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876B1 - 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876B1
KR101406876B1 KR1020140000597A KR20140000597A KR101406876B1 KR 101406876 B1 KR101406876 B1 KR 101406876B1 KR 1020140000597 A KR1020140000597 A KR 1020140000597A KR 20140000597 A KR20140000597 A KR 20140000597A KR 101406876 B1 KR101406876 B1 KR 10140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layer
composition
forming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환
임상기
설경옥
최남숙
Original Assignee
서정환
최남숙
설경옥
임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환, 최남숙, 설경옥, 임상기 filed Critical 서정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76B1/en
Priority to PCT/KR2014/0074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20500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ractive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reflective articl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ractive layer includes 30-10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acrylic resin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and 0.1-20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reflective body selected from a group constitute by glass beads and micro-prism. The anionic functional group is selected from a group constituted by a hydroxy group in a molecule,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of those.

Description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및 반사 물품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reflective article. BACKGROUND AR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우수한 광반사 효과와 함께, 별도의 접착층 없이도 기재에 대해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며, 내열성의 증가로 기재 변색 또는 연소에 대한 우려없이 패턴 또는 염색을 위한 승화 전사가 가능하도록 하며, 표면 촉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사층의 형성이 가능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및 반사 물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n excellent light reflecting effect, exhibits an excellent fastness to a substrat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ayer, and an increase in heat resistance enables sublimation transfer for patterning or dyeing without concern for substrate discoloration or burning, And to a method for producing a reflective article.

안전복이나 소방복, 안전물품, 스포츠 의류, 신발 또는 기타 장식용품 등에서는 특정 정보의 표식이나 디자인의 부각 등과 같이 시인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 광반사 기능을 갖는 다양한 반사체를 이용하고 있다.Various reflectors having a light reflection function are used for a part where visibility is required, such as a sign of specific information or an indication of design, in a safety garment, a fire suit, a safety article, a sports garment, a shoe or other decorative article.

종래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옷의 일부에 직접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광반사체는 그 자체가 고가이고,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인식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옷 자체가 너무 무거워져서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is directly attached to a part of clothes. However, such a light reflector itself is expensive, and it is difficult to exert a sufficient recognition function because it is partially used and attached. In addition, the clothes themselves become too heavy, causing inconveniences in the work.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발광도료가 부분적으로 도포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사각지역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충분한 시인성을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사용되는 발광도료가 인형광 물질이거나 또는 축광물질 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원과 가까운 거리에서는 높은 발광효과를 낼 수 있으나, 일정 거리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50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는 시인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applying a light-emitting paint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emitting paint is partially applied, a rectangular area can be visually formed,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visibility. Since the luminescent material to be used is a dolomite material or contains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the like, a high luminous effect can be obtained at a distance close to the light source. However, visibility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egraded.

또 다른 방법으로, 글래스비드(glass bead) 또는 마이크로 프리즘(microprism)의 재귀반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재귀반사는 빛이 어느 방향에서 어느 각도로 들어오더라도 광원의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법은 주로 굴곡이 심한 도로의 표지판이나 야간도로 작업표시판, 야간용 작업복, 안전복이나 소방복 등에 주로 이용되었다. 이중에서도 글래스비드는 재귀반사특성과 함께 작업수월성이 우수하여 보다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using a retroreflective function of a glass bead or a microprism has been proposed. Retroreflective reflects th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light enters in any direction, so it has the advantage of showing excellent visibility even at night or in the dark. Accordingly, the method has been mainly used for sign boards for roads with severe bending, nighttime road sign boards, nighttime work clothes, safety garments, and firefighter uniforms. Glass beads are us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their excellent retroreflective properties and excellent workability.

그러나, 이와 같이 글래스비드 또는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한 방법은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의 표면이 외부로 직접 표출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내구성이 결여되어 마찰이나 충격 발생시 손상 및 탈락되기 쉽고,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높으며, 그 결과로 재귀반사기능 및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 or the microprism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method using the glass bead or the micro prism lacks physical durability and is liable to be damaged or detached when friction or impact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troreflective function and the aesthetic property are deteriorated.

또한 글래스 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한 반사부 또는 반사층은,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반사시트를 이용하여 반사부 또는 반사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에 열전사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접착제 사용에 따른 유해물질 발생의 우려가 있고, 접착제 자체의 변색으로 인해 광반사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열전사 방법의 경우 1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실시되는데, 반사부 또는 반사층이 형성되는 기재가 면, 나일론, 실크 또는 마일 경우 원단이 타거나 변색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하여 반사부 또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의 낮은 가공성으로 인해 후속의 염색 공정이나 패턴 형성 공정의 실시가 어렵고, 견뢰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reflection portion or the reflection layer using glass beads or micro prisms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glass bead or a microprism using a resin adhesive or by using a reflection sheet in which glass beads or micro prism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n thermally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be 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thod using an adhesive, there is a concern that harmful substances are generated due to the use of the adhesive, and the light reflection function is deteriorated due to discoloration of the adhesive itself. Further, in the case of a thermal transfer metho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f 100 ° C or mo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substrate on which the reflective portion or the reflective layer is formed is cotton, nylon, silk or mille, the fabric is burned or discolored. Further, in the case of a method of forming a reflective portion or a reflective layer by using glass beads or microprisms,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ubsequent dyeing step or pattern forming step due to low workability of glass beads or microprism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ness is low .

한국특허공개 제2002-0096570호 (2002.12.3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96570 (published on December 31, 2002)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광반사 효과와 함께, 별도의 접착층 없이도 기재에 대해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며, 내열성의 증가로 기재 변색 또는 연소에 대한 우려없이 패턴 형성 또는 염색을 위한 프린트 공정, 특히 고온에서의 승화 전사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표면 촉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사층의 형성이 가능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attern formation or dyeing without fear of substrate discoloration or burning due to an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 good fastness to a substrat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ayer,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capable of forming a reflective layer capable of performing a transfer process and improving surface tactile fee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반사 물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반사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reflective article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a reflective article produced thereb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30 내지 100중량부, 및 증점제 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kind of refle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beads and microprisms,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containing anionic functional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thereof, and 0.1 to 20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1.9 내지 2.2의 굴절율 및 98%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the reflector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1.9 to 2.2 and a transparency of 98% or more.

