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27B1 -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 Google Patents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127B1 KR101408127B1 KR1020130118421A KR20130118421A KR101408127B1 KR 101408127 B1 KR101408127 B1 KR 101408127B1 KR 1020130118421 A KR1020130118421 A KR 1020130118421A KR 20130118421 A KR20130118421 A KR 20130118421A KR 101408127 B1 KR101408127 B1 KR 101408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plate
- panel
- external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외측판과 내측판이 결합되고, 그 사이의 공간부에 방화보드가 구비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니므로 화재에도 변형되지 않고 내화력을 강화시킨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and a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mposite fire-retardant panel having a double-plate structure, which is combined with an outer plate and an inner plate, and has a fire-resistant boar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and inner plates.
건축물의 내부에 사용되는 마감재 및 내장재는 불연, 난연 자재를 사용하도록 건축 및 각종 소방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불연, 난연 자재들은 화재에도 1 ~ 2 시간 이상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The finishing materials and interior materials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s are specified in the construction and various fir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o use fire-retardant and flame-retardant materials. At this time, the nonflammable and flame retardant materials should be manufactured to withstand a fire for 1 to 2 hours or more.
따라서, 방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종래 건축물의 내부에는 강판에 석고보드를 부착한 형태의 패널인 S.G.P(Steel Gypsum board Panel)가 널리 사용되었다.Therefore, a steel gypsum board panel (SGP), which is a panel having a gypsum board attached to a steel plate,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fire prevention.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S.G.P는 고온에서 300도 이상이 되면, 본드에 의해 접착되어진 강판과 석고보드의 탈착 현상이 일어나고, 석고가 분쇄되었으며, 800도 이상이 되면, 패널 자체가 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GP is heated to 300 degrees or more at a high temperature, the steel plate and the gypsum board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bond are detached and the gypsum is crushed,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800 degrees, the panel itself is bent .
즉, 종래의 S.G.P는 고온에 의해 본드의 접착력이 약해지면, 석고보드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었으며, 이는 곧 패널의 손상으로 이어졌다. That is, the conventional S.G.P. could not maintain the shape of the gypsum board wh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ond was weakened by the high temperature, resulting in damage of the panel.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S.G.P를 다수 개 겹쳐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곧 시공의 복잡함을 유발하여 공기의 지연과 비경제성을 야기하였고,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각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Neverthel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fire protection,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GPs were installed in a stacked manner, which resulted in complicated construction, resulting in air delay and inefficiency, There was a problem,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was not visually beautiful.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99597호 '내화 칸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공개된 바 있다.Korean Prior Art No. 10-0899597 discloses a fireproof parti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as a prior art.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내화 칸막이를 구성하는 강판과 석고보드의 패널을 새로이 구성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방화 석고보드를 부가하여 배치한 것에 불과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not be overcome, merely by disposing a fireproof gypsum board in addition to the steel panel and the gypsum board constituting the refractory part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온에도 방화 석고보드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패널의 손상이 야기되지 않아 패널을 복수 개 겹치지 않더라도, 화재시 1 ~ 2 시간 이상 내화 구조 성능이 유지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경제적이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proof gypsum board which can maintain the shape of fireproof gypsum boards even at high temperatur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sually excellent panel which can shorten air, economical efficiency, space utilization, and can be maintained for a time or more.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은 외측판(100)에 방화보드(200)가 구비되어진 방화 패널(P)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1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면부(110)가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ㄷ'자로 애워싸인 공간부(120)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외측면부(110)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플랜지(1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한 쌍의 외측면부(110)의 상, 하단에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20)를 애워싸고, 상기 공간부(120)의 개방면을 덮도록 금속판재(S)로 형성되어진 내측판(30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내측판(3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내측면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면부(110)의 내측에서 고정핀(F)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한 쌍의 내측면부(310)의 상, 하단에 내측상면부(330)와 내측하면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 내측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과 상기 방화보드(200)가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니고, 상기 방화보드(2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 상기 방화보드(200)가 분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retardant panel (P) having a fire retardant board (200) in an outer panel (100), wherein the outer panel (100) A pair of
