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530B1 -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 Google Patents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530B1
KR101407530B1 KR1020120126728A KR20120126728A KR101407530B1 KR 101407530 B1 KR101407530 B1 KR 101407530B1 KR 1020120126728 A KR1020120126728 A KR 1020120126728A KR 20120126728 A KR20120126728 A KR 20120126728A KR 101407530 B1 KR101407530 B1 KR 10140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machining
mounting holder
finishing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077A (ko
Inventor
심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산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산정공
Priority to KR102012012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3/00Broaching tools
    • B23D43/02Broaching tools for cutt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9/00Accessories for 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부재의 전면부에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부채꼴 형상의 가공날이 축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개방부(13) 및 상기 본체(11)의 축 방향 단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부(10); 및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 배출홈(32)이 형성된 복수의 곡면 가공날(31)을 구비하는 곡면 가공부(30)와,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용접 돌기(4)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형성홈(42)과 칩 배출홈(43)을 구비하는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로 이루어지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 및, 마운팅홀더(2)의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홈(5)을 형성하는 상부 절취부(53)와 측부 절취부(54)를 구비하여 상기 용접 돌기(4)와 홈(5)을 마무리 가공하는 마감 가공날(51)을 구비하는 마감 가공부(50)로 구성되는 가공날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곡면 및 돌기 형성날 및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로,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용접 돌기와 홈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시 브로치 커터의 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휨을 방지하여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와 홈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 가공시 커터가 받는 가공 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구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CURVED SURFACE BROACH CUTTER FOR MANUFACTURING MOUNTING HOLDER}
본 발명은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고 상기 곡면 가공면에 용접 돌기와 홈을 함께 형성함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곡면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형성날 및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로,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용접 돌기와 홈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마운팅홀더의 가공시 브로치 커터의 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휨을 방지하여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가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도록 하며,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 가공시 커터가 받는 가공 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구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운팅홀더의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 절감과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최소화를 위해 자동차 연료분사장치의 성능이 점점 고성능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가솔린을 직접분사하여 자동차를 구동하는 직접분사 방식의 연료분사장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통 흡기 다기관 내에 존재하는 인젝터를 연소실 내부로 옮겨 보다 고압으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고압으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한 부품인 자동차의 휠라에는 다수개의 마운팅홀더(1)를 각각 브레이징 용접방식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마운팅홀더(1)의 가공방법에 의하면, 마운팅홀더(1)의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동시에 가공할 수 없어, 위 마운팅홀더(1)를 선반 등의 공작기계에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각각 별개의 공정으로 분리하여 가공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각종 가공 대상물의 곡면가공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618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2042호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618호의『튜브시트의 홀 가공에 사용되는 푸시형 브로치』는, 상부가 브로칭 머신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단부와,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기가 작아지면서, 가공 대상물의 굴곡형 고정공과 모양이 비슷하게 형성된 다수의 날이 차례로 배열된 가공날로 구성되는 튜브시트의 홀 가공에 사용되는 푸시형 브로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시트의 홀 가공에 사용되는 푸시형 브로치는 다양한 모양의 굴곡형 고정공을 공구를 교환하지 아니하고 가공 위치를 변경하면서 반복적으로 굴곡형 고정공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위 튜브시트의 홀 가공에 사용되는 푸시형 브로치는 브로치의 단부가 일측만 고정되는 구조이어서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가공저항에 따라 브로치가 축방향에서 휨이 발생하여 정밀한 가공이 곤란하고 브로치 날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초래하며, 가공 대상물에 드릴링 및 리머 등의 가공이 먼저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가공 대상물의 굴곡형 고정공을 가공할 수 없으며, 굴곡형 고정공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가공된 굴곡형 고정공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대한 지름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게 되고, 상측부에 굴곡형 고정공을 마무리 가공하는 날을 구비하지 아니하여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2042호의『브로치 커터의 연마장치』는, 도 1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기가 작아지면서 지름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된 브로치 커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브로치 커터의 연마장치에서 제조되는 브로치 커터는 브로치 커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켜 원하는 지름으로 가공 대상물의 홀 가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위 브로치 커터의 연마장치에서 제조되는 브로치 커터는, 돌기를 가공하기 위한 구성을 결여하고 있어 원형의 홀만을 가공할 수 있고, 브로치 날이 단순히 상부측에서 하측으로 그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굴곡형 고정공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가공된 굴곡형 고정공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대한 지름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게 되며, 가공과정에서 가공저항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가공 날이 없어 가공시 발생되는 가공저항에 의해 커터 날이 조기에 마모되면서 파손되게 되고, 특히 가공이 완료되는 상측부에 가공저항을 적게 받게 하면서 마무리 가공을 하도록 하는 마무리 가공 날을 결여하고 있어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618호의『튜브시트의 홀 가공에 사용되는 푸시형 브로치』(공고일자 ; 2004. 08. 10.)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2042호의『브로치 커터의 연마장치』(공개일자 : 2008. 01. 