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448B1 -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448B1
KR101404448B1 KR1020107012656A KR20107012656A KR101404448B1 KR 101404448 B1 KR101404448 B1 KR 101404448B1 KR 1020107012656 A KR1020107012656 A KR 1020107012656A KR 20107012656 A KR20107012656 A KR 20107012656A KR 101404448 B1 KR101404448 B1 KR 10140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ess point
packet data
data protocol
point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362A (ko
Inventor
수에농 우
샤오친 홍
보 슈
우 자오
차오휘 첸
슈윤 첸
웨이동 첸
샤오니안 마이
유칭 시아
웨 동
순루 후앙
수신 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그룹 광동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그룹 광동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그룹 광동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판단결과가, 오류를 포함하기에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해 분석하며,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정보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유도 정보의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도입하며, 상기 분석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측에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자동적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이 부분의 기능에 대한 인공적 유지 보수의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감소하며 사용자를 정확하게 유도하여 관련 서비스에액세스, 개통되게 한다.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PACKAGE DATA PROTOCOL ACTIV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를 예로 하여 종래기술과 관련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는 일종의 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에 따른 무선 패킷 교환 기술로서 단말기간의 광역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을 제공한다. 간단히 말하면, GPRS는 하나의 고속 데이터 처리 기술로서 패킷을 교환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GSM 사용자에게 이동환경에서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GPRS는 일종의 새로운 GSM 데이터 서비스로서, 주요하게는 이동 사용자와 원격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일종의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사용자에게 고속 무선 IP와 X.25 서비스를 제공한다.
GPRS를 실현하려면 전통적인 GSM 네트워크에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을 도입하여야 한다. 현재, GPRS 네트워크는 GPRS 지원 노드(GPRS Supporting Node, GSN)를 도입하였으며 또한 GPRS 시스템의 이동국은 반드시 GPRS 이동국 또는 GSM/GPRS 듀얼 모드 이동국이어야 한다. GSN는 GPRS 네트워크 중에서 가장 중요한 네트워크 노드로서 이는 이동국과 각종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포맷 변환을 완성할 수 있으며 GSM는 라우터와 유사한 독립적인 설비어도 되고 GSM의 이동 통신 교환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와 함께 집적되어도 되며 이는 아래의 두가지 형식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GSN(Gateway GSN, GGSN): 이는 주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하는 바 예를 들면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PSTN), 근거리 통신망(Local Access Network, LAN) 등과 같은 각종 상이한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으며 GGSN은 GSM 네트워크 중의 GPRS 데이터 패킷에 대해 프로토콜 변환을 진행함으로써 이러한 데이터 패킷을 원격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네트워크 또는 X.25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서빙 GSN(Serving GSN, SGSN)의 주요한 역할은 이동국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이동국과 GGSN 사이에서 이동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완성한다.
현재, GPRS 서비스는 발전이 신속하고 사용자그룹의 증가도 아주 빠르므로 GPRS 시스템의 GPRS 서비스 개통 청구의 일 처리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지만 이동 사용자가 GPRS서비스의 개통을 신청하는 과정 중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이 활성화 되지 못하는 주요한 원인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Access Point Name, APN)에 대한 설정의 부당함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의 사용자에 대해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GPRS를 정확하게 개통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종래기술에서 동작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은 확장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GPRS 네트워크의 구조가 날로 복잡해짐과 동시에 엔지니어가 GPRS 시스템의 이 부분의 기능에 대해 유지 보수를 진행하는 작업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자동적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시스템이 이 부분의 기능에 대해 유지 보수를 진행하는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감소하며 사용자를 정확하게 유도하여 GPRS 서비스에 액세스, 개통되게 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종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판단결과가, 오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유도 정보를 상호 관련시키는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도입하며, 분석한 원인에 근거하여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측에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만약 판단결과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함에 앞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휴대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GTP 시그널링을 감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한 분석은 GTP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 및 휴대폰 사용자 정보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유도 정보의 반송방식 세트를 도입하고 유도 정보의 반송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측에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상기 