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65B1 -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65B1
KR101404665B1 KR1020120132225A KR20120132225A KR101404665B1 KR 101404665 B1 KR101404665 B1 KR 101404665B1 KR 1020120132225 A KR1020120132225 A KR 1020120132225A KR 20120132225 A KR20120132225 A KR 20120132225A KR 101404665 B1 KR101404665 B1 KR 10140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ensation
unit
selection unit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109A (ko
Inventor
정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Priority to KR102012013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06T5/7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1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edge growing; involving edge li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영상화질을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신호에 따라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 등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DAC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와, 영상보상부를 통해 개선되는 화상의 보상정도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ADC와 DAC 및 영상보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을 제공하면, CCTV 카메라를 고사양의 것으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CCTV의 출력단 등에 본 발명의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CCTV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화질 상태에 따라 관리자가 보상정도를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통상적으로 인간은 개인적인 취향과 시력상태 혹은 색상 감지 능력의 차이로 인해 모니터링 되는 화상에 대해 선명하다는 느낌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선명하다고 느끼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보상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Automatic reflex revision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Video Recorder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영상화질을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등의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장치인 비디오 인핸서(Video Enhancer)의 화질개선에 따른 동작모드와 보상정도를 세분화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화질 상태에 따라 관리자가 보상정도를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영역의 공간을 감시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와 같은 CCTV 및 폐쇄회로용 모니터를 결합시킨 폐쇄회로 감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카메라(CCTV)는 동일 건물 내부나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특정한 장소의 감시와 사람이 직접 감시하기 어려운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즉, 건물의 외각지대, 지하 주차장, 도로 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상주하면서 감시가 어려운 장소에 원격제어가 가능한 카메라를 설치하고, 원격지에 위치한 주제어실에 장치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를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날씨가 흐리거나 안개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그 촬영화상이 선명하지 않아 도로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 매연 등의 오염물질, 빗방울, 눈 등이 시야를 가리게 될 경우에도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대한민국의 경우 특히 CCTV의 영상 환경이 열악한 상황으로 CCTV의 수요가 많은 도심과 도심주변에 스모그 현상이 많고, 전국적으로 황사로 인하여 시야가 매우 좋지 않고, 특히 야외에 설치된 CCTV 케이스 또는 먼지로 인하여 영상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아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킬 필요성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점차 높은 사양의 고해상도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해상도의 제품을 모든 CCTV에 적용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어진 최근의 기술로는 고해상도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가 비디오 인핸서(Video Enhancer)라는 장치이다.
상술한 비디오 인핸서(Video Enhancer)는 CCTV 등의 영상을 최적화하여 흐리거나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선명하게 하는 제품으로 기존의 렌즈나 센서에서는 할 수 없는 부분을 디지털 알고리즘을 통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기존의 비디오 인핸서는 그 동작모드가 화질자동보상모드와 보상동작 온/오프의 제어를 위한 모드로 단순화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육시 관찰하고 있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감시화면의 화질에 대해 불만족스럽더라도 세부적인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영상화질을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TV 등의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장치인 비디오 인핸서의 화질개선에 따른 동작모드와 보상정도를 세분화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화질 상태에 따라 관리자가 보상정도를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특징은, 유입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와; 유입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DAC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와; 상기 영상보상부를 통해 개선되는 화상의 보상정도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C와 DAC 및 영상보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는 상기 영상보상부의 화질개선 정도를 보상값으로 자동보상하는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자동보상되어진 화질상태를 부가적으로 더욱 개선하기 위한 보상정도선택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상정도선택부는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상보상부는 안개 제거, 노이즈 제거, 동적 범위 변경, 엣지 강조, 감마필터링 튜닝의 이미지 개선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보상정도선택부를 통한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보상정도선택부는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온/오프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운영방법은, 제어신호에 따라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DAC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와; 상기 영상보상부의 화질개선 정도를 보상값으로 자동보상하는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자동보상되어진 화질상태를 부가적으로 더욱 개선하기 위한 보상정도선택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상정도선택부는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C와 DAC 및 영상보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는 시점에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보상부측에 공급되는 가운데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자동보상모드선택부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화질 보상을 위한 기준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상부가 화질을 