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25B1 -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 Google Patents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25B1
KR101404625B1 KR20130114047A KR20130114047A KR101404625B1 KR 101404625 B1 KR101404625 B1 KR 101404625B1 KR 20130114047 A KR20130114047 A KR 20130114047A KR 20130114047 A KR20130114047 A KR 20130114047A KR 101404625 B1 KR101404625 B1 KR 10140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shaft
rotating body
rotat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능
여희주
이진우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상능
이승민
이진우
여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능, 이승민, 이진우, 여희주 filed Critical 이상능
Priority to KR2013011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25B1/ko
Priority to PCT/KR2014/007767 priority patent/WO20150467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47L11/283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4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eciproc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밀대부가 일측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 및 역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역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중 하나는 중공의 외곽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외곽부 회전체의 내부에서 동심 회전하는 중심부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원동 베벨기어와, 상기 원동 베벨기어와 대향하여 이격 설치되며, 상기 역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된 종동 베벨기어와, 상기 원동 베벨기어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 사이에 기어 이가 맞물려 상기 원동 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베벨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원동 베벨기어의 중심부를 관통 결합하여 연장되다가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회전 자유롭게 통과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중심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동심원상에 동시에 정역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부착되는 청소부재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회전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청소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정역 회전하는 2개의 청소부재를 동심원상에 배치함으로써 회전 걸레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청소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CONCENTRIC COUNTER ROTATING CLEANER}
본 발명은 바닥을 닦는 청소부재가 동심원(同心圓)상에서 정역(正逆) 회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접촉하는 두개의 회전 청소부재가 동심원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청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동 회전걸레나 회전브러쉬 등의 청소부재가 구비된 전동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걸레나 회전브러쉬를 구비한 전동 청소기는 청소부재가 바닥에 접촉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된 밀대에도 회전력이 작용하여 사용자가 파지한 밀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힘을 받거나 청소기가 가구나 책상 등에 부딪치는 등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한쪽으로 회전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개의 청소부재를 병렬 또는 일렬로 배치한 청소기가 제안되고 있으나, 청소기의 바닥 청소부재가 접촉부가 옆으로 벌어져 구석진 부분의 접근성이 나쁘고, 청소부재 중앙부의 청소가 잘 되지 않아 얼룩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데에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청소기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청소얼룩이 지지않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밀대부가 일측에 설치된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 및 역회전축과,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역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중 하나는 중공의 외곽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외곽부 회전체와 동심으로 그 내부에서 회전하는 중심부 회전체를 포함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역회전수단은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원동 베벨기어와, 원동 베벨기어와 대향하여 이격 설치되며, 역회전축이 일측에 설치된 종동 베벨기어와, 원동 베벨기어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 사이에 기어 이가 맞물려 원동 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베벨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구동축은 원동 베벨기어의 중심부를 관통 결합하여 연장되다가 종동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회전 자유롭게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회전체에 결합되며, 제1 회전체는 중심부 회전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역회전축은 관통공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구동축을 감싸는 중공부와, 중공부 단부에서 확장되어 제2 회전체에 결합되는 확장부로 구성되고, 제2 회전체는 외곽부 회전체가 되며, 중공부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통해 본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축은 확장부를 구비하여 확장부가 제1 회전체에 결합되고, 제1 회전체는 외곽부 회전체가 되며, 역회전축 말단에 제2 회전체가 결합되고, 제2 회전체는 중심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수단과 역회전수단은 일체화된 이중 동심축 모터로 구성되되, 본체의 일측에 밀대부가 고정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의 상부면 중심부에 지지축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고정되는 고정 스테이터와, 고정 스테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지지축에 축지지되어 회전축이 중심부 회전체에 축결합되는 이너 로터와, 외부 하우징과 고정 스테이터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이너 로터의 하부 회전축을 감싸면서 상호 축결합 연장되어 외곽부 회전체에 축결합되는 아우터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중심부 및 외곽부 회전체의 하부에는 청소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청소부재의 바닥 접촉면에는 회전 중심을 향하는 나선 안내부가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심원상에서 동시에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부재에 의하여 회전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사용자는 쏠림현상이 없어지고, 그리고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청소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정역 회전하는 2개의 회전 청소부재를 동심원상에 배치함으로써 청소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며, 청소얼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의 전체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을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심원상의 정역회전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 도 2(b)는 도 1을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밀대부(10)와, 밀대부(10)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역회전수단(200)이 설치 고정되는 본체(24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240) 상부에 설치되어 역회전수단(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00)과,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역회전수단(200)의 역회전축(21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중 하나는 외곽부 회전체(320)이고, 다른 하나는 외곽부 회전체(320)의 내부에서 동심 회전하는 중심부 회전체(310)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체는 외곽부 회전체(320), 제2 회전체는 중심부 회전체(310)에 해당되며, 마루 바닥에 접촉되는 외곽부 및 중심부 회전체(320, 310) 각각의 하부면에는 탈착 및 교환가능하게 벨크로 패치 등의 부착수단으로 외곽부 및 중심부 청소부재(322, 312)가 부착된다.
