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68B1 - 기관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관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68B1
KR101404668B1 KR1020120116141A KR20120116141A KR101404668B1 KR 101404668 B1 KR101404668 B1 KR 101404668B1 KR 1020120116141 A KR1020120116141 A KR 1020120116141A KR 20120116141 A KR20120116141 A KR 20120116141A KR 101404668 B1 KR101404668 B1 KR 10140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ube
patient
movabl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835A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102012011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68B1/ko
Priority to CN201380053294.8A priority patent/CN104703647A/zh
Priority to JP2015536722A priority patent/JP2015531296A/ja
Priority to PCT/KR2013/009285 priority patent/WO2014062012A1/ko
Publication of KR2014004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8Clips, separato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tubes or l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외에 위치되며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 바디의 전방에서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 바디의 전방에서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관튜브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기관 내에 삽관(揷管)되는 기관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관튜브는 환자의 구강을 통하여 기관 내에 삽관된다. 기관튜브는, 삽관된 때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하는 끝 부분에는 산소나 흡입 마취제 공급원과 연결되는 어댑터가 구비되고, 삽관된 때 환자의 기관에 위치하는 반대쪽 끝 부분에는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되는 커프(cuff)가 구비된다. 삽관된 기관튜브의 커프를 팽창시키면, 환자의 기관은 팽창된 커프에 의하여 폐쇄되어, 기관튜브를 따라 환자의 폐에 공급되는 산소나 흡입 마취제는 폐로부터의 역류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기관튜브는 삽관 시의 위치가 팽창된 커프에 의하여 어느 정도 고정되나, 대부분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5486호)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구성된 바디를 포함한다. 제1바디와 제2바디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삽관된 기관튜브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제1바디와 제2바디는 결합 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튜브 홈이 각각 마련된다. 양쪽의 튜브 홈은 제1바디와 제2바디의 결합 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압박한다.
기관튜브는 사이즈에 따라 소아용과 성인용으로 구분되고 소아용과 성인용의 경우에도 각각 다양한 외경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관통구멍의 단면적이 일정하기 때문에, 기관튜브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관통구멍에 기관튜브를 삽입할 수 없거나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기관튜브를 고정하려면 분리 상태의 제1바디와 제2바디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관튜브 고정작업이 어렵고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환자가 구강 내에 위치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를 물었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환자의 치아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환자의 치아가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기관튜브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치아에 의한 물림 발생 시 그 충격이 환자의 치아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측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관통된 기관튜브를 수용하여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튜브를 보호하는 기관튜브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관튜브 보호관은 환자의 치아에 의한 물림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가져 절개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부분을 통하여 기관튜브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터진 형상의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관튜브 보호관은 그 둘레 부분을 통하여 기관튜브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개방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옆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에 마련된 안내부재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복수의 제1투스가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투스와 맞물리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투스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부재는 휨 이동 가능하도록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되어 휨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됨으로써 이격 시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의 맞물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과 제2의 투스(tooth)는 상기 로크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서로 접촉되는 경사면 및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후진 시 서로 접촉되는 수직면을 각각 갖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가동부재의 전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와 안내부재에는 서로 짝을 이루며 상기 안내부재의 휨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조작용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양옆에는 착용밴드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밴드 장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양쪽의 밴드 장착구멍 중 어느 하나는 크기가 나머지 하나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디의 관통구멍에 기관튜브를 삽입한 후 가동부재를 고정부재 측으로 전진시키면 기관튜브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에 의하여 압박되기 때문에, 하나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의하여 소아용, 성인용 등 다양한 사이즈의 기관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부재가 환자의 구강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관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하는 기관튜브 보호관이 절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환자의 치아에 의한 물림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여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바디 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가동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제2안내부재 및 그 주변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각각 앞쪽 및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ET)(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가 삽입되는 관통구멍(310)을 갖는 바디(300), 바디(300)의 관통구멍(310)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도면부호 400, 500 참조)을 포함한다.