개선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보상정도선택부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보상정도선택부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상정도선택부가 기 설정된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 중 무엇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의 과정에서 판별되어진 추가적인 보상모드 3단계(L, M, H)에 따라 상기 제 3단계의 과정에서 자동 보상되어진 영상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보상을 수행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카메라를 고사양의 것으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CCTV의 출력단 등에 본 발명의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CCTV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화질 상태에 따라 관리자가 보상정도를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인간은 개인적인 취향과 시력상태 혹은 색상 감지 능력의 차이로 인해 모니터링 되는 화상에 대해 선명하다는 느낌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선명하다고 느끼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보상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보상부의 화상 개선과정에 대한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보상부의 화상 개선과정에 대한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100)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유입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110)와, 유입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120)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DC(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 등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DAC(120)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130)와, 상기 영상보상부(130)를 통해 개선되는 화상의 보상정도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선택부(170),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70)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C(110)와 DAC(120) 및 영상보상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70)는 상기 영상보상부(130)의 화질개선 정도를 통상적으로 최적화되어진 보상값으로 자동 보상하는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와, 자동보상되어진 화질상태를 부가적으로 더욱 개선하기 위한 보상정도선택부(172)로 구성되되; 상기 보상정도선택부(172)는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70)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와 보상정도선택부(172)는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온/오프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영상보상부(130)는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DC(11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바꾼 신호를 입력받아 안개 제거, 노이즈 제거, 동적 범위 변경, 엣지 강조, 감마필터링 튜닝 등의 이미지 개선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와 보상정도선택부(172)를 통한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후 다시 DAC(12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바꾼 후 출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첨부한 도 1 혹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질 개선 전의 영상과 화질 개선 후의 영상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중 영상보상부(130)의 화상 개선과정에 대한 동작 개념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개선전 영상을 받아서 밝기 보정을 통해 각 밝기 간의차이를 명확하게 하고, 색상신호도 그 차이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이미지를 개선시킨다. 이러한 이미지 개선을 한 후에도 존재하는 랜덤한 노이즈는 이미지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보상부(130)는 이미지개선 후에 노이즈 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의 설명에서 미 설명되어진 참조부호 140은 자동 영상 보정을 위한 각종의 데이터와 임시정보 및 제어부(180)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미 설명되어진 참조부호 150은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이고, 160은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이다.
이때 상기 도 1에서 확대 되어진 부분은 동작모드 선택부(170)가 실제 패널에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첨부한 도 3을 기준으로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100)의 동작과 그에 따른 화상보상의 예를 살펴보면,
전원이 온 되는 시점에서 제어부(180)는 ADC(110)을 제어하여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바꾼 신호를 영상보상부(130)측에 공급한다(스텝 S101).
상기 스텝 S101의 과정을 통해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보상부(130)측에 공급되는 가운데 상기 제어부(180)는 스텝 S102의 과정을 통해 동작모드 선택부(170)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독한다.
이때 상기 스텝 S102의 과정에서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가 오프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103의 과정으로 진행하여 입력영상을 화질개선없이 그대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보상부(130)와 DAC(120)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안개나 노이즈가 끼여 있는 영상이라도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텝 S102의 과정에서 자동보상모드선택부(171)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104의 과정으로 진행하여 통상적으로 최적화 되어진 화질 보상(개선)을 위한 기준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상부(130)가 화질을 개선하도록 한다.
이후 스텝 S105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70)의 보상정도선택부(172)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독한다.
만약 상기 스텝 S105의 과정에서 상기 보상정도선택부(172)가 오프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표준적인 화상 개선 되어진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어진 <입력영상>과 <자동보상영상>을 비교하여 보면 안개가 없어진 매우 깨끗한 영상을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통상적으로 인간은 개인적인 취향과 시력상태 혹은 색상 감지 능력의 차이로 인해 상기 스텝 S106의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자동보상영상>이 선명하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이 존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시각적으로 느끼는 감각은 인간마다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보상 장치는 관리자가 선명하다고 느끼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따른 화상 보상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고자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 S105의 과정에서 상기 보상정도선택부(172)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07로 진행하여, 상기 보상정도선택부(172)가 기 설정된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 중 무엇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독한다.
이때 상기 스텝 S107의 과정에서 선택되어진 추가적인 보상모드 3단계(L, M, H)에 따라 상기 스텝 S104의 과정에서 자동보상되어진 영상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보상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에 따른 개선되어진 영상의 예가 스텝 S108, S109, S110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다.
