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174B1 -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 Google Patents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174B1
KR101406174B1 KR1020070059517A KR20070059517A KR101406174B1 KR 101406174 B1 KR101406174 B1 KR 101406174B1 KR 1020070059517 A KR1020070059517 A KR 1020070059517A KR 20070059517 A KR20070059517 A KR 20070059517A KR 101406174 B1 KR101406174 B1 KR 10140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melting point
lead
wettability
bism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304A (ko
Inventor
이영우
강경인
정병욱
정재필
이기주
이희열
Original Assignee
엠케이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케이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케이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74B1/ko
Priority to US12/019,687 priority patent/US7670548B2/en
Publication of KR2008011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6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400 degrees C
    • B23K35/262Sn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6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400 degrees 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무연솔더를 제공한다. 상기 무연솔더는 1.5 wt% 내지 2.5 wt%의 은(Ag),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Bi), 0.005 wt% 내지 0.1 wt%의 탈산제(deoxidizing agent), 및 잔부의(a balance of) 주석(Sn)을 함유한다. 이러한 무연솔더는 젖음성이 향상되고, 융점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솔더용탕 내에서 산화막이 거의 생성되지 않고, 깨짐이 감소되며,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Lead free solder containing Sn, Ag and Bi}
도 1은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의 솔더용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솔더의 솔더용탕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무연솔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n-Ag-Bi계 무연솔더에 관한 것이다.
무연솔더(lead free solder)는 인체에 유해한 납(Pb)이 함유되지 않은 전자부품의 접합용 도전재료이다. 이러한 무연솔더는 최근 납 사용에 대한 국제 환경규제의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연솔더의 한 종류로 Sn-Ag-Cu계 솔더가 있다. 상기 Sn-Ag-Cu계 솔더의 대표적 조성은 Sn-3Ag-0.5Cu로서, Sn-3Ag-0.5Cu 조성의 무연솔더는 217~219℃의 높은 융점을 갖는다. 그러나, 높은 융점을 갖는 솔더는 높은 온도에서 솔더링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전자부품의 열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젖음성이 향상되고, 융점이 낮은 무연솔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무연솔더를 제공한다. 상기 무연솔더는 1.5 wt% 내지 2.5 wt%의 은(Ag),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Bi), 0.005 wt% 내지 0.1 wt%의 탈산제(deoxidizing agent), 및 잔부의(a balance of) 주석(Sn)을 함유한다. 이러한 무연솔더는 젖음성이 향상되고, 융점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솔더용탕 내에서 산화막이 거의 생성되지 않고, 깨짐이 감소되며,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탈산제는 알루미늄(Al), 규소(Si), 망간(Mn), 티타늄(Ti) 및 리튬(L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탈산제는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상기 탈산제는 0.005 wt% 내지 0.05 wt%로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비스무스는 4.5 wt% 내지 6 wt%로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더욱 향상되고, 융점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은은 1.7 내지 2.3 wt%로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더의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무연솔더의 융점은 203 ℃ 내지 210 ℃일 수 있고, 나아가 204 ℃ 내지 207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솔더는 은(Ag), 비스무스(Bi), 탈산제(deoxidizing agent), 및 잔부의(a balance of) 주석(Sn)을 함유한다.