밀대부(1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신축 조립가능한 중공관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대부(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2)와, 손잡이(12) 영역에는 구동수단(100)에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부(14)가 마련되고, 또한, 밀대부(10) 중공관 내부에는 전원 스위치부(14)를 개재하여 구동 수단(100)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이 신축 가능하게, 예를 들면 코일형상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부(14) 일단에 가정용 상용 전원을 연장 케이블이나 DC 변환 어댑터를 개재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자체 내부전원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충전식 2차전지를 청소기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부(14)는 안전을 위해서 사용자의 파지 악력(握力)에 의해 구동수단(100)의 전원이 공급되고 악력이 해제되면 구동수단(100)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실시예의 역회전수단(200)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수단(200)은 기계적인 베벨기어의 조합으로, 동심원상에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 즉, 외곽부 회전체(320)와 중심부 회전체(3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원동 베벨기어(210)와, 원동 베벨기어(210)와 대향하여 이격 설치되는 종동 베벨기어(220)와, 원동 베벨기(210)어와 종동 베벨기어(220) 사이에 기어 이가 맞물려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력을 종동 베벨기어(22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 베벨기어(230)로 이루어진다.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에 축결합된 원동 베벨기어(210)는 회전력을 위성 베벨기어(230)에 전달한다. 또한, 원동 베벨기어(210)에 축결합된 구동축(110)은 계속 연장되어 종동 베벨기어(220) 중심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통과하여 하단부의 중심부 회전체(310)에 나사체결수단 등으로 고정된다.
즉,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은 원동 베벨기어(210)에 고정되어 원동 베벨기어(21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구동축(110)은 계속 연장되어 종동 베벨기어(220)의 중심을 회전 자유롭게 통과하여 말단이 중심부 회전체(310)에 축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중심부 회전체(310)의 하부면에 결합된 중심부 청소부재(312)는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외곽부 청소부재(322)를 중심부 청소부재(31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200)은, 우선 원동 베벨기어(210)에 맞물린 위성 베벨기어(230)가 축지지대(232)에 축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원동 베벨기어(210)에 전달된 회전력을 종동 베벨기어(220)에 전달한다. 따라서, 위성 베벨기어(230)와 맞물려 설치된 종동 베벨기어(220)를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종동 베벨기어(220)를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위성 베벨기어(230)가 회전체 하우징(300)의 측벽에 고정 지지된다.
즉, 위성 베벨기어(230)를 중심으로 양측에 90˚대향하여 설치된 원동 베벨기어(210)와 종동 베벨기어(220)는 위성 베벨기어(23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종동 베벨기어(220)의 회전방향은 위성 베벨기어(230)를 통하여 역전되어 원동 베벨기어(21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종동 베벨기어(220)에는 역회전축(212)이 고정된다.
이때, 구동축(110)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220)의 중공 회전축(222)은 역회전축(212)이 되며, 역회전축(21)은 구동축(110) 회전운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구동축(11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중공 회전축(222)은 일단부가 종동 베벨기어(220)에 고정되고 구동축(110)이 통과하는 중공관 형상이 된다.
