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18B1 -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18B1
KR101403018B1 KR1020130105827A KR20130105827A KR101403018B1 KR 101403018 B1 KR101403018 B1 KR 101403018B1 KR 1020130105827 A KR1020130105827 A KR 1020130105827A KR 20130105827 A KR20130105827 A KR 20130105827A KR 101403018 B1 KR101403018 B1 KR 10140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art
lower support
retaining wall
support parts
g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찬수
장동연
Original Assignee
세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건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nstalls a steel net and other parts on the inclined surface of reinforced soil upon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when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hus making plants grow and preventing the reinforced soil from collap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es: a bottom portion (100) formed horizontally in a shape of a net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ucture; an upper and lower supporting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0) to prevent soil and sand (10) from falling down on a slant surface and formed in a shape of a ne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0) to be erected vertically; a rotary shaft (300) formed in a shape of a ro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portion (200) to form a shaft around which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portion (200) rotates; and a deviation prevention plate (400)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portion (200) and the soil and sand (10) to allow a plurality of plant seeds (30) to be scattered on the portion coming in contact with the soil and sand (10).

Description

식생옹벽 구조물{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식생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 및 비탈사면 안정용 구조물의 구축시 보강토의 경사진 면을 철망과 그에 따른 구성을 통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흙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하는 식생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a slant surface of a reinforcing earth is constructed through a wire netting and a structur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일반적으로, 도로를 건설하거나 도시를 계발할 경우, 높이가 높은 산은 터널을 만들 수 있고, 높이가 낮은 산은 깍거나 없애버리게 된다.In general, when building roads or developing cities, high mountains can make tunnels, and low mountains can be cut or destroyed.

이렇게 산을 깍는 과정에서 산에는 비탈이 발생하게 되고, 비탈이 형성된 산에서도 나무가 제거된 부분에서는 특히 흙이 흘러내리거나 무너져 내리게 될 수 있는데 이렇게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탈부위에 옹벽이 설치되게 된다.In the process of mowing the mountain, the slope of the mountain occurs, and in the mountain where the slope has been formed, especially in the part where the tree is removed, the soil may flow down or fall down.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rom collapsing, Will be installed.

즉, 이러한 옹벽은 땅을 깍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이다.In other words, these retaining walls are the walls that prevent the slope of the ground or the soil from collapsing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il.

종래의 보강토 옹벽 구축 작업은, 콘크리트 블럭을 외부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해서 옹벽을 구축하는 방법과, 현장에서 채취한 토사를 복수 개의 토낭에 채워 적층 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Conventional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work has been mainly use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constructing a concrete block from the outside and transporting it to the site, an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laminating and filling the soil collected in the field with a plurality of buns.

최근에는,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흙을 지지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하도록 옹벽에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eco-friendly attempts have been actively made to grow plants by planting them on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retaining walls support the soil more firmly and are apparently beautiful.

그러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옹벽은 그 작업이 어렵고, 한번 설치되면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요소가 부족하고 식물이 생장을 하기 위한 환경이 갖추어지지 못하여, 식물을 식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taining wall made of concrete block is difficult to work, and once installed, it can not be recycled, lacks environment-friendly factors, and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is not provid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lant plants.

그리고, 다수 개의 토낭을 적층 하여 이루어진 옹벽은 시간이 지나면서, 토낭 중의 일부가 적층 구조에서 이탈되면서 옹벽이 지지하는 흙이 무너져 내리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quatters has a problem in safety that the soil supported by the retaining wall collapses as a part of the squat deviates from the laminated structure over time.

또한, 적층 배치되는 토낭의 하부 또는 우천시 발생 되는 우수가 토낭 내부로 스며든 후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면서 기존 토압에 수압이 가중되어 적층 된 토낭이 붕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bunker disposed in a stacked state or the rain generated at the time of rainfall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sac, but is not discharged smoothly, and the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existing earth pressure.

