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613B1 -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613B1
KR101405613B1 KR1020070095767A KR20070095767A KR101405613B1 KR 101405613 B1 KR101405613 B1 KR 101405613B1 KR 1020070095767 A KR1020070095767 A KR 1020070095767A KR 20070095767 A KR20070095767 A KR 20070095767A KR 101405613 B1 KR101405613 B1 KR 10140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upler
transmission
phas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449A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6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Abstract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격리 회로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95767
신호 처리 장치, 격리도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SIGNAL PROCESSING DEVICE}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중밴드(Multiband) 및 다중모드(Multimode)의 통신 기능을 갖추는 추세이며, 따라서, RF 프론트 엔드 모듈에는 멀티플렉서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종래 스위치를 사용하던 A-GPS(Assisted GPS)와 다르게 S-GPS(Simultaneous GPS) 기능이 강화되면서 트라이플렉서(Triplexer)나 이러한 기능이 접목된 S-GPS용 퀸트플렉서(Quintplexer)가 개발되었다. 상기 S-GPS는 셀룰라(Cellular)와 GPS 기능 혹은 PCS와 GPS 기능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으로서 통화기능과 무관하게 상시 GPS가 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S-GPS용 퀸트플렉서는 RF 신호에서 송신 신호를 안테나로 전송시에 상기 GPS의 수신 필터로 상기 송신 신호의 일부가 유입되어 GPS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막기위해 격리도 개선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송신 신호와 GPS 수신 신호의 격리도 특성이 우수한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격리 회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는 격리 회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GPS 신호와 PCS 또는 GPS 신호와 DCN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므로 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GPS 수신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추가, 부가, 삭제, 변경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제 1 ", "제 2 "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재들을 구분하고 적어도 두개를 구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 "제 2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부재들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음이 명백하며, 각 부재들이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치수)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치수의 비율은 실제 치수의 비율과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을 제외한 구성 요소들은 부가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above/over/upper)"에 또는 "아래(down/below/under/low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그 의미는 각 층(막), 영역, 패드,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패드,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그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의미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안테나(101), 상기 안테나(101)로 수신되거나 상기 안테나(10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100),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와 각각 연결된 제 1 저잡음 증폭부(171)(Low Noise Amplifier, LNA) 및 제 2 저잡음 증폭부(172),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와 각각 연결된 제 1 전력 증폭부(151)(Power Amplifier, PA) 및 제 2 전력 증폭부(152), 상기 제 1 및 제 2 저잡음 증폭부들(171, 172)과 연결된 수신 신호 처리부(18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부들(151, 152)과 연결된 송신 신호 처리부(181) 및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82)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81)에 연결되어 기저 대역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고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퀸트 플렉서(Quintplexer)일 수 있 다.
이하, 제 1 신호는 PCS 신호일 수 있다. 제 2 신호는 DCN 신호일 수 있다. 제 3 신호는 GPS 신호일 수 있다.
상기 PCS 신호는 1850 ~ 1990㎒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DCN 신호는 824 ~ 894㎒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GPS 신호는 1574.42 ~ 1576.42㎒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송신 신호 및 제 1 수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송신 신호 및 제 2 수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안테나(101)와 연결된 대역 차단부(103), 상기 대역 차단부(103)와 연결된 제 1 신호 분리부(110), 상기 안테나(101)와 연결된 제 3 신호 분리부(130), 상기 안테나(101)와 연결된 대역 통과부(105), 상기 대역 통과부(105)와 연결된 제 2 신호 분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로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대역 차단부(103),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 상기 대역 통과부(105)로 전송된다.
상기 대역 차단부(103)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소정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로 전송한다.
상기 대역 차단부(103)는 제 1 인덕터(161), 제 2 인덕터(162) 및 제 1 캐패시터(16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인덕터(162) 및 상기 제 1 캐패시터(166)는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인덕터(161)는 직렬 연결된 상기 제 2 인덕터(162) 및 상기 제 1 캐패시 터(166)와 병렬 연결되어 병렬 공진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대역 차단부(103)와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 사이에 제 3 인덕터(163)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인덕터(163)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인덕터(163)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 및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의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회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대역 차단부(103)는 제 3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해서는 오픈 회로로 동작되고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손실 없이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GPS 신호인 1.575㎓ 대역의 주파수 신호는 차단되고, PCS 신호 및 DCN 신호만 통과시킨다.
상기 대역 차단부(103)의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조합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대역 차단부(103)를 통과한 신호에서 제 1 신호를 분리한다.
상기 대역 통과부(105)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정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역 통과부(105)는 제 4 인덕터(164) 및 제 2 캐패시터(167)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인덕터(164)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167)는 직렬 연결되어 직렬 공진 회로를 구현한다.
