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293B1 -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293B1
KR101403293B1 KR1020130153455A KR20130153455A KR101403293B1 KR 101403293 B1 KR101403293 B1 KR 101403293B1 KR 1020130153455 A KR1020130153455 A KR 1020130153455A KR 20130153455 A KR20130153455 A KR 20130153455A KR 101403293 B1 KR101403293 B1 KR 10140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mortar
water
mortar
waterproof
waterproof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루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루건설
Priority to KR102013015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수보르타르에 침상형 크리스탈 형성 및 칼사이트의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양생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는 작용으로 방수성능을 부여 및 균열발생 억제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보수 후에 발생하는 추가 누수와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결합재 34.0 ~ 59.0 wt%, 팽창재 2.0 ~ 13.0 wt%, 실리카흄 1.0 ~ 5.0 wt%, Na2CO3 1.0 ~ 2.0 wt%, 혼화제 0.1 ~ 2.0 wt%, 골재 20.0 ~ 50.0 wt%를 포함하여 조성된 방수형 보수모르타에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도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Concrete repairing method using waterproof repair mortar using crystallization and protector of carbonation}
본 발명은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보수모르타르의 유리화를 통해서 팽창을 유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균열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고, 미세 균열을 봉합하는 균열치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방수성 및 고 내구성 기능을 구비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공하고, 이 방수형 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다층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단면을 복구하고, 특히 단면 복구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의 혼합 및 타설을 타설장비를 이용하여 균일 혼합된 모르타르를 설정된 압력으로 분사하여 보수함으로써 단면 복구 효율을 높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건설하는 각종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은 콘크리트를 기본으로 사용하여 건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는 우수한 압축강도, 경제성 및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지금까지 건설현장에서 구조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재료이다.
하지만 기온의 변화, 유해가스 및 진동, 콘크리트 거동 및 습기유입 등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끊임 없이 변형을 거듭하여 여러 가지 문제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노후화가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진행이 되고, 특히 콘크리트는 인장 및 휨강도가 적어서, 설계시에는 거의 무시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변형에도 대처 능력이 작아서 균열발생 후에 응력 및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러한 노후화로 그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구조물 사용자로 하여금 구조물의 안정성에 위험을 느끼게 하며 실제로도 구조물의 안정을 심각히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단면 보수 모르타르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포트랜드 시멘트는 염해, 중성화 등 외부인자에 대하여 낮은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화시 생성되는 수화물에 비하여 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내구성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단면복구용 모르타르는 양생 전후에 초기균열 및 미세균열 등이 발생하고 있어, 구조적 결함, 내구성 저하, 외관손상, 철근부식, 방수성능 저하 등으로 구조물의 수명단축에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보수용 모르타르는 구조물에 기 발생되어 있는 균열에 대해서는 복구가 가능하나, 보수 후 발생되는 균열에 대해서는 이를 복구하는 기능이 없어, 보수 후 복구 부위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복구 부위의 탈락 및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지나면, 지반 침하 및 외부 충격, 급격한 기후변화, 풍화작용 등에 의해 다양한 종류(균열, 탈락, 공동 등)의 열화가 발생되어 누수현상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물, 염화물 이온 등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되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 시키거나, 콘크리트 내부에서 팽창되어 콘크리트에 손상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누수현상의 방지 및 콘크리트의 수밀성, 강도, 하중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하여 방수의 실효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공법은 아스팔트계 또는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수지 등 유기계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서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여 방수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손상된 콘크리트는 별도의 방수작업이 있지않으면 자체적인 방수기능이 없어서 보수후에도 누수로 인한 손상이 자주 발생함으로, 자주 재보수를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 공법은 주로 탈락된 부위나, 손상된 곳을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하구조물, 조인트 부위 등 누수에 취약한 구조물이나, 부위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부족한 관계로, 보수 후에 