또한, 상기 글래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 입자일 수 있다.Further, the glass beads may be spherical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 to 70 mu m.

또한, 상기 반사체는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리즘 0.01 내지 3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or may include 0.01 to 30 parts by weight of microprism for 100 parts by weight of glass beads.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다.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may be a polyacrylic resin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thereof in the molecule.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성분 0.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n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또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include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a mixture thereof.

또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분산제, 경화제, 자외선흡수제, 황변억제제, 광확산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침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spersing agent, a cur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yellowing inhibitor, a light diffusing agent, a surfactant, an antistatic agent, a precipitation inhibitor and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물품 제조방법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도포막을 다단계로 건조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flective articl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co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drying the coating film in multiple steps to form a reflective layer.

상기 다단계 건조는, 1차 건조단계, 상기 1차 건조와 다른 온도에서 진행되는 2차 건조단계 및 상기 1, 2차 건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3차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1 내지 3차 건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4차 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stage drying may include a primary drying step, a secondary drying step which proceeds at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primary drying, and a tertiary drying step which proceed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imary and secondary drying temperatures.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drying step which proceed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o third drying temperatures.

상기 1차 건조단계는 60 내지 130℃에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2차 건조단계는 40 내지 120℃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3차 건조단계는 40℃ 이하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4차 건조단계는 160 내지 230℃에서 진행될 수 있다.The primary drying may be performed at 60 to 130 ° C, the secondary drying may be performed at 40 to 120 ° C, the tertiary dry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0 ° C or lower, The step may be carried out at 160 to 230 < 0 > C.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30 내지 100중량부 및 증점제 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thereof in an intramolecular form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kind of refle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beads and microprism From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anionic polymers and from 0.1 to 20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성분 0.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n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4200 내지 48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have a viscosity of 4200 to 4800 cp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사물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lective article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detail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광반사 효과와 함께, 별도의 접착층 없이도 기재에 대해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며, 내열성의 증가로 기재 변색 또는 연소에 대한 우려없이 패턴 형성 또는 염색을 위한 프린트 공정, 특히 고온 승화 전사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표면 촉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사층 형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사층의 광반사 효과에 의한 시인성 또는 디자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품들, 구체적으로는 표시판, 안전복, 의류, 유아용품, 야간 작업복용 섬유나 직물 또는 이를 이용한 원단 등에 적용가능하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light reflection effect and exhibits an excellent fastness to a substrate even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ayer and can be applied to a printing process for pattern formation or dyeing , In particular, a high-temperature sublimation transfer process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reflective layer capable of improving surface tactile sensation. Accordingl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articles requiring visibility or design due to the light reflection effect of the reflective layer, specifically, a display panel, a safety garment, a garment, a baby article, a fabric or a fabric for night work, Applicable.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30 내지 100중량부, 그리고 증점제 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한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per 10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refle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beads and microprisms,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containing anionic functional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ionic surfactants and their ester groups, and 0.1 to 20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반사체는 반사층내에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체로는 우수한 재귀 반사 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높은 굴절율(refractive index)과 함께 높은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the reflector serves to retroreflec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 the reflective lay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or has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 high transparency so as to exhibit excellent retroreflective efficiency.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체는 1.9 이상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1.9 내지 2.2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의 굴절율이 상기 범위내일 때는 반사체 내벽에서 초점이 형성되어 높은 초점반사율을 나타내고, 그 결과로 재귀반사도가 크다. 그러나 굴절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1.9 미만일 경우에는 초점반사율이 저하되고, 그 결과로 재귀반사도가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Specifically, the reflector preferably has a refractive index of 1.9 or more, and more preferably has a refractive index of 1.9 to 2.2.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lector is within the above range, a focus is formed at the inner wall of the reflector to exhibit a high focus reflectance, and as a result, the retroreflectivity is high. However,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out of the above range and is less than 1.9, the focus reflectance is lowered, and as a result, the retroreflectivity is lowered.

또한 상기 반사체는 98%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투과율을 가질 때 광반사율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광투과율이 98% 미만일 경우 빛의 흡수량이 증가하게 되어 재귀반사도가 낮아지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eflector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98% or more.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is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flectance increases. However,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is less than 98%, the amount of absorbed light increases and the retroreflectivity may be lowered.

이와 같은 반사체의 굴절율과 광투과율은 반사체의 조성, 모양 또는 입경에 따라 결정되게 되며, 또한 상기한 특성들은 반사체의 기재에 대한 접착력 및 반사체 자체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flecto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ape or particle size of the reflector, and the above properties also affect the adhesion of the reflector to the substrate and the durability of the reflector itself.

이에 따라 상기 글래스비드는 상기한 굴절율 및 광투과율을 충족하고, 기재에 대한 접착력 및 글래스비드 자체의 내구성을 고려할 때, 상기 글래스비드는 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lass bead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refractive index and light transmittance, and considering the adhesive force to the substrate and the durability of the glass bead itself, the glass bead preferably has a spherical shape, Lt; / RTI >

또한, 상기 글래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것이 우수한 굴절율을 나타내는 동시에 기재에 대한 탈리도가 낮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글래스비드의 평균입자 직경이 30㎛ 미만이면 굴절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글래스비드의 평균입자 직경이 70㎛를 초과하면 코팅 작업성 및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글래스비드로는 상기한 평균입자 직경 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2종 이상의 글래스비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the glass bead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 to 70 占 퐉 may be preferable because they exhibit an excellent refractive index, exhibit a low degree of desalination to the substrate, and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external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beads is less than 30 占 퐉, the refractive index may be lowere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beads exceeds 70 占 퐉, the coating workability and adhesion to the substrate may decrease. The glass beads may also be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of glass wines having differen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the above-mentioned average particle diameter range.