도 6은 바디(300) 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바디(300)는 환자의 구강 외측에서 입 앞쪽에 위치된다. 바디(300)는 환자의 입에 걸림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측으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300)의 중앙 부분은 대략 평편하도록 형성되고, 관통구멍(310)은 바디(300)의 평편한 중앙 부분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구멍(310)은 소아용, 성인용 등 다양한 사이즈의 기관튜브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도 1, 4 및 6을 참조하면, 바디(300)의 중앙 부분 상측에는 관통구멍(310)으로부터 터진 형상의 개방부(320)가 마련된다. 관통구멍(310)과 연결되어 공간적으로 통하는 개방부(320)에 의하면, 관통구멍(310)으로 기관튜브를 직접 삽입하는 방식만이 아닌, 개방부(320)를 통하여 관통구멍(310)의 상측으로 기관튜브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도 관통구멍(310)에 삽입할 수 있다.
고정유닛은 바디(300)의 전방에 관통구멍(3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된 고정부재(400)와 가동부재(500)를 포함한다. 관통구멍(310)의 둘레 좌우 중에서 어느 한쪽에는 고정부재(400)가 마련되고, 관통구멍(310)의 둘레 좌우 중에서 나머지 한쪽에는 가동부재(500)가 고정부재(4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가동부재(500)가 고정부재(400)로부터 후진(이격)된 상태에서 관통구멍(310)에 기관튜브를 삽입하고, 가동부재(500)를 고정부재(400) 측으로 전진(접근)시키면, 관통구멍(310)에 삽입된 기관튜브는 그 외경(사이즈)에 관계 없이 고정부재(400)와 가동부재(500)에 의하여 압박되면서 바디(300)에 고정된다. 이 때, 기관튜브의 고정 조작은 가동부재(500)가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된 까닭에 환자의 구강 외측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 4을 보면, 고정부재(400)는 관통구멍(310)의 좌측에, 가동부재(500)는 관통구멍(310)의 우측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부재(400)와 가동부재(50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7은 가동부재(5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고정부재(400)는 바디(300)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다. 가동부재(500)는, 바디(3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고정부재(400)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가압대(520),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에 이용되는 손잡이(530)를 포함한다.
도 1, 4 및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는 고정부재(400)에 대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고정부재를 향하는 쪽)의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구조를 갖는다. 슬라이딩 플레이트(510)의 갈라진 부분은 가동부재(500)가 고정부재(400) 측으로 소정 거리 전진 시 두 갈래(512) 사이의 공간으로 고정부재(400)가 진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대(52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510)의 갈라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손잡이(530)는 고정부재(400)에 대한 슬라이딩 플레이트(51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와 가압대(52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기관튜브와 접촉된다. 고정부재(400)와 가압대(52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원형인 기관튜브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400)와 가압대(52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끝 부분이 뾰족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402, 502)가 적어도 하나씩 돌출될 수 있다.
가동부재(500)의 장착에는 가이드가 이용된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는 고정부재(400)에 대한 가동부재(5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옆(즉, 상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바디(300)에 마련되며 서로 짝을 이루어 가동부재(500)의 정확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제1안내부재(610)와 제2안내부재(620)를 포함한다.
제1안내부재(610)와 제2안내부재(620)는, 가동부재(50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를 사이에 두고 바디(300)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가동부재(50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수직 플레이트(612, 622), 수직 플레이트(612, 622)의 선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바디(300)와의 사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를 두도록 위치됨으로써 가동부재(500)의 전방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수평 플레이트(614, 624)를 포함한다. 수직 플레이트(612, 622)와 수평 플레이트(614, 624)에 의하면, 제1안내부재(610)와 제2안내부재(620)는 도 5에서와 같이 둘 모두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다.
