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97B1 -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 Google Patents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97B1
KR101407097B1 KR1020130010429A KR20130010429A KR101407097B1 KR 101407097 B1 KR101407097 B1 KR 101407097B1 KR 1020130010429 A KR1020130010429 A KR 1020130010429A KR 20130010429 A KR20130010429 A KR 20130010429A KR 101407097 B1 KR101407097 B1 KR 10140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output coil
output
resolve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나병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97B1/ko
Priority to US14/716,726 priority patent/US20150338244A1/en
Priority to PCT/KR2013/002548 priority patent/WO2014077471A1/ko
Priority to EP17165263.9A priority patent/EP3205985B1/en
Priority to EP17166425.3A priority patent/EP3211383B1/en
Priority to EP13854536.3A priority patent/EP29218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97B1/ko
Priority to US15/476,897 priority patent/US20170261350A1/en
Priority to US15/476,913 priority patent/US1051427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4/00Machines adapted for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rotating parts, e.g. synchro, selsy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2회 이상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배수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STATOR FOR RESOLVER AND RESOLV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접촉식 회전검출수단인 레졸버(Resolv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슬롯에 코일이 권선되는 방식이 개선된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슬롯에 여자권선과 출력권선이 수납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가변자기저항형 레졸버에 관한 것이다.
레졸버(resolver)는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일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이 속하는 가변자기저항형 레졸버(variable reluctance type resolver)는 코일권선이 고정자에 위치하고 타원 또는 다극의 돌극을 갖는 회전자가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레졸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이터(stator, 1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0)는 고정자라고도 칭하며, 내주면으로 다수의 슬롯(11)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들 슬롯(11)에는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각기 권선되는데,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의 코어부(11a) 외주면으로 여자코일(12), 제1 출력코일(13) 및 제2 출력코일(14)을 단순히 순차 권선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종래기술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권선 패턴으로 상기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을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을 따라 레졸버용 스테이터를 제작하는 경우, 소정의 변압비를 얻기 위한 총 턴수가 증대되어 제작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출력신호의 분석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비용 또는 제작 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신호의 분석이 용이한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로서, 상기 제1 출력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 순번에 따라 2개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여 권선되고, 상기 제2 출력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 순번에 따라 2개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여 권선되고, 상기 여자코일은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방향 순번에 따라 정현파적으로 변화하는 권선수를 갖고서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은 90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또는 제2 출력 코일의 총 턴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총 턴수의 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2회 이상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배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은 90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은, 각 슬롯에서의 권선 회수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3회 이상이며,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은, 각 슬롯에서의 권선 회수가 정현파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또는 제2 출력 코일의 총 턴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총 턴수의 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은, 각 슬롯에서의 권선 회수가 정현파 또는 구형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레졸버를 실시하면, 제작 비용 또는 제작 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레졸버 스테이터의 출력신호의 분석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대한 코일 권선에 따른 코일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슬롯마다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3b는 도 3a의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여자코일 및 제1/제2 출력코일의 입력 턴수 및 출력 턴수에 관련된 총 턴수 및 극수를 나타낸 테이블.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슬롯마다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4b는 도 4a의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여자코일 및 제1/제2 출력코일의 입력 턴수 및 출력 턴수에 관련된 총 턴수 및 극수를 나타낸 테이블.
도 5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슬롯마다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5b는 도 5a의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여자코일 및 제1/제2 출력코일의 입력 턴수 및 출력 턴수에 관련된 총 턴수 및 극수를 나타낸 테이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여기에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여자코일(12), 제1 출력코일(13) 및 제2 출력코일(14)이 권선된다. 다만, 이들 코일(12, 13, 14)의 권선방법이 상이한 바, 권선방법 및 상기 권선방법에 따라 권선된 형태에 있어 특징이 존재한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권선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권선의 극수 및 총 턴수를 나타낸 표이다.
본 실시예의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 순번에 따라 2개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여 권선되고, 상기 제2 출력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 순번에 따라 2개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여 권선되고, 상기 여자코일은 4개 이상의 슬롯씩 권선 방향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방향 순번에 따라 정현파적으로 변화하는 권선수를 갖고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권선 구조에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의 권선 형태는 4슬롯을 하나의 주기로 하고, 상기 여자코일의 권선 형태는 전체 슬롯의 개수인 20 슬롯을 하나의 주기로 하고 있다.