그리고 중공 회전축(222)의 외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본체(240)에 지지 고정시키기 베어링(224)이 본체(240)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 사이에 축지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스위치부(14)를 개재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수단(100)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수단(100)의 회전력은 구동축(110)과 결합된 원동 베벨기어(210)에 전달되어 원동 베벨기어(21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말단의 중심부 회전체(310)에 그대로 전달된다. 한편, 구동축(110)의 회전력은 원동 베벨기어(210)와 위성 베벨기어(230)에 전달되어 종동 베벨기어(220)에 고정된 역회전축(210)을 구동축(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110)의 말단부에 결합된 중심부 회전체(310)와 역회전축(210)에 결합된 외곽부 회전체(320)는 동심축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중심부 회전체(310)와 외곽부 회전체(32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바닥을 닦는 청소부재(312, 322) 서로 간섭없이 동시에 동심원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청소부재(312, 322)는 동심원상에서 서로 간섭없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중심부 회전체(310)는 원판형상이고, 중심부 회전체(310)의 외곽부에서 회전하는 외곽부 회전체(320)는 도넛형상인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청소부재(312, 322)는 바닥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바닥면과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PE와 NP 등의 복합 섬유사의 비율을 조절한 로프형태를 회전체(310, 320)에 형상 맞춤하여 성글게 직조하거나 기재천에 박음질한다. 그러나 반드시 로프형태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재질,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부재(312, 322)의 크기(면적)는 대략 비슷하게 하여 회전저항, 즉, 마찰저항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부착 수단은 탈부착의 용이성, 부착력, 물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벨크로 패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청소부재(312, 322)의 바닥 접촉면에는 쓰레기나 물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 청소기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중심을 향하는 나선 안내부(324)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역회전수단(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역회전수단(200)은 원동 베벨기어(210)와, 종동 베벨기어(220), 위성 베벨기어(230)로 구성된다. 다만,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원동 베벨기어(210)가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 원동 베벨기어(210)에 대향하여 상부에 종동 베벨기어(220)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또한, 위성 베벨기어(230)는 회전하는 외각 궤도에 지지 테두리(234)를 설치한다.
따라서,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은 상부 종동 베벨기어(220)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관통공을 회전 자유롭게 통과하여 하부 원동 베벨기어(210)에 축결합 고정된다. 또한, 구동축(110)은 원동 베벨기어(210)의 하단에서 더욱 연장되어 중심부 회전체(310)에 축결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중심부 회전체(310)와 중심부 회전체(310)에 부착된 중심부 청소부재(322)는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부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력은 원동 베벨기어(210)에 맞물린 위성 베벨 기어(230)에 전달되고, 위성 베벨기어(230)의 회전력은 원동 베벨기어(210)에 대향하고 있는 종동 베벨기어(220)에 전달된다. 이때, 종동 베벨기어(220)의 회전 방향은 위성 베벨기어(230)를 통하여 역전되어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성 베벨기어(230)는 축지지되지 않고 지지 테두리(234) 안에서 원동 및 종동 베벨기어(210, 220)의 원주를 따라 회전한다. 또한,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이 통과하는 종동 베벨기어(220)의 중심부 사이는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으로 지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동 베벨기어(21O)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220)는 주연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연결 프레임을 통하여 외곽부 회전체(3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회전체 하우징(300)은 생략되어 본체(240)에 기능이 포함되며, 바닥을 닦는 청소부재(312, 322)의 형상, 장착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역회전수단(2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역회전수단(200)은 원동 베벨기어(210)와, 종동 베벨기어(220), 위성 베벨기어(230)로 구성된다. 다만, 실시예 2와 다른 점은 원동 베벨기어(210)에 고정된 구동축(110)이 하부로 연장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실시예 3은 하부 종동 베벨기어(220)의 중심부에 역회전축(212)이 형성되어 단부가 중심부 회전체(310)와 축결합되고, 상부 원동 베벨기어(210)에 외연부에 결합되어 하양 확장된 방사상의 외곽부 회전체(320)를 이룬다.