하자보수 기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다시 재보수를 해야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수 모르타르에 방수 기능을 부여하여 보수함으로써 추가적인 방수작업이 필요치 않은 기술의 필요성이 날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헤결하고자 일부 보수모르타르에 방수 기능을 부여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활발한 기술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보수모르타르의 혼합 및 메꿈시 인력에 의한 수동혼합 후 도포하는 방식이어서 모르타르 각 성분에 의한 균열봉합 작용이 균일하지 않아 전체적인 손상 부위의 보수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기계적으로 혼합한 경우에도 실제 도포시는 인력에 의한 도포가 대부분이어서 손상된 균열부위 내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전체적인 손상 부위의 보수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서 추가 균열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서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할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20276(2008.04.08.)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41347(2012.04.23.)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7757(2008.01.17.)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9882(2009.01.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보르타르에 침상형 크리스탈 형성 및 칼사이트의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양생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는 작용으로 방수성능을 부여 및 균열발생 억제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보수 후에 발생하는 추가 누수와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방수능력과 누수와 균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수함과 동시에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COx(탄산) 가스의 침입에 의해 중성화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하는 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시공 후에 중성화방지재를 도포해서 다층으로 보수토록 한 보수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형 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보수시 방수형 보수 모르타르가 손상된 콘크리트 부위에 균일한 조성으로 혼합된 후 설정된 압력에 따라 분사되어 손상부위를 치밀하게 메꾸도록 타설장비를 사용함으로써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에 의한 침상형 크리스탈 형성 및 칼사이트의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양생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는 작용을 극대화시켜 보수 시공 부위의 방수력과 균열발생 부위 복구력과 억제력을 높여 전체적인 시공부위의 내구성을 높인 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 부위를 치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삭제
삭제
삭제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부위를 세척하는 단계와;
타설장비를 이용하여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공급 후 다단 혼합하여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와;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의 노즐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에 분사하여 타설하는 단계와;
타설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와;
양생이 끝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표면에 중성화방지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결합재 34.0 ~ 59.0 wt%, 팽창재 2.0 ~ 13.0 wt%, 실리카흄 1.0 ~ 5.0 wt%, Na2CO3 1.0 ~ 2.0 wt%, 혼화제 0.1 ~ 2.0 wt%, 골재 20.0 ~ 50.0 wt%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팽창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 5.0wt%와 무수석고(CaSO4) 1.0 ~ 8.0 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혼화제는 멜라민 0.05 ~ 1.0 wt%와 소포제 0.05 ~ 1.0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중성화방지재는 시멘트 28.0 ~ 55.0 wt%, 실리카흄 2.0 ~ 5.0 wt%, 탄산칼슘 8.0 ~ 23.0 wt%, 멜라민 0.1 ~ 1wt%, 소포제 0.1 ~ 0.5 wt%, 안료 0.1 ~ 2.0 wt%, 실리카샌드 7.0 ~ 20.0 wt%, 7호사 15.0 ~ 40.0 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는,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유압믹서기 내로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유압믹서기 내로 배합수를 투입하는 단계와;
유압믹서기 내에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1차 혼합시키는 단계와;
1차 혼합되어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유압믹서기로부터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펌핑장치의 호퍼로 배출하는 단계와 ;
호퍼로 배출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펌핑장치의 이송 펌프를 통해서 펌프샤프트로 공급하여 회전이송시키면서 2차 혼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타설하는 단계는 펌프샤프트가 회전하면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압축시킨 압력으로 호스로 공급하여 호스 끝단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를 타설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압력은 12 ~ 15Bar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타설장비는 공급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믹싱샤프트를 이용해 혼합하는 유압믹서기와; 유압믹서기의 믹싱샤프트와 축결합하여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와, 유압믹서기에서 배출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공급받는 호퍼와 방수형 