통상 글래스비드는 70% 이상의 실리카(Al2O3) 성분과 함께, NaO, K2O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MgO, CaO 등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 Al2O3와 같은 알루미늄 산화물 등의 무기 금속 산화물 성분을 잔부량으로 포함한다. 이중 무기 금속 산화물 성분은 글래스비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고유의 색을 가져 다량으로 포함될 경우 글래스비드의 투명도 및 굴절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굴절율 및 투명도를 충족하면서도 글래스비드가 적절한 자체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글래스비스가 상기한 무기금속 산화물 성분을 글래스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25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Normally, glass beads are made of an oxide of an alkali metal such as NaO, K 2 O, an oxide of an alkaline earth metal such as MgO, CaO and the like, an aluminum oxide such as Al 2 O 3 , etc., in addition to a silica (Al 2 O 3 ) And an inorganic metal oxide component as a remaining amount. While the dual inorganic metal oxide component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glass beads, the transparency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lass beads may be lowered when contained in a large amount because of inherent color. Accordingly, in order to ensure proper self-durability of the glass beads while satisfy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cy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beads include the inorganic metal oxide component in an amount of 20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lass beads have.

마이크로프리즘은 글래스비드에 비해 광반사 효율은 보다 우수하나, 그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낮다. 한편 글래스비드는 마이크로프리즘에 비해 광반사 효율은 낮으나, 구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글래스비드에 비해 기재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반사체로서 글래스비드 또는 마이크로프리즘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글래스비드와 마이크로프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광반사효율과 함께 접착력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리즘은 글래스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글래스비드에 대한 마이크로프리즘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즉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사층으로부터 탈리되는 마이크로프리즘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오히려 마이크로프리즘 사용량 대비 광반사 효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또 반사물품의 외관 심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면 글래스비드에 대한 마이크로프리즘의 사용량이 지나지게 작을 경우, 구체적으로는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마이크로프리즘 사용에 따른 광반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Micro-prisms have better light reflection efficiency than glass beads, but have low adhesion to substrates due to their unique shape. On the other hand, the glass bead has a lower light reflection efficiency than the microprism, but has a spherical shape and can exhibit more stable adhesion to the substrate than glass beads. Accordingly, glass beads or microprism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the reflector. In addition, when glass beads and micro prisms are mixed and use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light reflection efficiency and the adhesive force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The micro-prism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lass beads. If the content of the microprism to the glass bead is excessively high, that is, if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icroprism desorbed from the reflective layer increases, and the light reflec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compared with the amount of use of the microprism.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microprism to be used is too small, specifically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flection of light due to the use of microprisms may be insignificant.

또한 상기 반사체는 굴절률 증가, 내구성 강화, 및 기재에 대한 접착력 증진 등을 목적으로 실란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탄올-프리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실란계 화합물 또는 아민계 화합물 등에 의해 표면처리될 경우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증가되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반사체에 대한 표면처리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The reflector may be a surface treated with a compound containing a silane group or an amino group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refractive index, enhancing the durability, and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bstrat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silane compounds such a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mi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butanol-pre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or amine compounds Or the like, it may be preferabl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to the substrate. At this time,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the reflector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또,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분자내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중합체로서, 물질에 대한 반사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반사층의 내열성을 증가시켜 후속의 염색 및 패턴 형성을 위한 고온에서의 전사 공정시 기재의 손상없이 우수한 전사 효율로 염색 및 패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투명성과 함께 반사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이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is a water-soluble polymer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which increases the adhesion of the reflector to the material and increases the heat resistance of the reflective layer, The dyeing and pattern formation can be performed with good transfer efficiency without damaging the substrate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Accordingly, as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having transparency, excellent bonding force with the reflector, and strong physical and chemical durability.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의 폴리아크릴(Polyacryl)계 수지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 '(메트)아크릴산기'는 메타크릴산기 및 아크릴산기를 포함한다.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specifically includes a water-soluble polyacrylic acid hav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includ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Polyacryl) resin.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olyacrylic acid, polymethyl methacrylate, polyhydroxyethyl methacrylic acid, or the like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anionic functional group. In the above, the '(meth) acrylic acid group' includes a methacrylic acid group and an acrylic acid group.

또, 상기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상기한 효과들의 증진을 위한 보조 성분으로서 상기한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oxide)계 수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propyleneoxide)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계 수지,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계 수지, 키토산(Chitosan), 키틴(Chitin),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 함유 고분자,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보조 중합체의 함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abov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may be used as an auxiliary component for promoting the above-mentioned effects, such as polyurethane resin, polyvinylalcohol resin, polyvinylacetate, Based resin, polyethylenoxide-based resin, polypropyleneoxide-based resin, polyethylene glycol-based resin, polyacrylamide-based resin, ethylcellulose-based resin, chitosan- At least one water-solu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containing polymer including a polyimide resin, a polyimide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content of the auxiliary polymer may inhibi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ang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within.

상기와 같은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에 대한 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구체적으로 30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재에 대한 반사체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반사층의 내열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후속의 고온 열전사 공정시 기재의 황변 또는 연소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반사체에 대한 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구체적으로 10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아진 반사체 함량으로 인해 굴절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 to the reflector is too low, specifically less than 30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reflector to the substrate is lower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of the reflective layer is insignificant,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 to the reflector is excessively high, specifically, when it exceeds 100 parts by weight, the refractive index may be lowered due to the relatively low reflector content.

또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증점제는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 특성을 조절하여 기재에 대한 코팅성을 증가시키고, 형성된 반사층내 반사체 의 분산성 및 반사층 두께 균일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the thickening agent serves to improve the coating property to the substrate by controlling the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an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reflector in the formed reflective layer and the uniformity of the reflective layer thickness.

상기 증점제로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ydroxylpropylmethyl cellulos; HPMC), 하이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methyl cellulose; HEMC), 에틸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ethylhydroxyethyl cellulose; EHEC)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thickener include cellulose type thickening agents such as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hydroxyethylmethyl cellulose (HEMC), ethylhydroxyethyl cellulose (EHEC) and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증점제는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에 대한 증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이 고점도화되어, 도포가 용이하지 않는 등 반사층 형성 공정성이 저하되고, 반사층의 두께 균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반면 반사체 에 대한 증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구체적으로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흐름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오히려 공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개선 효과 면에서 상기 증점제는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Concretely, when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for the reflector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becomes high in viscosity, and the coating process is not easy, and the processability of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is lowered and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reflective layer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for the reflector is excessively high, specifically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the flowability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will be excessively increas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fairness. In view of the improvement effec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hicken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또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등과 같은 친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and the like, and the like.

