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066B1 -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066B1
KR101408066B1 KR1020120027937A KR20120027937A KR101408066B1 KR 101408066 B1 KR101408066 B1 KR 101408066B1 KR 1020120027937 A KR1020120027937 A KR 1020120027937A KR 20120027937 A KR20120027937 A KR 20120027937A KR 101408066 B1 KR101408066 B1 KR 10140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tube
cable
cable duct
open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211A (ko
Inventor
이세환
박근수
신상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2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06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34Protection against overheating or radiation, e.g. heat shields; Additional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형 케이블덕트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영역이 연소관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외관을 구성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면이 상기 연소관과 접촉하고,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덕트가 상기 연소관에 고정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케이블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CORE TYPE CABLE DUCT AND MISSILE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UFACTURING OF THE CORE TYPE CABLE DUCT}
본 발명은 유도탄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적치할 수 있는 케이블덕트에관한 것이다.
최근의 로켓과 유도탄과 같은 비행체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운용개념도 고속, 고기동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고기동의 운용 하에서는 공력가열로 인한 기체 및 부착구조물의 온도상승 문제와 고기동 충격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건전성이 이슈가 된다. 이러한 공력가열로부터 기체 및 케이블덕트와 같은 부착구조물을 보호하고 내부 구조물이나 탄내 케이블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외부 단열 코팅이나 내열 복합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무기 기체 및 케이블덕트는 비행 시 기체에 작용하는 동적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하며 동시에 공력가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적절하게 차단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유도무기 기체 및 케이블덕트는 내열재를 주로 사용하며 동적하중에 의한 파손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야한다.
일반적으로 유도탄용 케이블덕트는 중앙장치부 동체내의 지령신호를 탄내 케이블을 통하여 후방 구동장치부 동체내의 케이블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케이블덕트 연소관 상부에 장착되며 위와 같은 케이블을 공력가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덕트의 부착은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하단부가 만나는 부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브라켓을 이용하여 볼트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기존의 케이블덕트는 하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의 변형에 의한 조립성이 떨어지고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하단부 접착부 면적이 적어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구성이 강화된 케이블덕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덕트는 바디부, 수납부 및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소관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외관을 구성하는 제2 면을 구비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소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면에 상기 볼트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관으로부터 돌출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관의 일면과 접착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영역에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연소관의 일면과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상기 연소관의 일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디부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은 유도탄 본체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소관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외관을 구성하는 제2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관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전방개구부, 중앙개구부 및 후방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개구부, 중앙개구부 및 후방개구부는 각각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덕트의 제조장치는 연소관의 외면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제1 금형, 상기 제1 금형과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금형 및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블의 수납부를 형성하는 코어금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덕트는 케이블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변화로부터 케이블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관에 설치하기 위한 상기 연소관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케이블덕트를 상기 연소관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덕트와 연소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단면도.
도 3은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분해도.
도 4는 케이블덕트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덕트와 연소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연소관과 케이블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덕트(100)는 연소관(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일반적으로 상기 연소관(10)은 상기 유도탄의 외면에 장착된다. 상기 유도탄의 외면으로부터 케이블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븍 턱트(100)는 상기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덕트(100)는 상기 유도탄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덕트(100)는 상기 연소관(10)이 연장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1)의 내부에는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101)에 수납되어 외부의 공력가열 및 온도상승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케이블덕트(100)의 외주면은 상기 연소관(10)과 접하는 제1 면(101a),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면(101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면(101a)는 상기 연소관(10)의 외면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면(101a)이 굴절된 정도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이 굴절된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101a)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덕트(100)와 상기 연소관(10)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면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덕트(100)와 상기 연소관(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1)가 상기 연소관(10)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케이블의 파손이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 면(101a) 상에 접착부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03)은 상기 제1 면(101a)과 상기 연소관(10)의 표면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접착부재(103)는 실리카계열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03)에 의하여 상기 연소관(10)과 상기 케이블덕트(10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은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경사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영역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앙영역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영역은 상기 외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면의 굴절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영역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경사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영역은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상기 연소관(10)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중앙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덕트(100)의 바디부(101)의 양측은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영역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덕트(100)에 발생하는 공력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덕트(100)는 상기 바디부(101)와 상기 연소관(1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101)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관(10)과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브라켓(11)과 볼트(102)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11)은 상기 제2 면(101b)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11)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트(102)는 상기 제2 면(101b)을 관통하고 상기 수납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11)과 결합된다. 상기 볼트(102)는 상기 케이블덕트(100)에 미치는 공기 저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접시머리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10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면(101b)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102)와 상기 제2 면(101b)이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소관(10)에 인접한 상기 바디부(101)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블의 수납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소관(10)은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소관의 중앙부, 전방부, 후방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연소관(10)의 홀과 연통되어 상기 연소관(10)에서 돌출되는 케이블이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덕트(100)는 내부에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수납부(11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소관(1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하여 상기 연소관(10)에 상기 케이블덕트(100)의 바디부(101)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1)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는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수납부(110)를 포함하는 케이블덕트(100)의 바디부(101)를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케이블덕트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조장치는 제1 금형(210), 제2 금형(220) 및 코어금형(2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블덕트(100)의 바디부(101)는 상기 제1 및 제2 금형(210, 220) 및 코어금형(230)에 의하여 사출성형된다.