GTP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얻고,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 세트를 도입하며,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을 통하여 관리측에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유도 정보,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OTA방식, 음성 통화 방식 및 이메일 방식 중의 하나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도 제공하는 바 이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생성하며 따라서 사용자측에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술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방안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활성화 청구 시그널링을 획득하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GGSN 서버,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생성함에 사용되는 서비스 엔진 서버, 사용자측에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제어 설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방안에서 시뮬레이션 GGSN 서버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휴대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을 감청하는데 사용되는 감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방안에서 서비스 엔진 서버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유도 정보를 상호 관련시키는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저장 유닛, 상기 GTP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핸드폰 사용자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해석 유닛, 해석 유닛이 상세히 분석하여 얻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 핸드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므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조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방안에서 당해 시스템은 아래의 서버 즉 송신 제어 설비가 관리측에 대한 알람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알람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알람 서버, 송신 제어 설비가 사용자측에 대한 유도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당해 유도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을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서버, 시스템을 위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제어국 서버, 시스템의 각 설비의 성능을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감시 서버, 및 시스템의 각 설비와 연결되며 각 설비의 정보 흐름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당해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을 통하여 얻은,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고 관련 서비스의 개통을 완성하며 시스템의 이 부분의 기능에 대한 인공적 유지 보수의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감소하며 통신 서비스의 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뮬레이션 GGSN 서버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GTP 시그널링에 대해 감청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도 서버 처리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엔진 서버 처리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알람 서버 처리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GPRS 시스템을 예로 하여 일종의 PDP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PDP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PDP를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APN 설정 오류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얻은 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를 정확하게 유도하여 GPRS 서비스에 액세스, 개통되게 한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PDP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상기 PDP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실시하기에 앞서 GPRS 시스템 중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과 유도 목표 사용자(그룹)의 HLR에서의 네트워크 등록 파라미터에 대해 배치를 진행(홈 위치 등록기(HLR)는 로컬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하여 SGSN설비를 통하여 APN 설정 오류의 PDP 활성화 청구를 시뮬레이션 GGSN 서버에 제출하도록 하며 SGSN설비와 시뮬레이션 GGSN 서버에서 공동으로 상기 판단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PDP가 활성화 되지 못한 원인에 대한 판단을 실현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PDP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주로 아래의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s101에서, SGSN설비가 APN 설정 오류의 PDP 활성화 청구를 시뮬레이션 GGSN 서버에 제출한다.
스텝s102에서, 시뮬레이션 GGSN 서버가 APN 정보를 휴대한 PDP 활성화 청구 시그널링을 획득한다.
스텝s103에서, 시뮬레이션 GGSN 서버가 상기 APN 정보를 휴대한 PDP 활성화 청구의 GTP 시그널링을 감청하고 시뮬레이션 GGSN 서버가 상기 PDP 활성화 청구의 시그널링을 감청하였을 때, 이번의 PDP 활성화 청구를 거절로 응답한다. GTP 터널링 프로토콜에는 제0버전(GTP version0, GTPv0) 과 제1버전(GTP version1, GTPv1)의 구분이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GGSN 서버의 PDP가 활성화 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에 대한 감청은 도2에 표시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아래의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s201: GTPv0과 GTPv1의 배치 파라미터를 판독한다.
스텝s202: GTPv0의 감청 서비스 스레드와 GTPv1의 감청 서비스스레드를 기동시킨다.
스텝s203: 감청을 차단하고 GTP 시그널링의 수신을 대기한다.
스텝s204: GTP 시그널링을 수신하였을 경우, GTP 시그널링 중의 플래그 바이트를 추출한다. 당해 플래그 바이트는 GTP 시그널링의 버전을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스텝s205: GTP 시그널링의 버전을 판단하고 상이한 GTP 시그널링의 버전(GTPv0 또는 GTPv1)에 근거하여 아래의 스텝을 실행한다.
스텝s206: 시그널링의 시그널링 헤드를 추출한다.
스텝s207: 시그널링의 시그널링 바디를 추출한다.
스텝s208: GTPv0 또는 GTPv1의 응답 시그널링을 구성한다.
스텝s209: 원인 코드를 설치한다. 그 중, 당해 원인 코드는 PDP 청구가 거절됨을 나타낼 수 있다.
