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929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929B1
KR101404929B1 KR1020130039555A KR20130039555A KR101404929B1 KR 101404929 B1 KR101404929 B1 KR 101404929B1 KR 1020130039555 A KR1020130039555 A KR 1020130039555A KR 20130039555 A KR20130039555 A KR 20130039555A KR 101404929 B1 KR101404929 B1 KR 10140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uide
support
reservo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3003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또한 자연 증발 방식을 적용한 친환경적인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 증발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고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고의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방부; 상기 지지대 상단에 부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물안내부; 상기 가이드와 물안내부 사이에 안착되는 직물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수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저장고의 물을 지지대 위에 배출하는 펌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증발을 이용한 친환경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이나 건조한 날에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대표적인 장치가 가습기이다. 상기 가습기는 특히 겨울철에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가습기와 열을 이용한 가습기로 구분된다.
초음파를 이용한 가습기는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997-00707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를 진동시켜 진동자 주변의 물을 분무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장치이다.
초음파 방식은 실제 분무된 물이 건조한 공기와 접촉한 후 다시 증발하여 가습하는 방식이므로, 가습 응답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구조적으로 안전하여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열을 이용한 가열 가습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0-00140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발시켜 가습하는 장치이다. 상기 방식은 물을 직접 증발시키므로 가습 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전기소모량이 많고 또한 전기 장치들이 물과 직접 접촉하므로, 누전의 위험이 있어, 밀봉에 신중을 기하여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 기술된 방식의 가습기는 일정 시간 사용 후에는 초음파 진동자 주변 또는 가열기 주변에 스케일이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장치의 효율이 저감되며, 또한 세균 증식의 원인을 제공하므로, 반드시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복잡한 장치를 청소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또한 자연 증발 방식을 적용한 친환경적인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 증발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고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고의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방부; 상기 지지대 상단에 부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물안내부; 상기 가이드와 물안내부 사이에 안착되는 직물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수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저장고의 물을 지지대 위에 배출하는 펌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직물지와 상기 물안내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핑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압부, 흡입부 및 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하여 흡입부로 물이 흡입되어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지지대 위에 위치하여 펌핑 시 저장고의 물을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와 상기 물안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하부 저장고에 수집된 물을 펌핑에 의하여 상단으로 이송하고, 상단의 물이 직물지에 스며 직물지의 넓은 표면을 통하여 공기로 증발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치 않으며,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모든 부재들이 분리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청소 등이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고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펌핑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물안내부, 직물지 및 가이드의 결합을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10), 상기 저장고(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고(10)의 물을 상단으로 배출하는 수동 펌핑기(30), 상기 펌핑기(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후술하는 직물지(50)로 안내하기 위한 물안내부(40), 상기 물안내부(40)에서 안내되는 물을 흡수하는 직물지(50), 상기 직물지(50)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물안내부(40)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저장고(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형태로 구성되고 전체 가습기를 지지하는 역할과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중앙에는 후술하는 지지대(20)의 결합을 위한 환형단(11)이 형성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저장고(10) 상단에 커버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직물지(50)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관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저장고(10)에 나사식 또는 삽입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고(10)의 중앙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지지대(20)가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는 물의 유입 유출을 위한 개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0) 역시 상기 저장고(10)와 결합 및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사용 시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0) 내부에는 펌핑기(30)가 고정된다. 상기 펌핑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 가압부(32), 흡입부(33) 및 배출부(3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31)는 상기 지지대(2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흡입부(33)는 상기 지지대(20)의 개방부(21)에 위치하고, 배출부(34)는 상기 가압부(32) 상단에 다수의 홀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32)를 수동으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경우 흡입부(33)를 통하여 물을 유입하여 상기 배출부(34)로 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배출부(34)의 위치만 달리하고 나머지 구성은 화장품 또는 세척용 병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펌핑기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지지대(20)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가이드(60)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60) 역시 상기 지지대(20)와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60)는 축대칭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60)에는 환형의 돌출부(6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1)에는 직물지(50)의 끝단 인근이 결합하고, 상기 직물지(50)의 끝단에 추가로 도 6에 도시된 물안내부(40)의 관통부(41)가 삽입하여 상기 직물지(50)를 고정한다.
상기 물안내부(40) 역시 축대칭 형상이며, 내부에 관통부(41)에 상기 돌출부(61)에 대응되어 결합한다.
상기 직물지(50)의 길이는 그 끝단이 저장고(10)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가 적절하며, 상기 직물지(50)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며, 물에 잘 풀리지 않는 종이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직물지(50)는 향균성 처리하여 곰팡이 등의 서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100)는 먼저 직물지(50)을 상기 가이드(60) 안착시키고, 상기 물안내부(40)를 상기 돌출부(61)에 삽입하여 직물지(5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61)는 상기 가이드(60)의 동일한 원주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는 상기 물안내부(40)에는 상기 돌기에 결합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직물지 역시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여 직물지(50)가 상기 돌기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물안내부(40)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물을 상기 가이드(60)와 물안내부(40) 사이의 상단 공간에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서서히 상기 직물지(50)에 스며들고, 물안내부(40) 아래에 위치하는 직물지(50)에서 증발한다.
그리고 증발되지 않은 물은 상기 직물지(50)를 통하여 상기 저장고(10)에 저장되며, 저장고(10)의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펌핑기(3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배출부(34)를 통하여 다시 가이드(60)와 물안내부(4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므로 직물지(40)에 의하여 가습이 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고(10)에 먼저 물을 공급하고, 이후 펌핑기(30)를 통하여 물을 직물지(40)로 공급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100)는 손쉽게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또한 별도의 동력이 소모되지 않아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특히 물의 흡수성이 뛰어난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가습특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저장고 11: 환형단
20: 지지대 21: 개방부
30: 펌핑기 31: 몸체
32: 가압부 33: 흡입부
34: 배출부 40: 물안내부
41: 관통부 50: 직물지
60: 가이드 61: 돌출부
100: 가습기

