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977B1 -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977B1
KR101406977B1 KR1020120156436A KR20120156436A KR101406977B1 KR 101406977 B1 KR101406977 B1 KR 101406977B1 KR 1020120156436 A KR1020120156436 A KR 1020120156436A KR 20120156436 A KR20120156436 A KR 20120156436A KR 101406977 B1 KR101406977 B1 KR 10140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ring
upper body
signal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현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지하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하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지하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15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나 호수 등 수중에 설치하여 수온, 유속 등의 수중 데이터를 채집하고 필요시 부상하도록 하기 위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에서 무게추나 앵커 등과의 분리를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구로 상승되는 상부체와 중량추등으로 고정되는 하부체 사이를 히터와 열가소성 섬유로 된 고리로 체결하여 줌으로써 관리자에 의하여 신호가 발신되면 즉각 히터가 발열하면서 고리를 용단시켜 상부체의 신속, 정확한 상승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부상 신호의 수신시 수중 침강체로부터 신속하게 상부체를 분리하여 부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신뢰성 높은 부상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Floatation Apparatus for Underwater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바다나 호수 등 수중에 설치하여 수온, 유속 등의 수중 데이터를 채집하고 필요시 부상하도록 하기 위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도 바다나 호수 등 수중에 모니터링 수단을 투입하여 산성도나 염도,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 유향(流向), 유속, 수온, 조위, 파고, 주기등 수중환경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 및 데이터 변화를 측정하거나 감시하도록 하고 필요한 시점에서 상승시켜 회수함으로써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가 활용되었다.
이러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은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연결하고, 필요한 수심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 등에 매달아 설치하였으나, 이와 같이 유선케이블 설치를 하게 되면 설치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해상 기후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인근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닻을 내려 선박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하므로 데이터 확보와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 수단을 수중에 설치하고 필요한 경우 부상되도록 무선 제어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모니터링 관련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가 보편화되었으며, 수중 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막을 제거하는 어쿠스틱 릴리즈를 사용한 대표적인 예를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17354호( 발명의 명칭: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중 통신 키트 및 그를 포함하는 수중 통신 시스템;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1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1로 보인 바와 같이 수중 통신 키트(100)는 수중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20)와, 센서(120)에서 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수중 통신 모듈(110), 통신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막을 제거하는 어쿠스틱 릴리즈(170A,170B), 센서(120), 통신 제어부(110) 및 어쿠스틱릴리즈(170A,170B)를 포함하는 케이스(195) 및 케이스(190)안에 구비되며, 어쿠스틱릴리즈(170A,170B)에 의해 차단막이 제거된 통로를 통해 수면까지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회수용 압력부이(180)를 구비한다.
이러한 어쿠스틱릴리즈(170A,170B)는 해수면으로부터의 특정한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면 내부작동을 하여 회수용 압력부이의 상승을 막고 있었던 차단막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수용 압력부이(180)는 부력을 가지고 있고 일측이 로프(190)와 연결되어 있는데, 차단막이 제거되면 수면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하면 수중까지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고도 관측장비에 의한 수중 환경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기는 하나,