0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고 상기 곡면 가공면에 용접 돌기와 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곡면 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형성날 및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로,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용접 돌기와 홈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마운팅홀더의 가공시 브로치 커터의 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휨을 방지하여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 가공시 커터가 받는 가공 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구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을 1회의 가공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부재의 전면부에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부채꼴 형상의 가공날이 축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개방부 및 상기 본체의 축 방향 단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 배출홈이 형성된 복수의 곡면 가공날을 구비하는 곡면 가공부와,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용접 돌기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형성홈과 칩 배출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 및, 마운팅홀더의 용접 돌기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에 홈을 형성하는 상부 절취부와 측부 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접 돌기와 홈을 마무리 가공하는 마감 가공날을 구비하는 마감 가공부로 구성되는 가공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곡면 가공날 지름은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은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의 깊이 와 폭이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과, 축 방향의 상측에 크게 형성된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의 깊이 와 폭이 동일한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마감 가공날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지름보다 큰 지름과 돌기 형성홈의 깊이 와 폭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과, 축 방향의 상측에 크게 형성된 마감 가공날의 상측에 형성되고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의 깊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고정부는 고정부의 각각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곡면 가공날의 하측에 위치하는 곡면 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상측에 위치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고정부에는 중간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중간 고정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가장 인접하게 형성되는 곡면 가공날 또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지름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에 형성되는 돌기 형성홈은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곡면 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각각에 형성되는 칩 배출홈은,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가공날과 상이한 위치에 칩 배출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본체의 후면부에는 가공날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고 상기 곡면 가공면에 용접 돌기와 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곡면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형성날 및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로,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용접 돌기와 홈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시 브로치 커터의 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휨을 방지하여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와 홈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 가공시 커터가 받는 가공 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구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가 휠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가 휠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에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가공날부(20)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를 구성하는 본체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는 각형 또는 원형의 막대 형상의 구조를 갖는 본체(11) 상의 전면부(12)에 가공날부(20)가 형성되고, 양 측면으로는 가공날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측면 개방부(13)를 구비하며, 축 방향의 상하측 단부에는 고정부(14)를 각각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1) 상의 하측에서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부(17)를 더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의 형상에 대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체(11)를 구성하는 재질과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가 설치되는 브로칭 머신의 홀더(도시 생략)의 구조 등에 따라 본체(11)의 형상은 각형, 원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5)는,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의 양 단부를 브로칭 머신의 홀더에 고정할 경우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공(16)을 구비하는 통상의 고정부(15)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 상의 하측에서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중간 고정부(17)는,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로 마운팅홀더(2)를 가공할 경우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가 마운팅홀더(2)의 가공면과 최초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가공저항이 발생하더라도,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에 휨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여, 곡면 가공부(30)의 곡면 가공날(31)과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이 마운팅홀더(2)에 센터라인을 따라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 고정부(17)는 브로칭 머신의 홀더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중간 고정공(18)을 구비하며, 또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 특성에 따라서 중간 고정부(17)의 형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체(11)의 양 측면에 가공날부(20)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측면개방부(13)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체(11)상의 전체에 가공날부(20)를 형성하지 아니하는 것은 가공 대상물이 일측이 개방된 경우, 가공날부(20)를 본체(11)의 모든 외측면에 설치하면 가공면과 직접 접촉이 필요 없는 가공면이 가공날부(20)와 불필요하게 접촉함에 따른 가공 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가공날부(20)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를 구성하는 가공날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가공날부(20)는, 부채꼴 형상을 구비하면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는 곡면 가공부(30)와,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용접 돌기(4)를 형성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 및 마운팅홀더(2)의 용접 돌기(4)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홈(5)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 돌기(4)와 홈(5)을 마무리 가공하는 마감 가공부(50)를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는 곡면 가공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곡면 가공부(30)는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과 최초로 접촉되면서 곡면가공을 실시하는 복수의 곡면 가공날(31)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곡면 가공날(31)은 인접하는 상하의 곡면 가공날(31)과 상이한 위치에 칩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 배출홈(32)을 구비한다.