이송펌프와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회전 이송시키면서 압력을 형성시키는 펌프샤프트로 구성된 펌핑장치와, 펌프샤프트에 의해 이송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분사시키기 위한 호스와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압믹서기 내부에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된 4개의 믹싱샤프트로 구성되되,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가 연결부재를 통해 일정거리를 가지고 연결되어 바깥쪽 1개는 벽면쪽에 안쪽 1개는 중심축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된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는 다시 중심축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단면을 복구시 침상형 크리스탈 형성 및 칼사이트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양생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는 작용을 함으로써 외부에서 침투하는 수분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수성능을 제공하고, 또한 균열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부여하며, 보수후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도 균열 부위에 침상형 크리스탈이 새로 생성되어 균열을 봉합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성능 및 균열봉합 능력을 가짐으로써 보수면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성화방지재는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시 상기 방수형 보수 모르타르와 함께 사용되어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타설 후에 COx(탄산) 가스의 침입에 의해 중성화되어 방수형 보수 모르타르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콘크리트 내부로 침입하는 불순물을 방지함으로써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및 중성화방지재로 이루어진 보수공법은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침상형 크리스탈 및 칼사이트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양생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도록 함으로써 방수성과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양생후 도포되는 중성화방지재는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함께 사용하여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타설 후에 중성화 방지 및 외부에서 콘크리트 내부로 침입하는 불순물을 방지함으로써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손상된 콘크리트 단면을 보수시 균일한 혼합과 혼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일정압력하에서 분사할 수 있는 타설장비를 사용함으로써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손상된 콘크리트 부위에 균일한 조성으로 혼합된 후 설정된 압력에 따라 분사되어 치밀하게 메꾸도록 하여 규산칼슘과 에트린자이트(ettringite)에 의한 침상형 크리스탈 형성 및 칼사이트(Calcite, CaCO3) 형성으로 모세관 공극의 수밀화 및 보수모르타르 양생 후 표면의 공극을 메꾸는 작용을 극대화시켜 보수 시공 부위의 방수력과 균열부위에 대한 단면 복구력을 높였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수공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혼합 및 분사를 담당하는 타설장비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탈락 부위를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면서 방수기능을 복합 부여하는 조성물로 결합재 34.0 ~ 59.0 wt%, 팽창재 2.0 ~ 13.0 wt%, 방수혼합재 2.0 ~ 7.0 wt%, 혼화제 0.1 ~ 2.0 wt%, 골재 20.0 ~ 50.0 wt%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하는데,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34.0 wt% 보다 작게 투입되면 결합력이 떨어져서 골재 분리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59.0 wt% 보다 많이 투입되면 원자재 값이 올라가고, 점성이 높아서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팽창재는 2.0 ~ 13.0 wt%로 조성되는데, 이 팽창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Calcium Sulfo Aluminate)와 무수석고를 사용하는데,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는 1.0 ~ 5.0wt%, 무수석고(CaSO4)는 1.0 ~ 8.0 wt%를 포함한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와 무수석고로 이루어진 팽창재 전체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2.0wt% 보다 적게 투입되면 팽창력이 저하되어서, 건조수축으로 인한 수축량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고, 13.0 wt% 보다 많이 투입되면 팽창량이 수축량보다 커져서 보수 모르타르 내부에 응력이 증가함으로, 균열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Calcium Sulfo Aluminate)는 1.0wt% 보다 적게 투입되면, 알루미나 성분이 적게 혼입되어서,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0 wt%보다 많이 투입되면, 조기 강도가 급격히 상승해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는 크리스탈인 침상형 에트린자이트를 생성하는데, 에트린자이트가 적절한 팽창성을 부여하고, 건조수축으로 인한 수축을 상쇄하고, 침상형의 미세 결정체가 보수 모르타르의 내부 공극을 메워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화학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3(CaO·Al2O3)·CaSO4 + 9CaSO4 + 8CaO + 96H2O → 3(3CaO·Al2O3·3CaSO4·32H2O)
또한 무수석고(CaSO4)는 1.0wt보다 적게 투입하면 팽창기능 및 강도 촉진 기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8.0 wt%보다 많이 투입되면, 모르타르가 굳은 후에 에트린자이트를 과다하게 생성시켜서 팽창 균열을 유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재인 시멘트와 CSA 및 무수석고는 서로간의 함량에 따라 삼각관계가 있는데 예를 들어 다른 것을 고정시키고 CSA의 양을 늘리면 조기강도가 증가하고, 마찬가지로 다른 것을 고정시키고 무수석고를 늘리면 팽창율이 증가하는 복잡한 관계가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치 조건을 최적의 비율로 한다.
상기 방수혼합재는 실리카흄과 Na2CO3로서, 상기 실리카흄은 1.0 ~ 5.0 wt%, Na2CO3는 1.0 ~ 2.0 wt%를 포함한다.
