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674B1 -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674B1
KR101403674B1 KR1020120147218A KR20120147218A KR101403674B1 KR 101403674 B1 KR101403674 B1 KR 101403674B1 KR 1020120147218 A KR1020120147218 A KR 1020120147218A KR 20120147218 A KR20120147218 A KR 20120147218A KR 101403674 B1 KR101403674 B1 KR 10140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wire
information
measurement data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웅
서철원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서 송전선로 이격거리 측정 및 검토 결과를 확인 가능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현장에서 측정DATA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안전이격거리 검토가 가능하므로 최적의 설비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afety distance analysis of transmission line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서 송전선로 이격거리 측정 및 검토 결과를 확인 가능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종래기술에 따르면 송전선로의 수평 및 수직 진동량과 처짐량 측정에 관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07984호, "송전선로의 수평 및 수직 진동량과 처짐량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송전선에 설치되어 토탈 스테이션에서 발사한 광파를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구비한 타깃과; 송전탑에 설치되어 상기 타깃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타깃에서 표시한 표식을 인식하도록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아 카메라 렌즈의 초점에서 3차원 절대 위치와 자세를 계산하여 송전선로의 수평 및 수직 진동량과 처짐량을 측정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타깃으로 광파를 발사하고, 상기 제어박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타깃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하는 토탈 스테이션;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시스템은 송전선로의 각 측정치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함에 따라 현장에서 산출결과 확인이 불가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측정치를 해석하여 검토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검토 방식은 현장에서 측정된 DATA와 전선제원표에서 자료를 찾아 엑셀(EXCEL)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사무실에서 계산하므로 현장에서 산출결과 확인이 불가능하였고, 검토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현장에서 DATA를 측정하는 작업자와 이격거리 검토자가 이원화되어 검토하므로 작업자의 과실(Human Error)을 범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송전기술계산 시스템(TOWER+)을 별도로 운영하여 자료를 취득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측정 계산을 위한 검토결과를 얻기 위해 전문지식이 있는 인력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장에서 측정된 DATA를 인식한 후, 전선제원을 선택하면 필요 자료를 토대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가 가능하며 현장에서 즉시 검토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는 전선제원부(200);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상기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으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는 분석부(300); 상기 분석부(300)의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및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출력하는 출력부(500); 및 상기 입력부(100), 전선제원부(200),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400) 및 출력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100)는,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선제원부(200)는,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상기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을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는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 및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는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은, 전력선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가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 정보를 설정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 및 설정된 전선제원 정보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결과를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와 설정된 전선제원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선제원정보의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c-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c-2)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력선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e)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현장에서 측정DATA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안전이격거리 검토가 가능하므로 최적의 설비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구나 쉽게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 변화로 인한 설비의 위해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검토하여 설비고장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분석 결과를 보고서 양식으로 작성하여 표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이도 및 안전이격을 선택입력받는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제1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을 시준한 다음 입력받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이도측정 입력을 나타낸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결과를 저장하는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분석결과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한 다음 파일이름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안전이격거리 메뉴 이동 및 안전이격거리 측정 데이터 파일을 여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데이터 입력 확인 후 텍스트 아이콘 입력 결과를 나타낸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필요한 사항에 따른 전선제원정보 입력을 나타낸 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계산결과 및 보고서 입력을 나타낸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리포터 저장을 나타낸 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의 분석단계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입력부(100), 전선제원부(200),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400), 출력부(500) 및 제어부(6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입력부(100)는 현장에서 측정된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부는 현장에서 측량기를 통해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측량기로부터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제원부(20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전선제원부(200)는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석부(30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전선제원부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으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석부(300)는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과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을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은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은 전력선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및 분석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5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양식에 