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914B1 -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914B1
KR101405914B1 KR1020080071899A KR20080071899A KR101405914B1 KR 101405914 B1 KR101405914 B1 KR 101405914B1 KR 1020080071899 A KR1020080071899 A KR 1020080071899A KR 20080071899 A KR20080071899 A KR 20080071899A KR 101405914 B1 KR101405914 B1 KR 10140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uthentication
registered
register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839A (ko
Inventor
김일주
박종욱
진호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14B1/ko
Priority to PCT/KR2009/002711 priority patent/WO2010011023A1/en
Priority to EP09800504.4A priority patent/EP2304900B1/en
Priority to CN200980129016.XA priority patent/CN102106120B/zh
Priority to US13/055,360 priority patent/US8671441B2/en
Publication of KR2010001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P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가 AP에게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비등록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그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AP에게 전송하고, 그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AP로부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후, 그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gistering a device in access point and device for therefor}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늘어남에 따라 디바이스를 AP(Access Point)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증 절차를 간편하게 하는 방법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Wifi Protected Setup Sspecification(이하 "WPS spec")가 정해졌다.
도 1은 종래의 디바이스 인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를 AP를 등록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지만, 도 1에서는 WPS spec에 따른 PushButton Configuration(PBC)에 의한 등록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110에서는, AP에 등록할 비등록 디바이스의 버튼을 클릭한다.
단계 120에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AP의 버튼을 클릭한다.
예컨대, 비등록 디바이스의 버튼을 클릭한 때로부터 120초 내에 AP의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는, AP가 비등록 디바이스와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WPS Spec에 따르면 단계 110 내지 단계 130을 수행함으로써, 비등록 디바이스가 AP에 등록된다.
한편, AP에 등록된 제3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디바이스에 반드시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레지스터(register)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제3 디바이스에 레지스터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디바이스, AP 및 비등록 디바이스간에 비등록 디바이스의 등록과 관련된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Access Point)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AP에게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상기 AP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로부터 상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P,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UPnP(Universal Pulg and Play)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UPnP 액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들을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 상기 AP 상호간에 교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각각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게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이 상기 AP의 동작 모드를 인증 허용 모드로 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디바이스에 미리 결정된 암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 소정의 버튼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클릭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AP와 인증이 수행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Access Point)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는 장치는 상기 AP에게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AP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상기 AP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로부터 상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외부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부 또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 중 하나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P에게 상기 AP에 등록되지 않은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AP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상기 AP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로부터 상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는, AP에게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허용 모드란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AP가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없다.
또한, 등록 디바이스는 AP와 미리 인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AP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다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AP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는 제3의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한 후에, 그 등록된 제3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디바이스에 미리 결정된 암호를 입력하거나, 제3의 디바이스와 AP에 버튼이 포함된 경우에는 제3 디바이스의 버튼과 AP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클릭하는 PushButton Configuration(이하 "PBC") 방식을 이용하여 AP와 인증 동작을 수 행함으로써 제3 디바이스가 상기 AP에 등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한 종래의 모든 등록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AP, 등록 디바이스 및 비등록 디바이스가 UPnP(Universal Pulg and Play)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드 변경 요청은 AP에게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UPnP 액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AP와 비등록 디바이스가 PBC 방법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등록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에게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그 제어 신호를 수신한 등록 디바이스는 "SetSelectedPBC" 액션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etSelectedPBC" 액션은 AP에게 AP의 동작 모드를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인 PBC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UPnP 액션이다. AP가 "SetSelectedPBC" 액션을 수신하게 되면, AP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PBC 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다만, 모드 변경 요청은 이와 같이 UPnP 액션에 한정되지 않고, AP의 동작 모드를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명령 또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 변경 요청은 안전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신호는 비등록 디바이스에 의하여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될 수도 있고,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제어 신호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20에서는,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AP에게 전송한다.
다만, 단계 210과 단계 220은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비등록 디바이스가 모드 확인 요청을 AP에게 먼저 전송한 후에, 제어 신호를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는,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AP로부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모드 확인 응답은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이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인증 허용 모드가 아닌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는,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비등록 디바이스가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모드 확인 응답이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인증 동작은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비등록 디바이스가 AP에게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 때로부터 120초 내에 AP로부터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AP와 비등록 디바이스간의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인증 동작은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들을 비등록 디바이스와 AP 상호간에 교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등록 디바이스는 비등록 디바이스의 버튼이 클릭되면,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 PBC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드 확인 요청인 Probe Request{WSC IE, PBC}를 AP에게 전송한다.
다음으로, 비등록 디바이스는 AP로부터 AP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 PBC 모드가 아니라고 표시된 모드 확인 응답인 Probe Response{WSC IE, !PBC}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등록 디바이스와 AP간의 인증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AP는 등록 디바이스로부터 모드 변경 요청인 "SetSelectedPBC" 액션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SetSelectedPBC" 액션은 AP의 동작 모드를 PBC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UPnP 액션이다.