특히, 옹벽이 설치되는 부위의 비탈 경사면은 다양하게 형성되고,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데 이때마다 비탈 경사면에 따라 옹벽의 형태 및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slope of the slope at the por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s varied and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is case, sinc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lope slope, unnecessary cost is consumed.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1-0042410Patent Literature Patent Publication 10-2011-00424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s easy to install, safe, and easy to plant,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분적인 훼손으로 인해 옹벽 내부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is easy to maintain when partially damaged, and can minimize the collapse of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due to partial damage.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옹벽 내부에 형성되는 물이나 우천시 발생 되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옹벽 내부의 흙이 붕괴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collapse of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by allowing the water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or the rain generated during rainy weather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상황과 위치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되는 비탈 경사면에 따라 비탈 경사를 간편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correspondingly to a sloping slope depending on the slope of the slope formed by various situations and positions.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그물망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100); 비탈면에서 토사(10)가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결되면서 그물망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하지지부(200); 상기 바닥부(100)와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부위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는 회전축(300); 및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토사(1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토사(10)와 밀착되는 부위에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의 이탈방지판(400);을 포함한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oor part (10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net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n upper and lower support part 200 formed in a net shape and ris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a rim of the bottom part 100 to block the slope of the soil 10 from sloping surfaces; A rotating shaft 300 formed in a rod shape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and constituting a shaft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are rotated; And a plate-shaped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gravel-like material 10, wherein seeds 30 of a plurality of plants are scatteringly disposed at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gravel- ).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회전축(300)에 동시에 연결되는 갈고리 형태의 회전연결고리(110)를 포함한다.The bottom part 100 is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rotary shaft 300 at the same time, And a ring 110.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부(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다른 바닥부(10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이음연결고리(120)를 포함한다.The bottom part 100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nd another bottom part 10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bottom part 100, And a connecting ring 120 in the form of a ring to be connected.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토사(10)의 유동을 저지하는 다수 개의 돌기(130)를 포함한다.The bottom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art 100 to block the flow of the gravel 10.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씨앗(30)이 끼워지면서 고정배치될 수 있도록 산발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배치홈(410)을 포함한다.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includes a fixed placement groove 410 which is formed to be sporad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seed 30 can be fixed while being inserted.

상기 상하지지부(200)는,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하지지부(200')를 상호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토사(10)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막대형태의 지지대(210)를 포함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fixed while interconnecting other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 200 and are supported by a bar type support 210 ).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00)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세워지는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암(150)이 포함된다.The bottom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nd the top and bottom support parts 200 so that the bottom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top and bottom support part 200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top and bottom support part 200 And an angle adjusting arm 150 for adjusting the angle.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토사(10)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판(160)이 포함되고,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배수판(160)이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돌기(180)를 포함한다.The bottom part 100 includes a drainage plate 160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inflowed to the gravel 10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art 100, (180)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160)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100).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토사(10)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강체(170)가 포함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00 includes a reinforcing body 170 for assisting in supporting the soil 10.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식물이 간편하게 식재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외관상 미려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that a plant can be easily planted and grow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eautiful retaining wall.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옹벽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옹벽 내부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안전상의 효과가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ty effect tha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the retaining wall and minimizes the collapse of the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thereby forming a safe retaining wall.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옹벽 내부에 형성되는 물이나 우천시 발생 되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옹벽 내부의 흙이 붕괴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effect of minimizing the collapse of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by allowing the water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or the rain generated during rainy weather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상황과 위치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되는 비탈 경사면에 따라 비탈 경사를 간편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be easily installed correspondingly to a slope slope according to a slope slope form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적층 사용상태를 측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식물의 생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cking state of use according to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growth of a plant according to FIG. 5;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ess according to Fig. 7. Fig.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옹벽의 구축시 보강토의 경사진 면을 철망과 그에 따른 구성을 통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흙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특히, 상하지지부, 회전축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for exampl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in particular, an upper and lower retaining portion, a rotating shaft) for preventing the soil from collapsing while allowing the inclined face of the reinforcing earth to be grown through a wire nettin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technical composition can be applied equ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도로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산을 관통하여 터널을 시공하거나 도로를 시공하면서 산을 부분적으로 깎으면서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산의 비탈 경사면을 통해 산의 토사(10)가 흘러내리거나 무너져 내릴 수 있다.1 and 2, in the course of road construction, a tunnel is constructed through a mountain, or a road is constructed while a mountain is partially cut off. At this time, a slope of a mountain 10) can flow down or collaps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의 비탈 경사면에는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옹벽은 산의 비탈 경사면 하부부터 적층 되면서 구축되어 산의 비탈 경사면을 통해 토사(10)가 흘러내리거나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on the inclined slope of the mountai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being stacked from below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so that the slurr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r collapsing through the inclined slope of the mountain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그물망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경사각을 조절한 후 고정되는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함께 토사(10)를 지지하면서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의 이탈방지판(400)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part 10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net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n upper and lower parts 100 and 100, which ar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 rotation shaft 300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bottom part 1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can be rotated at the bottom part 100, And a plate-shaped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in which seeds 30 of a plurality of plants are scatteringly disposed while supporting the soil 10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부(100)는, 그물망 형태의 금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산의 비탈 경사면의 바닥면에 배치되게 된다.In detail, in the bottom part 100, metal in the form of a mes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slope of the mountain.

