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90B1 - 의료용 스태플러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태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90B1
KR101407090B1 KR1020120153397A KR20120153397A KR101407090B1 KR 101407090 B1 KR101407090 B1 KR 101407090B1 KR 1020120153397 A KR1020120153397 A KR 1020120153397A KR 20120153397 A KR20120153397 A KR 20120153397A KR 101407090 B1 KR101407090 B1 KR 10140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needle
rod
inser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12015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스태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는, 하부에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임플란트(14a) 일측이 삽입되는 임플란트관통홀(61)이 형성된 바늘(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60)이 배출되는 바늘배출홀(13)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보조작동부재(90)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봉삽입홀(51)의 전방에는 바늘(60)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작동봉삽입홀(51의 후방에는 임플란트(14a) 일측이 삽입되는 캐리어(50)와; 일측이 상기 몸체(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바늘배출홀(13) 전방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스탬플링 대상이 되는 물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고, 90도 회전이 가능한 프로텍터(7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캐리어(50)에 안착된 임플란트(14a)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작동봉(40)과;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손잡이(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상부는 작동봉(40)과 연결되어 손잡이(20)의 작동시 작동봉(40)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타측 하부는 상기 캐리어(50)와 연결된 보조레일부재(80)를 이동, 캐리어(5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캐리어(50)에 연결된 바늘(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는 물론 내측의 근육을 간편하면서도 손상 없이 간편하게 봉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스태플러{Medical stapler}
본 발명은 의료용 스태플러에 관한 것으로, 피부(Skin) 뿐만 아니라 근육(Muscle)까지 임플란팅 시술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스태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이나 성형수술시 피부가 찢겨진 부위는 봉합사와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를 봉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바늘을 이용하면 수술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봉합을 위한 기구인 스킨 스태플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스킨 스태플러에 관한 기술로,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986호, 특허문헌 1)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킨 스태플러는 임플란트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스킨 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는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제거한 후에도 스태플러의 자국이 남아 흉터로 자리잡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금속 스태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임플란트를 생체 흡수성 부재로 구성한 스태플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태플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임플란트가 자연 흡수되어 제거 시술이 필요 없지만 그 구조상 스킨에만 사용할 수 있을 뿐, 근육까지 사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생체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스태플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에만 적용하고 피부 내측의 근육 봉합에 이러한 스태플러를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근육의 봉합을 위해서는 조직을 포셉(Forceps)으로 집어 올린 후 이를 임플란팅 해야 하는데, 임플란팅 과정에서 임플란트(스태플)가 근육을 관통할 때 주변의 봉합지점 주변의 근육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피부 봉합은 물론, 근육의 봉합 수술까지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스태플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213986 (2000.12.06)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는 물론 내측의 근육을 간편하면서도 손상 없이 간편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외관은 옷이나 기타 여러 제품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 택핀(Tag pin)을 쏘아주는 택건(Tag gun)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총을 쏘는 듯한 방법으로 스태플(임플란트)를 배출하여 주변 피부나 근육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피부나 근육 봉합을 실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택핀과 같은 "工"자 형상을 취하는 임플란트의 일측이 바늘에 끼워진 채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일부가 피부나 근육에 삽입되도록 하여 피부나 근육에 손상을 최대한 덜 주면서 봉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스태플러의 전방에 프로텍터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포셉을 활용하여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프로텍터와 몸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킨 후 봉합을 실시하여 바늘 관통시 프로텍터가 피부나 근육을 지탱하여 근육의 찢김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손잡이의 구동에 따라 바늘이 안착된 캐리어와 작동봉이 함께 이동하다 캐리어의 이동이 멈추고, 작동봉이 더 전진하여 임플란트를 밀어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의 재질에 따라 채내외에서 흡수성 스태플러와 비흡수성 스태플러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임플란트정렬장치와 가압장치가 구비되어 상하로 연속으로 탑재된 임플란트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정렬 및 가압함으로써 작동 불량을 최소화한 채 원할한 임플란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손잡이(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11)와 일체로 연결된 채 손잡이부(11) 상부에 작동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12)의 