제1안내부재(610)와 제2안내부재(620)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안내부재(610)는 두 개 구비되어 개방부(320)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쪽에 하나씩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안내부재(620) 및 그 주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 8 등을 참조하면, 제1안내부재(610)와 제2안내부재(620)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안내부재(620)는 가동부재(500)에 대하여 상하방향 휨 이동이 가능하도록 캔틸레버(cantilever) 형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휨 이동구조를 위하여, 바디(300)는 관통구멍(310)의 하측에 전후로 관통된 설치개구(330)가 마련되고, 제2안내부재(620)는 좌우 양쪽 중에서 우측(고정부재에 대한 가동부재의 후진방향 쪽)은 설치개구(330)에 연결되고 반대쪽인 좌측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있도록 설치개구(330) 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안내부재(620)는 상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휘어지고 이 힘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원된다.
가동부재(500)와 제2안내부재(620)에는 서로 맞물려서 고정부재(400)에 대한 가동부재(500)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가 마련된다.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투스(710)는 가동부재(50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하측에 복수 개가 가동부재(5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제1투스(71)와 맞물리는 제2투스(720)는 제2안내부재(620)의 수직 플레이트(622)에 단수 또는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의 맞물림은 제2안내부재(620)가 가동부재(50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안내부재(620)를 하측으로 휨 이동시키면 해제된다. 물론, 이렇게 하측으로 휨 이동된 제2안내부재(620)는 휨 이동을 위한 힘을 제거하면 원상으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는 다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는 각각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면(712, 722) 및 상하방향의 수직면(714, 724)을 갖는 일방향 톱니이다.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의 경사면(712, 722)은 가동부재(500)가 고정부재(400)에 대하여 전진 시 서로 접촉되며 고정부재(400)에 대한 가동부재(500)의 전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의 수직면(714, 724)은 가동부재(500)가 고정부재(400)에 대하여 후진 시 서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500)를 고정부재(400) 측으로 밀면, 제2안내부재(620)는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의 경사면(712, 722)에 의한 휨 조작으로 하측으로의 이동과 원상으로의 복귀가 반복되고, 가동부재(500)는 이 과정에서 전진된다. 반면, 가동부재(500)를 후진시키고자 반대방향으로 밀면, 가동부재(500)는 제1투스(710)와 제2투스(720)의 수직면(714, 724)에 의한 걸림작용으로 이동이 방지된다.
도 6, 7 등을 참조하면, 바디(30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51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안내 돌기(632, 642)와 안내 홈(634, 644)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 돌기(632, 642)는 안내 홈(634, 644)에 삽입되어 안내 홈(634, 644)을 따라 이동된다. 안내 돌기(632, 642)는 슬라이딩 플레이트(510)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634, 644)은 바디(300)에 가동부재(5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632, 642)와 안내 홈(634, 644)은 두 개씩 마련될 수 있다. 두 안내 홈(634, 6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부재(400)에 대한 가동부재(500)의 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36)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관통구멍(310)의 둘레 측으로부터 바디(30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고 관통구멍(310)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수용하여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튜브를 보호하는 기관튜브 보호관(800)을 더 포함한다.
도 1, 2, 5 및 6을 참조하면, 기관튜브 보호관(800)은 그 상측 부분을 통하여 기관튜브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바디(300)의 개방부(320)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개방부(810)를 갖는다. 기관튜브 보호관(800)은 환자의 치아에 의한 물림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820)를 갖는다. 절개부(820)는 기관튜브 보호관(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절개부(820)에 의하여 절개된 기관튜브 보호관(800)은 향상된 탄성을 가져 환자의 치아에 의한 물림 발생 시 충격을 흡수, 이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치아를 보호하면서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튜브를 보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튜브 보호관(800)은 고무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보호관 커버(850)에 의하여 피복될 수 있다.