이러한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토사(10)가 적층 되게 된다.The gravel (10) is laminated on the bottom part (100).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부(200)는, 그물망 형태의 금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산의 비탈 경사면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각도를 갖으며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in the form of a mesh and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더불어,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바닥부(100)와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부위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게 된다.The rotary shaft 300 is formed in a rod shape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o form a shaft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rotated.

여기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otating shaft 3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can b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metal is preferably used.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토사(1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토사(10)와 밀착되는 부위에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gravel 10 so that a plurality of plant seeds 30 are scattere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씨앗(30)이 생장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400)을 뚫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더불어 상기 토사(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while the seed 30 is being grown,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can support the gravel 10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I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그물망 형태의 상기 바닥부(100)의 상하로는 상기 토사(10)와 그 토사(10)로 유입되는 수분이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moisture is flowed above and below the bottom portion 100 in the form of a net so as to flow the gypsum 10 and the gypsum 10.

그리고, 그물망 형태의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이탈방지판(400)으로는 상기 토사(10)가 유동 되는 것은 차단하고, 상기 토사(10)에 유입되는 수분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are formed in a mesh form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gravel 10 and allow the water flowing into the gravel 10 to flow.

결과적으로,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토사(10)가 적층 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상하지지부(200)는, 상기 토사(10)가 흘러내리거나 붕괴 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ottom portion 100 functions to support the gravel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gravel 10 can be stacked,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can prevent the gravel 10 from flowing down or collapsing So as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산의 비탈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고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rotary shaft 300 is rotated whil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so that the fixing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Function.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토사(1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토사(10)가 상기 상하지지부(200)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씨앗(30)이 배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판(400) 상에서 상기 토사(10)의 영양분과 우수 등의 수분을 공급받아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gravel 10 to prevent the gravel 10 from flowing dow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seeds 30 are dispose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llowing plants to grow by receiving the nutrients and moisture of the gravels 10 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적층 사용상태를 측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cking state of use according to Fig. 3; Fig.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그물망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00)과,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함께 토사(10)를 지지하면서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의 이탈방지판(400)을 포함한다.3 and 4,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10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net, A rotary shaft 300 for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in the bottom part 100 and a rotary shaft 300 for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a plate-shaped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in which seeds 30 of a plurality of plants are scatteringly arranged while supporting the plant.

여기서,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100)에는 갈고리 형태의 회전연결고리(110)가 형성된다.Here, the bottom portion 100 is formed with hook-shaped rotation linking rings 1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00.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연결고리(110)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되는 부위의 상기 바닥부(1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회전축(300)에 동시에 연결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linking ring 1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portion 100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00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회전연결고리(110)의 일 측이 개구 된 갈고리 형태에서, 그 개구 된 부위는 상 방향으로 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one side of the rotation connection ring 110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ed part is arranged to be upward.