따라서, 구동수단(100)의 구동축(110)이 원동 베벨기어(210)에 고정되고, 구동축(110)에 결합된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력은 외곽부 회전체(320)에 바로 전달되고, 또한, 원동 베벨기어(210)의 회전력은 위성 베벨기어(230)를 통하여 종동 베벨기어(220)를 원동 베벨기어(21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종동 베벨기어(220)의 역회전축(212)의 회전력은 중심부 회전체(310)에 전달된다.
그리고, 실시예 3에서의 바닥을 닦는 청소부재(312, 322)의 형상, 장착방법 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역회전수단(2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구동수단(100)과 역회전수단(200)을 일체화 시킨 이중 동심축 모터(400)를 사용한다는 점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다르다.
실시예 4의 이중 동심축 모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의 일측에 밀대부(10)가 고정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의 상부면 중심부에 지지축(412)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410)과, 외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 지지축(412)을 중심으로 고정되는 고정 스테이터(420)와, 고정 스테이터(420) 내부에 설치되며, 지지축(412)에 축지지되어 회전축이 중심부 회전체(310)에 축결합되는 이너 로터(430)와, 외부 하우징(410)과 고정 스테이터(420)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이너 로터(430)의 하부 회전축을 감싸면서 상호 축결합 연장되어 외곽부 회전체(320)에 축결합되는 아우터 로터(440)로 구성된다.
이중 동심축 모터(400)는 고정 스테이터(420)를 동심원으로 하여 이너 로터(430)와 아우터 로터(440)가 동축상에 설치된다. 회전 방향 제어나 간단한 구조의 동심축 모터를 구현하기 위해 고정 스테이터(420) 또는 로터(430, 440)의 어느 한쪽은 영구 자석형으로 구성한다. 이것은 마치 고정 스테이터(420)의 내측 및 외측에 회전 방향이 다른 2개의 BLDC 모터를 배치한 형상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로터(440)는 동심축의 외축(442)에 결합되고, 외축(442)의 단부는 외곽부 회전체(320)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한편, 이너 로터(430)는 동심축의 내축(432)에 결합되고, 내축(432)의 단부는 중심부 회전체(310)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외축(442)의 외표면은 외부 하우징(460)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개구부 측벽과 베어링으로 축지지 고정되고, 다시 외축(442)의 내표면과 내축(432)의 외표면 간극 사이에는 베어링으로 상호 지지되어, 내축(432)과 외축(44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심축(432, 442)을 통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2개의 회전체(310, 320)와 회전체(310, 320)에 부착된 청소부재(312, 322)는 동심원상에서 회전하면서 바닥을 청소한다.
10: 밀대부 12: 손잡이
14: 스위치부 16: 연결부
100: 구동수단 110: 구동축
200: 역회전수단 210: 원동 베벨기어
212: 역회전축 220: 종동 베벨기어
222: 중공 회전축 224: 베어링
230: 위성 베벨기어 232: 축지지대
234: 지지 테두리 240: 본체
300: 회전체 하우징 310: 중심부 회전체
312: 중심부 청소부재 320: 외곽부 회전체
322: 외곽부 청소부재 324: 나선 안내부
400: 이중 동심축 모터 410: 본체
412: 지지축 420: 고정 스테이터
430: 이너 로터 432: 내축
440: 아우터 로터 442: 외축
450: 동심축 베어링 460: 외부 하우징

Claims (9)

  1. 사용자가 파지하는 밀대부가 일측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 및 역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역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중 하나는 중공의 외곽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외곽부 회전체의 내부에서 동심 회전하는 중심부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원동 베벨기어와, 상기 원동 베벨기어와 대향하여 이격 설치되며, 상기 역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된 종동 베벨기어와, 상기 원동 베벨기어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 사이에 기어 이가 맞물려 상기 원동 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베벨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원동 베벨기어의 중심부를 관통 결합하여 연장되다가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회전 자유롭게 통과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중심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축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구동축을 감싸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단부에서 확장되어 제2 회전체에 결합되는 확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외곽부 회전체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통해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확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부가 제1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외곽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축 말단에 제2 회전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중심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역회전수단은 일체화된 이중 동심축 모터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밀대부가 고정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면 중심부에 지지축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고정되는 고정 스테이터와,