스텝s210: PDP 활성화 청구가 거절된 GTP 응답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스텝s211: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청구 시그널링을 보존한다.
그 외, GTP 시그널링의 감청 서비스 스레드가 그 생존상황을 정기적으로 검사·측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도2에서 설명한 방법 중에는 아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GTP 시그널링의 감청 서비스 스레드의 생존여부를 검사·측정하고 검사·측정결과가 당해 감청 서비스 스레드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검사·측정 스레드를 휴면상태로 진입하게 하고 정기적 검사·측정에서 재각성되기를 대기하게 한다. 검사·측정결과가 당해 감청 서비스 스레드가 생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면 당해 감청 서비스 스레드를 기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청 서비스 스레드의 정상적인 가동을 보장할 수 있다.
스텝s104에서, 서비스 엔진 서버는 PDP를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APN정보를 휴대한 GTP 시그널링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여 APN 원인 정보, 핸드폰 사용자 정보를 얻으며 서비스 엔진 서버에는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APN 원인 정보, 사용자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PDP활성화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도입할 수 있다. 당해 APN 원인 정보와 유도 정보는 하나의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한다.
스텝s105에서, 서비스 엔진 서버가 상기 관련 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APN 원인 정보와 대응하는, 사용자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얻는다.
스텝s106에서, 유도 서버는 서비스 엔진 서버가 얻은 유도 정보와 스스로 도입한 유도 정보의 반송 방식 세트에 근거하여 당해 유도 정보에 대해 상응하는 반송 방식을 배치한다.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OTA 방식(OTA 즉 Over-the-Air Technology(무선전송기술)은 이동 통신(GSM 또는 CDMA)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SIM카드 데이터 및 응용에 대해 원격 관리를 진행하는 기술이다. 에어 인터페이스는 WAP, GPRS, CDMA1X 및 단문 메시지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방식, 이메일 방식 등이며 적용 난이도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당해 유도 서버의 구체적인 처리흐름은 도3에 표시한 바와 같다. 당해 흐름은 주로 아래의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s301: 상기 서비스 엔진 서버에서 발생된 유도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s302: 상기 유도 정보의 반송 방식을 판독한다.
스텝s303: 당해 반송 방식이 단문 메시지 방식인가를 판단하고 단문 메시지 방식일 경우 스텝s304를 실시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305를 실시한다.
스텝s304: 유도 정보를 단문 메시지 송신 일지표에 기입한다.
스텝s305: OTA 또는 음성 또는 이메일 반송 방식으로 처리한다.
스텝s306: 미처리 유도 정보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텝s301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307을 실시한다.
스텝s307: 휴면하며 각성되기를 대기하며 스텝s301을 실시한다.
스텝s107에서, 송신 제어 설비는 유도 서버가 배치해 놓은 반송 방식에 근거하여 사용자 측에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를 도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GPRS 서비스의 신청을 완성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방법에 아래의 세개 항목을 추가 할 수 있다.
1. 관리측의 관리자 또는 관리설비가,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알람정보를 획득해야 할 경우 스텝s103에서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PDP가 활성화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문 메시지, 이메일 또는 음성 통화 등 반송 방식으로 관리자 또는 관리설비에 획득한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서비스 엔진 서버에 증가할 수 있는 처리 흐름은 도4에 표시한 바와 같으며 또한 하나의 알람 서버를 더 증가할 수 있다. 당해 알람 서버에서의 처리 흐름은 도5에 표시한 바와 같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엔진 서버에서의 흐름은 주로 아래의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s401: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을 판독한다.
스텝s402: 유도 책략을 판독한다. 당해 유도 책략 정보는 데이터 저장설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국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 등 수단을 통하여 유도 주기, 반송 방식, 응답 민감도, 1회에 성공적으로 유도하는 유효기간, 유도의 내용 템플릿 등을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유도 책략을 실현할 수 있다. 그 중, 관리자는 유도 템플릿을 통하여 유도 정보의 포맷, 내용을 맞춤 설정할 수 있다. 그 외, 시스템은 템플릿 언어 엔진에 근거하여 템플릿 및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유도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텝s403: 이번의 PDP 활성화가 유도를 필요로 하는가를 판단하고 유도를 필요로 한다고 판단할 경우, 스텝s404를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405를 실시한다.