이러한 어쿠스틱 릴리즈를 채용한 개폐 구조는 전체적으로 회수용 압력부이보다 그 직경이 4배 정도 커야 하므로 전체적인 수중 통신 키트의 부피를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차단막을 이용한 어쿠스틱 릴리즈는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매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3429(고안의 명칭: 자석식 원격 잠금해지 장치; 이하 '인용발명2'라 함)을 살펴보면, 이는 도2,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데이터 측정 중에는 중량체에 매달려 수중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고, 필요시 외부 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본체(8) 측의 전자석(2)이 작동되고, 이러한 전자석(2)에 반발하는 영구자석(3)을 상단에 부착한 노리쇠(4)가 하강하여 노리쇠(4)와 소켓 사이를 연결시키고 있던 강철구(5)가 노리쇠홈(6)으로 이동하면서 소켓(7)과 노리쇠(4)가 분리되어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부이의 부력으로 상승함으로써 회수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인용발명 1에 비교하여 비교적 부피가 작기는 하나 전자석(2)에 흐르는 전류량을 대단히 크게 증가시켜 노리쇠(4)가 반발되도록 하여 하강시켜야 하므로 부이에 내장된 배터리 용량이 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기간 대기시 자가 방전으로 인하여 작동 불능하게 되어 부상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용발명2는 파랑으로 인하여 위치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소켓홈과 노리쇠홈(6) 사이에서 중력으로 이동하는 강철구(5)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되어 작동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17354호( 발명의 명칭: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중 통신 키트 및 그를 포함하는 수중 통신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3429(고안의 명칭: 자석식 원격 잠금해지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에서 무게추나 앵커 등과의 분리를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를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 작동의 실패 요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작동의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앵커나 중량체를 포함한 수중 침강체와 부이를 연결하되, 상기 수중 침강체와 부이 사이를 열가소성 섬유사로 직조한 로프로 연결하고, 상기 로프의 둘레나 그 내부에 발열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발열수단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연결 단자와, 상기 발열수단과 접한 로프의 둘레가 외기와 차단된 차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차폐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하여 둘레를 격벽으로 막고 격벽의 결합 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서 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울러 상기 차폐공간에 발포스티롤이나 장섬유상의 암면등 단열재를 채워줌으로써 저온의 환경에서도 발열에 의한 로프 용단이 구현되도록 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차폐공간에 비도전성 오일을 채워줌으로써 저온 환경에서 발열에 의한 로프 용단 기능에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 침강체를 향하여 부이측으로부터 항상 텐션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로프의 용단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로프의 용단시 부이가 부상하면서 발열수단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부이에 내장된 배터리의 과방전을 억제하도록 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부상 신호의 수신시 수중 침강체로부터 신속하게 부이를 분리하여 부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용융온도가 낮은 열가소성 섬유사로 된 로프로 함으로써 용단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소형화하기에 적합하며 동작에 영향을 주는 장애 요소가 없으므로 신뢰성 높은 부상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수중 통신 키트를 보인 설명도.
도2 내지 도4는 종래의 자석식 원격 잠금해지 장치 작동을 보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를 부구와 닻에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의 외관 및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결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부상 장치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부상 장치의 작동으로 상부체와 하부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의 내부 밀폐공간에 단열재를 채운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의 내부 밀폐공간에 단열재를 채운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의 히터 구동을 위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회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에 본 발명에 의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하였으며, 도6에 본 발명에 의한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의 실제 설치예를 도시하였다.
도6에는 도5로 보인 본 발명은 하방으로는 닻이나 중량추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01)이 구비된 하부체(100)와, 상기 하부체(100)에 체결되는 상부체(300)와, 수중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부상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상부체(300)와 연결된 신호 출력선(400)으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 제어출력부(700)가 부구(800) 하방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부상 장치이다.