상기 대역 통과부(105)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 사이에 제 5 인덕터(165)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5 인덕터(165)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 5 인덕터(165)는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의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회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대역 통과부(105)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해서는 오픈 회로로 동작되고 상기 제 2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손실 없이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GPS 신호인 1.575GHz 대역의 주파수 신호와 PCS 신호 대역이 차단되고, DCN 신호만 통과시킨다.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대역 통과부(105)를 통과한 신호에서 제 2 신호를 분리한다.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제 3 신호를 분리한다.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듀플렉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는 쏘우(SAW)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는 쏘우(SAW) 혹은 보우(BAW; Bulk Acoustic Wave)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적용하여 (여러 주파수 신호가 동시에 혼재된)전체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이 중첩되지 않는 두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한다.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제 1 필터(111) 및 제 2 필터(112)를 포함한 다.
상기 제 2 필터(112)는 저대역인 제 1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대역필터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필터(111)는 전달된 신호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대역인 제 1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대역필터로 구현된다.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제 3 필터(121) 및 제 4 필터(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필터(121)는 저대역인 제 2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대역필터로 구현되고, 상기 제 4 필터(122)는 전달된 신호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대역인 제 2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대역필터로 구현된다.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는 제 5 필터(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5 필터(131)는 쏘우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쏘우 필터는 상기 제 3 신호만 통과시키고 다른 신호들은 차단한다.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에 병렬 연결되는 제 1 격리 회로부(141), 및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에 병렬 연결되는 제 2 격리 회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141)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151)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와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부(173) 사이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141)는 제 1 커플러(143), 제 1 위상 변환 장 치(144), 제 1 저항(145) 및 제 3 캐패시터(15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플러(143)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러(143)는 상기 제 1 저항(145)을 종단에 배치하며 접지되고,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 3 캐패시터(158)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저항(145)은 50Ω 저항일 수 있다. 통상 커플러의 4개의 포트는 50Ω 저항을 기본으로 특성을 측정하며, 커플러의 4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의 저항이 달라지게 되면 커플링 특성이 바뀌게 되고 반사특성(VSWR)이 나빠지므로 상기 접지와 연결된 저항은 50Ω 저항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저항(145)의 저항값은 상기 커플러의 포트들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 커플러(143)는 상기 제 1 송신단(PCS Tx)으로부터 유입된 제 1 송신 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정하며,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는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에 유입된 제 1 송신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도록 변환시켜 준다.
이로써 상기 제 1 송신단(PCS Tx)으로부터 전달된 제 1 송신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를 통과하여 안테나(101)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유입될 때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141)에서 상기 유입된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반대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를 제 3 수신단(GPS Rx)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142)는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152)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와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부(173) 사이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142)는 제 2 커플러(148), 제 2 위상 변환 장치(147), 제 2 저항(149) 및 제 4 캐패시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커플러(148)는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147)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플러(148)는 상기 제 2 저항(149)을 종단에 배치하며 접지되고,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147)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 사이에는 상기 제 4 캐패시터(146)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커플러(148)는 상기 제 2 송신단(DCN Tx)로부터 유입된 제 2 송신 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정하며,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147)는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으로 유입된 제 1 송신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도록 변환시켜 준다.
이로써 상기 제 2 송신단(DCN Tx)으로부터 전달된 제 2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를 통과하여 안테나(101)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유입될 때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142)에서 상기 유입된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반대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를 제 3 수신단(GPS Rx)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147)는 공진 회로 및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141)는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151)에서 송신되는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를 통해 유입될 경우 유입된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를 상쇄시켜 제 3 신호 분리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제 3 신호 예를 들어, GPS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142)는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152)에서 송신되는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를 통해 유입될 경우 유입된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를 상쇄시켜 제 3 신호 분리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제 3 신호 예를 들어, GPS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특히, 단말기가 제 1 신호 송/수신 기능과 GPS 기능 혹은 제 2 신호 송/수신 기능과 GPS 기능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일 경우에 통화기능과 무관하게 상시 GPS가 동작하므로,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141) 및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142)는 송신 신호와 GPS 수신 신호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위상 변환 장치의 예들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는 공진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는 파이(π) 혹은 티(T)형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는 제 6 인덕터(195)와, 상기 제 6 인덕터(195)의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된 제 5 캐패시터(196)와 상기 제 6 캐패시터(197)가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144)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198)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98)은 유전체의 유전율, 유전체의 두께, 선로의 선폭에 의해 임피던스가 결정되고 선로의 길이에 의해 위상이 결정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회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신호 처리 장치(200)는 앞서 도 2에 도시하여 설명한 신호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격리 회로부(241)는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제 1 송신단(PCS Tx)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제 3 신호 분리부(130)와 제 3 수신단(GPS Rx) 사이에 병렬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격리 회로부(241)는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제 2 송신단(DCN Tx) 사이에 병렬 연결된다.