맞게 표준화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600)는 입력부(100), 전선제원부(200),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400) 및 출력부(500)를 제어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일실시예로 들면 PDA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나아가서 안전이격거리 검토 자동연산 프로그램 또는 측정자료를 활용한 PC용 보고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현장에서 측량기-PDA-PC 등으로 상호호환 가능한 장비를 구성할 수 있고, 측정 DATA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안전이격거리 검토가 가능하므로 최적의 설비관리가 가능하고, 검토결과를 점검 보고서 형태로 표준화함에 따라 누구나 쉽게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자연환경 변화로 인한 설비의 위해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검토하여 설비고장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동작설명 및 보고서 작성에 따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은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의 동작설명 및 보고서 작성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이격거리 검토 동작 설명은 우선, 입력부(100)를 통해 이도 및 안전이격을 선택하고, 첫 번째 철탑의 전선 지지점을 측량기로 시준(collimation)한 다음 A버튼을 눌러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두 번째 철탑의 전선 지지점을 측량기로 시준한 다음 B버튼을 눌러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른 후, 측량기의 수평각을 표기된 각까지 돌려 맞추고, 측량기의 망원경을 수직(상,하)으로만 움직여 이도 측정할 전선을 시준한 다음 이도점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이격 탭으로 이동하여 전선종류, 현재온도, 법정이격, 횡진각도, 건조물 거리 등을 입력한다. 이때 건조물까지의 거리를 모를 경우 건조물 시준 후 측정버튼을 누르면 실제 거리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 버튼을 누르면 결과를 출력해 볼 수 있으며, 저장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저장 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한 다음 파일이름을 입력하고 OK버튼을 눌러서 저장한다.
안전이격거리 검토 보고서 작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이격거리 메뉴로 이동하여 측정된 안전이격거리 측정데이터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를 누른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이격거리 측정데이터 파일의 입력값을 확인한 후 텍스트 입력아이콘을 클릭하여 선로명, 측정자, 구간, 측정일자, 온도, 부하, 최대 사용장력, 경간, 등가경간, 건조물위치 지상고, 지역, 현수애자련 길이, 최대 풍속 등 외부환경에 따른 필요입력값을 입력하고, 전선제원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버튼을 누르면 입력결과가 출력되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입력결과가 보고서 형태로 입력되고, 닫기 버튼을 누르면 보고서 화면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선택바 중, 페이지 뷰를 통해 각 보고서 페이지 별로 입력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리포터 저장 아이콘을 눌러 각 페이지 별 화면의 모든사항을 리포터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을 이용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이하,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의 분석단계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외부(측량기)로부터 입력부(100)를 통해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 여기서, 제 S2 단계는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 정보를 설정입력받는다(S4). 여기서, 제 S4 단계는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분석부(300)를 통해 상기 측정데이터 및 설정된 전선제원 정보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한다(S6).
그리고 제어부(600)는 상기 분석결과를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한다(S8).
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은,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S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S6 단계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분석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600)는 측정데이터와 설정된 전선제원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한다(S22). 여기서, 제 S22 단계는 제어부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전선제원정보의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한다(S24). 여기서 제 S24 단계는 제어부가 해당 전력선의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은 현장에서 측정DATA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안전이격거리 검토가 가능하므로 최적의 설비관리가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 변화로 인한 설비의 위해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검토하여 설비고장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분석 결과를 보고서 양식으로 작성하여 표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입력부 200 : 전선제원부
300 : 분석부 310 :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
320 :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출력부 600 : 제어부

Claims (14)

  1.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에 있어서,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는 전선제원부(200);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상기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으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는 분석부(300);
    상기 분석부(300)의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및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출력하는 출력부(500); 및
    상기 입력부(100), 전선제원부(200), 분석부(300), 데이터베이스(400) 및 출력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는,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제원부(200)는,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상기 전선제원부(200)를 통해 설정된 전선제원을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는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 및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는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10)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안전이격거리 분석모듈(320)은,
    전력선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8.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가 송전선로와 건조물간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 정보를 설정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 및 설정된 전선제원 정보로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c)단계를 통해 분석한 분석결과를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송전선로와 기 건조물 및 신축 예정 건조물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산출을 위한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선종류, 현재이도, 현재온도, 경간, 고저차, 법정이격, 횡진각도 및 건조물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선제원을 설정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데이터와 설정된 전선제원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선과 건조물간 직하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선제원정보의 횡진거리 정보에 따른 측방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선지지점에서 전력선거리 정보, 이도증가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직하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전력선 횡진거리 정보 및 법적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방 최소이격거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e)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출력하고, 각 구간 별 보고서를 취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리포터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방법.