상기 용매는 반사층의 굴절율 및 반사층 형성시 공정성 등을 고려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이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반사체의 굴절율 및 투명도를 고려할 때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4200 내지 48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용매는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6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processability in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cy of the reflecto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4200 to 4800 cps. To this end,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glass beads .

또,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카본 성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carbon component.

카본 성분은 반사층 내에서 난반사되는 빛은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광 흡수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수퍼-P 및 케첸 블랙 등일 수 있다.The carbon component serves as a light absorber that shields diffused light in the reflective layer and transmits only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Specifically, it may be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denka black, super-P, Ketjen black, or the like.

상기 카본 성분의 크기 및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기재에 대한 접착력 등을 고려하여 구형의 입자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7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의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ize and shape of the carbon compon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may be preferable to have a spherical particle shape in view of adhesion to a substrate, and more specifically, a spherical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 to 70 탆 May be more preferable.

상기 카본 성분은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에 대한 카본 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카본 성분 사용에 따른 난반사 방지 및 광흡수 효과가 미미하고, 반사체에 대한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구체적으로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반사체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광반사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carbon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reflector is too low, specifically,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iffuse reflection and the light absorption by the use of the carbon component is insignificant.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s excessively high,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is reduced and the light reflecting effect is lowered.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 반사층 형성시 반사층의 효과 증진 등을 목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내 반사체 등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분산제, 경화제, 자외선흡수제(예를 들면,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등), 황변억제제(예를 들면, 페크마타이트 등), 광 확산제(예를 들면,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포스파이트 등),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또는 글래스비드에 대한 침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layer when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Concretely, a dispersant, a cur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for example, a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like), a yellowing inhibitor (for example, , Etc.), a light diffusing agent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ite and the like), a surfactant, an antistatic agent, or a precipitation preventing agent for glass beads, and one ki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 / RTI >

일례로, 상기 분산제로는 구체적으로 트리칼슘포스페이트, 트리소듐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피로인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분산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 BYK-JET™ 9170(BYK사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dispersing agen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ricalcium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magnesium phosphate, magnesium pyrophosphate, and the like. Commercially available dispersants may also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YK-JET (TM) 9170 (manufactured by BYK).

또 상기 분산제 중에서도 습윤 분산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Also among the above dispersing agents, wetting and dispersing agents may be preferred.

상기 분산제는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글래스비드에 대한 분산제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분산제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반면 글래스비드에 대한 분산제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최종 제조된 반사층내 잔류하는 분산제가 불순물로 작용하여 반사층의 광반사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dispers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ass beads. When the content of the dispersant in the glass beads is too low,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dispersant is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dispersant in the glass beads is excessively high, the residual dispersant in the finally prepared reflective layer acts as an impurity, It is not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1액형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이나, 선택적으로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one-component type reflective layer, and optionally a curing agent.

상기 경화제로는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 및 아지리딘기 등을 가진 다양한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반응성 기는 중합체내 포함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등과 반응하여 가교된 구조로 경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합체로서 폴리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경화제로는 황변의 우려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the curing agent, various curing agents having an isocyanate group, an epoxy group and an aziridine group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lymer. These reactive groups react with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 carboxyl group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polymer and cure into a crosslinked structure. Accordingly, when a polyacrylic resin is used as the polymer, it is preferable that an isocyanate free from yellowing is used as a curing agent.

또,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나프탈렌술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리그닌 술폰산염류, 특수 방향족 술폰산염의 포르말린축합물(부틸나프탈렌 등의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과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과의 포르말린 축합물, 크레졸술폰산나트륨과 2나프톨-6-술폰산나트륨의 포르말린 축합물, 크레졸술폰산나트륨의 포르말린 축합물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As the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nonionic surfactant, a high-molecular surfactant,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formalin condensates of naphthalenesulfonic acid salts, ligninsulfonic acid salts, formalin condensates of special aromatic sulfonic acid salts (formalin condensates of sodium alkylnaphthalenesulfonate and sodium naphthalenesulfonate such as butylnaphthalene, sodium cresylsulfonate and 2-naphthol -6-sodium sulfonate, formalin condensate of sodium cresyl sulfonate, etc.),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s, polyoxyethylene acetylene glycols, polyoxyethylene derivatives, and oxyethylene / oxypropylene block copolymers. have.

