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931B1 -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931B1
KR101404931B1 KR1020120052552A KR20120052552A KR101404931B1 KR 101404931 B1 KR101404931 B1 KR 101404931B1 KR 1020120052552 A KR1020120052552 A KR 1020120052552A KR 20120052552 A KR20120052552 A KR 20120052552A KR 101404931 B1 KR101404931 B1 KR 10140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touch
touch screen
dragging gesture
bez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789A (ko
Inventor
김상태
김재정
이호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5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9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깅 제스쳐가 검출되는 단계;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using bezel}
본 발명은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객체(오브젝트)의 제어, 조작을 특정 베젤 영역으로의 드래깅 제스쳐만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지고, 풍부해지는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전자 기기를 소형화하면서 표시 화면을 대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접촉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전자 기기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표시 화면에 입력 기능을 탑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전용량 방식은 얇은 두께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멀티 터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투명 기판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는 투명 전극을 부착하고,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패드는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접촉에 따라 투명 전극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가 제어 모듈로 전달되어 접촉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패드와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소정의 배선을 투명 기판에 배치함으로써, 배선이 배치되어 화상을 실제로 표시할 수 없는 베젤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유효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베젤 영역도 터치스크린-구비 사용자 단말의 일 측의 구성요소인 만큼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베젤 영역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깅 제스쳐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의하여 터치가 전기적 방식으로 최초 또는 최종 검출된 터치스크린의 터치위치로부터 인접한 베젤 영역이 상기 베젤 영역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깅 제스쳐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을 따라 베젤 영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명령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베젤 영역에는 상이한 조작명령이 각각 할당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에 인접한 터치스크린 외곽의 제 1 영역에서의 제 1 터치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의 위치에 인접한 베젤 영역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 영역으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로부터 연장된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조작 명령이 수행되며, 여기에서 상기 조작 명령은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명령은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베젤 영역에는 상이한 조작명령이 각각 할당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제 1 영역의 크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크기보다 작다.
본 발명은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에 인접한 터치스크린 외곽의 제 1 영역에서의 터치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 검출된 터치위치와 인접한 베젤 영역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 영역으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조작 명령은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베젤 영역에는 상이한 조작명령이 각각 할당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깅 제스쳐를 검출하는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영역을 결정하는 베젤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영역 결정부는, 상기 베젤영역과 인접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외곽에 기설정된 영역의 터치로부터, 상기 터치와 인접한 베젤영역을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영역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부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 또는 종료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부는 상기 조작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베젤영역을 복수 개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복수 개의 베젤영역에 따라 상이한 명령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주변부에 배치되는 베젤 영역을 활용하여, 통상의 터치 이벤트 모드와 다른 또 다른 조작 모드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객체(오브젝트)의 제어, 조작을 특정 베젤 영역으로의 드래깅 제스쳐만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지고, 풍부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 연산의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내지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블록",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주변에 형성되는 비터치 영역인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 및 그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터치 위치에 따라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조작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가 연산된다(S110). 여기에서 베젤 영역은 실제로 전기신호에 따라 터치가 검출되지 못하는 영역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영역과 인접한 터치스크린 외곽의 특정 영역(제 1 영역)에서의 터치 신호(제 1 터치)에 따라 상기 터치가 연산된 베젤 영역이 결정되며, 상기 제 1 터치의 터치위치(제 1 위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전기적 방식에 따라 최초 또는 최종 검출된 터치 위치일 수 있다.
즉, 드래깅 제스쳐가 베젤 영역으로부터 진행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1 터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전기적 방식으로 검출된 최초 터치일 수 있으며,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으로부터 베젤 영역으로 진행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1 터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전기적 방식으로 검출되는 최종 터치일 수 있다.