삭제delete
또한, 상기 내측판(300)의 외측으로 한 쌍의 내측플랜지(320)가 형성되어 외측판(100)의 외측플랜지부(130)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또한,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은 색상을 지니도록 도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삭제dele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스터드(ST)와 방화 패널(P)을 이용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ST)들 사이에 방화 패널(P)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폭방향으로 인접한 방화 패널(P)과 외측플랜지(130)가 상호 중첩되어 상기 스터드(ST)에 고정구를 매개로 결속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bined fire-fight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using the plurality of studs ST and the fire panel P, the fire panel P is provided between the studs ST Wherein the fire panel P is coupled to the stud ST via a fastener by overlapping the fire panel P and the
또한, 상기 스터드(ST)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방화 패널(P)이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fire panel P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ST as a reference to form a double structure.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ST) 사이에 제2 스터드(ST')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터드(ST')들 사이에 상기 방화 패널(P)이 추가적으로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 second stud S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uds ST so that the fire panel P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second studs ST' to form a dual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따르면, 외측판과 내측판이 결합되고, 그 사이의 공간부에 방화보드가 구비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니므로 고온에도 방화보드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omposite fire-fighting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are combined and the fire plate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외측판과 내측판이 고정핀으로 결합되어지는바 고온의 화재에도 패널의 손상이 야기되지 않아 패널을 복수 개 겹치지 않더라도, 화재시 1 ~ 2 시간 이상 내화 구조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are coupled with the fixing pin, the panel is not damaged even in a high-temperature fire, so that the fireproof structur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or 1 to 2 hours or more even when a plurality of panels are not overlapped .
뿐만 아니라 외측상면부, 외측하면부 및 내측상면부, 내측하면부의 구성이 방화보드를 애워싸는바, 단부에 의하여 방화보드가 분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upper surface portion, the outer lower surface portion,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inner lower surface portion can prevent the fire board from being crushed by the end portions of the fire board.
이로써, 패널의 수량이 줄어드는바, 스터드와 결속함에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보다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As a result, when the number of the panels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volume 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in connection with the studs, and there is a more economical advantage.
또한, 줄어든 부피에 대응되는 만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as much as it corresponds to a reduced volume.
그리고 외측판 또는 내측판은 색상을 지니도록 폴리에스테르로 도포되어지는바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And the outer plate or the inner plate is coated with polyester so as to have a hue, so that a visually excellent panel can be provided.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화 패널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의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or art fire panel;
Figures 2a-2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s of various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bined fire-extinguish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posite fire-proof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bined fire-extinguish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의 S.G.P 방화 패널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 패널은 석고보드의 일면에만 강판이 부착되어 고온이 되면, 본드에 의해 접착되어진 강판과 석고보드의 탈착 현상이 일어나고, 석고가 분쇄되었으며, 800도 이상이 되면, 패널 자체가 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or art SGP fire panel.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a steel sheet is attached to only one side of a gypsum board as shown in FIG. 1, the steel plate and gypsum board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bond are detached, the gypsum is crus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nel itself is warped.