전방에 바늘배출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12)의 상단 일측에 하부가 상기 바늘배출홀(13) 내측과 연통되는 임플란트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임플란트(14a)가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바늘배출홀(13)의 후방 측에 프로텍터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하부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는 레버(21)와; 상기 레버(21)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21)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고, 전방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가압부재(30); 후단이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전단에 맞닿아 작동봉가압부재(30)에 의해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는 작동봉(40)과;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임플란트삽입홀(14)이 연통되는 지점의 전방측에 바늘배출홀(13)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40)이 관통 가능하도록 작동봉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봉삽입홀(51) 하부에 하부돌출부(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50)와; 상기 캐리어(50)의 작동봉삽입홀(51) 전방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임플란트(14a)가 관통 가능하도록 임플란트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는 바늘(60)과; 일측이 상기 프로텍터고정홈(15)에 끼워져 몸체(10)에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이격된 채 바늘배출홀(13) 전방에 위치하여 스탬플링 대상이 되는 물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71)에는 바늘이 관통 가능하도록 바늘관통홈(72)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텍터(70)와; 상기 작동부(12) 내부에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가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레일홈(81)이 형성되어 있되, 중앙에 안내봉삽입홀(82)이 형성되어 있되, 안내봉삽입홀(82)의 상부에는 보조공간(83)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봉삽입홀(82)의 후방측에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부재(84a)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부재(84a)의 단부에 안내봉(84)이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부재부재(84a)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슬라이딩홈(31)에 안착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전진에 따라 상향으로 회전하며, 단부의 안내봉(84)이 작동봉가압부재(30)에 밀리면서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안내봉(84)이 보조공간(83)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보조레일부재(80)와; 일측이 상기 보조레일부재(80)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50)의 하부돌출부(52)에 연결되어 있어 보조레일부재(80)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50)를 이동시키는 보조작동부재(90)와; 상기 몸체(10)의 작동부(12)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에 상기 레버(21)가 걸리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연결봉(10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102)의 전방측에 정렬부재(10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재는 일측에 임플란트(14a)를 정렬시키는 정렬홈(104)이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정렬장치(10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111)에 의해 레버(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원위치시키는 복구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 내측에는 임플란트정렬장치(100)를 임플란트삽입홀(14)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12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임플란트정렬장치(100)는 일측면에 걸이봉(113)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장치(120)는 상기 걸이봉(113)이 삽입되도록 일측에 걸이봉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일측에 맞닿아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에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임플란트(14a)는 평면상에서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고정부(14b)와, 두 고정부(14b)를 연결하는 연결부(14c)로 구성된 "工"자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몸체(10)의 작동부(12)는 바늘배출홀(13)의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플란트(14a)의 두 고정부(14b) 중 하나의 고정부(14b)는 작동봉(40)의 가압에 의해 바늘(60)의 임플란트관통홀(61)에 삽입되어 배출되고, 또다른 고정부(14b)는 상기 절개부(12a)로 노출된 채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하부에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임플란트(14a) 일측이 삽입되는 임플란트관통홀(61)이 형성된 바늘(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60)이 배출되는 바늘배출홀(13)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작동봉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봉삽입홀(51)의 전방에는 바늘(60)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작동봉삽입홀(51의 후방에는 임플란트(14a) 일측이 삽입되는 캐리어(50)와; 일측이 상기 몸체(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바늘배출홀(13) 전방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스탬플링 대상이 되는 물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는 프로텍터(7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캐리어(50)에 안착된 임플란트(14a)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작동봉(40)과;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손잡이(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상부는 작동봉(40)과 연결되어 손잡이(20)의 작동시 작동봉(40)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타측 하부는 상기 캐리어(50)와 연결되어 캐리어(5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캐리어(50)에 연결된 바늘(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는 물론 내측의 근육을 간편하면서도 손상 없이 간편하게 봉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옷이나 기타 여러 제품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 택핀(Tag pin)을 