방수혼합재는 시멘트 수화반응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과 실리카 성분 및 알루미나 성분이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불용성 화합물인 규산칼슘과 CaCO3(크리스탈)을 생성해서 모세관 공극을 수밀화해서 방수성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혼합재는 상기 팽창재인 CSA 및 무수석고에 의해 발생되는 에트린자이트의 문제점 즉, CAS가 에트린자이트 결정 형성을 유도하여 빠르게 굳게하나, 장기적으로는 미반응된 원료 간에 DEF(Delayed Ettringite Formation)가 일어나 이에 의한 균열과 전이에 의한 물리적 성상의 변형이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리스탈(유리화)을 생성 시켜서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수혼합재가 보수모르타르에 크리스탈을 생성시켜서 방수성능을 부여할 때 방수혼합재에 포함되여 있는 실리카흄은 포졸란 재료로서, 시멘트 수화물인 Ca(OH)2와 작용해서 추가적인 수화물을 생성하는데, 수화속도가 기존에 시멘트에 비해서 늦기 때문에 시멘트 수화작용에서 생성된 수화물이 보수모르타르의 공극을 충분히 메우지 못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공극을 메우는 기능을 하고, 특히 미세한 공극을 메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방수혼합재에 포함된 Na2CO3는 시멘트 수화작용이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시멘트 수화물과 재수화반응을 하면서 결정체를 형성한다. 특히 백색의 칼사이트(Calcite, CaCO3)를 생성해서 공극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생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칼사이트(Calcite)가 보수 모르타르의 표면에 발생하는 공극을 메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Na2CO3는 칼사이트(Calcite)를 생성시켜서 공극을 메우는 기능 이외에 수화반응을 촉진시켜서 조기 강도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화학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Ca(OH)2 + Na2CO3 → CaCO3 + 2NaOH
상기 혼화제는 유동화제 또는 유동화제와 소포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화제의 양은 0.1 ~ 2.0 wt%로서 유동화제 0.05 ~ 1.0 wt%와 소포제 0.05 ~ 1.0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화제 중에서 유동화제인 멜라민은 보수모르타르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타설시에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수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배합시 물의 사용량을 줄여줌으로써 강도 증진 및 내구성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때 멜라민계 유동화제의 사용량이 0.05 wt%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동화 효과가 감소되고 감수 효과가 저하되고, 1.0 wt%를 초과하면 보수모르타르의 플로우치가 높아지고, 골재분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소포제는 0.05 wt%보다 적을 경우 기포 제거 효과가 적고 1.0wt% 보다 많으면 원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저하되어 보수모르타르의 혼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골재는 표준사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골재는 5호사 및 6호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골재 20.0 ~ 50.0 wt%로 배합될 수 있다.
골재는 외부의 기온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를 최소화 시키고, 보수모르타르의 균일성을 유지함으로서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팽창재인 무수석고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calcium sulfo aluminate), 방수혼합재인 실리카흄과 Na2CO3의 적절한 배합으로 보수모르타르 내부에 발생하는 공극을 최소화해서 보수모르타르의 방수성 및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수공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혼합 및 분사를 담당하는 타설장비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은,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 부위를 치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0)와;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부위를 세척하는 단계(S200)와;
타설장비를 이용하여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공급 후 다단 혼합하여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S300)와;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의 노즐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에 분사하여 타설하는 단계(S400)와;
타설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S500)와;
양생이 끝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표면에 중성화방지재를 도포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탈락 부위를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면서 방수기능을 복합 부여하는 조성물로 결합재 34.0 ~ 59.0 wt%, 팽창재 2.0 ~ 13.0 wt%, 방수혼합재 2.0 ~ 7.0 wt%, 혼화제 0.1 ~ 2.0 wt%, 골재 20.0 ~ 50.0 wt%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타설장비를 이용하여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공급 후 다단 혼합하여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S300)는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유압믹서기 내로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유압믹서기 내로 배합수를 투입하는 단계와;
유압믹서기 내에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1차 혼합시키는 단계와;
1차 혼합되어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유압믹서기로부터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펌핑장치의 호퍼로 배출하는 단계와 ;
호퍼로 배출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펌핑장치의 이송 펌프를 통해서 펌프샤프트로 공급하여 회전 이송시키면서 2차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설하는 단계(S400)는 펌프샤프트가 회전하면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압축시킨 압력으로 호스로 공급하여 호스 끝단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투입단계에 있는 유압믹서기는 건조 상태의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및 배합수를 각각 공급받아 교반하여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게 된다. 순서는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유압믹서기로 투입하고, 이후 배합수 공급호스(16)를 통해 계량된 배합수를 투입하게 된다.
