 글래스 울을 삽입시키기 위해 단열박스를 턴 오버시키는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INSULATION BOX MANUFACTURING SYSTEM FOR CARGO CONTAIN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박스의 내부에 글래스 울(glass wool)을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포함된다.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눠지며, 독립탱크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IHI-SPB형으로 나눠진다.
GTT NO 96형의 저장탱크는, 0.5 ~ 1.5㎜ 두께의 인바(Invar) 강으로 이루어지는 1차 밀봉벽 및 2차 밀봉벽과, 플라이우드 박스(plywood box) 및 펄라이트(perlite) 등으로 이루어지는 1차 단열벽 및 2차 단열벽이, 선체의 내부표면 상에 번갈아 적층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GTT NO 96형의 경우, 1차 밀봉벽 및 2차 밀봉벽이 거의 같은 정도의 액밀성 및 강도를 갖고 있어 1차 밀봉벽의 누설시 상당한 기간 동안 2차 밀봉벽만으로도 화물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다.
GTT NO 96 타입의 단열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바 강(36% 니켈강)과 펄라이트 및 플라이우드로 제작된 단열박스가 2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플라이우드는 단열박스의 구조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박스의 내부에 펄라이트를 충진하여 사용했으나, 수요처에서 낮은 BOR(Boil Off Ratio)을 요구하면서 펄라이트 보다 단열성능이 좋은 단열재인 글래스 울(glass wool)을 박스의 내부에 설치하였다.
하지만 글래스 울의 경우 자재 취급이 어려워 글래스 울을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 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글래스 울을 하나씩 잡아서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관계로 작업 시간이 증가되어 작업 효율 및 생산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의 분할 구역 및 글래스 울의 요구 층수가 증가되는 경우 작업 시간이 현저히 증가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글래스 울을 단열박스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136431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1.12.2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글래스 울을 한 번에 설치하여 단열박스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글래스 울(glass wool)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 울 고정부; 및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상기 복수의 공간부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을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상기 단열박스를 턴 오버시키는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이 끼워 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글래스 울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과 같이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마련된 구동부; 상기 구동축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과 같이 회전되며 내부 영역에 상기 단열박스가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박스를 가압 홀딩하는 단열박스 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박스 홀딩부는,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며 상기 단열박스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 로드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박스를 가압 지지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단열박스를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로 이송시키는 단열박스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를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로 이송시키는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는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와 교차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 및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에 있어서,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상기 복수의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글래스 울을 준비하는 단계; 및 단열박스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박스를 홀딩한 후 상기 단열박스를 턴오버(turn over)시켜 상기 복수의 공간부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은 글래스 울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과 같이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단열박스는 단열박스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와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글래스 울을 한 번에 설치하여 단열박스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글래스 울의 설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에서 글래스 울 고정부에 복수의 글래스 울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에서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에서 글래스 울 고정부에 복수의 글래스 울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에서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1)은, 복수의 글래스 울(GW, glass wool)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S)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IB)의 복수의 공간부(S)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을 삽입시키기 위해 단열박스(IB)를 턴 오버시키는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와, 단열박스(IB)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시키는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와, 글래스 울(GW)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시키는 글래스 울 고정부(100)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글래스 울 고정부(100)는, 복수의 글래스 울(GW)을 한 번에 단열박스(IB)에 삽입시키기 위해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끼워 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글래스 울(GW)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글래스 울(GW)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박스(IB)에 마련된 복수의 공간부(S)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글래스 울 고정부(100)의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또는 "T"자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의 모서리를 잡아주도록 복수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박스(IB)의 이송 라인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단열박스(IB)를 턴 오버시켜 단열박스(IB)의 내부로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211)이 마련된 구동부(210)와, 구동축(211)에 마련되어 구동축(211)과 같이 회전되며 내부 영역에 단열박스(IB)가 배치되는 지지대(220)와, 지지대(220)에 마련되어 단열박스(IB)를 가압 홀딩하는 단열박스 홀딩부(230)를 포함한다.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의 구동부(210)는,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하며 구동모터와 구동축(211)의 기어 맞물림에 의해 구동축(21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있다. 즉 구동모터와 구동축(211)을 베벨 기어 형태의 기어 맞물림 또는 랙과 피니언 형태의 기어 맞물림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의 지지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구동축(211)에 연결되며,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220)와 구동축(211)은 구동축(211)의 외주면에 수 기어이를 마련하고, 지지대(220)의 내부에 구동축(211)의 수 기어이와 맞물리는 암 기어이를 마련하여 양자 간의 기어 맞물림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의 단열박스 홀딩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0)에 마련되며 단열박스(IB)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 로드(231a)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231)와, 실린더 로드(231a)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단열박스(IB)를 가압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232)를 포함한다.