쏘아주는 택건(Tag gun)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총을 쏘는 듯한 방법으로 스태플(임플란트)를 배출하여 주변 피부나 근육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근육 봉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택핀과 같은 "工"자 형상을 취하는 임플란트의 일측이 바늘에 끼워진 채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일부가 근육에 삽입되도록 하여 피부나 근육에 손상을 최대한 덜 주면서 봉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태플러의 전방에 프로텍터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포셉을 활용하여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프로텍터와 몸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킨 후 봉합을 실시하여 바늘 관통시 프로텍터가 피부나 근육을 지탱하여 근육의 찢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로텍터의 위치를 90도 회전시켜 피부나 근육을 봉합할 때 편리한 위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손잡이의 구동에 따라 바늘이 안착된 캐리어와 작동봉이 함께 이동하다 캐리어의 이동이 멈추고, 작동봉이 더 전진하여 임플란트를 밀어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정렬장치와 가압장치가 구비되어 상하로 연속으로 탑재된 임플란트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정렬 및 가압함으로써 작동 불량을 최소화한 채 원할한 임플란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의 주요 부분을 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에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프로텍터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는 크게 몸체(10), 레버(21), 작동봉가압부재(30), 작동봉(40), 캐리어(50), 바늘(60), 프로텍터(70), 보조레일부재(80), 보조작동부재(90), 임플란트정렬장치(100), 복구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손잡이(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손잡이(20) 상부에 회전핀(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핀(22)이 몸체(10)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핀(22)을 축으로 손잡이(20)가 회전하도록 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1)와 일체로 연결된 채 손잡이부(11) 상부에는 작동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부(12)에는 바늘(60)을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내장되는데, 구동수단은 레버(21), 작동봉가압부재(30), 보조레일부재(80), 보조작동부재(90), 임플란트정렬장치(100), 복구장치(110) 등으로 구성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12)의 전방에는 바늘배출홀(13)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늘배출홀(13)은 작동부(12) 내측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작동부(12)의 상단 일측에 하부가 상기 바늘배출홀(13) 내측과 연통되는 임플란트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임플란트(14a)가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늘배출홀(13)의 후방 측에는 작동부(12)의 외주면에 프로텍터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어 프로텍터(70)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텍터고정홈(15)이 원형으로 프로텍터(70)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프로텍터(70)의 후단부가 프로텍터고정홈(15)에 끼워진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텍터(70)의 위치를 90도 회전시켜 피부나 근육을 봉합할 때 편리한 위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레버(21)는 도시된 것처럼 하부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레버(21)는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도면기호로 미표시된 축에 의해 손잡이(20)와 체결되되, 연결 지점은 장홈이 형성되어 있어 단순 회전 결합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21)의 형상 및 구조는 상술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택건 등에 널리 알려진 형상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작동봉가압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1) 상부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레버(21)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작동봉가압부재(30)는 전방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봉(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전단에 맞닿아 작동봉가압부재(30)에 의해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캐리어(5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임플란트삽입홀(14)이 연통되는 지점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역시 바늘배출홀(13)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캐리어(5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40)이 관통 가능하도록 작동봉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봉삽입홀(51) 하부에는 하부돌출부(5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보조작동부재(90)와 연결되어 보조작동부재(90)의 이동에 따라 전후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늘(60)은 상기 캐리어(50)의 작동봉삽입홀(51) 전방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임플란트(14a)가 관통 가능하도록 임플란트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로텍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프로텍터고정홈(15)에 끼워져 몸체(10)에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이격된 채 바늘배출홀(13) 전방에 위치하여 스탬플링 대상이 되는 물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지지부(71)에는 바늘이 관통 가능하도록 바늘관통홈(72)이 형성되어 있어 바늘(60)이 바늘관통홈(72)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몸체(10)의 작동부(12)에는 환형으로 프로텍터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고, 프로텍터(70)의 일측은 환형의 프로텍터고정홈(15)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일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절곡된 후 일단이 몸체(10)의 선단에서 다시 한번 하측으로 절곡되어 몸체(10) 선단에 밀착되고, 이 부분에서 다시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몸체(10) 선단에서 이격되며, 다시 한번 하향 절곡되어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프로텍터(70)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텍터(70)와 몸체(10) 선단 사이에 피부나 근육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이격되고, 