KR1020120147218A 2012-12-17 2012-12-17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18A KR101403674B1 (ko) 2012-12-17 2012-12-17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18A KR101403674B1 (ko) 2012-12-17 2012-12-17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674B1 true KR101403674B1 (ko) 2014-06-10

Family

ID=5113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218A KR101403674B1 (ko) 2012-12-17 2012-12-17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192A1 (ko) * 2015-06-12 2016-12-15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측량 장치 및 방법
CN112508453A (zh) * 2020-12-22 2021-03-16 安徽康能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国网芯的智慧线路多元感知方法及系统
KR20210131961A (ko) * 2018-07-18 2021-11-03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510A (ja) 2000-09-04 2002-06-21 Kanden Kogyo Inc 送電線近接物の離隔距離計測システム
KR20100063236A (ko) * 2008-12-03 2010-06-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JP2012152056A (ja) 2011-01-20 2012-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離隔距離判断方法及び離隔距離判断方法に用いる立設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510A (ja) 2000-09-04 2002-06-21 Kanden Kogyo Inc 送電線近接物の離隔距離計測システム
KR20100063236A (ko) * 2008-12-03 2010-06-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JP2012152056A (ja) 2011-01-20 2012-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離隔距離判断方法及び離隔距離判断方法に用いる立設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192A1 (ko) * 2015-06-12 2016-12-15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측량 장치 및 방법
KR20210131961A (ko) * 2018-07-18 2021-11-03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20210133915A (ko) * 2018-07-1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20210133914A (ko) * 2018-07-1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20210133913A (ko) * 2018-07-1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102520276B1 (ko) 2018-07-18 2023-04-12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102520273B1 (ko) 2018-07-18 2023-04-12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102520274B1 (ko) 2018-07-18 2023-04-12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KR102520275B1 (ko) 2018-07-18 2023-04-12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항공기의 회피구역 설정방법
CN112508453A (zh) * 2020-12-22 2021-03-16 安徽康能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国网芯的智慧线路多元感知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3904B2 (en) Automated combined display of measurement data
CN107702662B (zh) 基于激光扫描仪和bim的逆向监控方法及其系统
CN107843195A (zh) 一种活动断裂带隧道结构变形监测系统及方法
CN111510205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光缆故障定位方法、装置及设备
CN107607897B (zh) 一种电压监测仪在线校验及预测装置和方法
KR101647423B1 (ko) 전력설비 자동 진단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17168415A1 (en) Combined gas leakag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KR101403674B1 (ko) 송전선로 안전이격거리 검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202086A (zh) 一种光缆故障定位方法
CN211375602U (zh) 一种变电站移动式智能噪声实景云图建模系统
CN108427346A (zh) 一种装配式结构吊装控制管理系统
CN104980212B (zh) 具有自学习功能的光纤故障检测系统和方法
CN111384776A (zh) 一种基于vr的变电站三维全景状态监测方法及系统
CN105180827A (zh) 一种检测起重机主梁上拱曲线的装置
JP6660732B2 (ja) 鉄骨建方計測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923967B (zh) 支持对仪表校验不确定度进行快速评定的仪表校验系统
Maltese et al. A lean approach to enable sustainabi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through BIM
CN108426845A (zh) 一种便携式在线全光谱水质监测仪
Begeš et al. Automatic weather stations and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ethod
CN102749055B (zh) 一种可交互的位移测量系统
CN208443730U (zh) 一种便携式在线全光谱水质监测仪结构
JP3645253B1 (ja) 体積算定システム
KR20200102649A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기의 발전량 극대화 가이드 시스템 및 관리 서버
CN203657754U (zh) 基于激光测量和485总线的桥梁变形监测装置
JP2016135058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開放電圧自動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