이는, 상기 회전연결고리(110)에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하부 테두리 부위가 원활하게 연결된 후, 차후에 보수 또는 재활용시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상기 회전연결고리(110)에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lower edge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 200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nection ring 110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nection ring 110).

또한, 상기 바닥부(100)는, 다른 바닥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측면에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차후 상기 바닥부(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토사(10)의 상부에 또 다른 바닥부(100')가 추가 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part 10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other bottom part 100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side of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part 100' Another bottom portion 100 'may be additionally stacked.

이때, 각각의 상기 바닥부(100, 100')에는 상기 상하지지부(200, 200')와 상기 회전축(300, 300') 및 상기 이탈방지판(400, 400')이 별도로 연결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200 ', the rotation shafts 300 and 300'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s 400 and 400 'ar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bottom parts 100 and 100' Do.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바닥부(100)에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부(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다른 바닥부(10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이음연결고리(120)가 연장형성된다.The bottom part 100 is formed on the bottom part 100 so as to be connected to another bottom part 10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part 100, And a connecting ring 120 in the form of a ring is formed so as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ring 120.

즉, 상기 이음연결고리(120)는, 상기 바닥부(1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가 다른 바닥부(100')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joint connecting ring 120 is extended from the bottom part 100 to function to securely connect the bottom part 100 to the other bottom part 100 '.

여기서, 상기 이음연결고리(120)는, 일 측이 개구 된 갈고리 형태에서, 그 개구 된 부위는 상 방향으로 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t connecting ring 120 is arrang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opened and the opened portion thereof is upward.

이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이음연결고리(120)가 연장형성되어 다른 바닥부(100')에 원활하게 연결된 후, 차후에 보수 또는 재활용시 상기 다른 바닥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상기 이음연결고리(120)에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joint connecting ring 120 is extended from the bottom part 100 and smoothly connected to the other bottom part 100 'so that the other bottom part 100' So that it can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joint connecting ring 120 of the body 100.

특히, 다수 개의 상기 바닥부(100, 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 200')가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다른 상하지지부(200')의 사이에는 봉 형태의 지지대(210)가 배치된다.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the bottom portions 100 and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and 2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 A support table 210 is disposed.

이러한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하지지부(200')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고정되면서, 상기 상하지지부(200)를 보조하여 상기 토사(10)가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support base 210 is fixed while connecting other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so a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functions to shut down the flow.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100, 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 200')는 산의 비탈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다층을 형성하면서 적층 되게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ortions 100 and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and 200',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can be stacked while forming multi-layers up and down along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hav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식물의 생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growth of a plant according to FIG. 5; FIG.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은, 그물망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00)과,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함께 토사(10)를 지지하면서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의 이탈방지판(400)을 포함한다.5 and 6,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10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mesh, The rotary shaft 300 rotates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i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soil 10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a plate-lik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in which seeds 30 of a plurality of plants are scatteringly disposed while supporting the plant.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토사(10)의 유동을 저지하는 다수 개의 돌기(130)를 포함한다.The bottom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art 100 to block the flow of the gravel 10.

이러한 상기 돌기(130)는, 상기 바닥부(100) 상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적층 되는 상기 토사(10)가 상기 바닥부(100) 상에서 유동 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trusions 130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ottom portion 100 so that the gravels 10 stacked on the bottom portion 100 are minimized from flowing on the bottom portion 100. [ And performs an auxiliary function.