선단으로 바늘(60)이 돌출되어 피부나 근육 봉합시 바늘이 피부나 근육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보조레일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2) 내부에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보조레일부재(8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가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레일홈(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레일부재(80)의 중앙에는 안내봉삽입홀(82)이 형성되어 있되, 안내봉삽입홀(82)의 상부에는 보조공간(83)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봉삽입홀(82)의 후방측에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부재(84a)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부재(84a)의 단부에 안내봉(84)이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부재(84a)는 보조레일부재(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슬라이딩홈(31)에 안착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전진에 따라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때, 단부의 안내봉(84)이 작동봉가압부재(30)에 밀리게 되면 보조레일부재(80)는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안내봉(84)이 보조공간(83)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조작동부재(90)은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상기 보조레일부재(80)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50)의 하부돌출부(52)에 연결되어 있어 보조레일부재(80)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5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임플란트정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작동부(12)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임플란트정렬장치(10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레버(21)가 걸리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연결봉(10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봉(102)의 전방측에 정렬부재(10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재(103)는 일측에 임플란트(14a)를 정렬시키는 정렬홈(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하로 연속으로 설치된 임플란트(14a)는 최하단의 임플란트(14a)가 배출됨과 동시에 그 상부의 임플란트(14a)를 정렬부재(103)의 정렬홈(103)에 일측이 끼워지면서 정위치에 정렬되는 것이다.
한편, 복구장치(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111)에 의해 레버(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원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구장치(110)은 통상적으로 택건이나 총기류 등에 방아쇠를 당긴 후 원위치시키는 다양한 스프링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측에는 임플란트정렬장치(100)를 임플란트삽입홀(14)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플란트정렬장치(100)는 일측면에 걸이봉(113)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장치(120)는 상기 걸이봉(113)이 삽입되도록 일측에 걸이봉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일측에 맞닿아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 중간에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있어 임플란트정렬장치(100)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임플란트(14a)를 정렬하도록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임플란트(14a)는 종래의 임플란트와 달리 의류 등에 설치되는 택(Tag)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14a)는 평면상에서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고정부(14b)와, 두 고정부(14b)를 연결하는 연결부(14c)로 구성된 "工"자형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14b)와 연결부(14c)의 크기는 봉합하고자하는 위치와 조직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또, 상기 몸체(10)의 작동부(12)는 바늘배출홀(13)의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플란트(14a)의 두 고정부(14b) 중 하나의 고정부(14b)는 작동봉(40)의 가압에 의해 바늘(60)의 임플란트관통홀(61)에 삽입되어 배출되고, 또다른 고정부(14b)는 상기 절개부(12a)로 노출된 채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임플란트(14a)의 어느 한 고정부(14b)가 바늘(60)에 삽입된 채 봉합대상이 되는 피시술자의 피부나 근육을 관통하게 되고, 다른 한 쪽은 외측에 남아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피시술자의 피부나 근육에 최소한의 일자형 구멍만이 형성되므로 봉합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 외의 부분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의료용 스태플러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상태는 본체(10)의 임플란트삽입홀(14)에 임플란트(14a)가 다수 상하로 적재된 채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최하단의 임플란트(14a)는 바늘배출홀(13)과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캐리어(50)에 형성된 작동봉삽입홀(51)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작동봉(40)은 선단이 캐리어(50)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0)를 당기게 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21)가 회전하면서 레버(21) 상부가 작동부(12) 내에서 전진하게 되며, 이에 연결된 작동봉가압부재(30)가 레일홈(81)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작동봉가압부재(30)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1)에 슬라이딩부재(84a)가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보조레일부재(80)는 전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동봉가압부재(30)와 그 선단의 작동봉(40)만이 전진하게 되고, 작동봉(40) 선단은 임플란트(14a)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14b)를 밀어 전진시키게 된다.
작동봉가압부재(30)가 계속 전진하면서 슬라이딩부재(84a) 선단의 안내봉(84)이 작동봉가압부재(30)와 안내봉삽입홀(82) 전단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작동봉가압부재(30)에 의해 안내봉(84)이 밀리면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조레일부재(80)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안내봉(84)은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부재(84a) 선단에 체결되어 있는 바, 슬라이딩부재(84a)가 회전하면서 안내봉(84)은 보조공간(83)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레일부재(80)는 전진을 멈추게 된다.