비등록 디바이스가 이와 같이 "SetSelectedPBC" 액션을 수신한 AP에게 다시 한번 Probe Request{WSC IE, PBC}를 전송하게 되면, Probe Request{WSC IE, PBC}를 수신한 AP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PBC 모드로 변경되었으므로, 비등록 디바이스에게 자신의 동작 모드가 PBC 모드임을 표시하는 Probe Response{WSC IE, PBC}를 전송한다.
비등록 디바이스가 Probe Response{WSC IE, PBC}를 수신하게 되면, 비등록 디바이스는 AP에게 인증 동작을 시작할 것을 통지하고, 이후에는 비등록 디바이스와 AP 상호간에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들을 교환함으로써 인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상기 설명 외에 도 3에 도시된 비등록 디바이스와 AP간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Wifi Protected Setup Sspecification(이하 "WPS spec")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등록 디바이스는 AP에게 "SetSelectedPBC" 액션을 전송한 이후에는 비등록 디바이스와 AP 사이의 인증 동작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등록 디바이스에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레지스터(register)가 탑재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는 달리 레지스터가 탑재되지 않은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게 되면, 비록 비등록 디바이스가 AP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비등록 디바이스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AP에 비등록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는 AP까지 직접 가지 않고도 손쉽게 비등록 디바이스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계로서 사용자가 비등록 디바이스(410)의 버튼을 클릭한다.
제2 단계로서, 비등록 디바이스(410)는 제어 신호를 등록 디바이스(42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등록 디바이스(420)가 모드 변경 요청을 AP(430)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제3 단계로서, 등록 디바이스(420)는 비등록 디바이스(4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AP(430)에게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모드 변경 요청은 AP(430)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제4 단계로서, 비등록 디바이스(410)는 AP(430)에게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비등록 디바이스(410)는 사용자가 비등록 디바이스(410)의 버튼을 클릭한 것에 대응하여, AP(430)에게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다. 다만, 전술한바와 같이 구현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의 클릭에 대응하여,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모드 확인 요청을 먼저 전송한 이후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5 단계로서, AP(430)는 AP(430)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표시된 모드 확인 응답을 비등록 디바이스(410)에게 전송한다.
제6 단계로서,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비등록 디바이스(410)와 AP(430) 사이에 인증 동작이 수행된다.
전술한바와 같이,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AP(430)에게 모드 확인 요청을 전 송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AP(430)로부터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AP(430)로부터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표시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게 되면, 비등록 디바이스(410)는 AP(430)와의 인증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는 AP(430)로부터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표시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도,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에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다시 AP(430)에게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재전송한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AP(430)로부터 AP(430)가 인증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표시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게 되면 비등록 디바이스(410)와 AP(430)간의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어 신호, 모드 확인 요청 및 모드 확인 응답은 보안상 안전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계로서 사용자가 비등록 디바이스(510)의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로서 사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540)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등록 디바이스(52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입력 장치(540)는 비등록 디바이스(510)와 등록 디바이스(520)와 관계 없는 원격 조종 장치일 수도 있지만, 등록 디바이스(520)가 컴퓨터, 티비 등인 경우에는 외부 입력 장치(540)는 키보드, 마우스 및 리모콘 등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비등록 디바이스(410)의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비등록 디바이스(410)가 제어 신호와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하였지만,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비등록 디바이스(510)의 버튼을 클릭하면 비등록 디바이스(510)가 AP(530)에게 모드 확인 요청만을 전송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3 단계 내지 제6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등록 디바이스에 탑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등록 장치(610)는 전송부(612), 수신부(614) 및 인증 수행부(616)를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등록 디바이스(620) 및 AP(630)를 더 도시하였다.
전송부(610)는 등록 디바이스(620)가 AP(630)에게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등록 디바이스(620)에게 전송한다.
또한, 전송부(610)는 AP(630)의 동작 모드가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AP(630)에게 전송한다.
수신부(614)는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AP(630)로부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인증 수행부(616)는 AP(630)로부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등록 장치(610)는 등록 디바이스(620)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 입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가 디바이스 등록 장치(610)에 더 포함된 경우에는 제어 신호는 전송부(612) 또는 외부 입력 장치 중 하나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바이스 인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9)

  1. AP(Access Point)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에게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상기 AP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로부터 상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UPnP(Universal Pulg and Play)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은 상기 AP의 동작 모드를 상기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UPnP 액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들을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 상기 AP 상호간에 교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각각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게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 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이 상기 AP의 동작 모드를 인증 허용 모드로 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디바이스에 미리 결정된 암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 소정의 버튼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클릭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AP와의 인증이 수행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방법.
