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48B1 -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48B1
KR101404048B1 KR1020140012387A KR20140012387A KR101404048B1 KR 101404048 B1 KR101404048 B1 KR 101404048B1 KR 1020140012387 A KR1020140012387 A KR 1020140012387A KR 20140012387 A KR20140012387 A KR 20140012387A KR 101404048 B1 KR101404048 B1 KR 10140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shaft portion
eccentric shaf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오인식
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정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to KR102014001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0Preventing rotation of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회전축이 상부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유량의 유압에 따라 개폐판이 자동개폐되도록 한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는, 본체(A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편심되게 회전축(A2)이 형성되고, 그 회전축(A2)에 본체(A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A3)이 장착되며, 개폐판(A3)의 선단에는 개폐판(A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A4)가 구성되고, 회전축(A2)의 일 측 끝단에는 개폐판(A3)의 개폐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무게 추(A5)와, 개폐판(A3)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A6)가 장치되며, 회전축(A2)의 타 측 끝단에는 웜(A7)과 웜휠(A8)의 연결로 개폐판(A3)을 수동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A9)와 그 수동조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클러치레버(A10)로 구성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A4)의 구성을 삭제하며, 대신 회전축(A2)의 일 측에 편심축부(10)를 구성하고, 그 편심축부(10)의 외관 하우징(20)의 내부를 편심축부(10)의 직교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작동홈(21)을 구성하여, 밸브 본체(A1)의 내부에 스토퍼(A4)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A3)의 개폐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Butterfly Type Check Valve}
본 발명은 밸브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회전축이 상부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유량의 유압에 따라 개폐판이 자동개폐되도록 한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라 함은, 관로를 개폐하는 구성물이 버터플라이와 같이 판 형태로 되되, 그 판을 회동시키는 회전축의 위치가 밸브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편심되게 수평 형성된 것으로, 이는 관로를 통해 전달되는 유량의 압력이 회전축의 일 측에 구성된 추의 무게를 넘게 되면 개폐판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추의 무게보다 모자라면 자동폐쇄되도록 하여, 무동력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역류를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말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면, 종래의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는 도1 내지 도4와 같이, 본체(A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편심되게 회전축(A2)이 형성되고, 그 회전축(A2)에 본체(A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A3)이 장착되며, 개폐판(A3)의 선단에는 개폐판(A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A4)가 구성되고, 회전축(A2)의 일 측 끝단에는 개폐판(A3)의 개폐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무게 추(A5)와, 개폐판(A3)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A6)가 장치되며, 회전축(A2)의 타 측 끝단에는 웜(A7)과 웜휠(A8)의 연결로 개폐판(A3)을 수동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A9)와 그 수동조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클러치레버(A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는 도1, 도3과 같이 개폐판(A3)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토퍼(A4)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관로의 내부에서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4와 같이 개폐판(A3)의 개방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않는데, 이는 개방시 개방유압의 가속력에 의해 개폐판(A3)이 개방 정 위치를 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관로 내 유체가 꽉 찬 상태로 이송할 때, 개폐판(A3)이 비스듬하게 위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또 다른 형태로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는 별도의 점검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개폐판(A3)의 작동상태나 유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과, 중량의 무게에 비해 밸브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끈으로 밸브 양측의 축부를 걸어서 들어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미끄러짐 등으로 인해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 20-2000-0004027, 20-2005-0034558, 10-2010-0049711.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의 본체 내부에 스토퍼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의 개폐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의 개폐판에 대한 작동상태나 이송되는 유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함과, 밸브의 제작 및 조립시 이송을 용이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내 스토퍼의 구성을 삭제하며, 대신 회전축의 일 측에 편심축부를 구성하고, 그 편심축부의 외관 하우징의 내부를 편심축부의 직교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작동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판의 후측에 해당하는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가진 점검구를 구비함과, 그 점검구의 뚜껑 상면에는 견인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편심축부와 작동홈의 구성에 의해 개폐판이 개폐범위 내에서만 작동가능한 작용을 낳는다. 이는 밸브 본체의 내부에는 스토퍼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사라짐으로써 유체의 이송이 더욱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검구와 견인구의 구성에 의해 개폐판의 작동상태 및 이송되는 유체의 상태에 대한 관찰이 용이함은 물론, 밸브의 제작 및 조립시 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측방 외형도
도 3은 도 1의 측방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상세도
도 7은 도 5의 요부 작동도
도 8은 도 5의 작동도
도 9는 도 5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요부 작동도
도 12는 도 9의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4는 도 13의 측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 등으로 대체한다.