상기 솔더는 0.005 wt% 내지 0.1wt%의 탈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Sn-3Ag-0.5Cu 솔더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며, 융점 또한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러나, 솔더 내의 탈산제의 함량이 0.005 wt% 미만인 경우, 극소량에 해당하여 젖음성 향상 및 융점의 감소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취급의 어려움이 있다. 반면, 솔더 내의 탈산제의 함량이 0.1 wt%를 초과하는 경우, 솔더용탕 내에 뚜꺼운 산화막이 생성되는 등 용탕의 상태가 매우 불량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탈산제의 함량은 0.005 내지 0.05 wt%일 수 있다. 이 경우, 젖음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탈산제는 알루미늄(Al), 규소(Si), 망간(Mn), 티타늄(Ti) 및 리튬(L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탈산제는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상기 솔더는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Sn-3Ag-0.5Cu 솔더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며, 융점 또한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러나, 솔더 내의 비스무스 함량이 3 wt% 미만인 경우, 젖음성의 향상 및 융점의 감소를 기대하기 어렵고, 솔더 내의 비스무스 함량이 6 wt%를 초과하는 경우, 솔더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솔더가 깨짐성이 증가된다. 나아가, 상기 비스무스의 함량은 4.5 내지 6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융점은 더욱 감소할 수 있고, 젖음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솔더는 1.5 wt% 내지 2.5 wt%의 은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은의 함량이 1.5 wt% 미만인 경우에 비해 열충격 내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상기 은의 함량이 2.5 wt%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 낙하 내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고려할 때 상기 은의 함량은 1.7 wt% 내지 2.3 wt%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무연솔더는 Sn-3Ag-0.5Cu 합금 솔더에 비해 향상된 젖음성을 가짐으로써, 솔더링 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무연솔더는 203 ℃ 내지 210 ℃의 융점, 나아가 204 ℃ 내지 207 ℃의 융점을 가짐으로써, 217 ℃의 융점을 갖는 Sn-3Ag-0.5Cu 합금 솔더에 비해 융점이 낮아 전자부품의 솔더링 시 전자부품에 열손상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무연솔더는 볼(ball), 크림(cream), 바(bar) 또는 와이어(wire)를 비롯한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합금들인 Sn-Ag 합금, Sn-Bi 합금 및 Sn-Al 합금을 제조한 후, 도가니에 Sn을 용융시킨 후, 상기 Sn-Ag 합금, Sn-Bi 합금 및 Sn-Al 합금을 차례로 용융시켜 솔더용탕을 만든다. 상기 솔더용탕의 온도를 600 ℃ 내지 650 ℃로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출탕시켜 바 형태로 주조한다.
이후, 상기 바 형태의 솔더를 용융시켜 볼 형태, 크림 형태 또는 와이어 형 태의 솔더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탈산제의 조성변화에 따른 솔더들의 젖음성, 융점 및 솔더용탕의 산화막 발생 비교
<표 1>
조성(wt%) 특성
주석(Sn) 은(Ag) 비스무스(Bi) 알루미늄(Al) 영점시간(sec) 융점(℃)
실험예 1 잔부 2 5 0.005 0.753 204.08
실험예 2 잔부 2 5 0.008 0.726 204.13
실험예 3 잔부 2 5 0.01 0.718 204.34
실험예 4 잔부 2 5 0.05 0.734 206.89
실험예 5 잔부 2 5 0.1 0.922 207.46
비교예 1 잔부 2 5 0.15 - -
비교예 2 주석: 잔부, 은: 3 wt%, 구리: 0.5 wt% 1.418 217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실험예들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솔더들을 제조하였다.
(1) 솔더용탕(solder bath) 내의 산화막 발생 비교
도 1은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의 솔더용탕(65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솔더의 솔더용탕(650℃)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0.15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비교예 1에 따른 솔더용탕(20)의 표면에는 두꺼운 산화막(25)이 생성된 반면, 0.1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용탕(10)의 표면에는 산화막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 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0.005 wt% 내지 0.05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실험예들 1 내지 4에 따른 솔더용탕들은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용탕에 비해 생성되는 산화막이 적거나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탈산제 즉, 알루미늄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0.1 wt% 이하임을 알아내었다.