상술한 제 1 터치 위치에 따라 터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베젤 영역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된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명령의 대상은 상기 제 1 터치로부터 진행된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위치 또는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된 터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을 하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베젤 영역에 상이한 조작명령을 미리 설정한다. 이로써 터치가 검출된 베젤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조작 명령이 수행될 수 있으며, 통상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명령과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드래깅에 따른 명령을 달리 구성하여, 수행할 수 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터치스크린(110)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110) 주변에는 소정 크기의 베젤 영역(1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젤 영역(120)은 조작 명령을 결정짓기 위한 단위 영역(s1, s2, s3, s4)으로 구분되며, 상기 단위 영역에는 같거나 상이한 명령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베젤 영역(120)에서의 터치가 진행되는데, 베젤 영역(120)에서의 터치는 전기적 방식으로 검출되지 않는데, 본 발명은 베벨 영역에서의 터치로부터 연장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터치가 진행된 베젤 영역을 결정짓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젤 영역의 상기 터치로부터 연속하는 드래깅 제스쳐가 수행되는데, 이때 드래깅 제스쳐 방향은 터치스크린 방향이다.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전기적 방식으로 터치가 검출되기 시작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최초 터치(전기적 방식)를 이하 제 1 터치로 지칭한다. 도 4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10)의 최외곽 지점인 제 1 위치(t1)가 제 1 터치가 발생하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위치(t1)에 인접한 베젤 영역(s1)을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 영역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젤 영역으로 시작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기반한 조작 명령과 터치스크린에서의 직접 입력(드래깅 제스쳐를 포함)에 기반한 명령을 구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을 결정짓기 위한 특정 영역을 베젤영역과 인접한 상기 터치스크린 외곽에 위치시킨다. 즉, 도 4에서는 (111) 영역이 터치가 진행된 베젤 영역을 결정짓기 위한 영역(제 1 영역)이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터치 위치에 인접한 베젤 영역이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영역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 크기를 조작명령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 크기 이하로 결정한다. 즉, 터치스크린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터치-드래깅 제스쳐와 베젤영역으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깅 제스쳐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터치여부에 따라 달리 결정되며, 만약 오브젝트 크기보다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통상적인 터치 모드에서는 실제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되며, 결국, 상기 영역은 베젤로부터 이어지거나, 시작되는 드래깅 제스쳐에서만 터치가 검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통상적인 오브젝트 조작을 위한 터치와 베젤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터치를 보다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베젤영역으로의 드래깅 제스쳐를 통상의 터치스크린 내에서의 터치와 구분하기 위한 임의의 모든 방식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젤영역 터치-제 1 터치로 이어지는 드래깅 제스쳐가 수행되며, 상기 제 1 베젤영역에 따른 조작명령이 수행된다. 상기 조작명령은 사용자 단말 자체에 대한 제어명령(파워 온-오프, 모드 전환 등)이거나,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한 처리명령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110) 상의 특정 오브젝트에서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다. 여기에서 드래깅 제스쳐 종료는 터치 자체가 해제되거나, 드래깅 제스쳐가 소정 시간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오브젝트가 상기 결정된 베젤영역에 할당된 조작 명령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조작명령으로 삭제명령이 할당된 베젤 영역으로부터 드래깅 제스쳐가 수행되고,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위치의 오브젝트가 상기 삭제명령의 대상이 된다. 그 결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의 파일이 삭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의 소정 외곽영역의 터치에 따른 베젤 터치 인식 방식의 경우, 비록 터치스크린 경계 영역(제 1 영역)에서의 터치에 따라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 자체를 미리 결정지을 수 있으나, 정확한 베젤의 터치 위치를 연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드래깅 방식에 따른 베젤 영역 터치를 연산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터치 인식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간t0에서의 제 1 좌표(X0, Y0)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좌표는 베젤영역과 인접한 터치영역(제 1 영역)에서의 터치 좌표이며, 이로써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가 베젤영역으로 연장된 드래깅 중 일어나는 터치임이 확인된다. 이후 진행되는 시간 t1에서는 제 2 좌표(X1, Y1)가 터치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제 1 좌표-제 2 좌표로 이어지는 벡터를 이용하여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좌표를 연산하는데, 이에 따른 식은 아래와 같다.
[수학식]
Xb=X0+ k(X0-X1)/(t1-t0)
Yb=Y0 + k(Y0-Y1)/(t1-t0)
(상기 식에서 k는 상수임)
상기 수학식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t0에서의 터치 좌표와 t1에서의 터치 좌표 사이의 벡터를 기준으로 그 이전 시간인 tb시간에서의 터치좌표가 연산된다. 이후 tb 시간에서 연산된 터치좌표(Xb,Yb)가 터치스크린의 베젤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연산된 좌표 (Xb,Yb)는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좌표로 결정된다. 하지만, 상술한 식에 의하여 연산된 (Xb,Yb)는 실제 터치입력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실제 베젤의 경계와 다른 값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 t0, t1, k값 그리고 논리적 베젤 경계(실제 물리적인 경계 좌표와 다를 수 있음)의 선택적 보정(calibration)을 통해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너무 빠른 드래깅에 의하여 고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 좌표 차이가 큰 경우, 상술한 식에 의하여 연산된 (Xb,Yb)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논리적 베젤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k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산된 (Xb,Yb) 좌표가 터치스크린의 논리적 베젤 영역 내에 속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베젤 영역에서의 터치 좌표가 연산된다.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베젤 영역 외부로 연장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베젤 영역의 터치 좌표가 연산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식과 같이, 검출되는 터치 사이의 시간의 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논리적 베젤 영역의 크기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조절함으로써, 각 디바이스에 적합한 최적의 베젤 터치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 베젤로부터 내부 터치스크린으로 연장되는 드래깅 제스쳐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외부 베젤 방향으로의 드래깅 제스쳐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베젤 영역의 터치가 연산(검출)되며, 상기 베젤영역의 터치 결정 여부가 사용자 단말의 제어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2와 동일하게 터치스크린(110)과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부의 베젤 영역(120)이 도시된다. 상기 베젤 영역(12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복수 개로 구분되며, 각각의 베젤 영역에는 상이한 조작 명령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4개의 베젤 영역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보다 많은 수의 베젤 영역 또는 적은 수의 베젤 영역이 터치스크린 주변에 설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110)에서 제 2 터치(t2)가 검출된다. 상기 제 2 터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전기적 신호에 기반한 터치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후 상기 제 2 터치로부터 드래깅 제스쳐가 진행되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드래깅 제스쳐는 상기 터치스크린 외곽의 제 1 영역(111)을 지나서, 베젤 영역(120)까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3 터치(t3)가 검출되며, 상기 제 3 터치의 터치 위치에 따라 이에 인접하는 베젤 영역(s2)이 조작명령을 결정짓기 위한 베젤 영역으로 결정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깅 제스쳐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상기 선이 베젤 영역과 만나는 지점이 베젤 터치 지점으로 연산되고, 상기 연산된 베젤 터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제어, 조작명령을 구분하여 수행하기 위한 베젤 영역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명령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된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으로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베젤 영역 각각에는 상이한 조작 명령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진행되는 드래깅 제스쳐를 검출하는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210); 상기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드래깅 제스쳐의 터치스크린 외곽 터치에 따라 상기 베젤 영역을 결정하는 베젤영역 결정부(220); 및 상기 베젤영역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기설정된 조작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230)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주변의 베젤 영역 방향으로 진행되는 드래깅 제스쳐를 검출하는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310); 상기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드래깅 제스쳐의 터치스크린 외곽 터치에 따라 상기 베젤 영역을 결정하는 베젤영역 결정부(320); 및 상기 베젤영역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기설정된 조작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330)를 포함한다.