스텝s404: 유도 정보를 발생한다.
스텝s405: 알람 책략 정보를 판독한다. 당해 알람 책략 정보는 하나의 데이터 저장설비에 저장할 수 있다.
스텝s406: 이번의 PDP 활성화가 알람 발생을 필요로 하는가를 판단하고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텝s407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408을 실시한다.
스텝s407: 알람 책략에 근거하여 알람 정보를 발생한다. 알람 정보의 발생은 상기의 유도 책략의 발생과 같아도 된다.
스텝s408: 기타 미실시 알람 책략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텝s405를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409를 실시한다.
스텝s409: 기타 미처리 GTP 시그널링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텝s401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410에 이행한다.
스텝s410: 휴면하며 각성되기를 대기하며 스텝s401을 실시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알람 서버에서의 처리 흐름은 주로 아래의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s501: 서비스 엔진 서버가 발생한 알람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s502: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을 판독한다.
스텝s503: 당해 반송 방식이 단문 메시지 방식인가를 판단하고 단문 메시지 방식일 경우 스텝s504를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505를 실시한다.
스텝s504: 알람 정보를 단문 메시지 송신 일지표에 기입한다.
스텝s505: 음성 또는 이메일 방식으로 처리한다.
스텝s506:기타 미처리 알람 정보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텝s501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s507을 실시한다.
스텝s507: 휴면하며 각성되기를 대기하며 스텝s501을 실시한다.
2. 사용자가 이번의 PDP 활성화가 활성화되었는가를 알 필요가 있을 경우, 시뮬레이션 GGSN 서버에서 PDP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측에 PDP 활성화 거절의 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3. 그 중, 각 설비간의 데이터 중계 및 데이터 저장은 모두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통하여 상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맨 머신 인터페이스가 시스템 조작 배치를 필요로 할 경우 여전히 하나의 제어국 서버를 통하여 유도 책략 배치, 알람 책략 배치, 사용자 관리, 시스템 성능 감시, 통계 분석 등을 진행함으로써 당해 시스템에 대해 PDP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 중, 시스템의 각 설비의 성능 감시는 하나의 감시 서버로 실현할 수 있다.
아래에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PDP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GPRS 시스템을 예로 하여)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GPRS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GPRS 시스템은 주로 DNS 서버(612), HLR 설비(611), SGSN 설비(60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600)를 포함한다. 그 중, 액세스 게이트웨이(600)는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 서비스 엔진 서버(604), 유도 서버(605), 알람 서버(606), 단문 메시지 어댑터(607), 운영자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608), 제어국 서버(609), 감시 서버(610)를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 중의 장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600)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이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장치의 상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만 있으면 된다. 그 중, 서비스 엔진 서버(604)는 저장 유닛(6041), 해석 유닛(6042), 조회 유닛(6043)을 포함하고 그 중, 각 설비 또는 유닛의 연결관계 및 기능은 아래와 같다.