(2) 젖음성(wettability)
상기 실험예들 1 내지 5, 및 비교예 2에 따른 솔더들의 젖음성을 레스카(RESCA)사의 SAT-5000 솔더 체커(Solder Check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50℃의 솔더용탕 내에 길이 30㎜, 너비 10㎜, 두께 0.3㎜로 와이어 커팅된 무산소동(oxygen free copper)를 2㎜/sec의 속도로 2㎜깊이까지 담구면서 영점시간(zero-cross time)을 측정하되, 시험방법규격인 JIS Z 3198-4에 따라 측정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들 1 내지 5에 따른 솔더들의 영점시간은 0.753 초 내지 0.922초로 비교예 2에 따른 솔더의 영점시간인 1.418초에 비해 현저하게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예들 1 내지 5에 따른 솔더들이 비교예 2에 따른 솔더 즉, Sn-3Ag-0.5Cu 솔더에 비해 젖음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서, 0.005 wt% 내지 0.05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실험예들 1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의 영점시간은 0.718초 내지 0.753초로 0.1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의 영점시간인 0.922초에 비해 더욱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예들 1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의 젖음성이 실험예 5에 따른 솔더의 젖음성에 비해 더욱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알루미늄의 더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0.005 wt% 내지 0.05 wt%임을 알아내었다.
(3)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융점 비교
상기 실험예들 1 내지 5, 및 비교예 2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을 신코(Scinco)사의 DSC S-65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기분위기에서 솔더들을 25℃에서 240℃에 이르기까지 10℃/min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융점을 측정하여 상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참고로, 상기 융점은 온도에 대한 열흐름(heat flow)을 나타낸 DSC 그래프에서 열흐름이 최소치일 때의 온도를 말한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들 1 내지 5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은 204.08℃ 내지 207.46℃로 비교예 2에 따른 솔더의 융점인 217℃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예들 1 내지 5에 따른 솔더들이 비교예 2에 따른 솔더 즉, Sn-3Ag-0.5Cu 솔더에 비해 융점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나타낸다.
(4) 결론
상술한 바와 같이, 솔더의 젖음성, 융점 및 솔더용탕 내 산화막 생성정도를 고려할 때, Sn-Ag-Bi-Al 솔더에 있어 탈산제 즉, 알루미늄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0.1wt% 이하이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Sn-3Ag-0.5Cu 솔더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며, 융점 또한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러나, 솔더 내의 알루미늄 함량이 0.005 wt% 미만인 경우, 극소량에 해당하여 젖음성 향상 및 융점의 감소를 기대하 기 어려울 뿐 아니라 취급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Sn-Ag-Bi-Al 솔더에 있어 탈산제 즉, 알루미늄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0.005 wt% 내지 0.1 wt%이다. 이러한 0.005 wt% 내지 0.1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Sn-Ag-Bi-Al 솔더의 융점은 204.08℃ 내지 207.46℃로서, 약 204℃ 내지 약 207℃ 이다. 나아가, 솔더 젖음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고려할 때, Sn-Ag-Bi-Al 솔더에 있어 알루미늄의 더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0.005 wt% 내지 0.05 wt%이다.
비스무스의 조성변화에 따른 솔더들의 젖음성, 융점 및 경도 비교
<표 2>
조성(wt%) 특성
주석(Sn) 은(Ag) 비스무스(Bi) 알루미늄(Al) 영점시간(sec) 융점(℃) 경도(HV)
실험예 6 잔부 2 3 0.01 0.881 210.64 5.38
실험예 7 잔부 2 4 0.01 0.843 209.27 5.47
실험예 8 잔부 2 4.5 0.01 0.796 204.83 5.84
실험예 9 잔부 2 5 0.01 0.718 204.34 6.144
실험예 10 잔부 2 5.5 0.01 0.722 204.17 6.273
실험예 11 잔부 2 6 0.01 0.713 203.72 6.588
비교예 3 잔부 2 2.5 0.01 1.124 216.42 4.836
비교예 4 잔부 2 6.5 0.01 0.62 203.41 7.84
비교예 2 주석: 잔부, 은: 3 wt%, 구리: 0.5 wt% 1.418 217 -
상기 표 2와 같은 조성을 갖도록 실험예들 6 내지 11, 및 비교예들 2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을 제조하였다.