도1 내지 도4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A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편심되게 회전축(A2)이 형성되고, 그 회전축(A2)에 본체(A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A3)이 장착되며, 개폐판(A3)의 선단에는 개폐판(A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A4)가 구성되고, 회전축(A2)의 일 측 끝단에는 개폐판(A3)의 개폐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무게 추(A5)와, 개폐판(A3)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A6)가 장치되며, 회전축(A2)의 타 측 끝단에는 웜(A7)과 웜휠(A8)의 연결로 개폐판(A3)을 수동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A9)와 그 수동조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클러치레버(A10)로 구성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를 전제로 한다.
도5 내지 도8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를 전제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의 구성 중, 스토퍼(A4)가 구성을 삭제하며, 대신 회전축(A2) 일 측에 편심축부(10)를 구성하고, 그 편심축부(10)의 외관 하우징(20)의 내부를 편심축부(10)의 직교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작동홈(2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밸브 본체(A1)의 내부에 스토퍼(A4)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A2)의 개폐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5는 종래의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에 상기의 편심축부(10) 및 하우징(20)을 적용한 예시도로 써,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본체(A1)와 수동조작레버장치부 사이에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그 하우징(20)의 내부에 해당하는 회전축(A2)에 편심축부(10)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하우징(20) 및 편심축부(10)를 본체(A1)의 양측에 구성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이상적이다.
도6의 (가)는 (나)의 A-A'의 단면도이고, (나)는 도5에서 편심축부(10)와 하우징(20)을 발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축부(10)는 회전축(A2)으로부터 확장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작동홈(21)은 직교회전반경, 즉 90도의 회전반경만큼만 형성한다. 이때 작동홈(21)을 제외한 나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힌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편심축부(10)의 회전 관성을 전체적으로 버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7은 본체(A1)로부터 개폐판(A3)과 회전축(A2) 그리고 무게 추(A5)를 발취한 사시도로써, 도7의 (가)는 개폐판(A3)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나)는 개폐판(A3)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A3)이 닫힌 상태에서는 편심축부(10)의 돌기부(11)가 하부를 향하고, 개폐판(A3)이 열린 상태에서는 편심축부(10)의 돌기부(11)가 우측을 향하게 되며, 나머지 방향으로는 개폐판(A3)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로써 밸브 본체(A1)의 내부에 스토퍼(A4)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A3)의 개폐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8은 배관(B)과 결합 된 본체(A1)의 측방 단면도를 나타낸 작동도로 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A1) 내부에 스토퍼(A4)의 구성이 불필요해진다. 이로 인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사라지게 되어 유체의 이송이 더욱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방시 완전한 개방상태, 즉 개방 정 위치를 넘지 못하게 구성되고, 폐쇄시 완전한 폐쇄상태, 즉 폐쇄 정 위치를 넘지 못하게 구성되어 본체(A1)의 내부에 스토퍼(A4)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A3)의 개폐 정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써, 도9 내지 도12와 같이 편심축부(10)의 일 측에 편심축부(10)와 동일한 형상의 보조편심축부(30)를 회전축(A2)에 축공(30a)삽입하고, 상기 보조편심축부(30)는 편심축부(10)로부터 돌기부(31)가 일정각도 회전된 채 장착이 가능하도록 회전축(A2)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다수의 체결공(32)을 형성하며, 편심축부(10)에는 체결용 탭(12)을 형성하여, 볼트(33)로 체결함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개폐판(A2)의 개방각도를 90도 이하, 예를 들어 45도로 개방하는 것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유량의 이송을 한정할 때 유용하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9는 보조편심축부(30)를 편심축부(10)로부터 45도 회전시킨 상태로 장착한 도면으로써, 도9의 (나)는 도5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9의 (가)는 (나)의 B-B'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32)은 보조편심축부(30)에 형성되고, 탭(12)은 편심축부에 형성되며, 체결공(32)과 인접하는 체결공(32)과의 각도는 체결공(32)이 겹치지 않을 정도로의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하면 된다.
도10은 도9의 분해 사시도로 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편심축부(30)는 회전축(A2)의 일 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되고, 보조편심축부(30)를 편심축부(10)에 볼트(33)체결로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되, 볼트(33)의 장착을 해제한 채 편심축부(10)로부터 보조편심축부(30)의 돌기부(31)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11 및 도12는 도9의 작동 예시도로 써, 도11의 (가)는 개폐판(A2)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1의 (나)는 개폐판(A2)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2는 배관(B)과 결합 된 본체(A1)의 측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편심축부(30)가 편심축부(10)로부터 45도 회전된 채 장착되면, 개방시 보조편심축부(30)의 돌기부(31)가 45도 회전될 때 작동홈(21)에 이미 접촉되기 때문에 개폐판(A2)의 완전 개방범위를 45도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13 내지 도14와 같이 개폐판(A3)의 후측에 해당하는 본체(A1)의 상부에 뚜껑(42)을 가진 점검구(40)가 구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40)는 개폐판(A3)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 중, 점검구(40)의 뚜껑(41) 상면에는 견인구(50)가 구비됨을 포함한다.