위와 같이 인접하는 상하의 곡면 가공날(31)에 칩 배출홈(32)을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는 이유는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이 짧은 길이로 절단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칩이 짧은 길이로 절단되면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이 가공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공저항이 감소하고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며 곡면 가공날(31)이 조기에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곡면 가공부(30)를 구성하는 곡면 가공날(31)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그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렇게 곡면 가공날(31)을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그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하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의 가공이 점차적으로 깊은 깊이로 가공되어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곡면 가공날(31)이 받는 가공저항을 감소시켜 곡면 가공날(31)이 조기에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곡면 가공부(30)의 곡면 가공날(31)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의 센터라인을 따라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곡면 가공부(30)에 중간 고정부(16)가 형성되는 경우, 중간 고정부(16)의 양측의 각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 가공날(31)의 지름을 동일한 지름[도 3의 d2 및 d3의 곡면 가공날(31)을 말하며, d2 및 d3가 동일하게 표시된 것은 d2 또는 d3의 곡면 가공날(31) 각각이 동일한 지름임을 의미한다]으로 형성하면, 축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고정부(17)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곡면 가공날(31)에서 받게되는 순간적인 가공 저항을 줄일 수 있어 곡면 가공날[31, 또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에 중간 고정부(17)가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이 조기에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면서 용접 돌기(4)를 동시에 형성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는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은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는 부분은 곡면 가공날(31)과 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의 구비여부만 상이하고 그 형상은 동일하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원주면에는 용접 돌기(4)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형성홈(42)과 칩배출홈(43)을 구비한다.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칩 배출홈(43)은 인접하는 상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과 상이한 위치에 칩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 배출홈(43)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은 곡면 가공부(30)에 가공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더 가공하면서 용접 돌기(4)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부분(d4~d5 부분)과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일정하게 가공하는 부분(d5~D5 부분)의 가공날의 형상이 각각 상이게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더 가공하면서 용접 돌기(4)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부분(도 1의 d4~d5 부분)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의 깊이와 폭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점차로 크게 형성되고,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일정하게 가공하는 부분(d5~D5 부분)의 가공날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3)의 깊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용접 돌기(4)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부분(도 1의 d4~d5 부분)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점차로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곡면 가공부(30)에서 가공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더 가공하면서 용접 돌기(4)를 동시에 형성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가공저항을 감소시켜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이 조기에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를 일정하게 가공하는 부분(d5~D5 부분)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3)의 깊이와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 상에 돌출되는 용접 돌기(4)가 동일한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이 가공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 돌기(4)가 돌기 형성홈(42)에 의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마운팅홀더(2)의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홈(5)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 돌기(4)와 홈(5)을 마무리 가공하는 마감 가공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감 가공부(50)는 마운팅홀더(2)의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홈(5)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 돌기(4)와 홈(5)을 마무리 가공하는 복수의 마감 가공날(51)을 구비한다. 상기 마감 가공날(51)은 마운팅홀더(2)에 형성된 용접 돌기(4)를 마감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마감홈(52)을 구비하고, 용접 돌기(4)에 양측에는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에 형성되는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에 홈(5)을 가공하기 위해 마감 가공날(51)의 상부에는 상부 절취부(53)를 구비하며, 마감 가공날(51)의 측부에는 측부 절취부(54)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마감 가공날(51)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에서 가공된 용접 돌기(4)의 양측에 홈(5)이 형성되도록,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보다 지름이 크면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로 크게 형성되고 용접 돌기(4)를 조금 더 가공할 수 있는 크기의 돌기 마감홈(52)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51, d5~d6)과, 상기 d6의 마감 가공날(51)과 지름이 동일하면서 용접 돌기(4)와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형성되는 홈(5)을 최종적으로 마무리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51, d7)을 구비한다.