또,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아크릴산 부분 알킬에스테르, 폴리알킬렌폴리아민, 폴리아크릴산염,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물, 비닐나프탈렌-말레인산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ic surfactant include polyacrylic acid partial alkyl ester, polyalkylene polyamine, polyacrylic acid salt, styrene-acrylic acid copolymer, vinylnaphthalene-maleic acid copolymer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글래스비드와 함께 글래스비드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바인더로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글래스비드 접착을 위한 별도의 접착층 형성없이도 높은 접착력으로 글래스비드를 안정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원단의 세탁견뢰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반사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증가시켜,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40℃ 이상 증가시킴으로써 후속의 염색 및 패턴 형성을 위한 프린트 공정, 구체적으로는 출력 프린트 공정, 특히 고온에서의 승화전사 공정시 기재의 변색 및 연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원단의 촉감 또는 터치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as a binder for improving the adhesion of glass beads to a substrate together with glass beads, It is possible to stably adhere the glass bead with a high adhesive force without forming an adhesive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washing fastness of the fabric or fabric including the reflective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Further,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may be used in a printing process for subsequent dyeing and pattern formation, in particular, in an output printing process, especially in a sublimation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fle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oloration and combustion of the base material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nd to improve the feel or feel of the fiber or fabric including the reflective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또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와 함께 증점제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현저히 얇아진 반사층의 두께에도 우수한 광반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can exhibit a light reflecting effect that is excellent also i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which i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one, by including the thickening agent together with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우수한 물성적 특성으로 인해 시인성이 요구되는 면, 마, 모 등의 섬유나 직물, 원단 등 다양한 물품에서의 반사층 형성에 특히 유용하다.Due to th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s described above, it is particularly useful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n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fibers, fabrics, fabrics, etc., which require visibility.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반사물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반사물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reflective article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a reflective article produced thereby.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물품의 제조방법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그리고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flective article includ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Forming a coating film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by co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step 2); And drying the coating film to form a reflective layer (step 3).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단계 1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반사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증점제, 그리고 선택적으로 카본성분 및 첨가제를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물질들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ncludes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reflector, a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thereof, Optionally by mixing the carbon component and the additive with a solvent. At this time, the mixing order of the above materi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물 등의 수성 분산매 중에 분산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분산액은 그 자체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도 있고, 또는 음이온성 단량체를 기타 음이온성 공단량체 또는 비이온성 공단량체와 공중합시키거나, 또는 중합 후 음이온성 작용기로 하전시킴으로써 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is used in a form dispersed in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such as water. The dispersion of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or may be obtained by mixing anionic monomer with other anionic comonomers or non- By copolymerization with a comonomer, or by charging with an anionic functional group after polymerization.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단량체의 중합은 용액, 벌크, 침전물, 분산물, 현탁액,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등을 포함하여 통상의 중합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비닐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preparing a dispersion of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method including a solution, a bulk, a precipitate, a dispersion, a suspension, an emulsion, a micro-emulsion and the like, As the monomer,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a vinyl compound can be used.

또,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단량체가 분산액의 상태로 사용될 경우,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도록 하는 양으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분산액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water-soluble anionic monomer is used in the form of a dispersion, a dispersion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i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May be preferred.

상기한 물질들의 혼합 후, 또, 수용성 음이온성 고분자와 반사체의 분산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을 소량 첨가하여 pH를 6 내지 8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실시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dispersion of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and the reflector after mixing the above materials, a step of adjusting the pH to a range of 6 to 8 by further adding a small amount of an acidic or basic solution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further carried out .

또, 용매에 대한 용해도 증가 및 반사체의 분산도 증가를 위해 각 구성성분의 혼합 후 또는 pH 조절 후 초음파기, 균질 혼합기 등을 이용한 균질 혼합 공정을 선택적으로 더 실시할 수도 있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in the solvent and increase the dispersion of the reflector, a homogeneous mixing process using an ultrasonic machine, a homogenous mixer, or the like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fter mixing of each component or after pH adjustment.

또,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카본 성분이 포함될 경우, 카본 입자 역시 미세한 입자 크기로 인해 수분산액 중에 분산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본 성분의 함량은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carbon particle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arbon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aqueous dispersion due to the fine particle size. Accordingly,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parts by weight.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tep 2 is a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by co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prepared in the step 1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이때, 상기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섬유나 종이, 피혁, 또는, 면, 마, 견, 모 등 천연 직물 또는 편물,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의 합성 직물 또는 편물일 수도 있고, 나아가 위에 열거한 기재에 전사, 나염, UV프린트, 솔벤프린트, 수성프린트, 옵셋인쇄 등이 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fibers, papers, leather, natural fabrics or knits such as cotton, hemp, dog, wool, nylon, polyurethane, polyester, rayon, Printing, offset printing, UV printing, solvent printing, aqueous printing, offset printing, and the like.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단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uit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abric.

상기 기재에 대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버스(reverse), 그라비아(gravure), 콤마코터(comma coater), 스프레이(spray), 슬릿 코팅, 바코팅, 또는 나이프코팅(knife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등과 같은 도포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step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on the substrate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Specifically, a coating method such as reverse, gravure, comma coater, spray, slit coating, bar coating, or knife coating, roll coating, Lt; / RTI >

상기와 같은 도포 공정에 따라 형성되는 반사층의 두께는 반사체의 입자 직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건조 후 반사층의 두께가 사용된 반사체의 최대 입자 직경 이상이며, 반사체 평균 입자 직경의 3배 이하가 되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 반사층의 두께가 반사체의 최대 입자 직경보다 작을 경우 도포 공정이 어렵고, 한편 반사체 평균 입자 직경의 3배를 초과할 경우, 굴절율 저하의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formed according to the coating process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reflector.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after drying is not less than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of the reflector used, Or less by weight. Whe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is smaller than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of the reflector beyond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oating process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3 times the reflecto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refractive index may decrease.

또한 반사층내 포함되는 반사체의 함량은 반사물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반사체의 물성적 특성들 및 기재에 대한 접착력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건조 후 기재에 대해 반사체가 30 내지 85g/m2의 양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양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체의 함량이 30g/m2미만일 경우 반사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충분한 반사효과를 얻기 어렵고, 반면 반사체의 함량이 85g/m2를 초과할 경우 반사체의 탈락율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Also,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included in the reflective lay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reflective article.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flector and the adhesive strength to the substr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appli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reflecto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85 g / m < 2 > Do. When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is less than 30 g / m 2 ,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is too low to obtain a sufficient reflection effe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exceeds 85 g / m 2 , the dropout rate of the reflector becomes high.

단계 3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에 대해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tep 3 is a step of forming a reflective layer by applying a drying process to the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produced in the step 2 above.

상기 건조 공정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내 포함된 증점제 등과 같은 저비점을 갖는 유기 성분들은 제거하고, 도포막의 경화를 통해 반사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열풍 건조, 가열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The drying process is for removing organic components having a low boiling point such as a thickene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forming a reflective layer including a reflector and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through curing of the coating film. . ≪ / RTI >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공정은 다단계로 나뉘어 실시되는 것이 1회로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접착력과 견뢰도로 반사체가 기재에 접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drying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multi-stage manner, because the reflector can be adhered to the substrate with excellent adhesive force and fastnes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once.