도 3 등에서 도면부호 340은 환자에 바디(300)를 고정시키는 데 이용되는 착용밴드(900)를 연결하는 위한 밴드 장착구멍이다. 밴드 장착구멍(340)은 바디(300)의 좌우 양옆에 각각 마련된다. 양쪽의 밴드 장착구멍(340) 중 어느 하나는 크기가 나머지 하나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다. 이는 바디(300)의 큰 부피 증대 없이 착용밴드(900)를 간편하고 신속히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350은 기관지경, 석션기구, 에어웨이 튜브와 같은 기구를 삽입하는 데 이용되는 기구 삽입구멍이다. 기구 삽입구멍(350)은 양쪽의 밴드 장착구멍(340) 중 어느 하나와 관통구멍(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등에서 도면부호 750 및 760은 제2안내부재(620)의 휨 이동을 위한 조작에 이용되는 손잡이이다. 휨 이동 조작용 손잡이(750, 760) 중 어느 하나는 제2안내부재(6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하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디(300)에 마련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따르면, 휨 이동 조작용 손잡이(750, 760)를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엄지손과 검지손으로 상측의 손잡이(750)와 하측의 손잡이(760)를 맞잡고 누르는 식으로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른 손으로는 가동부재(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ET : 기관튜브 310 : 관통구멍
300 : 바디 320 : 바디의 개방부
330 : 설치개구 340 : 밴드 장착구멍
350 : 기구 삽입구멍 400 : 고정부재
500 : 가동부재 510 : 슬라이딩 플레이트
520 : 가압대 610 : 제1안내부재
620 : 제2안내부재 710 : 제1투스
720 : 제2투스 800 : 기관튜브 보호관
810 : 기관튜브 보호관의 개방부 820 : 절개부
900 : 착용밴드

Claims (11)

  1.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측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관통된 기관튜브를 수용하여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튜를 보호하는 기관튜브 보호관을 포함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관튜브 보호관에 피복된 탄성재질의 보호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관튜브 보호관은 환자의 치아에 의한 물림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가져 절개된 기관튜브 고정장치.
  4.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부분을 통하여 기관튜브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터진 형상의 개방부를 갖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측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관통된 기관튜브를 수용하여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튜브를 보호하는 기관튜브 보호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관튜브 보호관은 그 둘레 부분을 통하여 기관튜브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개방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개방부를 갖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환자의 구강으로 기구를 삽입하는 데 이용되는 기구 삽입구멍이 마련된 기관튜브 고정장치.
  7.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옆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에 마련된 안내부재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복수의 제1투스가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투스와 맞물리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투스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부재는 휨 이동 가능하도록 캔틸레버 형식으로 장착되어 휨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됨으로써 이격 시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서로 접촉되는 경사면 및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후진 시 서로 접촉되는 수직면을 각각 갖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가동부재의 전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안내부재에는 서로 짝을 이루며 상기 안내부재의 휨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조작용 손잡이가 마련된 기관튜브 고정장치.
  11.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전진 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양옆에는 착용밴드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밴드 장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양쪽의 밴드 장착구멍 중 어느 하나는 크기가 나머지 하나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 기관튜브 고정장치.
KR1020120116141A 2012-10-18 2012-10-18 기관튜브 고정장치 KR10140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41A KR101404668B1 (ko) 2012-10-18 2012-10-18 기관튜브 고정장치
CN201380053294.8A CN104703647A (zh) 2012-10-18 2013-10-17 气管导管固定装置
JP2015536722A JP2015531296A (ja) 2012-10-18 2013-10-17 気管チューブ固定装置
PCT/KR2013/009285 WO2014062012A1 (ko) 2012-10-18 2013-10-17 기관튜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41A KR101404668B1 (ko) 2012-10-18 2012-10-18 기관튜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835A KR20140049835A (ko) 2014-04-28
KR101404668B1 true KR101404668B1 (ko) 2014-06-09

Family