상기 마감 가공날(51)을 이용하여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에서 형성된 용접 돌기(4)와 용접 돌기(4)에 근접하는 위치의 곡면 가공면(3)상에 형성되는 홈(5)을 마무리 가공 가공하면 정밀도가 높은 용접 돌기(4)와 홈(5)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 상에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 가공날(51)에 의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 상의 용접 돌기(4)의 양측에 형성되는 홈(5)은, 마운팅홀더(2)를 휠라(1)에 용접 설치할 경우 마운팅홀더(2)를 압착하면서 용접하면 마운팅홀더(2)에 형성된 용접 돌기(4)가 압착되면서 양측의 홈(5)에 분산되게 되어 용접 후의 마운팅홀더(2) 곡면 가공면(3)의 전체가 일정하게 되면서 휠라(1)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하는 홈이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본체부(10)의 전면부(12)와 후면부(14)의 각각에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200)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200)는,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상기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와 동일한 구조의 가공날부(20)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200)의 본체부(10) 및 가공날부(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200)를 형성하면,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의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200)를 이용한 마운팅홀더(2) 가공과 관련한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2)를 브로칭 머신의 지지구(도시 생략)에 고정하고, 상기 브로칭 머신을 작동시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2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면, 곡면 가공부(30)의 곡면 가공날(31)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상에서 센터라인을 따라 하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점차적으로 깊은 깊이로 가공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곡면 가공부(30)의 곡면 가공날(31)에 의해 곡면이 일부 가공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에 돌기 형성홈(42)을 구비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이 이송되면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더 깊은 깊이로 가공하면서 이와 함께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 돌기(4)가 형성되게 되고,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의 깊이와 폭이 동일한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에 의해 곡면 가공면(3) 상에 돌출되는 용접 돌기(4)가 동일한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된다.
다음으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100,200)가 더 하측으로 이송하게 되면,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보다 지름이 크면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로 크게 형성되고 용접 돌기(4)를 조금 더 가공할 수 있는 크기의 돌기 마감홈(52)을 구비하는 마감가공날(51)에 의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 상에 돌출되는 용접 돌기(4)를 마무리 가공하면서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에 형성된 용접 돌기(4)의 양측에 홈(5)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에 형성된 용접 돌기(4)와 용접 돌기(4)의 양측에 형성되는 홈(5)은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마감홈(52)이 동일하게 형성된 마감 가공날(51, d7)에 의해 마무리 가공되어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과 용접 돌기(4) 및 홈(5)의 가공이 완료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고 상기 곡면 가공면에 용접 돌기 및 홈를 형성함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지름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곡면가공날과, 곡면 및 돌기 형성날 및 마감 가공날로 이루어지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로, 가공 대상물인 마운팅홀더의 곡면 가공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용접 돌기와 홈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시 브로치 커터의 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휨을 방지하여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곡면 가공면과 용접 돌기 및 홈 가공시 커터가 받는 가공 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구의 조기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마운팅홀더의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체의 전후면에 동일한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운영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형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휠라 2 : 마운팅홀더
3 : 곡면 가공면 4 : 용접 돌기
10 : 본체부 11 : 본체
12 : 전면부 13 : 측면 개방부
14 : 후면부 15 : 고정부
16 : 고정공 17 : 중간 고정부
18 : 중간 고정공 20 : 가공날부
30 : 곡면 가공부 31 : 곡면 가공날
32 : 칩 배출홈 40 : 곡면 및 돌기 가공부
41 : 곡면 및 돌기 가공날 42 : 돌기 형성홈
43 : 칩 배출홈 50 : 마감 가공부
51 : 마감 가공날 52 : 돌기 마감홈
53 : 상부 절취부 54 : 측부 절취부
100, 200 :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d1,d2,d3 : 곡면 가공날의 지름 d4,d5 : 곡면 및 돌기 가공날의 지름
d6,d7 : 마감 가공날의 지름

Claims (11)