(1) DSC 융점 비교
상기 실험예들 6 내지 11, 및 비교예들 2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을 신코(Scinco)사의 DSC S-65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기분위기에서 무연솔더들을 25℃에서 240℃에 이르기까지 10℃/min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융점을 측정하여 상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참고로, 상기 융점은 온도에 대한 열흐 름(heat flow)을 나타낸 DSC 그래프에서 열흐름이 최소치일 때의 온도를 말한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은 203.72℃ 내지 210.64℃로 비교예 2에 따른 솔더의 융점인 217℃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이 비교예 2에 따른 솔더 즉, Sn-3Ag-0.5Cu 솔더에 비해 융점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나타낸다.
또한,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은 203.72℃ 내지 210.64℃로 2.5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비교예 3에 따른 솔더의 융점인 216.42℃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 3에 따른 솔더는 상기 비교예 2에 따른 솔더와 유사한 융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비스무스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3 wt% 이상임 알아내었다
이와 더불어서, 4.5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실험예들 8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은 203.72 ℃ 내지 204.83 ℃로 3 wt% 또는 4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실험예들 6 및 7에 따른 솔더들의 융점인 210.64 ℃ 또는 209.27 ℃에 비해 융점이 더욱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서 비스무스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4.5 wt% 이상임을 알아내었다.
(2) 젖음성 비교
상기 실험예들 6 내지 11, 및 비교예들 2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의 젖음성을 레스카(RESCA)사의 SAT-5000 솔더 체커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50 ℃의 솔더 용탕 내에 길이 30㎜, 너비 10㎜, 두께 0.3㎜로 와이어 커팅된 무산소동를 2㎜/sec의 속도로 2㎜깊이까지 담구면서 영점시간을 측정하되, 시험방법규격인 JIS Z 3198-4에 따라 측정하여 상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영점시간은 0.713 초 내지 0.881초로 비교예 2에 따른 솔더의 영점시간인 1.418초에 비해 현저하게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이 비교예 2에 따른 솔더 즉, Sn-3Ag-0.5Cu 솔더에 비해 젖음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서,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영점시간은 0.713 초 내지 0.881초로 2.5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비교예 3에 따른 솔더의 영점시간인 1.124초에 비해 더욱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비스무스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3 wt% 이상임 알아내었다.
(3) 경도(hardness) 비교
상기 실험예들 6 내지 11, 및 비교예들 2 내지 4에 따른 솔더들의 비커스 경도를 미쓰도요(Mitutoyo)사의 AVK-02를 사용하고, 1kgf 및 10초 조건에서 측정하여 상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상기 표 2을 참조하면,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의 비커스 경도는 5.38 Hv 내지 6.588 Hv로 6.5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비교예 4에 따른 솔더의 비커스 경도인 7.84 Hv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예 4에 따른 솔더가 실험예들 6 내지 11에 따른 솔더들에 비해 깨지기 쉬운(brittle), 다시 말해서 깨짐성이 큰 것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비스무스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6 wt% 이하임을 알아내었다.
(4) 결론
융점, 젖음성 및 경도를 고려할 때, Sn-Ag-Bi-Al 솔더에 있어 비스무스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3 wt% 내지 6 wt%이다. 이 경우, 솔더의 젖음성은 Sn-3Ag-0.5Cu 합금 솔더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며, 융점 또한 현저하게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Sn-Ag-Bi-Al 솔더의 융점은 203.72℃ 내지 210.64℃로서, 약 203℃ 내지 약 210℃ 이다. 나아가, 융점의 추가적인 감소 및 젖음성의 추가적인 향상를 고려할 때, Sn-Ag-Bi-Al 솔더에 있어 비스무스의 더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4.5 wt% 내지 6 wt%이다.