따라서 방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화 패널을 다수 개 겹쳐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곧 시공의 복잡함을 유발하여 공기의 지연과 비경제성을 야기하였고,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각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fire prevention, a plurality of conventional fire panels are installed in a stacked manner. This causes construction complexity, resulting in air delay and inefficiency,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was not visually beautiful.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P)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100)에 방화보드(200)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진다.The functional combined fire extinguishing panel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med with the
이때, 상기 외측판(1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면부(110)가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ㄷ'자로 애워싸인 공간부(120)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외측면부(110)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플랜지(130)가 형성되어진다.At this time, in the
상기 외측판(10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나,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외측면부(110)와 외측플랜지(130)는 내측판(300)과의 결합에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여 긴결한 이중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측플랜지(130)는 인접한 방화 패널(P)과의 결속 및 스터드(ST)와의 결속을 매개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방화보드(200)는 석고보드, 이열보드 또는 질석보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나, 석고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의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The
한편, 상기 공간부(120)의 개방면을 덮도록 금속판재(S)로 형성되어진 내측판(30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과 상기 방화보드(200)가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닌다.An
즉, 외측판(100)과 내측판(300)이 결합되고, 그 사이의 공간부(120)에 방화보드(200)가 구비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니므로 고온에도 방화보드(20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또한, 고온의 화재에도 방화 패널(P)의 손상이 야기되지 않아 방화 패널(P)을 복수 개 겹치지 않더라도, 화재시 1 ~ 2 시간 이상 내화 구조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 panel P is not damaged even in a high temperature fire, the fireproof structur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or 1 to 2 hours or more even if a plurality of fire panels P are not overlapped.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판(3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내측면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면부(110)의 내측에서 고정핀(F)에 의하여 결합되어질 수 있다.2B, the
상기 내측면부(310)와 외측면부(110)가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고정핀(F)으로 결합되므로 이중판 구조의 긴결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고온의 화재에도 방화 패널(P)의 손상이 야기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inner
이때, 상기 내측판(300)의 내측면부(310)의 길이는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면부(110)의 길이보다 외측판(100)의 두께 이상으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length of the
이는 외측판(100)의 내측에 내측판(300)이 삽입되더라도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동일한 길이가 되면, 상기 외측판(100)의 두께 만큼 내측판(300)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 해지기 때문이다.This prevents the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판(300)의 외측으로 한 쌍의 내측플랜지(320)가 형성되어 외측판(100)의 외측플랜지부(130)와 결합되어질 수 있다.2C, a pair of
즉, 외측플랜지(130)와 내측플랜지(320)가 결속수단에 의하여 스터드(ST)에 결속되어지는 바, 이중판 결속의 긴결성과 구조체의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한편,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은 색상을 지니도록 폴리에스테르로 도포되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이로써,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P)을 제공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visually excellent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P).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100)의 한 쌍의 외측면부(110)의 상, 하단에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20)를 애워싸고, 상기 내측판(300)의 한 쌍의 내측면부(310)의 상, 하단에 내측상면부(330)와 내측하면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 내측에 구비되어질 수 있다.4, the outer
즉, 상기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의 구성을 통하여 방화 패널(P)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고온의 열에 의하여 방화보드(200)가 분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d portion of the fire panel P from being expos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또한, 상기 내측판(300)에 내측상면부(330)와 내측하면부(340)의 구성이 부가되어 상기 단부의 노출에 의한 방화보드(200)의 분쇄를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 방화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using the functional combined fire-extinguish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스터드(ST)와 방화 패널(P)을 이용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ST)들 사이에 방화 패널(P)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폭방향으로 인접한 방화 패널(P)과 외측플랜지(130)가 상호 중첩되어 상기 스터드(ST)에 고정구를 매개로 결속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한다.Specifically, in a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studs ST and a fire panel P, a fire panel P is provided between the studs ST, The panel P and the
상기 스터드(ST)는 방화 패널(P)을 결속하기 위한 구조적 지지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상기 방화 패널(P)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하고, 이 사에 방화 패널(P)을 구비하여 고정구를 매개로 결속하게 된다.The studs ST function as structural support means for binding the fire panels P and are arranged at a distanc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e panels P and are provided with fire panels P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스터드(ST)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방화 패널(P)이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내화 기능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fire panel P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ST as a reference to form a double structure. The refractory fun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ST) 사이에 제2 스터드(ST')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터드(ST')들 사이에 상기 방화 패널(P)이 추가적으로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B, a second stud S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uds ST, so that the fire panel P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second studs ST' A double structure can be formed.