아울러, 실제로는 본 발명에서 상부체(300)와 하부체(100)가 다른 형태의 닻이나 중량추 또는 부구(800) 및 제어출력부(700)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7으로 보인 분리사시도와 이의 조립도인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하부체(100)의 중앙으로 체결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0)의 상측에 고정된 열가소성섬유를 꼬아 만든 고리(102)를 설치하고, 상부체(300)의 하방에 설치되고 신호 출력선(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500)가 상기 하부체(100)의 고리(102)에 끼워져 고리(102)와 히터(500)의 결속력으로 상기 하부체(100)와 상기 상부체(300)의 체결이 유지되며 신호 출력선(400)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히터(500)가 발열하면 히터(500)의 열에 의하여 상기 고리(102)가 용단되어 상부체(300)가 부구(800)의 부력으로 상승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하부체(100) 상방의 고리(102)는 상부체(300)의 히터(500)에 체결되어 상부체(300)와 하부체(100)가 밀착되도록 하여야 하며, 부구(800)의 부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고리(102)와 히터(500)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히터(500)를 연결시키되 히터(500)의 양단에 도전봉(302)을 용접하고, 도전봉(302) 상단에 나사부(303)를 형성하고, 이러한 나사부(303)가 상면으로 돌출되게 하며, 도전봉(302)의 상단이 상부체(300)의 상면에 체결 너트(304)에 의하여 충분히 조여지고 와셔(305)에 조여지는 긴장력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500)를 고리(102)에 끼우고 도전봉(302) 상단이 상부체(300) 상면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나사부(303)에 체결된 조임너트(304)를 조여 도전봉(302)에 용접된 히터(500)에 의하여 고리(102)가 상방으로 당겨 지는 텐션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조절 완료된 후에는 그 위에 콘넥터(401)를 끼우고 하나 이상의 조임너트(304)를 끼워 조여 줌으로써 텐션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너트(304)를 과도하게 조이면 와셔(305)가 상부체(300)의 저면에 닿아 더 이상 조일 수 없는 상태로 되어 과도하게 조임으로 인한 고리(102)의 파손이나 히터(500), 도전봉(30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히터(500)와 고리(102)가 적절한 텐션으로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외부의 관리자에 의하여 신호가 전송되면 도12로 보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송신신호 감지부(705), 신호수신부(704)에 의하여 스위칭수단(703)이 작동되어 콘넥터(401)에 연결된 신호출력선(40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전봉(302)을 거쳐 히터(500)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히터(500)의 저항 성분에 의하여 발열이 시작되는 것이며, 이러한 히터(500) 표면의 온도는 매우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열가소성 섬유로 된 고리(102)의 접속 부분이 용단(溶斷)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부체(100)는 체결공(101)에 체인이 끼워져 중량추나 닻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승할 수 없으나, 상부체(300)는 제어 출력부(700)를 거쳐서 부구(8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구(800)의 부력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고리(102)와 히터(500)가 걸려진 하부체(100)와 상부체(300)의 결합 부위에 밀폐공간(600)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외부 관리자에 의하여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신속한 용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체(100)의 상방에 격벽(200)을 세워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고리(102)가 고정되도록 하며, 격벽(200)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오링(201)을 끼워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상부체(300)의 하방 내측벽의 오링(201)과 닿는 부위에 물림턱(301)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부체(300)의 히터(500)와 하부체(100)의 고리(102)가 걸리고 조임너트(304)에 의하여 조여져 긴장된 상태에서 수중에 설치시 오링(201)에 의하여 고리(102)와 히터(500)가 설치된 공간으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히터(500)에 전류가 흘러 발열하는 경우 즉각 히터(500)의 열이 열가소성 섬유로 된 고리(102)를 용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하여 고리(102)가 용단되면 오링(201)에 의한 결합력만으로는 부구(800)에 의한 상부체(300)의 상승력을 제지할 수 없으므로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즉각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상승되는 위치를 이미 알고 있는 관리자에 의하여 부구(800)에 매달린 제어출력부(700) 및 상부체(300)가 회수되어 획득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차폐공간(600)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102)에 히터(500)가 걸린 상태에서 그 둘레를 격벽(200)으로 막아 형성된 공간에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장섬유상으로 된 암면 등 공지된 단열재(601)을 넣어 줌으로써 수온이 매우 낮은 곳에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가 설치되더라도 히터(500)의 온도가 극히 짧은 순간에 상승할 수 있게 되어 빠른 반응 속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11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부체(100)의 격벽(200)과 오링(201) 그리고 상부체(300)의 물림턱(301)에 의하여 확보된 밀폐공간(600) 내부에 비도전성 오일(602)을 채워 주어 본 발명에 의한 부상장치가 수온이 매우 낮은 곳에서도 히터(500)를 