SGSN설비 (601)는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 DNS 서버(612), HLR 설비(611)와 연결되고 단문 메시지 어댑터(607)는 운영자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608)와 연결되며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 서비스 엔진 서버(604), 유도 서버(605), 알람 서버(606), 제어국 서버(609), 감시 서버(610)는 모두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와 연결되며 저장 유닛(6041), 해석 유닛(6042)은 모두 조회 유닛(6043)과 연결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는 GPRS 시스템 중의 각 설비와 연결되어 각 설비의 정보 흐름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며 당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는 또한 유도 책략 및/또는 알람 책략을 저장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유도 책략은 유도 주기, 반송 방식, 응답 민감도, 1회에 성공적으로 유도하는 유효기간, 유도의 내용 템플릿 등을 포함하여도 되고 유도 책략은 제어국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 배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알람 책략도 제어국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 배치의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SGSN 설비(601)는 GPRS 기간망의 DNS 서버에 대해 일련의 배치를 진행하므로써 APN 설정 오류의 PDP 활성화 청구를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에 제출할 경우, SGSN 설비(601)를 통하여 상기 제출 동작을 완성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는 SGSN 설비(601)가 제출한 PDP 활성화 청구를 수신한 후 상기 APN 정보를 휴대하고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정보를 감청함으로써 이번의 PDP가 활성화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가 상기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을 감청했을 경우, 이번의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후 수신된 당해 GTP 시그널링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에 보존한다. 그 중, 감청 시 GTP 터널링 프로토콜의 GTPv0과 GTPv1 2종의 시그널링을 고려할 수 있으며 GTP 시그널링 플래그 바이트를 추출하여 GTP 시그널링의 버전을 판단하며 GTP 시그널링 헤드를 추출하고 GTP 시그널링 바디를 추출하며 원인 코드를 설치하는 등을 통하여 감청을 실현한다. 이 때,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GTP의 감청 서비스 스레드의 생존상황에 대해 검사·측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엔진 서버(604)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로부터 GTP 시그널링을 획득하고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여 GTP가 활성화되지 못한 APN 원인 정보 및 핸드폰 사용자 정보를 얻으며 이것으로 이번의 활성화를 위하여 배치한 유도 정보를 얻는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603)에 배치한 유도 책략 및/또는 알람 책략에 근거하여 유도 정보 및/또는 알람 정보의 생성을 유도한다. 당해 서비스 엔진 서버(604)는 아래의 부분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 PDP를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APN 원인 정보와 상기 유도 정보의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함에 사용된다.
해석 유닛: 상기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GTP 시그널링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고 이번의 PDP를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APN 원인 정보를 상세히 분석하며 GTP 시그널링 중의 메시지 타입 필드(Message Type Field)와 대응하는 대상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당해 해석 유닛은 상기 GTP 시그널링에 대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핸드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것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얻는 것에 사용될 수도 있다.
조회 유닛: 상기 해석 유닛이 분석을 통하여 얻은 APN 원인 정보와 핸드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설비가 저장한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이번의 PDP 활성화에 사용되는, 사용자가 APN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획득함에 사용된다.
유도 서버(605): 상기 서비스 엔진 서버(304)가 얻은 유도 정보, 스스로 도입한 유도 정보의 반송 방식 세트에 근거하여 당해 유도 정보에 대해 상응하는 반송 방식를 배치한다.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음성 통화 방식, 이메일 방식 등이며 적용 난이도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알람 서버(606): 스스로 도입한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해석 유닛(6042)이 분석하여 얻은 알람 정보에 대해 상응하는 반송 방식를 배치한다.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음성 통화 방식, 이메일 방식 등이며 적용 난이도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어댑터(607): 운영자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608)와 연결되며 상호 협력하여 단문 메시지 방식으로 사용자측에 획득한 유도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단문 메시지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획득한 알람 정보를 송신함에 사용된다.
제어국 서버(609): 유도 책략 배치, 알람 책략 배치, 사용자 관리, 시스템 성능 감시, 통계 분석 등을 진행함으로써 당해 시스템에 대하여 PDP 활성화를 유도함에 사용된다.
감시 서버(610): 당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GGSN 서버(602), 서비스 엔진 서버 (604), 유도 서버(605), 알람 서버(606) 등 설비의 성능에 대해 감시를 진행하며 상응하는 감시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피드백할 수 있다.
설명할 필요성이 있는 것은 아래의 세가지이다.
A. 상기 알람 정보의 발생 및 송신에 관련하는 설비 또는 기능은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취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측의 관리자 또는 관리설비가 PDP가 활성화되지 못한 알람 정보의 획득을 필요로 할 경우 알람 정보의 발생 및 송신에 관련하는 설비 또는 기능을 증가할 수 있고 불필요시 상기 항목을 삭제할 수 있으며 그 중, 알람 정보의 발생에 관련하는 설비 또는 기능은 알람 서버(606)와 서비스 엔진 서버(604)에 있고 알람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설비 또는 기능은 단문 메시지 어댑터(607)와 운영자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608)에 있다.