상기 제2 스터드(ST')에 방화 패널(P)을 결속하는 방식은 동일하며, 다만, 방향이 대향하도록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of binding the fire panel P to the second stud ST 'is the sam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proof panel P is bound so that the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즉, 도 5b와 같이 방화 패널이 엇갈리도록 배치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화재에 취약할 수 있는 스터드(ST)와 외측플랜지(130)의 결합부를 일측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5B, the joint between the stud ST and the
이로써, 보다 증진된 내화 기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ect a more refined refractory function.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는 걸레받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baseboard at the lower end.
상기 실시예는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방화패널만 형성하거나 복수 개를 겹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s much as possible. In some cases, only one fire panel may be formed or a plurality of the fire panels may be stacked.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P:방화 패널 F:고정핀
ST:스터드 ST':제2 스터드
100:외측판 110:외측면부
120:공간부 130:외측플랜지
140:외측상면부 150:외측하면부
200:방화보드 300:내측판
310:내측면부 320:내측플랜지
330:내측상면부 340:내측하면부P: Fire panel F: Fixing pin
ST: Stud ST ': Second stud
100: outer plate 110: outer side surface
120: space portion 130: outer flange
140: outer upper surface portion 150: outer lower surface portion
200: fire board 300: inner plate
310: inner side portion 320: inner flange
330: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40: inner lower surface portion
Claims (8)
상기 외측판(1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면부(110)가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ㄷ'자로 애워싸인 공간부(120)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외측면부(110)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외측플랜지(1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한 쌍의 외측면부(110)의 상, 하단에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20)를 애워싸고, 상기 공간부(120)의 개방면을 덮도록 금속판재(S)로 형성되어진 내측판(30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내측판(300)은 금속판재(S)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한 쌍의 내측면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면부(110)의 내측에서 고정핀(F)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한 쌍의 내측면부(310)의 상, 하단에 내측상면부(330)와 내측하면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판(100)의 외측상면부(140)와 외측하면부(150) 내측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과 상기 방화보드(200)가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중판 구조를 지니고, 상기 방화보드(2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 상기 방화보드(200)가 분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In the fire panel (P) provided with the fire board (200) in the outer plate (100)
The outer plate 100 is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S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form a pair of outer side portions 110 and a space portion 120 surrounded by a U-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10 is vertically bent outward to form a pair of outer flanges 130.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40 and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50 The inner plate 300 is coupled with the inner plate 300 formed of a metal plate S so as to cover the space 120 and cover the opening of the space 120,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S are vertically bent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a pair of inner side portions 310 are formed and fixed by the fixing pins F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ide portion 110 of the outer side plate 100 An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30 and an inner lower surface portion 340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inner side portions 310, The adhesive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outer side plate 100 or the inner side plate 300 and the fire board 200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double plate structure. And prevents the fire board (200) from being exposed, thereby preventing the fire board (200) from being crushed during a fire.
상기 내측판(300)의 외측으로 한 쌍의 내측플랜지(320)가 형성되어 외측판(100)의 외측플랜지부(130)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inner flanges (320)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plate (300) and joined to the outer flange (130) of the outer plate (100).
상기 외측판(100) 또는 내측판(300)은 색상을 지니도록 도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anel (100) or the inner panel (300) is coated to have a color.
상기 스터드(ST)들 사이에 방화 패널(P)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폭방향으로 인접한 방화 패널(P)과 외측플랜지(130)가 상호 중첩되어 상기 스터드(ST)에 고정구를 매개로 결속되어지되, 상기 방화 패널(P)은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의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한 구조체.
In a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studs (ST) and a fire panel (P)
The fire panel P is provided between the studs ST and the fire panel P adjacent to the fire panel P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uter flange 13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eproof panel (P) comprises the functional composite fire retardant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wherein the fire retardant panel (P)
상기 스터드(ST)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방화 패널(P)이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eproof panel (P) is joined to both sides with the stud (ST) as a reference to form a dual structure.