Claims (4)

  1. 자연 증발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고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고의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방부;
    상기 지지대 상단에 부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결합하는 물안내부;
    상기 가이드와 물안내부 사이에 안착되는 직물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수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저장고의 물을 지지대 위에 배출하는 펌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직물지와 상기 물안내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핑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압부, 흡입부 및 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하여 흡입부로 물이 흡입되어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지지대 위에 위치하여 펌핑 시 저장고의 물을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와 상기 물안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30039555A 2013-04-10 2013-04-10 가습기 KR10140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55A KR101404929B1 (ko) 2013-04-10 2013-04-1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55A KR101404929B1 (ko) 2013-04-10 2013-04-10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929B1 true KR101404929B1 (ko) 2014-06-10

Family

ID=5113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555A KR101404929B1 (ko) 2013-04-10 2013-04-1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9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59A (ja) 1998-07-14 2000-01-25 Misako Mizuguchi 携帯用加湿器
KR20050056095A (ko) * 2003-12-09 2005-06-14 우영식 분수기가 구비된 가습기
KR20070079756A (ko) * 2006-02-03 2007-08-08 김성택 인조화분소재의 가습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59A (ja) 1998-07-14 2000-01-25 Misako Mizuguchi 携帯用加湿器
KR20050056095A (ko) * 2003-12-09 2005-06-14 우영식 분수기가 구비된 가습기
KR20070079756A (ko) * 2006-02-03 2007-08-08 김성택 인조화분소재의 가습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7208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EP2767774A1 (en) Portable humidifier
JP6960566B2 (ja) 加湿装置
JP2002327940A (ja) 空気調和機
JP6607807B2 (ja) 加湿器
KR101404929B1 (ko) 가습기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1207904B1 (ko)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200479586Y1 (ko) 가습기
KR101397638B1 (ko) 휴대가 가능한 자연 가습기
JP3926600B2 (ja) 加湿装置
JP2000356373A (ja) 加湿装置および加湿フィルター
JP2002048365A (ja) 気化式加湿装置
CN211084332U (zh) 一种高加湿量的加湿结构及加湿设备
JP2009030856A (ja) 加湿装置
KR102242789B1 (ko) 휴대용 공기조화기
JP2014188023A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KR20180067350A (ko) 송풍식 자연 가습기
KR101307448B1 (ko) 기화식 가습기
KR101630255B1 (ko) 선인장 형상의 부직포가습기
KR101574079B1 (ko)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JP2018048810A (ja) 超音波式加湿器
KR101292303B1 (ko) 초음파 디퓨져의 공기배출장치
JP2000205614A (ja) 加湿器
KR102246903B1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