구체적으로 다단계 건조 공정은 1차 건조단계, 상기 1차 건조와 다른 온도에서 진행되는 2차 건조단계 및 상기 1, 2차 건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3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1 내지 3차 건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4차 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stage drying process includes a primary drying process, a secondary drying process performed at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primary drying process, and a tertiary drying process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imary and secondary drying temperatures, To a tertiary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rtiary drying temperatur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단계 건조 공정은 60 내지 130℃에서의 1차 건조 공정, 40 내지 120℃에서의 2차 건조 공정, 그리고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온도에서의 3차 건조 공정을 포함하며, 나아가 본 실시예는 160 내지 230℃에서 진행되는 4차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ultistage drying process is a drying process at a temperature of 60 to 130 ° C, a secondary drying process at 40 to 120 ° C, and a tertiary drying process at a temperature of 40 ° C or less, preferably 30 to 40 ° C Further,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drying step at 160 to 230 ° C.

상기 1차 건조 공정은 히팅부와의 접촉을 통해 실시될 수 있고, 2차 건조 공정은 건조챔버 내에서 히팅부의 발열 또는 휀을 이용한 열풍 공급에 따라 실시될 수 있으며, 3차 건조 공정은 1차 건조 공정과 같이 히팅부와의 접촉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 4차 건조 공정은 히팅부가 형성된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고열과 고압으로 건조가 실시될 수 있다. 고열과 고압으로 진행되는 4차 건조 공정에서는 기재 위에 열 전사를 함께 진행할 수도 있다.The primary drying step may be carried out through contact with the heating part, and the secondary drying step may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of the heating part or the hot air supply using the fan in the drying chamber. In the tertiary drying step, And may be carried out through contact with a heating part such as a drying step. Further, in the fourth drying step, drying may be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while passing between the rollers in which the h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urth drying step which proceeds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heat transfer may be carried out on the substrate together.

상기와 같이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다단계로 건조 공정이 실시되는 경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반사층내에서 망상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반사층내 형성된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망상구조체에 있어서, 음이온성 작용기가 기재 및 반사체와 상호작용을 하여 기재 및 반사체에 대해 현저히 증가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망상 구조체 내에 반사체가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반사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착화시킬 수 있어 반사 원단의 제조시 반사체의 탈락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사원단의 접착력과 견뢰도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When the drying step is performed in a multi-step manner at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forms a reticular structure in the reflective layer. In the reticulated structure of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formed in the reflective layer, the anionic functional group may interact with the substrate and the reflector to exhibit significantly increased adhesion to the substrate and the reflector. In addition, since the reflector is dispersed and present in the network structure, the reflector can be stably fixed, and the dropout of the reflector can be remarkably re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reflective fabric. As a result, the adhesive strength and fastness of the reflective fabric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카본 성분이 포함된 경우, 상기 건조 공정의 결과로 형성된 반사층내에는 미량의 카본 성분이 잔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사층내 미량으로 존재하는 카본 성분은 반사층내에서 난반사되는 빛은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광 흡수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과량으로 잔류시에는 글래스비드의 광반사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이하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When a carbon component i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 trace amount of carbon component may remain in the reflective layer formed as a result of the drying step. The carbon component present in a small amount in the reflection layer can serve as a light absorber that shields diffused light in the reflection layer and transmits only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beads are present in a very small amount because the light reflecting effect of the glass beads can be reduced when they are left in an excessive amount. Specifically, it may be preferably 0.001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ass beads.

상기한 제조방법은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높은 광반사 효율을 갖는 반사층 형성이 가능하며, 종래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형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반사층은 글래스비드의 최대 입자 직경 이상이며, 글래스비드 평균 입자 직경의 3배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층은 별도의 접착층 형성없이도 기재에 대해 우수한 글래스비드 접착률을 나타내며, 특히 섬유 또는 원단의 경우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원단은 세탁견뢰도 4 내지 5급,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4 내지 5급, 그리고 마찰견뢰도 4 내지 5급인 것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s capable of forming a reflective layer having a high light reflection efficiency by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can be formed to have a significantly thinner thicknes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Specifically, the reflective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not smaller than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bead and not more than three times the glass bead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addition, the reflective layer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described above exhibits a good glass bead adhesion ratio to a substrate without forming a separate adhesive layer, and exhibits excellent fastnes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fiber or a fabric. Specifically, the reflective fabric may have a wash fastness of 4 to 5, a dry cleaning fastness of 4 to 5, and a friction fastness of 4 to 5.