B. 제어국 서버(609), 감시 서버(610)도 시스템 배치의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취사선택할 수 있다.
C. 채용한 유도 정보 또는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이 단문 메시지 방식이 아닐 경우 예를 들면 OTA 방식, 이메일 방식, 음성 통화 방식 등 일 경우, 채용한 유도 정보 또는 알람 정보의 송신 제어 설비에 대해 상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못하였을 경우 당해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며 분석을 진행하여 얻은,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고 서비스 신청의 액세스, 개통을 완성하며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으로서 지적해야 할 것은,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약간의 개량 및 변경을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15)

  1.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판단결과가, 오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정보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유도 정보를 상호 관련시키는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도입하며,
    상기 분석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측에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판단결과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함에 앞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휴대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시그널링을 감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에 대한 분석은, 상기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정보 및 휴대폰 사용자 정보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유도 정보의 반송방식 세트를 도입하고,
    상기 유도정보의 반송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측에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상기 유도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상기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얻고,
    알람 정보의 반송방식 세트를 도입하며,
    상기 알람 정보의 반송방식을 통하여 관리측에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정보의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OTA 방식, 음성 통화 방식 및 이메일 방식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의 반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방식, OTA 방식, 음성 통화 방식 및 이메일 방식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8.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정보를 생성하며 따라서 사용자측에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며 그 중,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활성화 청구 시그널링을 획득하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GGSN 서버,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함에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엔진 서버,
    사용자측에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제어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GGSN 서버는,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휴대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못한 시그널링을 감청하는데 사용되는 감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진 서버는,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상기 유도 정보를 상호 관련시키는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저장 유닛,
    상기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핸드폰 사용자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해석 유닛,
    상기 해석 유닛이 상세히 분석하여 얻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 상기 핸드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므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상기 유도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조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아래의 서버 즉
    상기 송신 제어 설비가 관리측에 대한 알람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알람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을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알람 서버,
    상기 송신 제어 설비가 사용자측에 대한 상기 유도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당해 유도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을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서버,
    상기 시스템을 위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제어국 서버,
    상기 시스템의 각 설비의 시스템 성능을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시스템의 각 설비와 연결되며 각 설비의 정보 흐름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
  12.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정보를 생성하며 따라서 사용자측에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며 그 중,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활성화 청구 시그널링을 획득하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GGSN 서버,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함에 사용되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엔진 서버,
    사용자측에 상기 유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제어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GGSN 서버는,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정보를 휴대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지 못한 시그널링을 감청하는데 사용되는 감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엔진 서버는,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상기 유도 정보를 상호 관련시키는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저장 유닛,
    상기 시그널링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활성화되지 못하게 한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와 핸드폰 사용자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해석 유닛,
    상기 해석 유닛이 상세히 분석하여 얻은 상기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 원인 정보, 상기 핸드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므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네임을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상기 유도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조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아래의 서버 즉
    상기 송신 제어 설비가 관리측에 대한 알람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알람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을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알람 서버,