  10. AP(Access Point)에 등록된 등록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 기 AP에 등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AP에게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의 인증 동작을 허용하는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등록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AP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인증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확인 요청을 상기 AP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로부터 상기 모드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모드 확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AP와의 인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P,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UPnP(Universal Pulg and Play)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드 변경 요청은 상기 AP의 동작 모드를 상기 인증 허용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UPnP 액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를 상기 AP에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들을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와 상기 AP 상호간에 교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이 각각 상기 등록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게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외부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부 또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 중 하나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모드 확인 요청을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수신부가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모드 확인 응답이 상기 AP의 동작 모드를 인증 허용 모드로 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디바이스는
    소정의 디바이스에 미리 결정된 암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 및 상기 AP에 소정의 버튼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클릭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AP와의 인증이 수행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장치.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80071899A 2008-07-23 2008-07-23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0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99A KR101405914B1 (ko) 2008-07-23 2008-07-23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09/002711 WO2010011023A1 (en) 2008-07-23 2009-05-25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in access point
EP09800504.4A EP2304900B1 (en) 2008-07-23 2009-05-25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in access point
CN200980129016.XA CN102106120B (zh) 2008-07-23 2009-05-25 用于在接入点中注册装置的方法和设备
US13/055,360 US8671441B2 (en) 2008-07-23 2009-05-25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in access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99A KR101405914B1 (ko) 2008-07-23 2008-07-23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39A KR20100010839A (ko) 2010-02-02
KR101405914B1 true KR101405914B1 (ko) 2014-06-12

Family

ID=4157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99A KR101405914B1 (ko) 2008-07-23 2008-07-23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71441B2 (ko)
EP (1) EP2304900B1 (ko)
KR (1) KR101405914B1 (ko)
CN (1) CN102106120B (ko)
WO (1) WO2010011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8704B2 (en) 2012-06-27 2016-02-09 Advanced Messaging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network login
US10091812B2 (en) 2015-01-15 2018-10-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low-latency and robust uplink access
US9648616B2 (en) 2015-01-15 2017-05-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efficient low-latency uplink access
US20160212680A1 (en) * 2015-01-15 2016-07-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apid rerou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303984B1 (ko) * 2015-06-22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기기의 가입 방법 및 장치
WO2017209461A1 (ko) * 2016-06-03 2017-12-0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KR20170137580A (ko)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JP2020111095A (ja) * 2019-01-08 2020-07-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の携帯機登録システムおよび船舶用の携帯機登録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1557A1 (en) 2003-11-06 2005-09-15 Buffalo Inc. Encryption key setting system, access point, encryption key sett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code setting system
US20050266826A1 (en) 2004-06-01 2005-12-01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urity association between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 wireless node in a UPnP environment
WO2007024357A2 (en) 2005-08-23 2007-03-01 Meshnetworks, Inc.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ocal area network (eapol) proxy in a wireless network for node to node authentication
US20070184837A1 (en) 2004-02-18 2007-08-09 Sony Deutschland Gmbh Device registration in a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448A (ja) * 2003-05-15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アクセス認証システム
US8532304B2 (en) 2005-04-04 2013-09-10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1557A1 (en) 2003-11-06 2005-09-15 Buffalo Inc. Encryption key setting system, access point, encryption key sett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code setting system
US20070184837A1 (en) 2004-02-18 2007-08-09 Sony Deutschland Gmbh Device registration in a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
US20050266826A1 (en) 2004-06-01 2005-12-01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urity association between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 wireless node in a UPnP environment
WO2007024357A2 (en) 2005-08-23 2007-03-01 Meshnetworks, Inc.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ocal area network (eapol) proxy in a wireless network for node to node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4900A4 (en) 2012-08-29
EP2304900A1 (en) 2011-04-06
CN102106120A (zh) 2011-06-22
US8671441B2 (en) 2014-03-11
CN102106120B (zh) 2014-06-25
US20110126271A1 (en) 2011-05-26
WO2010011023A1 (en) 2010-01-28
EP2304900B1 (en) 2013-05-22
KR20100010839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914B1 (ko) 디바이스를 ap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I757401B (zh) 無線通信系統
US10516774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US8103003B2 (en)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and communication device
EP3229506B1 (en)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physical presence
KR101031168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액세스 제어 처리 방법
KR101482534B1 (ko) 개인 도메인 제어기
JP2019503472A (ja) 距離測定を検証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30034046A1 (en) Access point device and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ing method
US20110179497A1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EP338092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152861B2 (en) Wireless security camera system
TW200539718A (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gram
US20070192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538375B2 (en)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settings,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4777229B2 (ja)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371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プログラム
JP5409110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90075464A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adio Access Network
JP5976398B2 (ja) 無線lan端末およびその無線lan設定方法ならびに無線lan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5545433B2 (ja) 携帯電子装置および携帯電子装置の動作制御方法
US2023001937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1764976B1 (en) Client-server system
JP2018182572A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30126A (ja) 無線lan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