ID=5048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41A KR101404668B1 (ko) 2012-10-18 2012-10-18 기관튜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531296A (ko)
KR (1) KR101404668B1 (ko)
CN (1) CN104703647A (ko)
WO (1) WO20140620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86A (ko) 2021-02-10 2022-08-17 (주)비텍코리아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7364B2 (en) * 2014-08-07 2017-07-18 Laerdal Medica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oral airway devices
US10046130B2 (en) * 2015-05-21 2018-08-14 Laerdal Medical As Airway-tube holder
USD834185S1 (en) 2015-05-21 2018-11-20 Laerdal Medical As Airway-tube holder
KR101646886B1 (ko) 2015-12-29 2016-08-08 주식회사 에이피이엑스코리아 기관튜브 홀더조립체
EP3210643A1 (en) * 2016-02-23 2017-08-30 Besmed Health Business Corp. Endotracheal tube holder
WO2017179780A1 (ko) * 2016-04-11 2017-10-19 (주)솔트웍스 기관튜브 고정용 바이팅블럭 조립체
CN106474610B (zh) * 2016-11-11 2019-02-12 张宏强 一种气管插管固定装置
CN108744211B (zh) * 2018-06-21 2020-07-03 青岛市口腔医院 一种气管插管固定装置
KR102522980B1 (ko) * 2022-11-10 2023-04-18 주식회사 코빌드 의료용 마우스피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019A (en) * 1988-03-16 1989-05-23 Burton Weinstein Endotracheal tube holder
US20080202529A1 (en) * 2002-12-11 2008-08-28 Para Products, Inc. Endotracheal Tube Holder
KR100902666B1 (ko) 2008-12-09 2009-06-15 강신범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110135486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기관튜브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4616A (en) * 1972-02-01 1973-11-27 Perry Plastics Inc Endotracheal tube holder and airway
US5174284A (en) * 1991-09-05 1992-12-29 G.I. Supply, Inc. Endoscopic bite block
US5345931A (en) * 1993-09-09 1994-09-13 Marc J. Schnedierman Endotracheal tube holder
US5513633A (en) * 1994-04-28 1996-05-07 Islava; Steven T. Endotracheal tube holder
US6010484A (en) * 1998-01-07 2000-01-04 Mccormick; David A. Combination endotracheal and intraosseous transfusion apparatus holder
US6634359B1 (en) * 2000-11-14 2003-10-21 Insight Medical Design, Inc. Tracheal tube holding device
NO20061891L (no) * 2006-04-26 2007-10-29 Laerdal Medical As Luftslange- eller -ror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019A (en) * 1988-03-16 1989-05-23 Burton Weinstein Endotracheal tube holder
US20080202529A1 (en) * 2002-12-11 2008-08-28 Para Products, Inc. Endotracheal Tube Holder
KR100902666B1 (ko) 2008-12-09 2009-06-15 강신범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110135486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기관튜브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86A (ko) 2021-02-10 2022-08-17 (주)비텍코리아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2012A1 (ko) 2014-04-24
CN104703647A (zh) 2015-06-10
KR20140049835A (ko) 2014-04-28
JP2015531296A (ja)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668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US7156091B2 (en) Oral airway and airway management assistive device provided with the oral airway
US8202215B2 (en) Pharyngeal intubation guiding device
JP5528478B2 (ja) 広範な外径を有する気管内チューブを案内するためのチューブガイドを備えた喉頭鏡の挿入部
US9486595B2 (en) Tracheal intubation guide
KR101216154B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US10531792B2 (en) Intubation device
TWI514988B (zh) 光導引穿刺針組合及其使用方法
US20090050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bating an airway of a patient
JPS6048752A (ja) 舌引き込め用通気路
WO2007029713A1 (ja) 組織生検針装置
EP3402383A1 (en) Imaging competent, bi-directionally articulable endotracheal tubes
US20200397274A1 (en) Blade for a video laryngoscope with extendable tip
CN103071222B (zh) 纤维支气管镜经口气管插管引导器
US8603126B2 (en) Lancet
GB2542640A (en) Bougie introducer
CN105727414A (zh) 闸合式牙垫、气管插管组合固定套件及其使用方法
US9265908B2 (en) Intubating stylette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09077758B (zh) 一种进针控制手柄
CN203139319U (zh) 一种纤维支气管镜经口气管插管引导器
US20170181614A1 (en) Intubation Device
US20200306477A1 (en) Bougie with Improved Sensory Feed
JP3220747B2 (ja) 気管内チューブ挿管用内視鏡
CN211357168U (zh) 抽血注射针头的安全保护装置
CN210904477U (zh) 隐形气管插管牙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