    상기 송신 제어 설비가 사용자측에 대한 상기 유도 정보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당해 유도 정보를 위하여 반송 방식을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서버,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위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제어국 서버,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각 설비의 시스템 성능을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각 설비와 연결되며 각 설비의 정보 흐름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KR1020107012656A 2007-11-09 2008-10-30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04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0313148A CN101159731B (zh) 2007-11-09 2007-11-09 导引包数据协议激活的方法及通用分组无线业务系统
CN200710031314.8 2007-11-09
PCT/CN2008/072885 WO2009071013A1 (fr) 2007-11-09 2008-10-30 Procédé et système d'assistance à l'activation d'un protocole de données par paqu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362A KR20100106362A (ko) 2010-10-01
KR101404448B1 true KR101404448B1 (ko) 2014-06-09

Family

ID=3930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656A KR101404448B1 (ko) 2007-11-09 2008-10-30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89459B2 (ko)
JP (1) JP5746862B2 (ko)
KR (1) KR101404448B1 (ko)
CN (1) CN101159731B (ko)
WO (1) WO2009071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9731B (zh) * 2007-11-09 2011-06-22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导引包数据协议激活的方法及通用分组无线业务系统
US9497261B1 (en) 2008-12-02 2016-11-15 ioBridg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wireless interaction with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10756918B2 (en) 2008-12-02 2020-08-25 ioBridge, Inc. Activating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9681357B1 (en) 2008-12-02 2017-06-13 ioBridg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action with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enabl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71629B1 (en) 2008-12-02 2012-09-18 ioBridge, Inc.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EP2592897A1 (en) * 2010-07-06 2013-05-15 Nec Corporation Thin client system,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me
CN115913896A (zh) * 2022-11-09 2023-04-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设备检测方法、服务器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8050A (zh) * 2003-07-10 2005-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数据通信系统中用户激活请求的处理方法
JP2005064762A (ja) 2003-08-08 2005-03-10 Ricoh Co Ltd 画像システム
JP2007089166A (ja) 2005-09-19 2007-04-05 Tektronix Inc エンド・ユーザ相関データ記録の収集利用システム及び補正可能な状態の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050B (fi) * 1999-10-22 2002-11-15 Nokia Corp Pakettidataprotokollakontekstin aktivoiminen verkkovierailevalle tilaajalle
US7054323B2 (en) * 2002-03-13 2006-05-30 Motorola, Inc. Method for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US6970694B2 (en) * 2002-07-30 2005-1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based access point name (APN) selection
CN100387072C (zh) * 2004-07-13 2008-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用分组无线业务网关支持节点业务的锁定方法
CN100477663C (zh) * 2005-01-19 2009-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组数据协议上下文的激活方法
US7761913B2 (en) * 2005-01-24 2010-07-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selecting an access point name (APN) for a mobile terminal in a packet switch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0531226C (zh) * 2005-03-31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应用协议预配置引导方法
EP2950583B1 (en) * 2005-05-12 2020-06-03 Apple Inc. Using an access point name to select an access gateway node
CN101159731B (zh) * 2007-11-09 2011-06-22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导引包数据协议激活的方法及通用分组无线业务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8050A (zh) * 2003-07-10 2005-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数据通信系统中用户激活请求的处理方法
JP2005064762A (ja) 2003-08-08 2005-03-10 Ricoh Co Ltd 画像システム
JP2007089166A (ja) 2005-09-19 2007-04-05 Tektronix Inc エンド・ユーザ相関データ記録の収集利用システム及び補正可能な状態の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1013A1 (fr) 2009-06-11
CN101159731A (zh) 2008-04-09
JP2011505717A (ja) 2011-02-24
CN101159731B (zh) 2011-06-22
KR20100106362A (ko) 2010-10-01
JP5746862B2 (ja) 2015-07-08
US20100260037A1 (en) 2010-10-14
US8189459B2 (en)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448B1 (ko)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469602B2 (en) Ordering tracing of wireless terminal activities
KR101432230B1 (ko) 네트워크 정보 스트링을 등록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874068B (zh) 一种识别伪基站的方法和装置
CN105187290B (zh) 用于在无线装置上管理内容交换的设备和方法
US8184575B2 (e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subscriber-associated-information delivery controller
CN102215179B (zh) 一种即时通信注册装置及即时通信注册方法
US20150063113A1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traffic control apparatus
JP5534480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及び分析ツール
US9628968B2 (en) Driver notification
KR100257563B1 (ko) Pcs에서의 sms 부가 서비스 처리방법
EP2169987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hort messaging among enterprises
CN113055921B (zh) 故障处理方法和终端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TW201409390A (zh) 行動上網品質管理系統及客訴處理方法
KR20130041057A (ko) 기업형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225362B1 (ko)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거치지 않는 기업형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4298A (ko) 기업형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20130054297A (ko) 기업형 메시지 전송 방법
CN104080120A (zh) 一种监测方法、装置及短消息中心局点
US8903388B2 (en) Compact base station device and signaling method
KR20050002346A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무선단말기 원격제어시스템 및방법
CN110996312A (zh) 一种边境用户国际漫游阻断方法、装置及通信系统
KR20130041060A (ko) 기업형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20130041058A (ko) 기업형 메시지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