단 이때 배합수가 많으면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공급되는 배합수는 시공 후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으면 분사 가능한 유동성이 확보될 정도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상태의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83 ~ 85wt%와 배합수 15 ~ 17wt%로 배합하면 원하는 강도와 내구성 그리고 분사시의 유동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합수의 공급은 제시된 물 시멘트 비에 따라 유압믹서기 내로 정량공급되거나,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조절되어 공급하면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타설장비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유압믹서기(1), 유압모터(2), 펌핑장치(3), 제어판넬(4), 호스(5) 및 노즐(6)이 일체화되어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의 혼합부터 분사까지 일괄처리되어 균일하게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가지고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토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유압믹서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상부에서 공급되면 배합수 공급펌프를 통해 배합수를 공급 후 믹싱샤프트가 회전하면서 균일하게 1차 혼합시키는 강제식 교반 장치이다. 유압믹서기의 내부에 장치된 믹싱샤프트의 교반을 위한 회전 구동력은 유압믹서기 하부에 설치된 유압모터와 축결합되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펌핑장치(3)는 유압믹서기에서 이송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노즐(6)로 전달할 수 있도록 펌프샤프트가 회전하면서 강한 압력으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밀어내서 호스를 통해 노즐로 분사시킴으로써 손상된 콘크리트의 보수 대상면에 설정된 압력으로 치밀하게 도포하게 된다.
유압믹서기 내로 혼입되는 배합수는 배합수 공급호스를 통해서 이송되어 공급되고, 공급되는 배합수의 양은 제어판넬에서 수동으로 배합수의 양을 조절하거나 설정된 양으로 자동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합수는 미도시된 물탱크에서 저장되어 있다가 제어판넬의 수동 조작에 의해 미도시된 펌프 등에 의해 배합수 공급호스를 통해 유압믹서기 내부로 공급될수 있고, 또한 상기 유압믹서기 내부에는 미도시된 센서가 장치되어 공급되는 배합수의 속도 및 유량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판넬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판넬(4)에는 유압믹서기(1) 내에 설치된 믹싱샤프트(1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미도시된 조절기가 부착되어 있어, 유압믹서기 내의 유동성에 따라 유압믹서기의 속도를 제어판넬에 설치된 조절기를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압믹서기 내 믹싱샤프트의 회전속도는 그 하부에 장치된 유압모터의 회전수 제어 또는 미도시된 감속기의 기어비에 따라 조절된다.
만약 유압믹서기에서 교반이 과도하게 이루지면 골재분리가 일어나거나, 교반이 부족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골고루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타설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배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압믹서기 내부에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된 4개의 믹싱샤프트(11)로 구성되되,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가 연결부재(12)를 통해 일정거리를 가지고 연결되어 바깥쪽 1개는 벽면쪽에 안쪽 1개는 중심축(13)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된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는 다시 중심축과 축연결부재(14)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믹싱샤프트는 유압믹서기 벽면에 근접해서 벽면에 붙는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완전히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나머지 2개의 믹싱샤프트는 벽면에서 떨어져서 설치되어 유압 믹서기의 중앙으로 몰리는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골고루 혼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믹서기 내에 설치된 4개의 믹싱샤프트는 회전하면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유압 믹서기 내에서 효율적으로 혼합되도록 하고 유압믹서기 벽면에 남은 보수모르타르를 최소화해서 재료의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믹서기의 믹싱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가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골재분리 없이 혼합되어 양질의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가 제조된다.
상기 유압믹서기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교반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유압믹서기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5)를 통해 이송펌프(3)의 상부를 구성하는 호퍼(31)로 배출되어 호퍼에 설치된 이송펌프망(32)을 통해 이송펌프(33)를 거쳐 그 하부에 위치한 일종의 스크류피더인 펌프샤프트(34)로 이송된다.
이후 펌프샤프트(34)가 회전하면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강하게 일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발생하는 압력이 12 ~ 15Bar가 되는데, 이 압력은 의해 물배합된 방수 보수모르타르를 호스(5)로 밀어내고, 호스 끝단에 설치된 노즐(6)을 통해 손상된 콘크리트 보수면에 펌프샤프트가 형성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타설된다.