더불어, 일측이 보조레일부재(80)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작동부재(90)가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그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캐리어(50)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즉, 임플란트(14a)는 작동봉가압부재(30)의 힘에 의해 작동봉(40)에 밀려 전진하고, 임플란트(14a)가 캐리어(50) 내부의 작동봉삽입홀(51)로 삽입됨과 동시에 보조작동부재(90)가 보조레일부재(80)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탑재 대상이 되는 임플란트(14a)와 캐리어(50)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임플란트가 기존의 금속과 같이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강도가 낮은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임플란트(14a)만을 향해 강한 힘으로 타격할 경우 임플란트(14a)가 깨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 점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하고 안전하게 전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 상태에서 캐리어(50)는 바늘배출홀(13) 내측의 최전방까지 이르게 되는 바, 바늘(60)은 바늘배출홀(13)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텍터(70)의 바늘관통홈(72)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봉합 대상이 프로텍터(70)와 작동부(12) 선단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거나, 프로텍터(70) 외측에 프로텍터(70)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바늘(70)이 봉합 대상을 관통하는 상태가 된다.
보조레일부재(80)가 전진을 멈춘 후 작동봉가압부재(3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일홈(81)을 따라 계속 전진하게 된다.
이때, 보조레일부재(80)의 전진이 멈추게 되므로 캐리어(50)는 정지 상태가 되고, 작동봉가압부재(30)가 작동봉(40)을 계속 전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40) 선단의 임플란트(14a)는 캐리어(50)의 작동봉삽입홀(51)에서 바늘(60)의 임플란트관통홀(61)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도 7과 같이 계속 전진하여 바늘(60)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임플란트(14a)의 두 고정부(14b) 중 어느 하나만이 바늘(60)에 삽입된 채 피시술자의 피부 또는 근육을 관통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봉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임플란트정렬장치(100)의 전방측 걸림돌기(101)가 레버(21)에 의해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는 바, 임플란트정렬장치(100)가 전진 이동하게 되고, 연결봉(102)에 연결된 정렬부재(103)가 상부가 임플란트(14a)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가압장치(120)가 임플란트정렬장치(100) 일측면 설치된 걸이봉(113)이 걸이봉관통홀(121)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봉가압부재(30) 일측에 맞닿아 전진하는 바, 임플란트(14a)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종료되게 되면 레버(21)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구장치(110)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일련의 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옷이나 기타 여러 제품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 택핀(Tag pin)을 쏘아주는 택건(Tag gun)과 유사하나, 내부 작동 요소 및 프로텍팅 방법을 의료용 스태플러 특히, 피부나 근육 봉합에 맞추어 개량한 것으로, 총을 쏘는 듯한 방법으로 스태플(임플란트)를 배출하여 주변 피부나 근육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피부나 근육 봉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택핀과 같은 "工"자 형상을 취하는 임플란트의 일측이 바늘에 끼워진 채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일부가 피부나 근육에 삽입되도록 하여 피부나 근육에 손상을 최대한 덜 주면서 봉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태플러의 전방에 프로텍터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포셉을 활용하여 봉합 대상이 되는 피부나 근육을 프로텍터와 몸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킨 후 봉합을 실시하여 바늘 관통시 프로텍터가 피부나 근육을 지탱하여 피부나 근육의 찢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손잡이의 구동에 따라 바늘이 안착된 캐리어와 작동봉이 함께 이동하다 캐리어의 이동이 멈추고, 작동봉이 더 전진하여 임플란트를 밀어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정렬장치와 가압장치가 구비되어 상하로 연속으로 탑재된 임플란트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정렬 및 가압함으로써 작동 불량을 최소화한 채 원할한 임플란트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10 : 몸체 11 : 손잡이부
12 : 작동부 12a : 절개부
13 : 바늘배출홀 14 : 임플란트삽입홀
14a : 임플란트 14b : 고정부
14c : 연결부 15 : 프로텍터고정홈
20 : 손잡이 21 : 레버
30 : 작동봉가압부재 31 : 슬라이딩홈
40 : 작동봉 50 : 캐리어
51 : 작동봉삽입홀 52 : 하부돌출부
60 : 바늘 61 : 임플란트관통홀
70 : 프로텍터 71 : 지지부
72 : 바늘관통홈 80 : 보조레일부재
81 : 레일홈 82 : 안내봉삽입홀
83 : 보조공간 84 : 안내봉
84a : 슬라이딩부재 90 : 보조작동부재
100 : 임플란트정렬장치 101 : 걸림돌기
102 : 연결봉 103 : 정렬부재
104 : 정렬홈 110 : 복구장치
111 : 링크 112 : 스프링
113 : 걸이봉 120 : 가압장치
121 : 걸이봉관통홀 122 : 스프링

Claims (5)

  1. 의료용 스태플러에 있어서,