    상기 고정 스테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 축지지되어 회전축이 상기 중심부 회전체에 축결합되는 이너 로터와,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 스테이터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이너 로터의 하부 회전축을 감싸면서 상호 축결합 연장되어 외곽부 회전체에 축결합되는 아우터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9. 청구항 1 및 청구항 4, 그리고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및 외곽부 회전체의 하부에는 청소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청소부재의 바닥 접촉면에는 회전 중심을 향하는 나선 안내부가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KR20130114047A 2013-09-25 2013-09-25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KR10140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047A KR101404625B1 (ko) 2013-09-25 2013-09-25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PCT/KR2014/007767 WO2015046757A1 (ko) 2013-09-25 2014-08-21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047A KR101404625B1 (ko) 2013-09-25 2013-09-25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625B1 true KR101404625B1 (ko) 2014-06-09

Family

ID=5113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047A KR101404625B1 (ko) 2013-09-25 2013-09-25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4625B1 (ko)
WO (1) WO20150467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08B1 (ko) * 2014-08-01 2016-04-08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정역회전 청소기
CN107366171A (zh) * 2017-07-19 2017-11-21 济南大学 一种基于间歇反转式碎浆的制浆设备
WO2022156283A1 (zh) * 2021-01-19 2022-07-28 浙江普莱得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旋转清洗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4193A (zh) * 2018-04-18 2018-07-27 韩涤清 一种轮刷式扫把
CN110393485A (zh) * 2019-08-23 2019-11-01 苏州地贝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擦地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58A (ja) * 1998-02-20 1999-08-31 Yoshio Iwase 電気部品用清掃ブラシ装置
KR200410166Y1 (ko) 2005-12-01 2006-03-07 이명옥 회전식 브러쉬 청소기
US20130206172A1 (en) * 2010-06-25 2013-08-15 Kaliber Industridesign As Oil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58A (ja) * 1998-02-20 1999-08-31 Yoshio Iwase 電気部品用清掃ブラシ装置
KR200410166Y1 (ko) 2005-12-01 2006-03-07 이명옥 회전식 브러쉬 청소기
US20130206172A1 (en) * 2010-06-25 2013-08-15 Kaliber Industridesign As Oil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08B1 (ko) * 2014-08-01 2016-04-08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정역회전 청소기
CN107366171A (zh) * 2017-07-19 2017-11-21 济南大学 一种基于间歇反转式碎浆的制浆设备
WO2022156283A1 (zh) * 2021-01-19 2022-07-28 浙江普莱得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旋转清洗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757A1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625B1 (ko)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EP3119257B1 (en) Cleaning appliance
EP2802249B1 (en)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US8591292B2 (en) Ceiling grinder
US11969850B2 (en) Hand-held and hand-guided random orbital polishing or sanding power tool
KR20120118643A (ko) 휠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20110087251A (ko) 회전식 걸레 청소기
WO2007102190A1 (ja) 回転システム
JP2011115541A (ja) 回転清掃体ユニット、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70086401A (ko) 비 전기식 회전 타입 걸레 청소기
CN109951051A (zh) 包括电机和传动布置的电动机器和包括其的电动动力工具
WO2018161645A1 (zh) 带单向轴承直流电机
WO2011121816A1 (ja) 回転清掃体ユニット、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CN111449581A (zh) 一种表面清洁器
CN116602496A (zh) 一种具有双向旋转功能的清洗刷
KR101425928B1 (ko)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CN217471853U (zh) 动力驱动清洁装置
US20220322816A1 (en) Long-rod-type cleaning machine
KR200336735Y1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CN212384137U (zh) 一种计算机教学用幕布清理装置
KR20120008518U (ko) 바닥 청소용 장치
KR20050032699A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CN209966282U (zh) 电动擦地机
JP2000197595A (ja) 真空掃除機および電気帚のための多目的付属装置および単独可動型装置として使用可能な改善された家庭用電気器具
JP3913793B2 (ja) 電気掃除機の吸い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