은의 조성변화에 따른 솔더들의 열충격 특성 및 낙하 특성 비교
<표 3>
조성(wt%) 특성
주석(Sn) 은(Ag) 비스무스(Bi) 알루미늄(Al) 열충격 횟수 낙하횟수
실험예 12 잔부 1.5 5 0.01 700 P
실험예 13 잔부 1.7 5 0.01 P P
실험예 14 잔부 2 5 0.01 P P
실험예 15 잔부 2.3 5 0.01 P P
실험예 16 잔부 2.5 5 0.01 P 50
비교예 5 잔부 1.2 5 0.01 400 P
비교예 6 잔부 2.7 5 0.01 P 10
상기 표3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실험예들 12 내지 16, 및 비교예들 5 및 6에 따른 솔더들을 제조한 후, 상기 솔더들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반도체칩을 솔 더 접합시킨 반도체 패키지들을 각각 제조하였다.
(1) 열충격 시험(thermal shock test)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 및 비교예들 5 및 6에 따른 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을 -45℃에서 30분 동안 둔 후, 온도를 125℃로 급격하게 상승시켜 30분동안 두는 사이클을 1000번 진행한다. 각 사이클이 종료된 후, 솔더 접합부에 크랙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크랙이 발생된 경우 실험을 중단시키고 사이클 수를 표 3에 기록하였다. P로 표기된 것은 1000회 사이클을 진행하였으나, 솔더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다.
표 3을 참조하면, 1.5 wt% 내지 2.5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은 열충격 사이클을 적어도 700회 진행한 후에도 솔더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1.2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비교예 5에 따른 솔더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는 400회 열충격 사이클을 진행 후 솔더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은 상기 비교예 5에 따른 솔더에 비해 열충격에 대한 내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은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1.5 wt% 이상임을 알아내었다.
나아가, 1.7 wt% 내지 2.5 wt%의 은를 함유하는 실험예들 13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은 열충격 사이클을 1000회 진행할 때까지 솔더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1.5 wt%의 은를 함유하는 실험예 12에 따른 솔더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는 700회의 열충격 사이클을 진행한 후 솔 더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들 13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은 상기 실험예 12에 따른 솔더에 비해 열충격에 대한 내성이 더욱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은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1.7wt% 이상임을 알아내었다.
(2) 낙하 시험(drop test)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 및 비교예들 5 및 6에 따른 무연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에 대해 시험방법규격인 JESD22-B104에 따라 낙하 내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 및 비교예들 5 및 6에 따른 무연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을 낙하시킨 후 솔더 접합부의 저항을 측정하되, 저항이 10Ω을 초과하는 경우 낙하를 중단시키고 낙하횟수를 표 3에 기록하였다. P로 표기된 것은 100회 낙하를 반복하였으나, 솔더 접합부의 저항이 10Ω 이하인 경우이다.
표 3을 참조하면, 1.5 wt% 내지 2.5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은 적어도 50회 낙하 후에도 솔더접합부의 저항이 10Ω 이하로서 양호한 낙하 내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2.7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비교예 6에 따른 무연솔더는 10회 낙하 후 솔더접합부의 저항이 10Ω를 초과하여 매우 불량한 낙하 내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6에 따른 솔더들은 상기 비교예 6에 따른 솔더에 비해 낙하 내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은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2.5wt% 이하임을 알 아내었다.
나아가, 1.5 wt% 내지 2.3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5에 따른 솔더들을 각각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들은 100회 낙하 후에도 솔더 접합부의 저항이 10Ω 이하였다. 반면, 2.5 wt%의 은를 함유하는 상기 실험예 16에 따른 솔더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는 50회 낙하 후 솔더 접합부의 저항이 10Ω를 초과였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들 12 내지 15에 따른 솔더들은 상기 실험예 16에 따른 솔더에 비해 낙하 내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Sn-Ag-Bi-Al 솔더에 있어 은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2.3 wt% 이하임을 알아내었다.