도 12 및 13의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210, 310)에 의한 베젤영역 결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영역과 인접한 터치스크린의 바깥 영역(외곽 영역, 제 1 영역)에서의 터치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 명령부(230, 330)가 수행하는 조작명령의 대상 오브젝트는 베젤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 또는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터치 위치에 대응한다. 더 나아가, 상기 터치스크린 주변으로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베젤 영역 각각에는 상이한 조작 명령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깅 제스쳐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 내 두 터치 지점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깅 제스쳐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을 포함하는 논리적 베젤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논리적 베젤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베젤 영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구분된 베젤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베젤 영역에는 상이한 조작명령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깅 제스쳐를 검출하는 드래깅 제스쳐 검출부;
    상기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베젤영역을 결정하는 베젤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베젤 영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조작명령이 수행되는 명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영역 결정부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 내 두 터치 지점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깅 제스쳐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을 포함하는 논리적 베젤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논리적 베젤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베젤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부는 상기 드래깅 제스쳐가 시작 또는 종료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부는 상기 조작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베젤영역을 복수 개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복수 개의 베젤영역에 따라 상이한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장치.
KR1020120052552A 2012-05-17 2012-05-17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40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52A KR101404931B1 (ko) 2012-05-17 2012-05-17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52A KR101404931B1 (ko) 2012-05-17 2012-05-17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67 Division 2011-10-05 2011-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89A KR20130038789A (ko) 2013-04-18
KR101404931B1 true KR101404931B1 (ko) 2014-06-13

Family

ID=4843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52A KR101404931B1 (ko) 2012-05-17 2012-05-17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0767A (zh) * 2014-11-12 2015-02-18 宁夏嘉翔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普通触摸屏改制的防爆触摸屏的软件编制方法
US10712928B2 (en) 2016-08-30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according to bezel-based intera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37B1 (ko) * 2007-04-23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US20090295753A1 (en) * 2005-03-04 2009-12-03 Nick King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KR20110020991A (ko) * 2009-08-25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20110209097A1 (en) * 2010-02-19 2011-08-25 Hinckley Kenneth P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5753A1 (en) * 2005-03-04 2009-12-03 Nick King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KR100807737B1 (ko) * 2007-04-23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20110020991A (ko) * 2009-08-25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20110209097A1 (en) * 2010-02-19 2011-08-25 Hinckley Kenneth P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0767A (zh) * 2014-11-12 2015-02-18 宁夏嘉翔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普通触摸屏改制的防爆触摸屏的软件编制方法
US10712928B2 (en) 2016-08-30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according to bezel-based intera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89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4381B1 (en) Touch type distinguishing method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9886131B2 (en) Determining what input to accept by a touch sensor after intentional and accidental lift-off and slide-off when gesturing or performing a function
JP6326001B2 (ja) カメラの水中操作方法
US20150109242A1 (e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three-dimensional operation control of a touch screen
US20140028575A1 (en)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9354780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ovement of objects
JP5640486B2 (ja) 情報表示装置
TWI502474B (zh) 使用者介面的操作方法與電子裝置
EP3447618B1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same
JP6661013B2 (ja)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GB2527918A (en) Glove touch detection
CN103365401B (zh) 手势控制方法及装置
KR101393733B1 (ko)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339420B1 (ko) 베젤 영역을 이용한 전자책 컨텐츠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33211B1 (ko)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404931B1 (ko)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JP5492627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130117122A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베젤 공간을 활용한 제스처를 통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90404B1 (ko) 터치 동작 처리 방법 및 단말기
CN104951221A (zh) 响应触摸操作的方法和电子设备
WO2020195835A1 (ja) タッチ位置検出システム
KR101360631B1 (ko) 터치 제스처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격제어 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08218B1 (ko) 복수 베젤영역 조합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392673B1 (ko) 베젤 영역을 활용한 터치 제스처에 기초하여 원격기기를 원격제어 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924997B1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