또한 단열박스 홀딩부(230)는 실린더 로드(231a)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231a)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실린더 로드(231a)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실린더 로드(231a)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플레이트(233)와, 복수의 실린더 로드(231a) 사이에 복수의 실린더 로드(231a)와 등 간격으로 배치되며 일단부는 지지대(220)에 고정되고 타단부를 균형플레이트(233)를 관통하여 균형플레이트(233)의 좌우 이동(도 3을 기준)을 가이딩 하는 센터로드(234)를 더 포함한다.
단열박스 이송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단열박스(IB)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동력원에 의해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단열박스(IB)를 이송시키는 구동 이송부(310)와, 구동 이송부(310)에서 이송되는 단열박스(IB)의 이송 속도에 의해 회전되어 단열박스(IB)를 이송시키는 자연회전 이송부(320)를 포함한다.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의 구동 이송부(310)는, 일예로 구동모터와 이송축이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이송축이 구동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단열박스(IB)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의 자연회전 이송부(320)는, 전술한 구동 이송부(310)와 같이 구동모터와 같은 동력원이 아니라 이송되는 단열박스(IB)에 의해 이송축이 회전되어 단열박스(IB)를 이송시킨다. 일 예로 이송축의 양단부를 자연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단열박스 이송장치(300)를 구동 이송부(310)와 자연회전 이송부(320)로 분리함으로써 단열박스(IB)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을 삽입하는 작업을 하면서도 단열박스(IB)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단열박스 이송장치(300)를 구동 이송부(310)와 자연회전 이송부(320)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 이송부(310) 전체로 또는 자연회전 이송부(320) 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는,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의 구성이 그대로 채택될 수 있다.
즉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는 전술한 구동 이송부(310) 또는 자연회전 이송부(320)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고,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박스(IB)의 이송 방향과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 이송 방향간에 간섭이 생기지 않으므로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도면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1)의 사용 상태 즉 제작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S)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IB)의 복수의 공간부(S)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글래스 울(GW)을 준비(S100)한 후 복수의 글래스 울(GW)을 글래스 울 고정부(100)에 각각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단열박스(IB)는 단열박스 이송장치(300)에 의해, 복수의 울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는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에 의해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 이송시킨다.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는 이송된 단열박스(I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232)로 가압하여 홀딩한 후 글래스 울 고정부(100) 방향으로 턴 오버시켜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단열박스(IB)의 공간부(S)로 삽입되도록 한다(S200).
이때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100)도 복수의 글래스 울(GW)과 같이 이동시켜 복수의 글래스 울(G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박스(IB)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삽입되면 단열박스(IB)를 다시 단열박스 이송장치(300) 방향으로 턴 오버시킨 후 글래스 울 고정부(100)를 복수의 글래스 울(GW)로부터 분리한 후 단열박스(IB)를 단열박스 턴오버장치(200)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글래스 울 고정부(100)를 복수의 글래스 울(GW)로부터 분리한 후 복수의 글래스 울(GW)이 삽입된 단열박스(IB)를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로 턴 오버시킨 후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400)를 통해 이송시킬 수도 있다.