그러므로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보상영상 중 <선택 L모드 보상 영상>과 <선택 M모드 보상 영상>과 <선택 H모드 보상 영상>을 <자동보상영상>을 비교하여 보면 사람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자신이 느끼는 가장 선명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인해 개인의 취향에 의하여 자동 영상 보정 장치(100)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CCTV 모니터링을 하는 관리자가 다수인 경우 각 관리자의 선호도에 따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자동 영상 보정 장치
110 : ADC
120 : DAC
130 : 영상보상부
170 : 동작모드 선택부
180 : 제어부

Claims (5)

  1. 유입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와;
    유입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DAC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와; 상기 영상보상부를 통해 개선되는 화상의 보상정도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C와 DAC 및 영상보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는 상기 영상보상부의 화질개선 정도를 보상값으로 자동보상하는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자동보상되어진 화질상태를 부가적으로 더욱 개선하기 위한 보상정도선택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상정도선택부는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상보상부는 안개 제거, 노이즈 제거, 동적 범위 변경, 엣지 강조, 감마필터링 튜닝의 이미지 개선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보상정도선택부를 통한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보상정도선택부는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온/오프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4. 삭제
  5. 제어신호에 따라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개선과 노이즈 제거 및 안개 제거의 과정을 통해 화질을 개선하되 다중모드로 기 설정된 화질 개선 제어용 변수를 각 모드에 대응시켜 보상 정도를 조정하여 DAC측에 제공하는 영상보상부와; 상기 영상보상부의 화질개선 정도를 보상값으로 자동보상하는 자동보상모드선택부와, 자동보상되어진 화질상태를 부가적으로 더욱 개선하기 위한 보상정도선택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상정도선택부는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C와 DAC 및 영상보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는 시점에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보상부측에 공급되는 가운데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자동보상모드선택부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자동보상모드선택부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화질 보상을 위한 기준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상부가 화질을 개선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의 보상정도선택부가 온동작 상태인가를 판별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보상정도선택부가 온 동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상정도선택부가 기 설정된 3단계(L, M, H)의 차등적 보상 중 무엇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의 과정에서 판별되어진 추가적인 보상모드 3단계(L, M, H)에 따라 상기 제 3단계의 과정에서 자동 보상되어진 영상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보상을 수행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의 운영 방법.
KR1020120132225A 2012-11-21 2012-11-21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140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25A KR101404665B1 (ko) 2012-11-21 2012-11-21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25A KR101404665B1 (ko) 2012-11-21 2012-11-21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09A KR20140065109A (ko) 2014-05-29
KR101404665B1 true KR101404665B1 (ko) 2014-06-24

Family

ID=5089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25A KR101404665B1 (ko) 2012-11-21 2012-11-21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43B1 (ko) * 2014-12-17 2015-07-24 (주) 넥스트칩 영상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77A (ko) * 2006-09-29 2008-04-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화상보정장치 및 화상보정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10050775A (ko) * 2009-11-09 2011-05-17 리누딕스 주식회사 Cctv 영상 화질 개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77A (ko) * 2006-09-29 2008-04-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화상보정장치 및 화상보정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10050775A (ko) * 2009-11-09 2011-05-17 리누딕스 주식회사 Cctv 영상 화질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09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8787B (zh) 电视影院模式实现方法及装置
EP2936799B1 (en)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822841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out-focusing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EP189269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8072505B2 (en) Imaging apparatus
JP5414910B2 (ja) 表示ユニット、撮像ユニット及び表示システム装置
CN101019416A (zh) 成像设备
US7649547B2 (en) Surveillance video camera with a plurality of sensitivity enhancing units
US20060028574A1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05759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7241756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固有情報表示方法
US20050200726A1 (en) Digital camera and image signal generating method
JP2009100186A (ja)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469134A (zh) 摄像装置、电子取景器和显示控制方法
US7545432B2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0288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hite balance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2142823A (ja)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404665B1 (ko) 보안시스템의 자동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US8781226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firework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209522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0111B1 (ko) 저 조도시 컬러 제어기능을 갖는 cctv 시스템
JP201025014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7475148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588022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57502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