여자코일은 10개의 슬롯들에 대해서는 양의 방향으로 권선되고 나머지 10개의 슬롯들에 대해서는 음의 방향으로 권선되는데, 그 권선수가 정현파 형태를 이루도록 원주방향으로 권선수가 증가하다가 정점 이후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여자코일에 보다 주기가 긴 정현파 형태의 권선을 수행하고, 제1/제2 출력코일은 동일 권선수의 상술한 형태의 권선을 수행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먼저, 입력턴수를 SIN WAVE(정현파)와 같이 분포시켜 공극의 기자력 분포를 SIN 형상으로 분포시키면, 출력턴수를 사각형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출력단이 일정하게 자계의 세기를 받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권선회수가 작은 여자코일에 정현파 형태를 부여하고, 권선회수가 많은 제1/제2 출력코일은 동일한 회수로 권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각 슬롯의 권선 두께를 균일하게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자코일의 권선 형태에 대응하여, 여자코일에 입력하는 신호의 형태 및 위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레졸버의 다양한 효과를 달설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비록 동일한 권선수를 가지지만 정현파 형태로 관측하였을 때, 상기 제2 출력 코일은 제1 출력 코일보다 위상이 90도 앞서는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및 회전각을 계산하는데 보다 편리한 출력신호들을 얻을 수 있다.
도 3b에서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의 총 턴수는 각각 1220이며, 여자코일의 총 턴수는 524이며, 이는 변압비 0.27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계에서, 여자코일의 입력 총 턴수과 극수를 곱한 값이, 제1/제2 출력코일의 총 턴수와 극수를 곱한 값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지게 되는데(즉, 입력 턴수 극수 ≪ 출력 턴수 극수), 이는 기존 보다 작은 턴수로 변압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동일한 변압비 0.27을 얻기 위한 종래기술에서의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여자코일 및 제1/제2 출력코일의 입력 턴수 및 출력 턴수에 관련된 총 턴수 및 극수를 나타낸 테이블인 도 5b의 경우와 비교하면, 상술한 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1 출력 코일 또는 제2 출력 코일의 총 턴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총 턴수의 2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널리 사용되는 변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레졸버 검출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전체 턴수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시한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경우,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2회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10회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3회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가 3회라면,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6회 이상의 회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정현파적으로 변하는 권선수를 가지는 여자 코일의 특징 및/또는 동일 권선수로 펄스 형태로 변화는 패턴을 가지는 제1/제2 출력 코일의 권선 순서의 특징을 가지는 스테이터의 경우, 슬롯의 개수를 18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으로 적용할 때,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상술한 효과들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여기에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여자코일(12), 제1 출력코일(13) 및 제2 출력코일(14)이 권선되며, 이들 코일(12, 13, 14)의 권선방법이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나, 제1/제2 출력코일의 권선 패턴이 정현파 형태를 따르는 것에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권선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권선의 극수 및 총 턴수를 나타낸 표이다.
본 실시예의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3회 이상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배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의 권선 패턴은 정현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한 레졸버용 스테이터의 경우,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3회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9회인 바,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의 권선 패턴이 정현파 형태를 가지기 위해, 동일방향권선되는 3개의 슬롯들 중 가운데 슬롯의 권선 회수가 가장 많고, 양쪽 슬롯의 권선 회수를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4회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배수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가 4회라면,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8회 이상의 4의 배수의 회수일 수 있다.
도 4a에서,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4회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12회이다. 스테이터의 전체 슬롯수는 24개이며, 상기 제1/제2 출력코일의 극수는 6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극수는 2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레졸버용 스테이터는, 보다 긴 주기의 정현파 형태의 권선 패턴을 가지는 여자코일과, 보다 짧은 주기의 정현파 형태의 권선 패턴을 가지는 제1/제2 출력코일 상호간의 유도 현상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을 산출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작 과정은 다소 복잡할 수 있으나여자코일 및 출력코일의 정현파 권선 패턴으로, 레졸버의 위상 검출 신호의 구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서 서로 동일한 주기의 정현파 형태의 권선 패턴을 가지는 제1/제2 출력코일의 관계에 있어, 상기 제2 출력 코일은 제1 출력 코일보다 위상이 90도 앞서는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및 회전각을 계산하는데 보다 편리한 출력신호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정현파적으로 변하는 권선수를 가지는 여자 코일의 특징 및/또는 제1/제2 출력 코일의 권선 순서의 특징을 가지는 스테이터의 경우, 슬롯의 개수를 18개 이상으로 적용할 때,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슬롯의 개수가 18개 이상인 바람직하게는 24개 이상인 것이 상기 여자코일 및 제1/제2 출력코일이 정현파적으로 권선수가 변하는 것을 보다 충실히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여자코일(12)이 제1 출력코일(13)과 제2 출력코일(14)에 앞서 슬롯(11)에 권선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여자코일(12)은 제1 출력코일(13)과 제2 출력코일(14)이 권선된 후 마지막으로 슬롯(11)에 권선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나아가, 이상에서 설명된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 레졸버용 스테이터 11: 슬롯
11a: 코어 12: 여자코일
13: 제1 출력코일 14: 제2 출력코일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슬롯에 각각 여자코일,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코일이 권선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동일한 방향으로 권선이 상기 다수의 슬롯의 원주순번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회수)는 2회 이상이며,
    상기 여자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의 2배 이상의 배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은, 각 슬롯에서의 권선 회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코일 및 제2 출력 코일의 동일방향권선 연속회수는 3회 이상이며,
    상기 제1 출력코일 또는 제2 출력코일은, 각 슬롯에서의 권선 회수가 정현파 또는 구형파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코일 또는 제2 출력 코일의 총 턴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총 턴수의 2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용 스테이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레졸버용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레졸버.