여기서, 상기 돌기(130)는, 상기 토사(10)가 상기 바닥부(100) 상에서 유동 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바닥부(100) 상에서 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s 130 may protrude downward on the bottom portion 100, if necessary, to assist the user in minimizing the flow of the gravel 10 on the bottom portion 100 And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한편,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씨앗(30)이 상기 이탈방지판(400) 상에서 상기 토사(10)의 영양분과 우수 등의 수분을 공급받으면서 식물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allows the seed 30 to grow as a plant while being supplied with moisture such as nutrients and abundance of the gravel 10 on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또한, 상기 씨앗(30)이 식물로 생장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부분은 상기 토사(10) 내부로 진입되게 되고, 식물의 줄기 부분은 상기 이탈방지판(400)과 상기 상하지지부(200)를 동시에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로 생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oots of the plant are introduced into the soil 10 during the growth of the seed 30, and the stem of the plant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4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hey are simultaneously penetra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씨앗(30)이 끼워지면서 고정배치될 수 있도록 산발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배치홈(410)을 포함한다.For this,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400 includes a fixed placement groove 410 which is formed through the spatially scattered so that the seed 30 can be fixedly placed.

즉, 상기 고정배치홈(410)은, 상기 이탈방지판(400)이 상기 토사(10)와 밀착 배치될 경우, 상기 씨앗(30)이 상기 토사(10)에 밀리면서 상기 이탈방지판(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avel 10, the seed 30 is pushed by the gravel 10, As shown in FIG.

그렇기 때문에, 상기 고정배치홈(410)에 끼워져 배치되는 상기 씨앗(30)은 상기 이탈방지판(400)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채로 상기 토사(10)로 부터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받으면서 원활하게 생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seed 30 sandwiched between the fixed placement grooves 410 is smoothly grown while receiving nutrients and moisture from the gravels 10 while being firmly fixed 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It will be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ess according to Fig. 7. Fig.

도 2를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는, 그물망 형태의 금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산의 비탈 경사면의 바닥면에 배치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referring to FIG. 7 and FIG. 8,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ortion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like meta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

이러한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토사(10)가 적층 되게 된다.The gravel (10) is laminated on the bottom part (100).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부(200)는, 그물망 형태의 금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산의 비탈 경사면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각도를 갖으며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in the form of a mesh and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lope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더불어,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바닥부(100)와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부위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게 된다.The rotary shaft 300 is formed in a rod shape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o form a shaft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re rotated.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토사(1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토사(10)와 밀착되는 부위에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gravel 10 so that a plurality of plant seeds 30 are scattered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00)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세워지는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암(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part 100 and the top and bottom support par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top and bottom support parts 200, And may include an angle adjusting arm 150 for adjusting an angle to be raised.

상기 각도조절암(150)은, 봉 형태 또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세워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arm 1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d or ro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o maintain a standing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암(150)은, 상기 바닥부(100)에 각도조절암(150)의 일단이 먼저 연결되고, 상기 산의 비탈 경사면에 따라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세워지는 경사각이 정해지면 그때 각도조절암(150)의 타단이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arm 15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00 of the angle adjusting arm 150.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untain,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arm 15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holders 200.

상기 각도조절암(150)은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세워진 배치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arms 150 may be disposed to assist in fixing the upright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units 2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units 200.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암(150)의 타단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고리 형태로 걸쳐지거나 감싸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각도조절암(150)이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각도조절암(150)이 상기 이탈방지판(400)을 관통한 후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연결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arm 15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in a ring shape or wrapp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In order for the angle adjusting arm 150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he angle adjusting arm 15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00.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암(150)의 일단은 상기 바닥부(100)에 고리 형태로 걸쳐지거나 감싸면서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arm 15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in a loop shape or wrapped.

한편,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토사(10)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판(160)이 포함될 수 있다.A drainage plate 16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00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soil material 10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00.

이러한 상기 배수판(16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그 그물망 형태 위에 부직포가 배치되어, 상기 토사(10)에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되 상기 토사(1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drainage plate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 nonwoven fabric is disposed on the net shap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oil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oil 10 is lost And the like.

더불어,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배수판(160)이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돌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100 may include a flow prevention protrusion 180 blocking flow of the drain plate 160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100.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돌기(180)는, 상기 배수판(160)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배수판(160)이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flow preventive protrusion 180 is formed to surround the drain plate 160 to prevent the drain plate 160 from flowing below the bottom 100.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돌기(180)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배수판(160)이 배치된 부위에서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reventive protrusion 180 may extend from the bottom portion 100 and protrude upward or downward at a portion where the drain plate 160 is disposed.