제어판넬(4)에는 펌프샤프트에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밀어내서 노즐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펌핑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는 게이지(미도시됨)가 있으며, 게이지에 걸리는 압력을 이용해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특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배합수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판넬에는 배합수 및 타설장비의 메인 스위치 기능이 부착되어 작업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양생이 끝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표면에 도포되는 중성화방지재는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1차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에 의해 손상된 단면을 복구한 부분에 대하여 2차로 중성화 방지 및 외부에서 콘크리트 내부로 침입하는 불순물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포된다. 주된 조성 성분은 시멘트 및 채움재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혼화제와 잔골재를 혼합하여 무기질로만 이루어진 중성화방지재이다. 이와 같은 무기계 중성화방지재는 부착력이 우수하고, 조직이 밀실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열화인자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기계 중성화방지재는 결합재로 시멘트 28.0 ~ 55.0 wt% 및 실리카흄 2.0 ~ 5.0 wt%, 채움재로 탄산칼슘 8.0 ~ 23.0 wt%, 혼화제로 멜라민 0.1 ~ 1wt% 및 소포제 0.1 ~ 0.5 wt%, 안료를 0.1 ~ 2.0 wt%, 골재로 실리카샌드 7.0 ~ 20.0 wt% 및 7호사를 15.0 ~ 40.0 wt%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28.0 ~ 55.0 wt%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28.0 wt%보다 작게 투입되면 결합력이 떨어져서 골재분리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55.0 wt% 보다 많이 투입되면 원자재 값이 올라서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재인 상기 실리카흄은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2.0 wt%보다 작게 투입되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5.0 wt% 보다 많이 투입되면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경제성이 떨어져서 중성화방지재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채움재인 탄산칼슘은 주로 특징적인 기능보다는 충전재 역할을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8.0 wt%보다 작게 투입되면 일정한 무게를 채우기 위해서 다른 값비싼 분말 자재를 사용해야 함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탄산칼슘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이 있고 23.0 wt% 보다 많이 투입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자재의 투입량이 줄어지므로서, 본 발명에서 투입되는 다른 조성원소가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화제로 사용되는 멜라민계 유동화제는 무기계 중성화방지재의 유동성을 유지시키고 타설시에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배합시 물의 사용량을 줄여줌으로써 강도 증진 및 내구성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때 멜라민계 유동화제의 사용량이 0.1 wt%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동화 효과가 감소되고 감수 효과가 저하되고, 1.0 wt%를 초과하면 표면보호재의 플로우치가 너무 높아서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부착력도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혼화제로 사용되는 상기 소포제는 무기계 중성화방지재를 제조시에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이 0.1 wt%보다 적을 경우에는 기포 제거 효과가 적고, 0.5 wt%를 초과하면 원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저하되어 중성화방지재 혼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안료는 흰색 계열를 사용한다. 상기 수치 한정의 이유는 그 사용량이 0.1 wt%보다 적을 경우에는 색상이 잘 나오지 않고, 2.0 wt%를 초과하면 너무 색상이 진해 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골재는 자연사로서 실리카샌드 7.0 ~ 20.0 wt% 및 7호사 15 ~ 40 0 wt%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재는 중성화방지재가 일정한 체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외부 기온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를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균일성을 유지함으로서 강도 및 내구성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를 가지는 중성화방지재는 외부에서 진입하는 열화인자를 차단하고, 특히 탄산(COx) 가스의 침입을 방지해서 콘크리트 표면의 중성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표 1 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조성배합비와 유압믹서기를 이용해서 제조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13125720-pat00001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의 조성
Figure 112013113125720-pat00002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에 대한 역학적 특성
상기 표 2의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설장비의 유압믹서기를 이용해서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시험결과는 현재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KS F 4042 기준과 대비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물성치가 기준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방수성을 입증하는 물 흡수계수 및 염화물침투 저항성이 KS F 4042 기준에서 제시한 0.5(kg/m2h0.5) 이하, 1,000(Coulombs) 보다 물흡수계수는 40%가 낮고, 염화물침투 저항성은 35% 까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발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기존 모르타르에 비해서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수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아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배합비율에 중성화방지재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방수재 역학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의 배합은 KS L 5109(수경성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기계적 혼합 방법)에서 규정하는 모르타르 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을 실시하였으며, 혼합수의 결정은 KS L 5102(수경성 시멘트의 주도시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Figure 112013113125720-pat00003