또, 상기 반사층내 포함된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반사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증가시켜,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40℃ 이상 증가시킴으로써 반사 원단의 내열성을 증가시켜 후속의 염색 및 패턴 형성을 위한 프린트 공정, 특히 고온에서의 승화전사 공정시 기재의 변색 및 연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반사층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현저히 개선된 터치감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우수한 물성적 특성으로 인해 반사층의 광반사 효과에 의한 시인성 또는 디자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품들, 구체적으로는 표시판, 반사용 섬유, 안전복, 의류, 유아용품, 야간 작업복용 원단 등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contained in the reflective layer may increas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flective layer, specifically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of the reflective fabric by about 20 to 40 ° C or more to improve the printing process for subsequent dyeing and pattern 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coloration and combustion of the substrate during the sublimation transfer step, especially at a high temperature, and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thereby showing a remarkably improved touch feeling. Because of th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s described above, various articles requiring visibility or design due to the light reflection effect of the reflective layer, specifically, display panels, reflective fibers, safety clothing, Fabrics for night work, and the lik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사물품이 제공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lective article manufactu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반사물품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반사층을 포함한다. The reflective article includes a substrate and a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상기 기재는 섬유원단, 실, 의류, 신발 또는 기타 장식용품 제조를 위한 섬유, 종이, 면, 마, 견, 모 등 천연 직물 또는 편물,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의 합성 직물 또는 편물, 원단, 피혁 등일 수 있다. 나아가 기재는 위에 열거한 기재에 전사, 나염, UV프린트, 솔벤프린트, 수성프린트, 옵셋인쇄 등이 된 것일 수 있다.The substrate may be a synthetic fabric or knitted fabric with nylon, polyurethane, polyester, rayon or the like, natural fabrics or knitted fabrics such as fibers, paper, cotton, hemp, , Fabric, leather, and the like. Further, the substrate may be one which has been transcribed, printed, UV printed, solvent printed, aqueous printed, offset printed or the like on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또한, 상기 반사층은 상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반사체를 포함하여 재귀반사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의 개선된 내열성으로 인해 기재에 상관없이 반사층에 대해 옵셋, 그라비아, 솔벤, UV 평판 프린트 또는 고온의 승화 전사 등 패턴 및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layer is formed of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may include a reflector to exhibit a retroreflective function. In addition, due to the improved heat resistance of the reflective layer, various processes can be performed on the reflective layer to reveal patterns and colors such as offset, gravure, solvent, UV flat plate print, or high temperature sublimation transfer regardless of substrat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로서 분자내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계 수지의 분산액을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50중량부,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중량부, 그리고 분산제로서 BYK-JET™ 9170(BYK사제) 5중량부를 각각 측량하여 물과 메틸알코올의 혼합용액(2:1 혼합부피비) 중에서 혼합한 후, 결과로 수득된 용액에 평균입자직경 40㎛의 글래스비드(굴절율 2.2, 투명도 98%, 글래스비드내 금속산화물 성분의 함량 15%) 100중량부 및 마이크로프리즘 30중량부를 분산시키고, 교반 혼합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용매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4500cps가 되도록 하였다.5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ion of a polyacrylic resin contain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water-soluble anionic polymer, 10 parts by weight of carboxymethylcellulose as a thickener, and 5 parts by weight of BYK-JET (TM) 9170 (Mixing ratio of 2: 1 by volume) of water and methyl alcohol. The resultant solution was mixed with a glass bea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μm (refractive index: 2.2, transparency: 98%, content of metal oxide component in glass beads 15% by weight) and 30 parts by weight of microprisms were dispersed and stirr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was adjusted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was 4500 cps.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상기 제조예 1에서 글래스비드 대신에 마이크로프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microprism was used instead of glass beads in Production Example 1. [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상기 제조예 1에서 글래스비드 대신에, 글래스비드 100 중량부 및 마이크로프리즘 0.1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a mixture of 100 parts by weight of glass beads and 0.1 parts by weight of microprisms was used in place of glass beads.

실시예 1 내지 3Examples 1 to 3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0.7mⅩ0.7m 크기의 나일론 직물 위에 슬릿 코팅 방식으로, 건조 후 두께가 50㎛가 되도록 반복 도포하였다. 나일론 직물 위에 형성된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에 대해 120℃의 히팅부 접촉에 의한 1차 건조, 80℃의 열풍에 의한 2차 건조, 그리고 40℃의 히팅부 접촉에 의한 3차 건조를 연속 실시하여 나일론 직물위에 반사층이 형성된 나일론-반사층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나일론-반사층 원단에서의 반사층 내 반사체의 함량은 70g/cm2이었다.The compositions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s 1 to 3 were repeatedly coated on a nylon fabric having a size of 0.7 m x 0.7 m by a slit coating method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50 탆 after drying. The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formed on the nylon fabric was subjected to primary drying by contact with a heating part at 120 ° C, secondary drying by hot air at 80 ° C, and tertiary drying by contact with a heating part at 40 ° C To prepare a nylon-reflective layer fabric having a reflective layer on the nylon fabric.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reflector in the reflective layer in the fabricated nylon-reflective layer fabric was 70 g / cm 2 .

시험예Test Example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원단을 30X30cm의 크기로 잘라 준비한 원단 시편에 대해, 세탁견뢰도,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및 마찰견뢰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글래스비드층이 형성된 반사시트를 약 200℃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나일론 또는 모 직물 위로 열 전사하여 제조한 원단 1 및 2를 각각 비교예 1 및 2로 사용하였다.The cloth test pieces prepared by cutting the fabric including the reflective layer prepared in Example 1 to a size of 30 cm x 30 cm were evaluated for wash fastness, dry fastness, and fastness to rubbing, respectively. Fabrics 1 and 2, which were prepared by heat-transferring a reflective sheet on which a glass bead layer was formed by heat treatment at about 200 ° C onto nylon or woven fabric, were used a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상기 세탁견뢰도 평가는 KS K ISO 105-C06:2012 A2S호((40±2)℃, 30분, ECE세제)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변퇴색, 오염(나일론) 및 오염(모)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The washing fastness evalu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KS K ISO 105-C06: 2012 A2S ((40 ± 2) ° C, 30 minutes, ECE detergent) and the discoloration (nylon) and conta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상기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평가는 KS K ISO 105-001:2010(용제: 퍼클로로에틸렌)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변퇴색, 및 용제오염 여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The dry cleaning fastness was evaluated according to KS K ISO 105-001: 2010 (solvent: perchlorethylene), and the discoloration and solvent contamination were observed after the test,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또한 상기 마찰견뢰도 평가는 KS K 0650:2011 크로크미터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건조 및 습윤시 각각의 조건 하에서의 마찰 견뢰도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The rubbing fastnes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KS K 0650: 2011 croquette method, and the rubbing fastness under the respective conditions during drying and wetting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각각의 평가에서의 결과를 1에서 5의 다섯개 등급으로 분류하였으며, 등급의 수치가 증가할수록 우수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each evaluation are classified into five grades of 1 to 5,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grade, the bett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항목Evaluation items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세탁견뢰도Wash fastness 변퇴색Fading color 4-54-5 22 2-32-3 오염(나일론)Contamination (nylon) 4-54-5 22 22 오염(모)Pollution 4-54-5 22 22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Dry cleaning
Fastness
변퇴색Fading color 4-54-5 22 2-32-3
용제오염Solvent pollution 4-54-5 22 22 마찰견뢰도Friction fastness 건조dry 4-54-5 22 22 습윤Wet 4-54-5 22 2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원단은 세탁견뢰도,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및 마찰견뢰도 면에서 모두 4 내지 5 등급을 나타내어 2 등급을 나타내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원단의 경우 기재인 나일론과 면에서 각각 황변이 관찰되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fabric of Example 1 produc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grades of 4 to 5 in terms of wash fastness, dry cleaning fastness and friction fastness, And showed an improved effect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howing grades. In the case of the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yellowing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nylon as the base materi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Claims (10)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 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메트)아크릴산기 및 이들의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음이온성의 폴리아크릴계 수지인 30 내지 100중량부, 및
증점제 0.1 내지 20중량부
를 포함하는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refle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beads and microprisms,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nionic polyacrylic resin contain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ntramolecular hydroxyl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 (meth) acrylic acid group and an ester group thereof,
0.1 to 20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가 1.9 내지 2.2의 굴절율 및 98%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것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has a refractive index of 1.9 to 2.2 and a transparency of 98%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가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리즘 0.01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comprises 0.01 to 30 parts by weight of microprism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glass bead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카본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layer further comprises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n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f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이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comprises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a mixtu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이 분산제, 경화제, 자외선흡수제, 황변억제제, 광확산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침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further comprises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spersing agent, a cur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yellowing inhibitor, a light diffusing agent, a surfactant, an antistatic agent, a precipitation inhibitor and a mixture thereof.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도포막을 다단계로 건조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건조가, 60 내지 130℃에서 진행되는 1차 건조단계; 40 내지 120℃에서 진행되며, 단 상기 1차 건조와 다른 온도에서 진행되는 2차 건조단계; 및 40℃ 이하의 온도에서 진행되며, 단, 상기 1, 2차 건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3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반사물품의 제조방법.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Co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and
Drying the coating film in multiple steps to form a reflective layer
/ RTI >
Wherein the multi-stage drying comprises a primary drying step carried out at 60 to 130 캜; A second drying step which is carried out at 40 to 120 ° C, but proceeds at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primary drying; And a tertiary drying step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0 DEG C or lower, but proceedin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imary and secondary drying temperatur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건조가, 상기 1 내지 3차 건조 온도보다 높은 160 내지 23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4차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반사물품의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ulti-stage drying further comprises a fourth drying step at a temperature of 160 to 230 DEG C higher than the first to third drying temperatures.
제8항에 있어서,
제조된 상기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은 제1항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반사물품의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flective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flective layer is produced.