이때, 상기 유동방지돌기(180)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배수판(160)이 유동 되는 것이 차단된다면, 상기 배수판(160)을 감싼 상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18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ate in which the drain plate 160 is wrapped if the drain plate 160 is blocked from flowing in the bottom portion 100.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토사(10)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강체(170)가 포함될 수 있다.A reinforcing member 17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100 to assist in supporting the gravel 10.

이러한, 상기 보강체(170)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사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be a geogrid.

여기서, 상기 보강체(170)는, 상기 토사(10)의 지반 보강을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Th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100 to reinforce the ground of the gravel 10.

이때, 상기 보강체(170)는, 상기 바닥부(100)에 형성되는 돌기(130)에 걸쳐지면서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상기 바닥부(100) 상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member 170 can be fixed on the bottom portion 100 by minimiz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inforcement member 170 over the protrusions 130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00.

즉, 상기 보강체(170)는, 상기 토사(10)가 상기 바닥부(100)의 상하로 유동 되면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자 구조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may be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to prevent the gravel 10 from being lost while flowing up and down the floor 100.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식물이 간편하게 식재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외관상 미려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plant can be easily planted and grown, and a technical effect can be obtained that can construct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eautiful retaining wall.

그리고, 옹벽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옹벽 내부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안전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the crushing of the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can be minimized, so that a safe retaining wall can be obtained.

또한, 옹벽 내부에 형성되는 물이나 우천시 발생 되는 우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옹벽 내부의 흙이 붕괴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water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or the rain generated in the rainy weather to the outside, thereby achieving the technical effect of minimizing the collapse of the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더불어, 상황과 위치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되는 비탈 경사면에 따라 비탈 경사를 간편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us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ope inclina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 loc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토사 30 : 씨앗
100, 100' : 바닥부 110 : 회전연결고리
120 : 이음연결고리 130 : 돌기
150 : 각도조절암 160 : 배수판
170 : 보강체 180 : 유동방지돌기
200. 200' : 상하지지부 210 : 지지대
300, 300' : 회전축
400, 400' : 이탈방지판 410 : 고정배치홈
10: Tosa 30: Seeds
100, 100 ': bottom part 110: rotation linkage
120: joint ring 130: projection
150: Angle adjusting arm 160: Drain plate
170: reinforcement member 180: flow prevention projection
200. 200 ': Upper and lower support 210: Support
300, 300 ': rotation axis
400, 400 ': release prevention plate 410: fixed placement groove

Claims (9)