상기 제1 금형(210)은 상기 바디부(101)의 제2 면(101b)를 형성한다.즉, 상기 제1 금형(210)은 중앙영역과 경사영역에 대응하는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금형(210)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코어금형(230)과 접하여 상기 볼트(102)가 관통하도록 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금형(220)는 상기 제1 면(101a)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금형(220)은 상기 연소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금형(230)은 상기 제1 및 제2 금형(210, 2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코어금형(230)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금형(230)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31)은 상기 제2 금형(220)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금형(230)의 일 단부에 손잡이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32)는 상기 코어금형(23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는 중앙금형(230)에 의하여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덕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연소관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외관을 구성하는 제2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제1 및 제2 면 및 상기 연소관의 외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연소관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에, 상기 볼트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2 면의 외부로부터 상기 함몰부에 끼워져 상기 제2 면을 관통하고, 상기 수납부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를 상기 연소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으로부터 돌출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의 일면과 접착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영역에 접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연소관의 일면과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상기 연소관의 일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
  8. 유도탄 본체; 및
    상기 유도탄 본체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유도탄용 케이블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전방개구부, 중앙개구부 및 후방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개구부, 중앙개구부 및 후방개구부는 각각 상기 수납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10. 삭제
KR1020120027937A 2012-03-19 2012-03-19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KR10140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37A KR101408066B1 (ko) 2012-03-19 2012-03-19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37A KR101408066B1 (ko) 2012-03-19 2012-03-19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11A KR20130106211A (ko) 2013-09-27
KR101408066B1 true KR101408066B1 (ko) 2014-06-18

Family

ID=4945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37A KR101408066B1 (ko) 2012-03-19 2012-03-19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49B1 (ko) 2014-11-12 2016-02-16 국방과학연구소 고속 비행체용 케이블 덕트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CN104406468B (zh) * 2014-11-21 2016-01-06 中国空空导弹研究院 一种导弹及其发动机舱段弹体
CN104406467B (zh) * 2014-11-21 2016-01-06 中国空空导弹研究院 一种导弹及其电缆整流罩和发动机舱段弹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6034A (en) 1991-02-28 1992-04-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vice and process for attachment of parts to rocket motors
US5564649A (en) 1994-04-27 1996-10-15 Daimler-Benz Aerospace Ag Apparatus for the remote control of missiles or torpedoes
US6343954B1 (en) * 2000-06-14 2002-02-05 Raytheon Company Integral missile harness-fairing assembly
KR200321651Y1 (ko) * 2003-04-30 2003-07-31 김기석 전선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6034A (en) 1991-02-28 1992-04-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vice and process for attachment of parts to rocket motors
US5564649A (en) 1994-04-27 1996-10-15 Daimler-Benz Aerospace Ag Apparatus for the remote control of missiles or torpedoes
US6343954B1 (en) * 2000-06-14 2002-02-05 Raytheon Company Integral missile harness-fairing assembly
KR200321651Y1 (ko) * 2003-04-30 2003-07-31 김기석 전선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11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066B1 (ko) 코어형 케이블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과 코어형 케이블덕트의 제조방법
CN107405988A (zh) 机动车辆
CN109449591B (zh) 主被动雷达导引头天线罩及飞行器
US11696610B2 (en) Protective helmet
CN102156277A (zh) 倒车雷达传感器组件
US20200383418A9 (en) Protective helmet with an antenna
WO2008136136A1 (ja) 車両用フード構造
CN103847681A (zh) 外部安全气囊装置
KR20190124636A (ko) 내연 기관 및 그 제조 방법
CN105987177B (zh) 轴弹簧
JP2016207358A (ja) グロメット
JP5282408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20080036882A (ko) 범퍼 센서 결합 장치
JP4815165B2 (ja) 車両連結部用外幌構造
CN202756098U (zh) 降噪隔热式柴油机顶罩
KR100785062B1 (ko) 노즐이 구비된 차량용 스포일러 및 그 제조방법
EP2055920A2 (en) Gap blocking mechanism
JP2018080590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KR101771007B1 (ko) 열분해 성능이 향상된 엔진룸 언더커버
KR101426231B1 (ko) 블로어 성형 공법을 이용한 차량용 언더커버
JP2004169637A (ja) エンジンの燃料系統保護装置
KR101450609B1 (ko) 스페어 타이어 휠 웰 하부 언더커버 구조
KR101724726B1 (ko) 차량 마운팅 부품용 진동 절연 장치
KR101594449B1 (ko) 고속 비행체용 케이블 덕트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CN218816612U (zh) 一种汽车消音器用防撞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