(3) 결론
열충격 시험 및 낙하 시험 결과를 고려할 때, Sn-Ag-Bi-Al 솔더에 있어 은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1.5 내지 2.5 wt%이고, 더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1.7 내지 2.3 wt%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n-Ag-Bi-Al 솔더는 Sn-3Ag-0.5Cu 합금 솔더에 비해 젖음성이 향상되어 솔더링 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n-Ag-Bi-Al 솔더는 Sn-3Ag-0.5Cu 합금 솔더에 비해 융점이 낮아 전자부품의 솔더링 시 전자부품에 열손상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Sn-Ag-Bi-Al 솔더는 0.005 wt% 내지 0.1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함으로써, 솔더의 젖음성 향상 및 융점 감소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솔더 용 탕 내에 산화막이 거의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Sn-Ag-Bi-Al 솔더는 0.005 wt% 내지 0.05 wt%의 알루미늄을 함유함으로써, 젖음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n-Ag-Bi-Al 솔더는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을 함유함으로써, 솔더의 젖음성 향상 및 융점 감소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도 값이 낮아 깨짐(brittleness)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나아가, 상기 Sn-Ag-Bi-Al 솔더는 4.5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을 함유함으로써, 융점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Sn-Ag-Bi-Al 솔더는 1.5 wt% 내지 2.5 wt%의 은를 함유함으로써,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Sn-Ag-Bi-Al 솔더는 1.7 wt% 내지 2.3 wt%의 은를 함유함으로써, 열충격 내성 및 낙하 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5 wt% 내지 2.3 wt%의 은(Ag), 3 wt% 내지 6 wt%의 비스무스(Bi), 0.005 wt% 내지 0.05 wt%의 알루미늄(Al), 망간(Mn), 티타늄(Ti) 및 리튬(L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 및 잔부의(a balance of) 주석(Sn)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Al), 망간(Mn), 티타늄(Ti) 및 리튬(L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은 알루미늄(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무스는 4.5 wt% 내지 6 wt%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은 1.7 wt% 내지 2.3 wt%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솔더의 융점은 203 ℃ 내지 2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솔더의 융점은 204 ℃ 내지 2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솔더.
KR1020070059517A 2007-06-18 2007-06-18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KR10140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517A KR101406174B1 (ko) 2007-06-18 2007-06-18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US12/019,687 US7670548B2 (en) 2007-06-18 2008-01-25 Lead free solder containing Sn, Ag and B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517A KR101406174B1 (ko) 2007-06-18 2007-06-18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04A KR20080111304A (ko) 2008-12-23
KR101406174B1 true KR101406174B1 (ko) 2014-06-12

Family

ID=4013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517A KR101406174B1 (ko) 2007-06-18 2007-06-18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70548B2 (ko)
KR (1) KR101406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413B2 (ja) * 2001-02-02 2009-06-10 イーデー−レーリスタット,インスティチュート フォール ディールハウデレイ エン ディールゲゾントヘイト ベー.フェー. ストレプトコッカス・スイスの環境的に調節された遺伝子
CN101862925A (zh) * 2010-05-17 2010-10-20 天津大学 锡铋银系无铅焊料及制备方法