그물망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100);
비탈면에서 토사(10)가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결되면서 그물망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하지지부(200);
상기 바닥부(100)와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부위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는 회전축(300); 및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토사(1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토사(10)와 밀착되는 부위에 다수 개의 식물의 씨앗(30)이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판 형태의 이탈방지판(4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토사(10)의 유동을 저지하는 다수 개의 돌기(1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토사(10)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판(160)이 포함되되,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배수판(160)이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돌기(180)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A bottom part 10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mesh to form a bottom surface;
An upper and lower support part 200 formed in a net shape and ris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a rim of the bottom part 100 to block the slope of the soil 10 from sloping surfaces;
A rotating shaft 300 formed in a rod shape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and constituting a shaft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arts 200 are rotated; And
A separation plate 400 in the form of a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the gravel 10 so that seeds 30 of a number of plants are scatteringly disposed on the gravel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avel 10, ≪ / RTI >
The bottom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art 100 to block the flow of the gravel 10,
The bottom part 100 includes a drainage plate 160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oil 10 disposed on the bottom part 100. The bottom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late 160) is prevented from flowing below the bottom part (1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지지부(200)와 상기 회전축(300)에 동시에 연결되는 갈고리 형태의 회전연결고리(110)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art (100)
And a hook-shaped rotation linkage (110)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Retaining wall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부(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다른 바닥부(10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이음연결고리(120)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part (100)
Shaped joint which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00 and another bottom portion 10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00 so as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other bottom portion 100'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on ring (12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400)은,
상기 씨앗(30)이 끼워지면서 고정배치될 수 있도록 산발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배치홈(410)을 포함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400,
And a fixed placement groove (410) formed sporadically so that the seed (30) can be fixedly arranged while being f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200)는,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하지지부(200')를 상호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토사(10)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막대형태의 지지대(210)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ortions 200 are formed,
And a rod-shaped support (210) which is fixed while interconnecting other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assisting in supporting the gravel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00)가 상기 상하지지부(200)에 세워지는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암(150)이 포함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And an angle adjusting arm (150)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to adjust an angle at which the bottom part (100) is set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20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토사(10)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강체(170)가 포함되는 식생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00,
And a reinforcing body (170) for assisting in supporting the gravel (10).
KR1020130105827A 2013-09-04 2013-09-04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403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27A KR101403018B1 (en) 2013-09-04 2013-09-04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27A KR101403018B1 (en) 2013-09-04 2013-09-04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018B1 true KR101403018B1 (en) 2014-06-03

Family

ID=5113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827A KR101403018B1 (en) 2013-09-04 2013-09-04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708B1 (en) * 2016-11-10 2018-03-22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eco water way including slop side and a irrigation pipe using the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69B1 (en) * 2006-12-22 2008-01-14 (주)메카모아 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KR20130037781A (en) * 2011-10-07 2013-04-17 정종근 Structure for vegetion earths retaining wall using a protection net for slope
KR101263091B1 (en) * 2011-03-07 2013-05-09 윤종식 Coconut vegetation Mat
KR101276567B1 (en) * 2010-06-11 2013-06-18 윤성호 Plant-seeding type breast wall for reinforcing a slo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69B1 (en) * 2006-12-22 2008-01-14 (주)메카모아 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KR101276567B1 (en) * 2010-06-11 2013-06-18 윤성호 Plant-seeding type breast wall for reinforcing a slope
KR101263091B1 (en) * 2011-03-07 2013-05-09 윤종식 Coconut vegetation Mat
KR20130037781A (en) * 2011-10-07 2013-04-17 정종근 Structure for vegetion earths retaining wall using a protection net for slo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708B1 (en) * 2016-11-10 2018-03-22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eco water way including slop side and a irrigation pipe using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89743B (en) Ecological geogrid for slope protection
CN201027311Y (en) Water discharge type anchor stock frame beam for reinforcing side slope
CN109811776B (en) Assembled lattice frame roof beam
KR20070033301A (en)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CN201581411U (en) Inclined inserting sheet pile wall
KR100959828B1 (en) A vegetation slope structure
CN103122640A (en) Slope protective structure and protective method
KR101403018B1 (en)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694502B1 (en) Gabion adjustable the angle of inclin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365658B1 (en) Racks for sand bags
KR100443037B1 (en) Slope cover block
KR200403507Y1 (en)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CN115595994A (en) High slope construction process
KR100884017B1 (en) Method of Constructing Bank Walls with Recovering Natural Environment
KR101824416B1 (en) Retaining wall with vegetation Basis
KR20100027677A (en) Slope cover block
KR101501733B1 (en) The eco-friendly precast l type retaining wall fixed with an anchor
CN211713983U (en) Ecological slope protection for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R101664736B1 (en) Soil bag for growing plants
KR101334749B1 (en)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090075476A (en) Slope greening method
KR19990046526A (en) A structure for establing a slope and execution method using it
ES2593849B1 (en) PROTECTION SYSTEM IN WORKS OF SANDS TRANSPORTED BY WIND AND INSTALLATION PROCEDURE
KR101877024B1 (en) Civil Block for Vegetation
CN219508605U (en) Ecological structure that gives attention to drainage of restoring green of rock side s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6