    하부에 손잡이(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11)와 일체로 연결된 채 손잡이부(11) 상부에 작동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12)의 전방에 바늘배출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12)의 상단 일측에 하부가 상기 바늘배출홀(13) 내측과 연통되는 임플란트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임플란트(14a)가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바늘배출홀(13)의 후방 측에 프로텍터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하부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는 레버(21)와;
    상기 레버(21)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21)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고, 전방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가압부재(30);
    후단이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전단에 맞닿아 작동봉가압부재(30)에 의해 작동부(12) 내부에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는 작동봉(40)과;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임플란트삽입홀(14)이 연통되는 지점의 전방측에 바늘배출홀(13)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40)이 관통 가능하도록 작동봉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봉삽입홀(51) 하부에 하부돌출부(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50)와;
    상기 캐리어(50)의 작동봉삽입홀(51) 전방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임플란트(14a)가 관통 가능하도록 임플란트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는 바늘(60)과;
    일측이 상기 프로텍터고정홈(15)에 끼워져 몸체(10)에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바늘배출홀(13)과 이격된 채 바늘배출홀(13) 전방에 위치하여 스탬플링 대상이 되는 물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71)에는 바늘이 관통 가능하도록 바늘관통홈(7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프로텍터(70)와;
    상기 작동부(12) 내부에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가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레일홈(81)이 형성되어 있되, 중앙에 안내봉삽입홀(82)이 형성되어 있되, 안내봉삽입홀(82)의 상부에는 보조공간(83)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봉삽입홀(82)의 후방측에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부재(84a)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부재(84a)의 단부에 안내봉(84)이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부재부재(84a)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슬라이딩홈(31)에 안착되어 작동봉가압부재(30)의 전진에 따라 상향으로 회전하며, 단부의 안내봉(84)이 작동봉가압부재(30)에 밀리면서 바늘배출홀(13) 방향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안내봉(84)이 보조공간(83)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보조레일부재(80)와;
    일측이 상기 보조레일부재(80)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50)의 하부돌출부(52)에 연결되어 있어 보조레일부재(80)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50)를 이동시키는 보조작동부재(90)와;
    상기 몸체(10)의 작동부(12)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에 상기 레버(21)가 걸리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연결봉(10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102)의 전방측에 정렬부재(10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재는 일측에 임플란트(14a)를 정렬시키는 정렬홈(104)이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정렬장치(10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111)에 의해 레버(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원위치시키는 복구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료용 스태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내측에는 임플란트정렬장치(100)를 임플란트삽입홀(14)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12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태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정렬장치(100)는 일측면에 걸이봉(113)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장치(120)는 상기 걸이봉(113)이 삽입되도록 일측에 걸이봉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봉가압부재(30) 일측에 맞닿아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에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태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4a)는 평면상에서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고정부(14b)와, 두 고정부(14b)를 연결하는 연결부(14c)로 구성된 "工"자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몸체(10)의 작동부(12)는 바늘배출홀(13)의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플란트(14a)의 두 고정부(14b) 중 하나의 고정부(14b)는 작동봉(40)의 가압에 의해 바늘(60)의 임플란트관통홀(61)에 삽입되어 배출되고,
    또다른 고정부(14b)는 상기 절개부(12a)로 노출된 채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태플러.