중성화방지재의 조성
Figure 112013113125720-pat00004
중성화방지재의 역학적 특성
상기 표 4는 중성화방지재의 역학적 시험을 한 것으로 결합재의 양이 증가하면,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압축강도는 시멘트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부착강도는 압축강도와 같이 시멘트 양과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성화 저항성 시험에서는 모든 배합이 0.5 이하로서 기준을 만족하는 것은 물론이고, 보수 모르타르에 비해서도 저항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유압믹서기 (2) : 유압모터
(3) : 펌핑장치 (4) : 제어판넬
(5) : 호스 (6) : 노즐
(11) : 믹싱샤프트 (12) : 연결부재
(13) : 중심축 (14) : 축연결부재
(15) : 배출구 (16) : 배합수 공급호스
(31) : 호퍼 (32) : 이송펌프망
(33) : 이송펌프 (34) : 펌프샤프트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 부위를 치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부위를 세척하는 단계와;
    타설장비를 이용하여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공급 후 다단 혼합하여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와;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의 노즐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에 분사하여 타설하는 단계와;
    타설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와;
    양생이 끝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 표면에 중성화방지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성화방지재는 시멘트 28.0 ~ 55.0 wt%, 실리카흄 2.0 ~ 5.0 wt%, 탄산칼슘 8.0 ~ 23.0 wt%, 멜라민 0.1 ~ 1wt%, 소포제 0.1 ~ 0.5 wt%, 안료 0.1 ~ 2.0 wt%, 실리카샌드 7.0 ~ 20.0 wt%, 7호사 15.0 ~ 40.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는 결합재 34.0 ~ 59.0 wt%, 팽창재 2.0 ~ 13.0 wt%, 실리카흄 1.0 ~ 5.0 wt%, Na2CO3 1.0 ~ 2.0 wt%, 혼화제 0.1 ~ 2.0 wt%, 골재 20.0 ~ 50.0 wt%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 5.0wt%와 무수석고(CaSO4) 1.0 ~ 8.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화제는 멜라민 0.05 ~ 1.0 wt%와 소포제 0.05 ~ 1.0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8. 삭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는,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유압믹서기 내로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유압믹서기 내로 배합수를 투입하는 단계와;
    유압믹서기 내에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1차 혼합시키는 단계와;
    1차 혼합되어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유압믹서기로부터 타설장비를 구성하는 펌핑장치의 호퍼로 배출하는 단계와 ;
    호퍼로 배출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펌핑장치의 이송 펌프를 통해서 펌프샤프트로 공급하여 회전이송시키면서 2차 혼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설하는 단계는 펌프샤프트가 회전하면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압축시킨 압력으로 호스로 공급하여 호스 끝단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를 타설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12 ~ 15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설장비는 공급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배합수를 믹싱샤프트를 이용해 혼합하는 유압믹서기와; 유압믹서기의 믹싱샤프트와 축결합하여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와, 유압믹서기에서 배출된 물배합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공급받는 호퍼와 방수형 이송펌프와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회전 이송시키면서 압력을 형성시키는 펌프샤프트로 구성된 펌핑장치와, 펌프샤프트에 의해 이송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를 분사시키기 위한 호스와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압믹서기 내부에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된 4개의 믹싱샤프트로 구성되되,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가 연결부재를 통해 일정거리를 가지고 연결되어 바깥쪽 1개는 벽면쪽에 안쪽 1개는 중심축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된 일측당 2개의 믹싱샤프트는 다시 중심축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 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20130153455A 2013-12-10 2013-12-10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40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55A KR101403293B1 (ko) 2013-12-10 2013-12-10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55A KR101403293B1 (ko) 2013-12-10 2013-12-10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293B1 true KR101403293B1 (ko) 2014-06-03

Family

ID=5113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55A KR101403293B1 (ko) 2013-12-10 2013-12-10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9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231B1 (ko) * 2015-01-15 2015-10-01 주식회사 디앤시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580081B1 (ko) 2015-07-21 2015-12-28 고재형 콘크리트 보호용 친환경 수용성 도료 조성물
CZ306535B6 (cs) * 2014-06-09 2017-03-01 ÄŚeskĂ© vysokĂ© uÄŤenĂ­ technickĂ© v Praze, Fakulta stavebnĂ­, Katedra konstrukcĂ­ pozemnĂ­ch staveb Způsob sanace zdiva z vápenopískových cihel
KR101804476B1 (ko) * 2016-10-27 2017-12-04 홍종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밀성 복합 보수공법