TWI461252B (zh) * 2010-12-24 2014-11-21 Murata Manufacturing Co A bonding method, a bonding structure,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an electronic component
TWI460046B (zh) * 2012-11-12 2014-11-11 Accurus Scient Co Ltd High strength silver-free lead-free solder
US10195698B2 (en) 2015-09-03 2019-02-05 AIM Metals & Alloys Inc. Lead-free high reliability solder alloys
CN111944951A (zh) * 2020-08-17 2020-11-17 武安市裕华钢铁有限公司 一种铝电脱氧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594A (ja) * 1994-09-29 2001-10-23 Fujitsu Ltd はんだ合金及びはんだ粉末及びはんだペース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部品及びはんだ付け方法及びはんだ付け装置
KR100293181B1 (ko) * 1995-12-11 2001-11-22 이형도 고온용무연땜납
KR100293180B1 (ko) * 1995-12-11 2001-11-22 이형도 고온용무연땜납
JP2005238328A (ja) 2004-01-30 2005-09-08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鉛フリーはんだ合金、鉛フリーはんだ合金の製造方法、実装構造体、実装方法、鉛フリーヒューズ合金、鉛フリーヒューズ合金の製造方法、板状ヒューズ、鉛フリー合金および鉛フリー合金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370B1 (en) * 1992-05-04 1996-09-03 Indium Corp America Lead-free alloy containing tin silver and indium
US5439639A (en) * 1994-01-05 1995-08-08 Sandia Corporation Tin-silver-bismuth solders for electronics assembly
US5851482A (en) * 1996-03-22 1998-12-22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etals Tin-bismuth based lead-free solder for copper and copper alloys
GB9903552D0 (en) * 1999-02-16 1999-04-07 Multicore Solders Ltd Reflow peak temperature reduction of solder alloys
JP3492554B2 (ja) * 1999-05-07 2004-02-03 ニシハラ理工株式会社 Pbに代わる接合材料の機能合金メッキ及びその機能合金メッキを施した被実装用電子部品材料
JP4282482B2 (ja) * 2002-01-21 2009-06-24 富士通株式会社 はんだ合金およびはんだ接合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594A (ja) * 1994-09-29 2001-10-23 Fujitsu Ltd はんだ合金及びはんだ粉末及びはんだペース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部品及びはんだ付け方法及びはんだ付け装置
KR100293181B1 (ko) * 1995-12-11 2001-11-22 이형도 고온용무연땜납
KR100293180B1 (ko) * 1995-12-11 2001-11-22 이형도 고온용무연땜납
JP2005238328A (ja) 2004-01-30 2005-09-08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鉛フリーはんだ合金、鉛フリーはんだ合金の製造方法、実装構造体、実装方法、鉛フリーヒューズ合金、鉛フリーヒューズ合金の製造方法、板状ヒューズ、鉛フリー合金および鉛フリー合金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0548B2 (en) 2010-03-02
US20080308189A1 (en) 2008-12-18
KR20080111304A (ko) 200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3762B2 (ja) 無鉛はんだ
JP3671815B2 (ja) はんだ組成物およびはんだ付け物品
EP2277657B1 (en) Lead-free solder
JP5099048B2 (ja) 溶融はんだ用鉛フリーはんだ合金
EP3138658B1 (en) Lead-free solder alloy
KR102153273B1 (ko) 땜납 합금, 땜납 페이스트, 땜납 볼, 수지 내장 땜납 및 땜납 이음매
KR101406174B1 (ko) 주석, 은 및 비스무스를 함유하는 무연솔더
KR101165426B1 (ko) 무연 솔더 합금
KR20170005511A (ko) Bi-Sn계 고온 땜납 합금으로 이루어진 고온 땜납 이음
US20020127136A1 (en) Lead-free solder and soldered article
CN102085604A (zh) Sn-Ag-Cu-Bi-Cr低银无铅焊料
JP2004025232A (ja) Pbフリーはんだ組成物およびはんだ付け物品
JP7025679B2 (ja) 鉛フリーかつアンチモンフリーのはんだ合金、はんだボール、およびはんだ継手
CN115397606B (zh) 无铅且无锑的软钎料合金、焊料球和钎焊接头
EP2679335B1 (en) Solder alloy
JPH09192877A (ja) はんだ材料
JP2910527B2 (ja) 高温はんだ
KR101951813B1 (ko) 저융점 무연 합금 솔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무연 솔더 페이스트 및 반도체 패키지
KR100756072B1 (ko) 납땜용 무연합금
KR101865727B1 (ko) 무연 솔더 조성물
KR20110097329A (ko) 주석-은-세륨 3원계 무연솔더합금 조성물
EP1918064A1 (en) Lead-free s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