  5. 삭제
KR1020120153397A 2012-12-26 2012-12-26 의료용 스태플러 KR10140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97A KR101407090B1 (ko) 2012-12-26 2012-12-26 의료용 스태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97A KR101407090B1 (ko) 2012-12-26 2012-12-26 의료용 스태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090B1 true KR101407090B1 (ko) 2014-06-13

Family

ID=5113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397A KR101407090B1 (ko) 2012-12-26 2012-12-26 의료용 스태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789B1 (ko) * 2015-06-16 2016-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비드공급장치
KR102126675B1 (ko) * 2020-04-08 2020-06-26 이유민 복강경용 스태플러
KR20200117466A (ko) * 2019-04-04 2020-10-14 (주)아그네스메디컬 플라즈마 피부 미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218A (ja) 2000-04-27 2001-12-25 M I T Internatl:Kk ループピン結合装置
KR20080006008A (ko) * 2005-05-26 2008-01-15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걸림 부재 부착 장치
WO2011100399A1 (en) 2010-02-11 2011-08-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dispensing hand tool having an anvil
KR20120018788A (ko) * 2009-05-12 2012-03-05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패스너, 수술용 패스너를 전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기구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218A (ja) 2000-04-27 2001-12-25 M I T Internatl:Kk ループピン結合装置
KR20080006008A (ko) * 2005-05-26 2008-01-15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걸림 부재 부착 장치
KR20120018788A (ko) * 2009-05-12 2012-03-05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패스너, 수술용 패스너를 전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기구 및 방법
WO2011100399A1 (en) 2010-02-11 2011-08-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dispensing hand tool having an anvi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789B1 (ko) * 2015-06-16 2016-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비드공급장치
KR20200117466A (ko) * 2019-04-04 2020-10-14 (주)아그네스메디컬 플라즈마 피부 미용장치
KR102188170B1 (ko) 2019-04-04 2020-12-07 (주)아그네스메디컬 플라즈마 피부 미용장치
US11529181B2 (en) 2019-04-04 2022-12-20 Agnes Medical Co., Ltd. Plasma skin care device
KR102126675B1 (ko) * 2020-04-08 2020-06-26 이유민 복강경용 스태플러
WO2021206353A1 (ko) * 2020-04-08 2021-10-14 주식회사 세하메디칼 복강경용 스태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627C2 (ru) Сши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4786902B2 (ja) 両側組織固定のための機械的方法及び器具
JP3944243B2 (ja) 縫合システム
US5643319A (en) Device for applying a meniscal staple
EP3123948B1 (en) Surgical instrument
KR100646762B1 (ko) 수술용 스테이플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자동 문합기
RU2627149C2 (ru) Зажимны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ыдач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элементов в мягкую среду
AU2009308484B2 (en) Meniscal repair systems
CN100569190C (zh) 外科缝合器械
JP5571656B2 (ja) 弁置換の間にファスナを送出する装置及び方法
JP4090721B2 (ja) ファスナ送出機構を有する外科用器具
RU2626119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дозированного введ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элементов в ткань с одновременным нанесением наружных маркировочных знаков, отображающих число и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 введенных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элементов
JP3792687B2 (ja) 装填機構を備えた手術用縫合装置
CN103096817B (zh) 用于外科缝合器的具有击发锁定的外科缝合头组件
US7950559B2 (en) Mechan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bilateral tissue fastening
US20020002374A1 (en) Single shot meniscal repair device
CN102892359A (zh) 用于缝合心脏开口的方法和装置
WO2006007189A1 (en) Applicator and method for deploying a surgical fastener
KR101407090B1 (ko) 의료용 스태플러
WO2015193503A2 (en) Anchor delivery system
US7794471B1 (en) Compliant anastomosis system
RU2667609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элементы с шарнирными соединениями и наконечниками, выполненным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лоняться
US10987098B2 (en) Z-shaped meniscus repair device and method
KR101945247B1 (ko) 스텐트 구조물을 이용한 복강경 수술용 스테이플링 장치
RU2310405C2 (ru)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 атравматическими игл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