KR1020130010429A 2012-11-19 2013-01-30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KR10140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29A KR101407097B1 (ko) 2013-01-30 2013-01-30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US14/716,726 US20150338244A1 (en) 2012-11-19 2013-03-27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PCT/KR2013/002548 WO2014077471A1 (ko) 2012-11-19 2013-03-27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EP17165263.9A EP3205985B1 (en) 2012-11-19 2013-03-27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EP17166425.3A EP3211383B1 (en) 2012-11-19 2013-03-27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EP13854536.3A EP2921827B1 (en) 2012-11-19 2013-03-27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US15/476,897 US20170261350A1 (en) 2012-11-19 2017-03-31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US15/476,913 US10514275B2 (en) 2012-11-19 2017-03-31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29A KR101407097B1 (ko) 2013-01-30 2013-01-30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940A Division KR101471338B1 (ko) 2014-05-19 2014-05-19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097B1 true KR101407097B1 (ko) 2014-06-13

Family

ID=5113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29A KR101407097B1 (ko) 2012-11-19 2013-01-30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242A (ko) 2022-10-17 2024-04-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유로운 샘플링 주파수 선정을 위한 레졸버 신호 변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436A (ja) 2002-04-15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
KR20120112704A (ko) * 2010-02-23 2012-10-11 타마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각 검출 또는 동기 장치용 권선의 권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436A (ja) 2002-04-15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
KR20120112704A (ko) * 2010-02-23 2012-10-11 타마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각 검출 또는 동기 장치용 권선의 권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242A (ko) 2022-10-17 2024-04-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유로운 샘플링 주파수 선정을 위한 레졸버 신호 변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4596B (zh) 轴向磁路多对极磁阻式旋转变压器
CN106104972A (zh) 永磁体型旋转电机
CN102723185B (zh) 一种双通道轴向磁路磁阻式旋转变压器
CN102930966B (zh) 一种无刷线性旋转变压器
CN106441081B (zh) 无转子绕组的时栅角位移传感器
KR101471338B1 (ko)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CN103779980A (zh) 具有降低齿槽转矩的定子铁芯的电动机
US10514275B2 (en) Stator used in resolvers, and resolver including same
KR101407097B1 (ko)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JP2006125995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20140057078A (ko) 리졸버 및 그 제조 방법
CN102664097B (zh) 双通道轴向磁路外转子磁阻式旋转变压器
CN104200975A (zh) 单层信号绕组径向磁路旋转变压器及信号绕组绕线方法
US9064630B2 (en) Integrated high frequency rotary transformer and resolver for traction motor
KR101417416B1 (ko)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CN105606018A (zh) 一种线圈都制作在定子上的分离式感应同步器
KR20140127067A (ko) 레졸버
KR20130106478A (ko)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CN109698594A (zh) 转子线性半波轴向磁路磁阻式多极旋转变压器
JP6976243B2 (ja) レゾルバ
CN109617354A (zh) 转子正弦半波轴向磁路磁阻式多极旋转变压器
CN208538674U (zh) 磁阻式旋转变压器
CN104200970A (zh) 压缩式粗精耦合轴向磁路旋转变压器及信号绕组绕线方法
CN104105948A (zh) 无槽式变压器、用于制造无槽式变压器的方法、以及用于无槽式变压器的绕线工具
CN104200974B (zh) 消谐波粗精耦合轴向磁路旋转变压器及信号绕组绕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