상기 격리 회로부(241)는 제 1 커플러(242), 제 2 커플러(246), 제 1 위상 변환 장치(243), 제 2 위상 변환 장치(245), 제 7 캐패시터(244) 및 제 3 저항(24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플러(242)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24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243)는 제 7 캐패시 터(244)와 연결되며, 상기 제 7 캐패시터(244)는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와 상기 제 3 수신단(GPS Rx) 사이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커플러(246)는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24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245)는 상기 제 1 커플러(242)와 연결된다.
상기 제 2 커플러(246)는 상기 제 3 저항(247)과 연결되어 접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 처리 장치(200)의 격리 회로부(241)는 상기 제 1 송신 신호가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송신 신호가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격리 회로부(241)는 상기 제 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 2 송신 신호가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으로 유입되는 것을 동시에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 처리 장치(200)에서, 상기 제 2 송신단(DCN Tx)으로부터 전달된 제 2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를 통과하여 안테나(101)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유입될 때, 상기 격리 회로부(241)의 상기 제 2 커플러(246)는 상기 제 2 송신단(DCN Tx)로부터 유입된 제 2 송신 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정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 변환 장치(243, 245)는 상기 제 3 수신단(GPS Rx)으로 유입된 제 2 송신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도록 변환시켜 상기 유입된 제 2 송신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송신단(PCS Tx)으로부터 전달된 제 1 송신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를 통과하여 안테나(101)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유입될 때 격리 회로부(241)에서 상기 유입된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반대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일부를 제 3 수신단(GPS Rx)에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200)는 하나의 격리 회로부(241)를 이용하여 DCN 혹은 PCS 송신 신호에 대하여 모두 GPS 수신 신호와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자 부품의 개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위상 변환 장치의 예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회로 블럭도.

Claims (9)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와 제1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신호 분리부와 제1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제1 격리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리회로부는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와 제2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와 제2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제2 격리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격리회로부는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리 회로부는,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1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위상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는 상기 유입된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위상 변환 장치는 상기 유입된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리 회로부는,
    상기 제2 커플러와 상기 제2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위상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상기 유입된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위상 변환 장치는 상기 유입된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상 변환 장치 각각은 공진 회로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상 변환 장치 각각은 공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회로는,
    인덕터와 상기 인덕터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된 제3 및 제4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와 제1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와 제2 커플러를 형성하며,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와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격리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회로부는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유입된 상기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회로부는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 1 위상 변환 장치 및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 사이에 연결된 제 2 위상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는 상기 유입된 제 1 신호의 송신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상기 유입된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 1 위상 변환 장치는 상기 유입된 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며,
    상기 제 2 위상 변환 장치는 상기 유입된 제 2 신호의 송신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 변환 장치 각각은 공진 회로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20070095767A 2007-09-20 2007-09-20 신호 처리 장치 KR10140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67A KR101405613B1 (ko) 2007-09-20 2007-09-20 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67A KR101405613B1 (ko) 2007-09-20 2007-09-20 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49A KR20090030449A (ko) 2009-03-25
KR101405613B1 true KR101405613B1 (ko) 2014-06-10

Family

ID=4069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67A KR101405613B1 (ko) 2007-09-20 2007-09-20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8754B2 (ja) 2011-09-09 2015-08-05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38A (ko) * 2002-03-19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38A (ko) * 2002-03-19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49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016B2 (ja) 通信帯域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870699B1 (en) Transceiver front-end
EP3210306B1 (en) Radio frequency multiplexer
US8773220B2 (en) Radio frequency front end module and multi band module using the radio frequency front end module
US20120112853A1 (en) Tunable filter, tunable duplex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7208656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
KR100691134B1 (ko) 쿼드플렉서
US11722159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20205477A (ja) 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CN113557671A (zh) 多工器、高频模块以及通信装置
US11545961B2 (en) Multi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2011309A1 (ja) 分波器
KR101405613B1 (ko) 신호 처리 장치
JP6798521B2 (ja) 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JP3939192B2 (ja) 分波器
CN107534451B (zh) 射频电路以及具有射频电路的前端电路
JP4842245B2 (ja) トリプレクサ回路
KR100705261B1 (ko) 퀸트플렉서
KR100726593B1 (ko) 퀸트플렉서
KR100916501B1 (ko) 신호 처리 장치
US11528010B2 (en) Multi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37153B1 (ko) 퀸트플렉서
US20130178180A1 (en) Front end module
KR100901613B1 (ko) 신호 처리 장치
KR10050481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프런트 엔드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