  1.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부재의 전면부에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부채꼴 형상의 가공날이 축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단면에 비해 축 방향의 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개방부(13) 및 상기 본체(11)의 축 방향 단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부(10); 및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 배출홈(32)이 형성된 복수의 곡면 가공날(31)을 구비하는 곡면 가공부(30)와, 마운팅홀더(2)의 곡면 가공면(3)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용접 돌기(4)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형성홈(42)과 칩 배출홈(43)을 구비하는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로 이루어지는 곡면 및 돌기 가공부(40) 및, 마운팅홀더(2)의 용접 돌기(4)의 양 측면의 곡면 가공면(3)에 홈(5)을 형성하는 상부 절취부(53)와 측부 절취부(54)를 구비하여 상기 용접 돌기(4)와 홈(5)을 마무리 가공하는 마감 가공날(51)을 구비하는 마감 가공부(50)로 구성되는 가공날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가공날(31)의 지름은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은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의 깊이 와 폭이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 d4~d5 미만)과, 축 방향의 상측에 크게 형성된 곡면 및 돌기 가공날(d5)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42)의 깊이 와 폭이 동일한 복수의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 d5~d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가공날(51)은 곡면 및 돌기 가공날(43,d5)의 지름보다 큰 지름과 돌기 형성홈(52)의 깊이 와 폭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51, d5 초과 d6)과, 축 방향의 상측에 크게 형성된 마감 가공날(51, d6)의 상측에 형성되고 가공날의 지름과 돌기 형성홈(52)의 깊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감 가공날(51,d7~d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5)는 고정부(15)의 각각에 고정공(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가공날(31)의 하측에 위치하는 곡면 가공날(d1)과 곡면 및 돌기 가공날(43)의 상측에 위치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d5)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부(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고정부(17)에는 중간 고정공(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17)의 상측 및 하측에 가장 인접하게 형성되는 곡면 가공날(31)의 지름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17)의 상측 및 하측에 가장 인접하게 형성되는 곡면 및 돌기 가공날(43)의 지름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에 형성되는 돌기 형성홈(44)은 축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가공날(31)과 곡면 및 돌기 가공날(41)의 각각에 형성되는 칩 배출홈(32,43)은,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가공날과 상이한 위치에 칩 배출홈(32,4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후면부(14)에는 전면부(12)에 형성된 가공날부(20)와 동일한 구조의 가공날부(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KR1020120126728A 2012-11-09 2012-11-09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KR10140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28A KR101407530B1 (ko) 2012-11-09 2012-11-09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28A KR101407530B1 (ko) 2012-11-09 2012-11-09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077A KR20140060077A (ko) 2014-05-19
KR101407530B1 true KR101407530B1 (ko) 2014-06-13

Family

ID=5088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728A KR101407530B1 (ko) 2012-11-09 2012-11-09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582A (ja) 2003-05-30 2004-12-16 Nachi Fujikoshi Corp 内面仕上げブローチ工具及び内面仕上げブローチ加工方法
JP2005088116A (ja) 2003-09-17 2005-04-07 Nachi Fujikoshi Corp 高硬度材加工用ブローチ工具
JP2012200835A (ja) 2011-03-28 2012-10-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ヘリカルブロー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582A (ja) 2003-05-30 2004-12-16 Nachi Fujikoshi Corp 内面仕上げブローチ工具及び内面仕上げブローチ加工方法
JP2005088116A (ja) 2003-09-17 2005-04-07 Nachi Fujikoshi Corp 高硬度材加工用ブローチ工具
JP2012200835A (ja) 2011-03-28 2012-10-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ヘリカルブロー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077A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467B2 (en) Saw blade
US11141805B2 (en) Saw blade
US20120070242A1 (en) Cutting Insert
RU2573303C2 (ru) Двухсторонняя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фрезерования
JP2009544483A (ja) 工具システム
KR20120123463A (ko) 커팅 인서트 및 절삭 공구
KR20080097492A (ko)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AU2011242551A1 (en) Saw blade
JP2013523462A (ja) 削り屑誘導システム、冷却流路、冷却流路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のうちの少なくとも1つを備えた高性能リーマー
KR20120026446A (ko) 밀링 인서트, 밀링용 공구 및 장치
US8734064B2 (en) Cutting insert for a machine tool
KR101407530B1 (ko) 마운팅홀더 가공용 곡면 브로치 커터
JP2004510097A (ja) ピストンの窪みの縁部に丸味付けするための方法
CN212634656U (zh) 一种拼合式焊接电极修磨刀具
KR20130117989A (ko) 절삭팁
JP2004519349A (ja) 丸鋸刃
CN209969312U (zh) 一种切断模具
CN216938593U (zh) 一种组合刀
CN219075903U (zh) 一种新型可更换式面刀
CN212495445U (zh) 一种铸铁发动机缸盖隔水板加工专用反镗刀
JP3216062U (ja) 切削工具及びそれを備えた切削装置
JP3019025U (ja) 異なる食付き部長さを有するリーマ
JP2011254793A (ja) 刈払い用回転刃
CN111375831A (zh) 柴油机缸盖阀座导管孔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