단열박스(IB)의 공간부(S)에 복수의 글래스 울(GW)의 삽입이 완료되면 개방된 단열박스(IB)의 일측부에 덮개를 결합시켜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글래스 울을 한 번에 설치하여 단열박스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글래스 울의 설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100 : 글래스 울 고정부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고정부재 200 : 단열박스 턴오버장치
210 : 구동부 220 : 지지대
230 : 단열박스 홀딩부 231 : 실린더
232 : 가압 플레이트 233 : 균형플레이트
234 : 센터로드 300 : 단열박스 이송장치
310 : 구동 이송부 320 : 자연회전 이송부
400 :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 GW : 글래스 울
IB : 단열박스 S : 공간부

Claims (14)

  1. 복수의 글래스 울(glass wool)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 울 고정부; 및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상기 복수의 공간부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을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단열박스를 턴 오버시키는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이 끼워 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글래스 울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과 같이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마련된 구동부;
    상기 구동축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과 같이 회전되며 내부 영역에 상기 단열박스가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박스를 가압 홀딩하는 단열박스 홀딩부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열박스 홀딩부는,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며 상기 단열박스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 로드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박스를 가압 지지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박스를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로 이송시키는 단열박스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이 고정된 글래스 울 고정부를 상기 단열박스 턴오버장치로 이송시키는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는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와 교차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 및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11.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에 있어서,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상기 복수의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글래스 울을 준비하는 단계; 및
    단열박스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박스를 홀딩한 후 상기 단열박스를 턴오버(turn over)시켜 상기 복수의 공간부에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은 글래스 울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과 같이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글래스 울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는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단열박스는 단열박스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울 고정부 이송장치와 상기 단열박스 이송장치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방법.
KR1020120060251A 2012-06-05 2012-06-05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KR10140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51A KR101408351B1 (ko) 2012-06-05 2012-06-05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51A KR101408351B1 (ko) 2012-06-05 2012-06-05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74A KR20130136674A (ko) 2013-12-13
KR101408351B1 true KR101408351B1 (ko) 2014-06-17

Family

ID=4998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251A KR101408351B1 (ko) 2012-06-05 2012-06-05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033B1 (ko) * 2013-08-16 2014-11-1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단열재 적입장치
KR200486845Y1 (ko) * 2013-12-26 2018-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상판 가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400A (ja) * 1991-02-19 1992-09-22 Komatsu Ltd 壁材ハンドリング機
JPH08259193A (ja) * 1995-03-27 1996-10-08 Toshiba Corp カセット搬送装置
KR20040022733A (ko) * 2002-09-05 2004-03-18 김수환 회전기능이 구비된 중량물 운반장치
KR20090108922A (ko) * 2008-04-14 2009-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엔지선용 세컨드리 단열박스 턴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400A (ja) * 1991-02-19 1992-09-22 Komatsu Ltd 壁材ハンドリング機
JPH08259193A (ja) * 1995-03-27 1996-10-08 Toshiba Corp カセット搬送装置
KR20040022733A (ko) * 2002-09-05 2004-03-18 김수환 회전기능이 구비된 중량물 운반장치
KR20090108922A (ko) * 2008-04-14 2009-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엔지선용 세컨드리 단열박스 턴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74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7266B (zh) 集成到支撑结构上的密封和绝热的储罐
KR101408356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장치
JP6545299B2 (ja) 密封断熱タンク用のガスドーム構造
KR200457879Y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CN109630879B (zh) 安装用于密封且隔热的储罐的锚固装置的方法
KR20130046642A (ko) Lng 화물창
JP2021513633A (ja) 液化ガスを貯蔵及び輸送するための設備
KR20130113134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KR101408351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3950A (ko) 리퀴드 돔 체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박스 고정방법
KR20100037181A (ko) Lng 저장탱크용 단열박스
KR20140087711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너클형 지지부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단열박스의 지지 방법, 및 가압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 구조
KR101167150B1 (ko) Lng 운반선 화물창의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10138174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
KR2011013088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박스
KR101433101B1 (ko) Lng 화물창의 단열 구조물
KR20140084831A (ko) Lng 운송용 컨테이너형 저장용기 및 저장방법
KR101022408B1 (ko)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복수의 저장탱크를 구비한 해상 구조물 및 상기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
KR20210082679A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및 상기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회수 방법
KR10112510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50045765A (ko)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200486845Y1 (ko) 단열박스의 상판 가압장치
KR20120031043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1738561B1 (ko) 멤브레인 패널 운반 시스템
KR20170034548A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및 그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