KR1020140000597A 2013-08-09 2014-01-03 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 KR101406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440 WO2015020500A1 (en) 2013-08-09 2014-08-11 Refle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54 2013-08-09
KR20130095054 2013-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876B1 true KR101406876B1 (en) 2014-06-16

Family

ID=5113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597A KR101406876B1 (en) 2013-08-09 2014-01-03 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7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60B1 (en) * 2016-04-07 2016-08-01 주식회사 영창물산 manufactur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87166B1 (en) * 2015-07-29 2016-12-16 주식회사 사람사랑 Method of Preparing Nylon Warp Knitted Fabric for High Fastness and Good Sublimation Transfer Printing
KR20170025564A (en) 2015-08-28 2017-03-08 주원테크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preparing color reflective layer and reflective fabric prepared by using the same
KR20170136167A (en) * 2016-06-01 2017-12-11 김춘호 Light reflecting composition for pillar and product produced by using thereof
KR102104489B1 (en) * 2019-12-26 2020-04-24 주식회사 미광엔텍 Led housing with excellent thermo-shield functions and le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94A (en) * 1999-06-11 1999-09-06 김일한 Embroidery and sewing thread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68261A (en) * 2002-03-13 2003-09-25 Kajima Corp Coating composition for high reflective surface
KR20040043612A (en) * 2002-11-19 2004-05-24 김광태 Spray-type light reflection paint composition
KR200412731Y1 (en) * 2006-01-06 2006-03-31 김정식 Reflection band for registration number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94A (en) * 1999-06-11 1999-09-06 김일한 Embroidery and sewing thread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68261A (en) * 2002-03-13 2003-09-25 Kajima Corp Coating composition for high reflective surface
KR20040043612A (en) * 2002-11-19 2004-05-24 김광태 Spray-type light reflection paint composition
KR200412731Y1 (en) * 2006-01-06 2006-03-31 김정식 Reflection band for registration number pla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166B1 (en) * 2015-07-29 2016-12-16 주식회사 사람사랑 Method of Preparing Nylon Warp Knitted Fabric for High Fastness and Good Sublimation Transfer Printing
KR20170025564A (en) 2015-08-28 2017-03-08 주원테크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preparing color reflective layer and reflective fabric prepared by using the same
KR101644160B1 (en) * 2016-04-07 2016-08-01 주식회사 영창물산 manufactur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36167A (en) * 2016-06-01 2017-12-11 김춘호 Light reflecting composition for pillar and product produced by using thereof
KR101851595B1 (en) * 2016-06-01 2018-06-04 김춘호 Light reflecting composition for pillar and product produced by using thereof
KR102104489B1 (en) * 2019-12-26 2020-04-24 주식회사 미광엔텍 Led housing with excellent thermo-shield functions and le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876B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refe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refrective article
US8470394B2 (en) Colorized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TWI446026B (en) A polarizing pl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 optical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KR100888572B1 (en)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CN105301684B (en) Ventilative fancy reflection material of a kind of wide cu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22371B1 (en) Reflective fabric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1784592B (en) Polyester film for brightness enhancement sheet
CN108026730A (en) Light-weight environment-friendly type polypropylene composite materials flo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363932A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3792603B (en) Retroreflecting material and goods
CN101522767A (en) Hard-coating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tireflection film
TW201625990A (en) Retroreflective colored articles
KR102534699B1 (en) Reflecting composition comprising glassbead treated by plasma, fabrics having retroreflec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s having reflectivity
CN101195730A (en) Light-shiel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164280A (en) Retroreflective article containing polyether polyurethane binder layer
EP1144524B1 (en) Retroreflective inks
JP5927832B2 (en) Functional foam wallpaper
TW200540146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353121B2 (en) Retroreflective material
KR101644160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40736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fabric
CN106118442A (en) A kind of blooming cold coating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5020500A1 (en) Refle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5030770A1 (en) Colorized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KR101927074B1 (en) Reflective fabric producted by all fabrics finishing technica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