CN108930416A (zh) * 2018-08-15 2018-12-04 中电建南方建设投资有限公司 一种混凝土的防渗堵漏施工工法
KR101954681B1 (ko) 2018-03-13 2019-05-23 주식회사 리원테크 콘크리트 중성화·염해방지 및 표면방식보수공법
CN110156383A (zh) * 2019-04-30 2019-08-23 中建材中岩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裂缝微纳米结晶修复剂及其制备方法
RU204825U1 (ru) * 2020-12-16 2021-06-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тнер"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напыления и нагнетания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го состава в угольной шахте
KR20230126291A (ko) 2022-02-22 2023-08-30 곽홍신 항균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14B1 (ko) * 2012-05-08 2012-10-25 주식회사 성현건설 활성실리카를 이용한 경량 내산성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311267B1 (ko) * 2013-05-31 2013-09-25 에프알앤디건설(주) 균열봉합 기능을 구비한 단면복구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14B1 (ko) * 2012-05-08 2012-10-25 주식회사 성현건설 활성실리카를 이용한 경량 내산성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311267B1 (ko) * 2013-05-31 2013-09-25 에프알앤디건설(주) 균열봉합 기능을 구비한 단면복구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535B6 (cs) * 2014-06-09 2017-03-01 ÄŚeskĂ© vysokĂ© uÄŤenĂ­ technickĂ© v Praze, Fakulta stavebnĂ­, Katedra konstrukcĂ­ pozemnĂ­ch staveb Způsob sanace zdiva z vápenopískových cihel
KR101556231B1 (ko) * 2015-01-15 2015-10-01 주식회사 디앤시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580081B1 (ko) 2015-07-21 2015-12-28 고재형 콘크리트 보호용 친환경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1804476B1 (ko) * 2016-10-27 2017-12-04 홍종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밀성 복합 보수공법
KR101954681B1 (ko) 2018-03-13 2019-05-23 주식회사 리원테크 콘크리트 중성화·염해방지 및 표면방식보수공법
CN108930416A (zh) * 2018-08-15 2018-12-04 中电建南方建设投资有限公司 一种混凝土的防渗堵漏施工工法
CN110156383A (zh) * 2019-04-30 2019-08-23 中建材中岩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裂缝微纳米结晶修复剂及其制备方法
RU204825U1 (ru) * 2020-12-16 2021-06-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тнер"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напыления и нагнетания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го состава в угольной шахте
KR20230126291A (ko) 2022-02-22 2023-08-30 곽홍신 항균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293B1 (ko) 유리화를 이용한 방수형 보수모르타르와 중성화방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141347B1 (ko) 환경 친화적인 지오폴리머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 억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RU2471738C1 (ru) Ремонтно-гидроизол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добавка в виде волластонит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я ремонтно-гидроизолирующей композиц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створов, бетонов и изделий на их основе
CN114163186A (zh) 一种抗渗混凝土及其施工方法
KR101021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아연도보강망과, 무기계 침투성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JP7234001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RU2415224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бетонной облицовки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в процессе эксплуатации (варианты)
CN1187293C (zh) 建筑材料和建筑构件的密封方法
KR100854987B1 (ko) 방수용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
KR1010743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사용한 반강성 도로포장용 시멘트 밀크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0921448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열화부의 단면 보수 및 보강공법
JP2020019658A (ja) グラウトモルタル組成物、グラウト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01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포함하는 반강성 도로포장용 고내구성 시멘트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RU2369575C1 (ru) Сух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месь для ремонт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ых работ
JP6508789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を用いた工法
KR101647018B1 (ko) 염분제거용 약액을 이용한 콘크리트 손상부 보수공법
KR1015562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2648653B2 (ja) 鉄道用急硬性セメント瀝青グラウト材の施工方法
KR101311267B1 (ko) 균열봉합 기능을 구비한 단면복구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RU2408553C2 (ru) Смесь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идроизолирующего шовного состава проникающего действия
KR20100011600A (ko) 숏크리트 타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손상부 단면 보수방법
CN110662725A (zh) 制造和施加非波特兰水泥基材料的系统和方法
KR102341746B1 (ko) 공압방식의 참암기로 구조물 모체의 진동 및 손상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콘크리트 혼화재가 적정량 배합된 프리믹스타입의 긴급보수제를 사용하여 품질확보가 가능한 보수공법
KR102259809B1 (ko) 고 황산염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