상기 복수 개의 스터드(ST) 사이에 제2 스터드(ST')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터드(ST')들 사이에 상기 방화 패널(P)이 추가적으로 결속되어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 방화 패널을 이용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econd stud S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uds ST so that the fire panel P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second studs ST' to form a double structure. Structures using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421A KR101408127B1 (en) | 2013-10-04 | 2013-10-04 |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421A KR101408127B1 (en) | 2013-10-04 | 2013-10-04 |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8127B1 true KR101408127B1 (en) | 2014-06-19 |
Family
ID=5113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421A KR101408127B1 (en) | 2013-10-04 | 2013-10-04 |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812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860B1 (en) * | 2015-05-12 | 2016-02-02 |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 Fireproof parti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935251B1 (en) * | 2016-12-19 | 2019-01-04 | 디판 주식회사 | Moulding structure of the partition panels |
CN113787814A (en) * | 2021-09-28 | 2021-12-14 | 江苏晶雪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 Double-crawler-belt serial production line and process for special fireproof composite board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6092B1 (en) * | 2006-04-19 | 2007-03-19 | 문건현 | Prefabricated panel made of the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
KR100979376B1 (en) * | 2010-04-16 | 2010-08-31 | 조희범 | Construction functional complex panel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421A patent/KR10140812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6092B1 (en) * | 2006-04-19 | 2007-03-19 | 문건현 | Prefabricated panel made of the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
KR100979376B1 (en) * | 2010-04-16 | 2010-08-31 | 조희범 | Construction functional complex pane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860B1 (en) * | 2015-05-12 | 2016-02-02 |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 Fireproof parti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935251B1 (en) * | 2016-12-19 | 2019-01-04 | 디판 주식회사 | Moulding structure of the partition panels |
CN113787814A (en) * | 2021-09-28 | 2021-12-14 | 江苏晶雪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 Double-crawler-belt serial production line and process for special fireproof composite boar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8127B1 (en) | Functional Composite Fire Panel And The Structure Using it | |
KR100701614B1 (en) | Fire-resistant prefabricat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839310B1 (en) | Material for blocking heat conduction and a fire door | |
KR101398423B1 (en) | Anti-fire door using nonflammable panel with anti-twisting | |
JP5721383B2 (en) | Fireproof panel connection structure | |
EP2931991B1 (en) | Fire resistant structure | |
KR200420037Y1 (en) | Sandwich Panel with Fire Barrier Board | |
KR20160109746A (en) | A fireproof-door with fire-resistance intumescent sheet | |
KR20110008750U (en) | Fire door | |
KR200430159Y1 (en) | Plasterboard composite panel | |
KR102219234B1 (en) | Fire door with reinforcement | |
SE540012C2 (en) | Fitting for a sandwich panel wall and a system of such fittings | |
JP5914437B2 (en) | Exterior wall unit and building | |
KR101007757B1 (en) | Slim panel for multi-adiabatic effect | |
JP2021008712A (en) | Fire-resistant coating structure for wall composed of heat insulating panel, and heat insulating panel fire-resistant coating body | |
ES2699530T3 (en) | Firewall device | |
JP7273553B2 (en) | Building panel, building panel unit, mounting structure of building panel | |
KR102549727B1 (en) | Fire Door Equipped with Flame and Heat Blocking Structure | |
JP2020180447A (en) | Opening/closing body for fire door | |
KR102604661B1 (en) | The panel assembly member for the fire diffusion prevention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3153914U (en) | Siding panel | |
JP2013213329A (en) | Fireproofing protection structure for steel frame column | |
JP7498590B2 (en) | Panel unit | |
KR200432597Y1 (en) | A fire resistant panel | |
KR200387941Y1 (en) | Prefabricated panel for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