신속히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빠른 반응 속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어 출력부(7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도12에 의하여 상부체(300)가 부상하는 경우 히터(500)에 더 이상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관리자가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위치를 표시하는 전파 발신기(도면에는 불표시함)나 경광등(도면에는 불표시함)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관리자에 의하여 부상 신호가 초음파로 송신되면 이를 송신 신호 감지부(705)에 의하여 감지하고 신호 수신부(704)에서 감지된 신호를 엔코딩하여 부상(浮上) 명령을 출력시키면 콘트롤러(702)에 의하여 스위칭수단(703)을 작동시켜 신호 출력선(400)에 배터리의 전원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히터(500)에 전력이 공급되어 고리(102)가 용단되고 이에 따라 상부체(300)가 부구(800)의 부력으로 상승하면서 수중에 히터(500)가 노출되면 의하여 히터(500)에는 더 이상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없으며 관리자가 회수하는 시점까지 전파를 발신하거나 경광등을 점등시켜야 하므로 배터리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체(300)의 히터(500)가 상승하는 시점에서 히터(500)가 물에 젖어 급속히 냉각되면서 히터(500)의 저항이 급속히 감소하여 전류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전류량 변화는 콘트롤러(702)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수단(703)과 히터(500) 사이에 설치된 감지코일(701)에 의하여 감지되어 콘트롤러(702)의 입력 포트에 인가되고, 이러한 입력 포트의 신호 변화가 발생하면 콘트롤러(702)는 즉각 스위칭수단(703)을 제어하여 히터(500)로의 공급 전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상부체(300)의 부상 후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어 출력부(700)에 별도로 설치된 전파 발신기나 경광등을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히터(500)에 고리(102)가 1회 교차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500)에 고리(102)가 2회 이상 감겨져 2회 이상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히터(500)와 고리(102)의 결속을 강화하고, 히터(500)의 열에 의하여 더욱 신속하게 용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하부체 101: 체결공 102: 고리
200: 격벽 201: 오링 300: 상부체
301: 물림턱 302: 도전봉 303: 나사부
304: 조임너트 305: 와셔 400: 신호출력선
401: 콘넥터 500: 히터 600: 밀폐공간
601: 단열재 602: 오일 700: 제어 출력부
701: 감지코일 702: 콘트롤러 703: 스위칭수단
704: 신호수신부 705: 신호감지부 800: 부구

Claims (9)

  1. 삭제
  2. 닻이나 중량추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체결되는 상부체와, 부상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상부체와 연결된 신호 출력선으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출력부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체는 열가소성섬유를 꼬아 만든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는 신호 출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상기 하부체의 고리에 끼워져 고리와 히터의 결속력으로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체결이 유지되며, 상기 신호 출력선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히터가 발열됨에 따라 상기 고리가 용단되어 상부체가 부구의 부력으로 상승되되,
    상기 히터의 양단에 용접된 도전봉과, 상기 도전봉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체의 일면으로 돌출된 나사부와,
    상기 돌출된 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히터와 상기 고리의 체결 상태의 긴장을 위한 조임 너트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너트에 의한 도전봉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기 히터와 상기 고리 사이에 생성되는 긴장력을 제한하기 위한 와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상기 고리의 긴장력을 조성한 조임 너트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조임 너트를 조여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5. 닻이나 중량추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체결되는 상부체와, 부상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상부체와 연결된 신호 출력선으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출력부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체는 열가소성섬유를 꼬아 만든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는 신호 출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상기 하부체의 고리에 끼워져 고리와 히터의 결속력으로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체결이 유지되며, 상기 신호 출력선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히터가 발열됨에 따라 상기 고리가 용단되어 상부체가 부구의 부력으로 상승되되,