상기 견인구(50)는 밸브의 제작 및 조립시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써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체(A1) 회전축(A2)
개폐판(A3) 스토퍼(A4)
무게 추(A5) 완충실린더(A6)
웜(A7) 웜휠(A8)
수동조작레버(A9) 클러치레버(A10)
배관(B) 편심축부(10)
돌기부(11) 탭(12)
하우징(20) 작동홈(21)
보조편심축부(30) 축공(30a)
돌기부(31) 체결공(32)
볼트(33) 점검구(40)
뚜껑(41) 견인구(50)

Claims (4)

  1. 본체(A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편심되게 회전축(A2)이 형성되고, 그 회전축(A2)에 본체(A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A3)이 장착되며, 개폐판(A3)의 선단에는 개폐판(A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A4)가 구성되고, 회전축(A2)의 일 측 끝단에는 개폐판(A3)의 개폐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무게 추(A5)와, 개폐판(A3)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A6)가 장치되며, 회전축(A2)의 타 측 끝단에는 웜(A7)과 웜휠(A8)의 연결로 개폐판(A3)을 수동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A9)와 그 수동조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클러치레버(A10)로 구성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A4)의 구성을 삭제하며, 대신 회전축(A2)의 일 측에 편심축부(10)를 구성하고, 그 편심축부(10)의 외관 하우징(20)의 내부를 편심축부(10)의 직교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작동홈(21)을 구성하여, 밸브 본체(A1)의 내부에 스토퍼(A4)를 구성하지 않고도 개폐판(A3)의 개폐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12387A 2014-02-04 2014-02-04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KR10140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87A KR101404048B1 (ko) 2014-02-04 2014-02-04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87A KR101404048B1 (ko) 2014-02-04 2014-02-04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048B1 true KR101404048B1 (ko) 2014-06-10

Family

ID=5113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87A KR101404048B1 (ko) 2014-02-04 2014-02-04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826A (zh) * 2015-09-01 2017-03-08 潘正平 自动缓开闭阀
KR20180064171A (ko) 2016-12-05 2018-06-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터플라이형 스윙 체크밸브
KR20180068142A (ko) 2016-12-13 2018-06-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819A (ja) 2002-07-05 2004-02-05 Kurimoto Ltd 逆止弁装置
KR20060115981A (ko) * 2006-10-23 2006-11-13 윤병화 투시창을 형성한 편심밸브
KR101273814B1 (ko) 2008-06-04 2013-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턴튜브 부시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819A (ja) 2002-07-05 2004-02-05 Kurimoto Ltd 逆止弁装置
KR20060115981A (ko) * 2006-10-23 2006-11-13 윤병화 투시창을 형성한 편심밸브
KR101273814B1 (ko) 2008-06-04 2013-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턴튜브 부시 가공용 지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826A (zh) * 2015-09-01 2017-03-08 潘正平 自动缓开闭阀
CN106481826B (zh) * 2015-09-01 2019-01-22 潘正平 自动缓开闭阀
KR20180064171A (ko) 2016-12-05 2018-06-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터플라이형 스윙 체크밸브
KR20180068142A (ko) 2016-12-13 2018-06-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048B1 (ko)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JP2013520287A5 (ko)
CN104533307B8 (zh) 钻杆
JP2009500112A5 (ko)
JP2016513037A5 (ko)
EP2277423A3 (en) Dispense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EP2281662A3 (en) Power tool
EP2103852A3 (en) Flow rate regulating valve
JP2014510349A (ja) 非対称溝を有するエルゴノミクスハンドノブ
WO2006034248A3 (en) Aseptic sampling valve
WO2008067152A3 (en) Lubricator valve with rotational flip-flap arm
WO2010088108A3 (en) Open end variable bleed solenoid (vbs) valve with inherent viscous dampening
JP2008273173A5 (ko)
TWI338099B (en) Pilot-operated three-port valve
RU2015134408A (ru) Защитный кран для тары, содержащей жидкость
EP3329759A3 (en) Grass mower device and riding type grass mower having the grass mower device
JP2016540618A5 (ko)
WO2009001863A1 (ja) 給油口用の開閉装置
CN104565203B (zh) 沿绳索可移置和可移除的连接装置
CA2526885A1 (en) Quick coupling unit with integrated check valve
JP5987845B2 (ja) バルブ及び建設機械
FR3084532B1 (fr) Connecteur avec levier d'assistance a la connexion et procede de conditionnement d'un tel connecteur
WO2015129174A1 (ja) 回転ハンドル用キャップ
JP3219456U (ja) ボールバルブの定位構造
JP5380227B2 (ja) 吐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