    상기 하부체의 일방에 세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고리가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격벽과, 상기 격벽 바깥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에 체결되는 오링과, 상기 상부체의 일방에 형성되며 내부 둘레면에 상기 오링이 결합되는 물림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격벽 바깥 둘레와 상기 상부체의 내부 둘레가 상기 오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기 격벽 내부의 밀폐 공간에 암면으로 대표되는 공지의 단열채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격벽 바깥 둘레와 상기 상부체의 내부 둘레가 상기 오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기 격벽 내부의 밀폐 공간에 비전도성 오일이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8. 닻이나 중량추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체결되는 상부체와, 부상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상부체와 연결된 신호 출력선으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출력부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체는 열가소성섬유를 꼬아 만든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체는 신호 출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상기 하부체의 고리에 끼워져 고리와 히터의 결속력으로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체결이 유지되며, 상기 신호 출력선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히터가 발열됨에 따라 상기 고리가 용단되어 상부체가 부구의 부력으로 상승되되,
    상기 제어출력부는 초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송신 신호 감지부와,
    상기 송신 신호 감지부의 출력을 엔코딩하여 데이터로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콘트롤러가 구성되어,
    부상 신호에 해당하는 초음파 신호를 상기 제어출력부가 감지하면 제어출력부의 콘트롤러에 의하여 상기 히터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히터가 발열하여 히터에 걸려있는 상기 고리가 용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출력부의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과 히터 사이에 히터의 수중 노출 시 증가되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코일이 상기 제어출력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KR1020120156436A 2012-12-28 2012-12-28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KR10140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36A KR101406977B1 (ko) 2012-12-28 2012-12-28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36A KR101406977B1 (ko) 2012-12-28 2012-12-28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977B1 true KR101406977B1 (ko) 2014-06-13

Family

ID=5113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436A KR101406977B1 (ko) 2012-12-28 2012-12-28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040A (zh) * 2018-10-26 2019-02-22 中国科学院深海科学与工程研究所 一种海洋自主释放器
CN110435822A (zh) * 2019-09-12 2019-11-12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水下潜标观测破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59A (ko) * 1997-02-18 1998-10-15 고영균 하수관내의 돌출 플라스틱관 절단장치
KR100635358B1 (ko) * 2005-04-26 2006-10-17 디에스엠이 유텍 주식회사 초음파 통신기법을 이용한 수중용 부식선식 잠금해지 장치
JP2007323391A (ja) 2006-06-01 2007-12-13 Nec Corp 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
KR20090121261A (ko) * 2009-09-23 2009-11-25 이중복 결합끈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59A (ko) * 1997-02-18 1998-10-15 고영균 하수관내의 돌출 플라스틱관 절단장치
KR100635358B1 (ko) * 2005-04-26 2006-10-17 디에스엠이 유텍 주식회사 초음파 통신기법을 이용한 수중용 부식선식 잠금해지 장치
JP2007323391A (ja) 2006-06-01 2007-12-13 Nec Corp 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
KR20090121261A (ko) * 2009-09-23 2009-11-25 이중복 결합끈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040A (zh) * 2018-10-26 2019-02-22 中国科学院深海科学与工程研究所 一种海洋自主释放器
CN110435822A (zh) * 2019-09-12 2019-11-12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水下潜标观测破断装置
CN110435822B (zh) * 2019-09-12 2024-04-12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水下潜标观测破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05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CN104044716B (zh) 一种一体化串联式声学释放器
US20090149092A1 (en) Buoy
KR101406977B1 (ko) 수중 모니터링 수단을 위한 부상 장치
CN112606954B (zh) 一种具有数据回收仪的潜标及其回收方法
US20210021913A1 (en) Underwater data capture and transmission system
JP5812486B2 (ja) 溶断装置
WO2022252767A1 (zh) 一种无人艇牵引的远程布放智能海床基
CN112537425A (zh) 一种水下释放器以及水下设备回收系统
KR102219469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CN106997656B (zh) 一种海底仪器用的水下数据传输平台
CN211262122U (zh) 一种尾矿坝浸润线高度监测装置
US7054230B1 (en) Locator device for submerged structures
CN209057375U (zh) 水底测量装置
CN204649728U (zh) 用于水处理系统的缺盐监测装置
JP4236618B2 (ja) 水中切離装置
CN201520963U (zh) 遥控上浮水面拦截装置
CN104670445B (zh) 一种潜水器超深保护装置及方法
RU90040U1 (ru) Всплывающий буй
JPH10338189A (ja) 海中観測係留系の係留状況監視装置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US20240101235A1 (en) Weight release device
CN205992721U (zh) 一种智能输电浮水电缆
CN219115690U (zh) 一种水下释放装置
CN213502807U (zh) 一种在潜标中使用的分体声学释放装置和释放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